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909A -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909A
KR20030083909A KR1020020022307A KR20020022307A KR20030083909A KR 20030083909 A KR20030083909 A KR 20030083909A KR 1020020022307 A KR1020020022307 A KR 1020020022307A KR 20020022307 A KR20020022307 A KR 20020022307A KR 20030083909 A KR20030083909 A KR 2003008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utton
storage reques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니온
Priority to KR102002002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3909A/ko
Publication of KR2003008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자 키 및 기능 키 등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그 구조를 간단화하고 발신가능 전화번호 및 스케쥴 관리 기능 등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설정하고 갱신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상대방 전화번호가 매칭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저장은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Functions Of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자 키 및 기능 키 등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그 구조를 간단화하고 발신가능 전화번호 및 스케쥴 관리 기능 등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설정하고 갱신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음성통신가능한 휴대통과 같은 휴대통신단말의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그 휴대통신단말의 기능도 고기능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중의 상당수는 그 기능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그 기능의 일부만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일부 사용자는 휴대통신단말의 많은 기능중에서 음성통화 기능만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이는 노인층이나 어린이(특히 4~7세 정도)들에게 있어서 많이 있는 현상이다.
이와 같이 음성통화 기능만을 이용하고 또한 특정 전화번호와의 통화만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의 경우에는 복잡한 기능의 휴대통신단말은 그 사용이 복잡한 문제가 있으며, 본인이 원하지 않는 수자키 또는 기능키의 오조작에 의하여 불필요한 통화 발신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불필요한 기능이 수행되어 당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서비스 요금이 부가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기능의 휴대통신단말은 그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각종 부품 및 각종 기능을 제거하고, 전화수신 기능과 특정 전화번호로만 발신할 수 있는 기능만을 구현하여 휴대통신단말의 가격을 낮추고, 그 기능의 간단화로 인하여 어린이나 노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 휴대통신단말기와, 이 휴대통신단말에 발신가능 전화번호 및 스케쥴 관리 기능 등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설정하고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기능설정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망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자 키 및 기능 키 등을 제거하고 부품을 최소화하여 그 구조를 간단화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주된 목적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자키 및 기능키가 없는 휴대통신단말에 발신가능 전화번호 및 스케쥴 관리 기능 등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설정하고 갱신할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폰을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양태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은,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안테나가 같은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마이크로폰 지지부재의 내부 구멍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폰 지지부재의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선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축가능한 전기배선과, 상기 전기배선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마이크로폰소자에 접속되는 플렉서블(flexible)한 마이크로폰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이크로폰 지지부재의 타측 구멍에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양태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은,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상대방 전화번호가 매칭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저장은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짧게 누르면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길게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1회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연속하여 2회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3실시양태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은, 상대방 전화번호가 매칭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 매칭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소정 버튼에 소정 전화번호를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소정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하는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소정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버튼번호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상기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하고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버튼번호 및 상기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버튼번호 및 상기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전화번호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4실시양태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벨소리 저장방법은,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벨소리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소정의 벨소리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벨소리를 저장하고자 하는 벨소리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선택된 벨소리를 저장하도록 하는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벨소리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벨소리를 새로운 벨소리로서 설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무선통신망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벨소리중에서 소정 벨소리를 선택하며,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선택된 소정 벨소리의 코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벨소리 코드에 대응하는 벨소리를,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에 부가하여,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벨소리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 벨소리의 저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벨소리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벨소리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5실시양태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설정방법은,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보이스 알람을 저장·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서 소정 시간에 보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보이스 알람을 저장하도록 하는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보이스 알람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및, 보이스 알람이 출력될 알람시간을 입력하고 상기 보이스를 입력하며, 상기 보이스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알람시간과, 상기 입력된 보이스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보이스알람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알람시간 및 상기 입력한 보이스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보이스 알람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보이스 알람의 저장·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6실시양태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방법은, 상기한 제 5실시양태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에 보이스 알람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서는, 상기 설정된 보이스 알람의 알람시간이 도래되는지 판단하여 보이스 알람시간이 도래되면 벨소리를 출력하는 벨소리 출력단계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이스를 출력하는 보이스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소리 출력단계는, 상기 알람시간의 도래시에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통화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벨소리의 출력을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한쪽면에 안테나와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안테나와 마이크로폰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다른쪽면에 스피커와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상태를 본 도면,
도 5는 도 3의 B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상태를 본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쇄회로기판을 상케이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상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하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인쇄회로기판과 상케이스 및 하케이스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케이스측에서 본 휴대통신단말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배터리 백을 장착한 상태의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F-F선을 따라 절단하여 C방향에서 본 도면,
도 13은 도 11의 휴대통신단말을 D방향에서 본 도면,
도 14는 도 11의 휴대통신단말을 정면에서 본 도면,
