KR20000002478U -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478U
KR20000002478U KR2019980012345U KR19980012345U KR20000002478U KR 20000002478 U KR20000002478 U KR 20000002478U KR 2019980012345 U KR2019980012345 U KR 2019980012345U KR 19980012345 U KR19980012345 U KR 19980012345U KR 20000002478 U KR20000002478 U KR 200000024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mobile phone
housing
us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곤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80012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478U/ko
Publication of KR20000002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478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면 상단에는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가 위치하는 바타입의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외함(10)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20)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시키고, 이 수용부(20)에는 수용부(20)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마이크(50)가 내장된 함체(30)가 안착되어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20)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30)는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관(40)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용부(20)에 대해 함체(30)를 인출가능하도록하는 한편, 휴대폰 외함(10)내부의 회로기판(60)에 연결되는 전선(70)은 상기 신축관(40) 내부를 통해 마이크(50)에 연결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마이크를 휴대폰에 대해 신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입에 마이크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시끄러운 주위환경에서도 작은 소리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Device for ejecting a microphone of a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를 인출가능하도록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해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이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점점 더 소형화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휴대폰이 소형화 됨에 따라 휴대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이어폰과 마이크의 간격이 사용자의 귀와 입과의 간격에 비해 훨씬 줄어들게 되어 즉,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휴대폰의 마이크가 떨어져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목소리가 정확히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의 전면에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커버의 선단에 마이크를 장착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상기 커버를 회동시켜 이어폰과 마이크의 간격을 늘리도록 된 플립형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플립형 휴대폰은 휴대폰 전면에 커버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커버가 없는 바타입 휴대폰에 비해 경량화가 어려우며, 커버의 회동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추가로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에도 바타입 휴대폰은 경량화와 가격의 저렴화 및 디자인의 개발로 인해 여전히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바타입 휴대폰은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폰이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과 휴대폰의 마이크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통화품질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타입 휴대폰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휴대폰에 대해 소정길이 인출시켜 휴대폰 사용시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의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가 마련되고, 이 수용부에는 마이크가 내장된 함체가 안착되어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는 신축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용부에 대해 함체를 인출가능하도록하는 한편, 휴대폰 내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신축관 내부를 통해 마이크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사용자의 상기 함체를 당겨 휴대폰으로부터 마이크를 소정거리 신장시킴으로서, 휴대폰 마이크와 이어폰간의 간격을 늘려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작은 소리로도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인출구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함 20 : 수용부
30 : 함체 40 : 신축관
50 : 마이크 60 ; 회로기판
70 : 전선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인출구조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전면 상단에는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가 위치하는 바타입의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가 휴대폰과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는 신축관을 매개로 휴대폰에 연결되어 휴대폰에 대해 소정길이 신장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휴대폰의 외함(10)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20)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시키고, 이 수용부(20)에는 수용부(20)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마이크(50)가 내장된 함체(30)가 안착되어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20)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30)는 신축관(40)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용부(20)에 대해 함체(30)를 인출가능하도록하는 한편, 휴대폰 외함(10)내부의 회로기판(60)에 연결되는 전선(70)은 상기 신축관(40) 내부를 통해 마이크(50)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신축관(40)은 관 내부에 다른 관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텔레스코픽관으로, 관의 내부로 다른 관이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50)와 회로기판(60)을 연결하는 전선(70)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함으로서, 짧은 전선(70) 길이에 의해 신축관(40)의 신장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사용자의 마이크(50)가 설치되어 있는 함체(30)를 당겨주게 되면 휴대폰 외함(10)의 수용부(20)로부터 함체(30)가 인출되면서 소정거리 신장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휴대폰 마이크(50)와 이어폰간의 간격을 늘려 마이크(50)를 사용자의 입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작은 소리로도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폰 외함(10)의 수용부(20)에 마이크(50)가 설치되어 있는 함체(30)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함체(30)의 외표면이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게 되고, 함체(30)와 수용부(20)를 연결하고 있는 신축관(40)은 최대한 신축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함체(30)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50)는 신축관(40)을 통해 전선(70)으로 회로기판(60)과 연결되어 있어서 마이크(50)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는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주위가 시끄럽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50)를 원하는 길이만큼 휴대폰에 대해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바, 마이크(50)가 내장되어 있는 함체(30)를 휴대폰 외함(10)의 수용부(20)에 대해 당겨주게 되면 상기 함체(30)가 휴대폰의 수용부(20)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함체(30)는 수용부(20)의 내축면과 신축관(40)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0)가 당겨지는 만큼 신축관(40)이 신장되게 되고, 함체(30)는 신축관(40)을 이루는 각 관이 최대한 늘어날 때가지 신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함체(30)를 신장시킴으로서, 휴대폰의 이어폰과 마이크(50)와의 간격을 최대한 늘려줄 수 있게 되어 휴대폰을 소형화하더라도 마이크(50)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쪽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화가 끝난 후에는 상기 함체(30)를 원상태로 휴대폰 외함(10)의 수용부(20)에 밀어넣어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에 의하면,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마이크를 휴대폰에 대해 신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입에 마이크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시끄러운 주위환경에서도 작은 소리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 상단에는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가 위치하는 바타입의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외함(10)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20)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시키고, 이 수용부(20)에는 수용부(20)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마이크(50)가 내장된 함체(30)가 안착되어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20)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30)는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관(40)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용부(20)에 대해 함체(30)를 인출가능하도록하는 한편, 휴대폰 외함(10)내부의 회로기판(60)에 연결되는 전선(70)은 상기 신축관(40) 내부를 통해 마이크(50)에 연결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KR2019980012345U 1998-07-07 1998-07-07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KR200000024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345U KR20000002478U (ko) 1998-07-07 1998-07-07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345U KR20000002478U (ko) 1998-07-07 1998-07-07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78U true KR20000002478U (ko) 2000-02-07

Family

ID=6951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345U KR20000002478U (ko) 1998-07-07 1998-07-07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4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09A (ko) * 2002-04-23 2003-11-01 주식회사 세니온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09A (ko) * 2002-04-23 2003-11-01 주식회사 세니온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7002B (fi) Matkapuhelimen kädet vapaana- eli HF-laitteisto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US72868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f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O305630B1 (no) HÕndfrigj°rings-modul
KR20000002478U (ko)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JPWO2004105362A1 (ja) 携帯端末装置
KR100725050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JP2000032106A (ja) 無線通信端末
KR100329217B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020047594A (ko)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JP4436013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5277995A (ja) 無線ヘッドセット装置
KR20040077170A (ko) 인출 가능한 마이크가 장착된 휴대폰
KR200205534Y1 (ko) 휴대폰의 소음통화장치
KR100639251B1 (ko) 귀걸이 타입 무선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20050093538A (ko)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30236Y1 (ko) 핸드폰
KR100991346B1 (ko) 프라이버시보호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 액세서리
KR200165950Y1 (ko) 초슬림형 전화기
KR100977116B1 (ko) 휴대전화 액세서리형 핸즈프리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19990023026U (ko) 마이크 인출식 휴대폰
KR200225438Y1 (ko)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KR200248730Y1 (ko) 이어 마이크형 핸즈프리장치
JP3078426U (ja) 携帯型情報通信機器の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