도 15는 도 14의 휴대통신단말의 마이크로폰과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의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목걸이 줄을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을 도시한 것으로, 상케이스와 하케이스의 형상을 다르게 한 경우에 각각 도 6 내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내부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기능설정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0a는 도 29에서 설명하는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b는 도 29에서 설명하는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c는 도 29에서 설명하는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d는 도 29에서 설명하는 보이스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착호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발호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기능설정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37은 도 36의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기능설정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38a는 도 37에서 설명하는 전화번호 설정 요청 신호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8b는 도 37에서 설명하는 벨소리 설정 요청 신호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8c는 도 37에서 설명하는 벨/진동 설정 요청 신호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8d는 도 37에서 설명하는 보이스알람 설정 요청 신호의 개략적인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회로기판 12A~12D : 구멍
14 : 무선모뎀 모듈 16 : 전원/데이터 커넥터
18 : 안테나 지지부재 19A~19C : 나사
20 : 안테나 21 : 마이크로폰 지지부재
21A~21C : 나사 22 : 마이크로폰
24 : 마이크로폰 로드 26 : 마이크로폰 배선
28 : LCD 30 : 스피커
32 : 진동소자 34 : LED
36A~36D : 버튼 38A~38D : 버튼 스위치
40,70 : 상케이스 벽 40A,70A : 안테나 홈
40B,70B : 마이크로폰 홈 40C,70C : 커넥터 홈
42,72 : 상케이스 바닥 42A~42D,72A~72D : 버튼 구멍
42E,72E : LED 구멍 42F,72F : 스피커 구멍
42G,72G : LCD 구멍 44A~44D,74A~74D : 보스
46,76 : 하케이스 벽 46A,76A : 안테나 홈
46B,76B : 마이크로폰 홈 46C,76C : 커넥터 홈
48,78 : 하케이스 바닥 48A,78A : 홈
49A~49D,79A~79D : 보스 50,80 : 배터리 팩 안착부
50A~50D,80A~80D : 나사 52A,52B,82A,82B : 배터리전원 연결단자
54,84 : 고정부재 54A,84A : 턱
54B,84B : 돌기 56,86 : 배터리 팩
56A,86A : 홈 56B,86B : 돌기
58,88 : 구멍 60 : 걸이 줄
62 : 연결부재 64 : 목걸이 줄
100 : 휴대통신단말 110 : 중앙처리장치
115 : 키입력부 120 : 메모리
125 :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130 :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
135 : 진동소자 구동회로 140 : 액정표시소자구동회로
145 : 발광소자구동회로 150 : 이어마이크 커넥터
160 : 이어마이크 165 : 건전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및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한쪽면에 안테나와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안테나와 마이크로폰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의 한쪽면의 중앙에는 무선모뎀모듈(1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무선모뎀모듈(14)의 일측면에는 안테나 지지부재(18)가 인쇄회로기판(10)에 나사(19A~19C)로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모뎀모듈(14)의 다른측면에는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가 인쇄회로기판(10)에 나사(21A~21C)로 체결되어 있으며, 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아래쪽에는 동작전원 및 배터리 충전전원의 공급과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을 매개로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한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소정부위에 다수의 구멍(12A~12D)이 형성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는 안테나 지지부재(18)와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 단면을 도시하였다. 상기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에는 그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홀 내부에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마이크로폰 로드(24)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홀의 상부측에는 홀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 로드(24)의 하측단부는 그 직경이 커지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마이크로폰(22)의 인출시에 마이크로폰 로드(24)가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또 마이크로폰 로드(24)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형상의 마이크로폰 배선(26)이 연결되어 있어서 마이크로폰(22)의 인출시에 마이크로폰 배선(26)이 신장되고 마이크로폰(22)의 인입시에 마이크로폰배선(26)이 수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형상의 마이크로폰 배선(26)의 다른쪽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쇄회로기판(10)의 배선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형상의 마이크로폰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의 내부 홀에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이 도전 패턴이 인쇄회로기판(10)의 배선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마이크로폰 로드(24)의 하단부가 상기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의 내부 홀의 도전 패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안테나 지지부재(18)의 내부 홀에 안테나(20)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안테나의 접점은 무선모뎀모듈(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통상적인 구조로 설계하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다른쪽면에 스피커와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의 다른쪽면에는 액정표시소자(LCD)(28)와 스피커(30), 발광소자(LED)(34), 진동소자(32) 및 적어도 하나의 버튼(36A~36D)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부위에 다수의 구멍이 인쇄회로기판(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소자(28)와 발광소자(34), 진동소자(32)가 도시되고 설명되겠지만, 이들 구성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또, 버튼도 4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버튼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상태를 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B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상태를 본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서 참조부호 38A~38D는 상기한 버튼(36A~36D)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버튼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과 버튼스위치로서 택트스위치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그이외에 키패드 형태를 채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쇄회로기판을 상케이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상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케이스 벽(40)에는 안테나 지지부재(18)가 끼워지는 홈(40A)과, 마이크 지지부재(21)가 끼워지는 홈(40B)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지는 홈(4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 바닥(42)에는 액정표시소자(28)가 끼워지는 구멍(42G)과, 발광소자(34)가 끼워지는 구멍(42E), 스피커(30)의 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42F), 버튼(36A~36D)이 끼워지는 구멍(42A~4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케이스 바닥(42)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구멍(12A~12D)에 끼워지도록 보스(44A~44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하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케이스 벽(46)에는 안테나 지지부재(18)가 끼워지는 홈(46A)과, 마이크 지지부재(21)가 끼워지는 홈(46B)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지는 홈(46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케이스 바닥(48)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구멍(12A~12D)에 끼워지도록 보스(49A~49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인쇄회로기판과 상케이스 및 하케이스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케이스측에서 본 휴대통신단말의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배터리 백을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F-F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C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의 휴대통신단말을 D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의 휴대통신단말을 전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의 휴대통신단말의 마이크로폰과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케이스의 외측중앙에는 배터리 팩(56; 도 10)이 안착되는 배터리팩 안착부(5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안착부(50)의 상기 보스(49A~49D)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보스(49A~49D)와 연통하는 미도시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에 나사(50A~50D)가 상기 하케이스의 보스(49A~49D)를 관통하여 상케이스의 보스(44A~44D)에 체결되어 상케이스와 하케이스 및 그 중간에 있는 인쇄회로기판(10)이 밀착·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0)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배터리팩(56)의 전원연결단자(58A,58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전원연결단자(52A,52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안착부(50)의 아래쪽의 하케이스 벽(46)에는 홈(4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48A)에는 패터리팩(56)의 장착시에 패터리팩(56)의 돌기(56B)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50)의 위측의 하체이스 벽(46)에는 고정부재(5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장착부재(54)는 배터리팩(56)이 장착된 상태에서 배터리팩(56)을 분리하고자 할 때 당길 수 있는 턱(54A)과, 상기 배터리팩(56)이 안착부(50)에 안착되었을 때 배터리팩(56)의 홈(56A)에 삽입되고 상기 턱(54A)을 당겼을 때 상기 홈(56A)에서 이탈되는 돌기(54B)와, 상기 고정부대(5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4C; 도 12 참조)로 구성된다.
상케이스의 벽(40)에서 안테나 홈(40A)과 마이크로폰 홈(40B) 사이에는 구멍(5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58)에는 걸이 줄(60; 도 16 참조)이 관통 삽입되도록 되어 휴대통신단말과 걸이 줄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인쇄회로기판과 상케이스, 하케이스 및 배터리백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인쇄회로기판(10)에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품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먼저 상케이스의 보스(44A~44D)를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맞춰서 끼우면 액정표시소자(28)와 발광소자(34) 및 버튼(36A~36D)이 각각 구멍(42G)(42E)(42A~42D)에 끼워지고 홈(40A)(40C)(40C)에 각각 안테나 지지부재(18)와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의 중간부분에 상케이스의 보스(44A~44D)의 끝이 위치하게 된다.
그후, 하케이스의 보스(49A~49D)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맞춰서 끼우면 홈(46A)(46C)(46C)에 각각 안테나 지지부재(18)와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의 중간부분에서 상케이스 보스(44A~44D)의 끝와 하케이스 보스(49A~49D)의 끝이 맞닿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케이스의 보스(49A~49D)의 관통구멍에 나사(50A~50D)를 체결하면 상기 하케이스 보스(49A~49D)와 상기 상케이스 보스(44A~44D)가 나사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케이스와 하케이스 및 인쇄회로기판이 밀착·결합된다(이 결합상태가 도 9와 같은 상태이다).
그후, 배터리팩(56)을 하케이스의 배터리팩 안착부(50)에 장착하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목걸이 줄을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3에서 구멍(58)에 걸이 줄(60)을 결합하고, 이 걸이 줄(60)에 연결부재(62)를 매개로 목걸이 줄(64)을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을 목에 걸으면 된다. 여기서, 걸이 줄(60)과 연결부재(62) 및 목걸이 줄(64)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공지기술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며, 휴대통신단말을 목에 걸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의하면, 통화시에는 마이크로폰(22)을 잡아당겨 마이크로폰(22)과 마이크로폰 로드(24)를 인출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하면 사용자의 음성이 좀더 선명하게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고, 통화가 끝나면 상기 마이크로폰(22)과 마이크로폰 로드(24)를 밀어 넣으면 마이크로폰로드(24)가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의 홀 안으로 인입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형상의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로 휴대통신단말을 구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을 도시한 것으로, 상케이스와 하케이스의 형상을 다르게 한 경우에 각각 도 6 내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쇄회로기판을 상케이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상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케이스 벽(70)에는 안테나 지지부재(18)가 끼워지는 홈(70A)과, 마이크 지지부재(21)가 끼워지는 홈(70B)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지는 홈(7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 바닥(72)에는 액정표시소자(28)가 끼워지는 구멍(72G)과, 발광소자(34)가 끼워지는 구멍(72E), 스피커(30)의 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72F), 버튼(36A~36D)이 끼워지는 구멍(72A~7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케이스 바닥(72)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구멍(12A~12D)에 끼워지도록 보스(74A~74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하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케이스 벽(76)에는 안테나 지지부재(18)가 끼워지는 홈(76A)과, 마이크 지지부재(21)가 끼워지는 홈(76B)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지는 홈(76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케이스 바닥(78)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구멍(12A~12D)에 끼워지도록 보스(79A~79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0은 인쇄회로기판과 상케이스 및 하케이스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케이스측에서 본 휴대통신단말의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배터리 백을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에서 G-G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H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24는 도 22의 휴대통신단말을 I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25는 도 22의 휴대통신단말을 전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26은 도 25의 휴대통신단말의 마이크로폰과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케이스의 외측중앙에는 배터리 팩(86; 도 21)이 안착되는 배터리팩 안착부(8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안착부(80)의 상기 보스(79A~79D)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보스(79A~79D)와 연통하는 미도시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에 나사(80A~80D)가 상기 하케이스의 보스(79A~79D)를 관통하여 상케이스의 보스(74A~74D)에 체결되어 상케이스와 하케이스 및 그 중간에 있는 인쇄회로기판(10)이 밀착·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80)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배터리팩(86)의 전원연결단자(88A,88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전원연결단자(82A,82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안착부(80)의 아래쪽의 하케이스 벽(76)에는 홈(7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78A)에는 패터리팩(86)의 장착시에 패터리팩(86)의 돌기(86B)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안착부(80)의 위측의 하케이스 벽(76)에는 고정부재(8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장착부재(84)는 턱(84A)과 돌기(84B) 및 탄성부재(84C)로 구성된다.
상케이스의 벽(70)에서 안테나 홈(70A)과 마이크로폰 홈(70B) 사이에는 구멍(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88)에는 걸이 줄(60)이 관통 삽입되도록 되어 휴대통신단말과 걸이 줄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또는 판매업소의 기술자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로 구성된 휴대통신단말을 구매한 다음에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상케이스 및 하케이스를 구매하여 케이스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56)의 턱(54A)을 당겨서 배터리팩(56)을 분리하면 도 9와 같이 배터리팩 안착부(50)가 노출되고, 상기 배터리 안착부(50)의 나사(50A~50D)를 드라이버로 풀르면 도 7의 상케이스와 도 8의 하케이스 및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이 분리가능하게 된다.
그후, 새로 구입한 도 18에 도시한 상케이스의 보스(74A~74D)를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맞춰서 끼우면 액정표시소자(28)와 발광소자(34) 및 버튼(36A~36D)이 각각 구멍(42G)(42E)(42A~42D)에 끼워지고 홈(70A)(70C)(70C)에 각각 안테나 지지부재(18)와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의 중간부분에 상케이스의 보스(74A~74D)의 끝이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9에 도시한 하케이스의 보스(79A~79D)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에 맞춰서 끼우면 홈(76A)(76C)(76C)에 각각 안테나 지지부재(18)와 마이크로폰 지지부재(21) 및 전원/데이터 커넥터(16)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구멍(12A~12D)의 중간부분에서 상케이스 보스(74A~74D)의 끝과 하케이스 보스(79A~79D)의 끝이 맞닿게 된다.
그후, 상기 하케이스의 보스(79A~79D)의 관통구멍에 나사(80A~80D)를 체결하면 상기 하케이스 보스(79A~79D)와 상기 상케이스 보스(74A~74D)가 나사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케이스와 하케이스 및 인쇄회로기판이 밀착·결합된다(이 결합상태가 도 20와 같은 상태이다).
그후, 배터리팩(86)을 하케이스의 배터리팩 안착부(80)에 장착하면 도 2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케이스 형상을 갖는 휴대통신단말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통신단말의 케이스를 다른 형상의 케이스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내부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100)은 안테나(10)를 통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모뎀(14)과, 마이크로폰(22)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모뎀(14)으로 전달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125)와, 상기 무선모뎀(14)으로부터의 상대방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130)와,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입력부(115)와, 진동소자(32)를 구동하는 진동소자구동회로(135)와, 휴대통신단말의 구동소프트웨어와 각종 설정값들이 저장되는 메모리(120)와, 액정표시소자(28)를 구동하는 액정표시소자구동회로(140)와, 발광소자(34)를 구동하는 발광소자구동회로(145)와, 전제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통상의 휴대통신단말기에서와 마찬가지로 통상시에 상기 액정표시소자(38)에 기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통화시에는 통화시간을 표시하도록 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동작에 대하여 도 29 내지 도 32의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중앙처리장치(110)는 무선모뎀(14)을 통하여 전화번호 설정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 여기서,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는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전화번호 설정 요청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을 식별하는 코드를 나타내는 착신자 식별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기의 버튼 번호와,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입력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버튼 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120)에 갱신·저장한다(단계 S14).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수신된 메시지가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16). 여기서,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는 도 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벨소리 설정 요청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을 식별하는 코드를 나타내는 착신자 식별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벨소리로서 설정하고자하는 벨소리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 S16에서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벨소리 데이터를 새로운 벨소리로서 메모리(120)에 갱신 저장한다(단계 S18,S20).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수신된 메시지가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2). 여기서,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는 도 3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벨/진동 설정 요청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을 식별하는 코드를 나타내는 착신자 식별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벨설정 또는 진동설정인지를 식별하는 벨/진동 설정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 S22에서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벨/진동 설정 코드를 새로운 벨/진동 설정 코드로서 메모리(120)에 갱신 저장한다(단계 S24).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수신된 메시지가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6). 여기서,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는 도 3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을 식별하는 코드를 나타내는 착신자 식별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보이스 알람을 출력하고자 하는 알람 시간 데이터와, 알람시간에 출력하고자 하는 보이스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 S26에서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여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가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가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알람 시간 데이터와 보이스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분리하여 저장한다(단계 S28,S30).
한편, 상기한 비밀번호코드는 본 휴대통신단말의 출하시에 특정한 코드(예를 들면 "0000"이라는 숫자에 대응하는 코드)가 부여되어 출하되며, 이 비밀번호코드도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 설정가능하며, 이는 무선통신을 통해서 비밀번호코드 변경 설정 요청 메시지의 형태로 해당 휴대통신단말기에 전송되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비밀번호코드 변경 설정 요청 메시지는 해당 휴대통신단말을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해당 메시지가 비밀번호 갱신 설정 요청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코드와, 해당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이전 비밀번호코드와, 새로이 설정하고자 하는 비밀번호 코드로 구성된다. 본 비밀번호코드 변경 설정 요청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에 수신되면 중앙처리장치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변경 설정될 수 있음은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서 통화 착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모뎀(14)을 통하여 통화 착호가 수신되었음을 인식하면 중앙처리장치(110)는 메모리(120)에 설정된 벨/진동 설정값을 확인한다(단계 S40,S42).
그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상기 확인된 벨/진동 설정값이 벨로 설정되어 있으면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를 독출하여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130)를 통하여 스피커(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반면, 상기 확인된 벨/진동 설정값이 진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진동소자구동회로(135)를 제어하여 진동소자(32)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발광소자(LED)구동회로(145)를 제어하여 발광소자(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44).
이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키입력부(115)의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6). 여기서, 키입력부(115)가 도면과 같이 2개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특정 버튼을 통화 버튼으로 지정하거나(이 특정 버튼에 대응하여서도 상대방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함) 또는 착호시에 어느 버튼을 누르더라도 통화모드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되며, 키입력부(115)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착호시에 그 버튼을 누르면 통화모드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단계 S46에서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무선모뎀(14)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발신 상대방과 무선망을 통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발신 상대방의 음성이 무선통신망과 안테나(10), 무선모뎀(14),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130)를 통해서 스피커(30)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착신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폰(22)과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125), 무선모뎀(14), 안테나(10) 및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발신 상대방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단계 S48).
그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키입력부(115)의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50). 여기서, 키입력부(115)가 도면과 같이 2개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특정 버튼을 통화 종료 버튼으로 지정하거나(이 특정 버튼에 대응하여서도 상대방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함) 또는 착호시에 어느 버튼을 누르더라도 통화모드가 종료되도록 되어 있어도 되며, 키입력부(115)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화중에 그 버튼을 누르면 통화모드가 종료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단계 S50에서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무선모뎀(14)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발신 상대방과 무선망을 통한 통화로가 차단되도록 한다(단계 S52).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서 통화 발호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키입력부(115)의 소정 버튼이 조작되면, 중앙처리장치(110)는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120)에서 독출하고(단계 S62), 이 독출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발호 신호를 무선모뎀(14) 및 안테나(10)를 통하여 무선통신망으로 송출한다(단계 S64).
이와 동시에 중앙처리장치(110)는 통화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송출한 발호에 대응하는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상대방과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가 이루어진다(단계 S68).
그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키입력부(115)의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0).
상기 단계 S70에서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무선모뎀(14)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발신 상대방과 무선망을 통한 통화로가 차단되도록 한다(단계 S72).
여기서, 하나의 버튼에 대하여 착호에 대한 통화기능, 통화종료기능 및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의 발호기능을 구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착호시에 버튼을 누르면 통화모드가 설정되고, 통화모드시에 버튼을 누르면 통화가 종료되며, 착호가 없거나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에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발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또, 착호에 대한 통화나 통화종료시에는 버튼을 짧게 누르면 통화기능과 통화종료기능이 이루어지고,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의 발호시에는 해당 버튼을 길게 누르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착호에 대한 통화나 통화종료시에는 버튼을 1회 누르면 통화기능과 통화종료기능이 이루어지고,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의 발호시에는 해당 버튼을 1회 누르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서 보이스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보이스 알람 동작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보이스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10)는 자체 시간카운트부에서 계시되는 시간을 체크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보이스 알람 시간에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0, S82).
상기 중앙처리장치(110)가 보이스 알람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현재 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4). 이때, 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10)는 통화모드가 종료할 때까지 기다린다.
상기 단계 S84에서 통화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앙처리장치(110)는 메모리(120)에 설정된 벨/진동 설정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벨/진동 설정값이 벨로 설정되어 있으면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를 독출하여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130)를 통하여 스피커(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반면, 상기 확인된 벨/진동 설정값이 진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진동소자구동회로(135)를 제어하여 진동소자(32)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발광소자(LED)구동회로(145)를 제어하여 발광소자(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86).
이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키입력부(115)의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88). 상기 단계 S88에서 소정 버튼이 조작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상기 보이스 알람 시간에 대응하여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보이스를 독출하여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130)로 전달함으로써 스피커(30)를 통해서 기 저장된 보이스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90).
도 3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내부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 2실시예의 휴대통신단말은, 도28의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이어마이크가 접속될 수 있는 이어마이크 커넥터(150)가 더 설치되어 있고, 이어마이크 커넥터(150)에 이어마이크(160)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모뎀(14)과 마이크로폰(22) 및 스피커(30) 사이의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이어마이크 커넥터(150)에 이어마이크(160)가 접속되어 있으면 중앙처리장치(110)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모뎀(14)과 이어마이크 커넥터(150) 및 이어마이크(160)의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수단(155)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상기한 도 28 내지 도 33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내부 회로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 3실시예의 휴대통신단말은, 도 34의 제 2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전원/데이터 커넥터(16)와 충전배터리(56)를 제거하고 그 전원으로서 건전지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액정표시소자(28)와 액정표시소자구동회로(140)를 제거하여 구성을 간단화한 것이고, 그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한 도 29 내지 도 34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도 35의 구성에서 이어마이크 커넥터(150)와 스위칭수단(155)을 제거하여 구성을 더욱 더 간단화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설명하기로 한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무선통신을 통하여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이다.
본 시스템은 본 발명 휴대통신단말(100)과 통상의 휴대통신단말(150), 무선망부(160) 및 교환망부(1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100)은 도 28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34 및 도 35의 구성이어도 되는 것이고, 통상의 휴대통신단말(150)로서는 통상의 휴대폰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무선망부(160)는 자신의 관할영역내에 있는 휴대통신단말(100)(150)과 통신하는 기지국(162)과, 이러한 기지국(162)을 복수개 관리하는 기지국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로 구성되며, 본 도면에서는 하나의 무선망부(160)만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무선망부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그물 망을 형성한다.
또, 교환망부(170)는 이동통신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171)과, 방문가입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173)와, 단문메시지센터(Short Message Center; SMS)(174)와, 음성메시지 서비스 시스템(VMS; Voice Mail System)(175)과, 홈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176)와, 과금관리시스템(1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에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상의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부가서비스로서 본 발명 휴대통신단말(100)의 버튼에 전화번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휴대통신단말(150)의 이용자가 이동통신망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여 예를 들면 도 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짝 휴대통신단말기 부가서비스"메뉴에서 키패드의 1번키를 누르면 예를 들면 도 39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화번호 설정등록 화면이 표시되고, 착신 전화번호로서 본발명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인증용 비밀번호와, 휴대통신단말(100)의 버튼번호와,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할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무선망부(160)를 통하여 교환망부(170)로 전송한다(단계 S100, S112). 여기서,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무선망부(160) 및 교환망부(170)로 전송되는 전화번호 등록 요청신호는,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전화번호 설정 요청신호임을 나타내는 신호 유형코드와, 발신 휴대통신단말(150)을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코드와,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해당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해당 착신 휴대통신단말기(100)의 버튼 번호와,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전화번호 설정 요청신호를 수신한 교환망부(170)의 이동통신교환기(171)는 신호유형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요청신호가 전화번호 설정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전화번호 설정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a 참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방문 가입자 위치레지스터(173)와 홈위치 레지스터(176)에 의뢰하여 상기 전화번호 설정 요청 신호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164)와 기지국(162)을 통해서 상기 생성한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14, S116). 이때, 과금관리시스템(177)에서는 상기 전화번호 설정 요청 신호의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입자에게 본 부가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a 참조)의 생성은 단문 메시지 센터(174)에서 수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후, 상기 전화번호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a 참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100)은 도 29의 단계 S10~S14의 제어흐름에 의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어서, 통상의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부가서비스로서 본 발명 휴대통신단말(100)에 벨소리를 갱신·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휴대통신단말(150)의 이용자가 이동통신망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여 예를 들면 도 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짝 휴대통신단말기 부가서비스"메뉴에서 키패드의 2번키를 누르면 예를 들면 도 39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벨소리 설정등록 화면이 표시되고, 착신 전화번호로서 본발명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인증용 비밀번호와, 소망하는 벨소리에 대응하는 번호에 대한 키패드의 번호키를 누르고, 벨소리 등록 요청을 무선망부(160)를 통하여교환망부(170)로 전송한다(단계 S120, S122). 여기서,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무선망부(160) 및 교환망부(170)로 전송되는 벨소리 등록 요청신호는,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벨소리 설정 요청신호임을 나타내는 신호 유형코드와, 발신 휴대통신단말(150)을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코드와,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해당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상기 선택된 벨소리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신호를 수신한 교환망부(170)의 이동통신교환기(171)는 신호유형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요청신호가 벨소리 설정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 신호의 벨소리코드에 대응하는 벨소리 데이터를 음성메시지 서비스 시스템(175)에서 받아서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b 참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방문 가입자 위치 레지스터(173)와 홈위치 레지스터(176)에 의뢰하여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 신호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164)와 기지국(162)을 통해서 상기 생성한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24, S126). 이때, 과금관리시스템(177)에서는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 신호의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입자에게 본 부가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b 참조)의 생성은 음성메시지 서비스 시스템(175)에서 수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후,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b 참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100)은 도 29의 단계 S16~S20의 제어흐름에 의하여 벨소리 데이터를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에, 통상의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부가서비스로서 본 발명 휴대통신단말(100)에 벨/진동모드를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휴대통신단말(150)의 이용자가 이동통신망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여 예를 들면 도 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짝 휴대통신단말기 부가서비스"메뉴에서 키패드의 3번키를 누르면 예를 들면 도 39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벨/진동 설정등록 화면이 표시되고, 착신 전화번호로서 본발명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인증용 비밀번호와, 소망하는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에 대응하는 번호에 대한 키패드의 번호키를 누르고, 벨/진동 설정 등록 요청을 무선망부(160)를 통하여 교환망부(170)로 전송한다(단계 S130, S132).
여기서,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무선망부(160) 및 교환망부(170)로 전송되는 벨/진동 설정 등록 요청신호는, 도 3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벨/진동 설정 요청신호임을 나타내는 신호 유형코드와, 발신 휴대통신단말(150)을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코드와,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해당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상기 선택된 벨 설정코드 또는 진동 설정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벨/진동 설정 요청신호를 수신한 교환망부(170)의 이동통신교환기(171)는 신호유형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요청신호가 벨/진동 설정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벨/진동 설정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c 참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방문 가입자 위치 레지스터(173)와 홈위치 레지스터(176)에 의뢰하여 상기 벨/진동 설정 요청 신호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164)와 기지국(162)을 통해서 상기 생성한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34, S136). 이때, 과금관리시스템(177)에서는 상기 벨/진동 설정 요청 신호의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입자에게 본 부가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벨/진동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c 참조)의 생성은 단문 메시지 센터(174)에서 수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후, 상기 벨소리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b 참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100)은 도 29의 단계 S22~S24의 제어흐름에 의하여 벨/진동 설정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통상의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부가서비스로서 본 발명 휴대통신단말(100)에 보이스 알람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휴대통신단말(150)의 이용자가 이동통신망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여 예를 들면 도 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짝 휴대통신단말기 부가서비스"메뉴에서 키패드의 4번키를 누르면 예를 들면 도 39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이스 알람 설정등록 화면이 표시되고, 착신 전화번호로서 본발명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인증용 비밀번호와, 알람 시간을 입력하고, 예를 들면 키패드의 1번키를 누르면, 보이스 알람 등록 요청이 무선망부(160)를 통하여교환망부(170)로 전송된다. 이어서, 휴대통신단말(15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보이스도 상기 보이스 알람 등록 요청과 함께 무선망부(160)를 통하여 교환망부(170)로 전송되며, 이 보이스의 입력은 예를 들면 키패드의 #키를 누르면 종료된다. 여기서, 휴대통신단말(150)에서 무선망부(160) 및 교환망부(170)로 전송되는 보이스 알람 등록 요청신호는, 도 3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보이스 알람 등록 요청신호임을 나타내는 신호 유형코드와, 발신 휴대통신단말(150)을 식별하는 발신자 식별코드와,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전화번호와, 해당 착신 휴대통신단말(100)의 설정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코드와, 상기 입력 설정된 알람 시간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보이스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신호를 수신한 교환망부(170)의 이동통신교환기(171)는 신호유형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요청신호가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d 참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방문 가입자 위치 레지스터(173)와 홈위치 레지스터(176)에 의뢰하여 상기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신호의 착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휴대통신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164)와 기지국(162)을 통해서 상기 생성한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44, S146). 이때, 과금관리시스템(177)에서는 상기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신호의 발신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가입자에게 본 부가서비스에 대한 과금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d 참조)의 생성은 음성메시지 서비스 시스템(175)에서 수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후, 상기 보이스 알람 설정 요청 메시지(도 30d 참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100)은 도 29의 단계 S26~S30의 제어흐름에 의하여 보이스 알람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를 암기하기 어려운 노인층이나 어린이들(특히 4~9세 정도)에게 보호자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 설정방법에 의하여 보호자 전화번호 등을 설정 기록해두면,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을 휴대한 노인층이나 어린이들은 보호자와의 통화가 필요한 경우 보호자의 전화번호가 설정된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보호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또한 보호자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을 휴대한 노인층이나 어린이들이 특정 시간에 해야할 일들을 상기 기능 설정방법에 의하여 보이스 알람으로 설정해두면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보이스 알람 기능에 의하여 보호자의 음성에 의한 지시사항이 통지될 수 있다.
또한, 단짝 친구나 또는 연인이 상대방에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을 선물해주고, 단짝 친구들사이 또는 연인들 사이의 통화나 보이스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무선통신 서비스 이용 금액 등에 대한 과금은 보호자의 휴대통신단말에 통합해서 청구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키입력부(115)의 버튼에 대응하여 발신가능 전화번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저장하거나 갱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데이터 커넥터(16)를 미도시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USB(Universal Serial Bus)에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접속하여 본 고안 휴대통신단말의 전용 기능설정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입력부(115)의 버튼에 대응하여 발신가능 전화번호를 저장하거나 갱신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각종 다른 기능 설정들도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하여 구현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보이스 알람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알람시간에 도 28 및 도 24에 도시한 휴대통신단말의 액정 표시소자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며, 이는 도 29의 단계 S26~S30과 도 30d 및 도 38d에서 보이스 데이터가 아니라 문자데이터로 대체하면 되는 것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의 수자 키 및 기능 키 등의 부품을 최소화하여 그 구조를 간단화하고, 전화수신 기능과 특정 전화번호로만 발신할 수 있는 기능만을 구현하며 발신가능 전화번호 및 스케쥴 관리 기능 등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설정하고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통신단말의 가격을 낮추고, 그 기능의 간단화로 인하여 어린이나 노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휴대통신단말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통신단말을 목에 걸고서 마이크로폰만을 인출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디자인에 싫증나면 다른 케이스를 구매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6)

  1.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안테나가 같은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마이크로폰 지지부재의 내부 구멍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폰 지지부재의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선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축가능한 전기배선과, 상기 전기배선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마이크로폰소자에 접속되는 플렉서블(flexible)한 마이크로폰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지지부재의 타측 구멍에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5.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상대방 전화번호가 매칭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저장은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6. 제 5항에 있어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7. 제 6항에 있어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짧게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길게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8. 제 6항에 있어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1회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연속하여 2회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9. 무선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상대방 전화번호가 매칭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과,
    외부 컴퓨터 시스템과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통신할 수 있는 통신커넥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저장은 통신케넥터를 통하여 접속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1. 제 9항에 있어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짧게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길게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2. 제 9항에 있어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한 착호의 수신시에 상기 버튼을 1회 누르면 상대방과의 통화모드가 형성되고, 발호시에는 상기 버튼을 연속하여 2회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신호가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13. 상대방 전화번호가 매칭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로의 통화요청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 매칭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소정 버튼에 소정 전화번호를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소정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전화번호를 저장하도록 하는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소정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버튼번호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상기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하고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버튼번호 및 상기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버튼번호 및 상기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전화번호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 전화번호의 저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전화번호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18.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벨소리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소정의 벨소리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벨소리를 저장하고자 하는 벨소리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선택된 벨소리를 저장하도록 하는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벨소리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벨소리를 새로운 벨소리로서 설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벨소리 저장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무선통신망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벨소리중에서 소정 벨소리를 선택하며,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선택된 소정 벨소리의 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벨소리 코드에 대응하는 벨소리를,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에 부가하여,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벨소리 저장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벨소리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벨소리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 벨소리의 저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벨소리 저장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벨소리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벨소리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벨소리 저장방법.
  23.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보이스 알람을 저장·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서 소정 시간에 보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보이스 알람을 저장하도록 하는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보이스 알람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설정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및, 보이스 알람이 출력될 알람시간을 입력하고 상기 보이스를 입력하며, 상기 보이스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알람시간과, 상기 입력된 보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설정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보이스알람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알람시간 및 상기 입력한 보이스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설정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보이스 알람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 보이스 알람의 저장·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설정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보이스 알람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 설정방법.
  28. 제 23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서 규정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보이스 알람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서는, 상기 설정된 보이스 알람의 알람시간이 도래되는지 판단하여 보이스 알람시간이 도래되면 벨소리를 출력하는 벨소리 출력단계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이스를 출력하는 보이스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출력단계는, 상기 알람시간의 도래시에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통화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벨소리의 출력을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보이스 알람방법.
  30.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알람을 저장·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서 소정 시간에 문자가 출력되도록 하는 문자 알람 저장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 송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문자 알람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에 상기 문자 알람을 저장하도록 하는 문자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문자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에서 상기 문자 알람을 메모리에 설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 설정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는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 저장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및, 문자 알람이 출력될 알람시간을 입력하고 상기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문자 저장요청신호에는 상기 입력한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알람시간과, 상기 입력된 문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 설정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의 문자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문자알람 저장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상기 알람시간 및 상기 입력한 문자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 설정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문자 알람 저장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문자 알람 저장권한을 확인한 후에 문자 알람의 저장·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 설정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상기 문자 알람 저장 요청을 행한 가입자에게 상기 문자 알람 저장 요청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 설정방법.
  35. 제 30항 내지 제 34항중 어느 한 항에서 규정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문자 알람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서는, 상기 설정된 문자 알람의 알람시간이 도래되는지 판단하여 문자 알람시간이 도래되면 벨소리를 출력하는 벨소리 출력단계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출력단계는, 상기 알람시간의 도래시에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통화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벨소리의 출력을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의 문자 알람방법.
KR1020020022307A 2002-04-23 2002-04-23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KR20030083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307A KR20030083909A (ko) 2002-04-23 2002-04-23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307A KR20030083909A (ko) 2002-04-23 2002-04-23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74U Division KR200282184Y1 (ko) 2002-04-23 2002-04-23 휴대통신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909A true KR20030083909A (ko) 2003-11-01

Family

ID=3238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307A KR20030083909A (ko) 2002-04-23 2002-04-23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390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472A (ja) * 1996-11-11 1998-05-29 Kofu Nippon Denki Kk イヤホン付マイクを収納する携帯電話機
KR19990023026U (ko) * 1997-12-02 1999-07-05 이현석 마이크 인출식 휴대폰
KR20000002478U (ko) * 1998-07-07 2000-02-07 김영환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KR20000005982U (ko) * 1998-09-07 2000-04-06 윤종용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마이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472A (ja) * 1996-11-11 1998-05-29 Kofu Nippon Denki Kk イヤホン付マイクを収納する携帯電話機
KR19990023026U (ko) * 1997-12-02 1999-07-05 이현석 마이크 인출식 휴대폰
KR20000002478U (ko) * 1998-07-07 2000-02-07 김영환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KR20000005982U (ko) * 1998-09-07 2000-04-06 윤종용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마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6064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005963B1 (en) Cal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two-way text messaging and automatic retrieval of call numbers making calls to apparatus
US82239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ing an incoming call
GB2292046A (en) Apparatus for remotely programming a radio telephone
KR20000037060A (ko) 인터넷폰과 일반 전화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아답터
KR200282184Y1 (ko) 휴대통신단말
US20040082310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030083909A (ko) 휴대통신단말과 이 휴대통신단말의 기능 설정방법
JPH08186624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10095885A (ko) 음악화일의 방송 실시간 온 디멘드 다운로드시스템
JP478361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627646B1 (ko)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66216B1 (ko) 복수의 전화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50091448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알람 전환 방법
KR2004008756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 설정 방법
KR200700718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KR20000006885A (ko) 캐릭터를 통한 이동단말기의 통화량상태 표시방법 및 그장치
EP1463349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11087062A (ja) 親子電話機及び親子電話機の子機並びに電話機
JP2001268642A (ja) 着信通知態様更新方法、設定情報通知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KR200249938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30056115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방법
JP2848337B2 (ja) 携帯電話交換システム
KR20020024219A (ko) 이동전화단말기의 자동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