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594A -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594A
KR20020047594A KR1020000076083A KR20000076083A KR20020047594A KR 20020047594 A KR20020047594 A KR 20020047594A KR 1020000076083 A KR1020000076083 A KR 1020000076083A KR 20000076083 A KR20000076083 A KR 20000076083A KR 20020047594 A KR20020047594 A KR 2002004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portable terminal
housing
tub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박명식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7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594A/ko
Publication of KR2002004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소정 길이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통화시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면 상단에는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가 위치하는 공지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상기 마이크가 내장된 함체가 안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기 함체를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선은 상기 신축관 내부를 통해 마이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Mobile station with drawing out mic}
본 발명은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를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해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이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점점 더 소형화 경량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의 마이크는 고정된 위치(키패드의 아래쪽 중간)에 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가 점점 경쟁적으로 작아짐에 따라, 귀와 입의 거리보다 단말기의 크기가 더 짧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실제 통화시 단말기를 귀에 대었다 입에 대었다를 반복해야 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이어폰과 마이크의 간격이 사용자의 귀와 입의 간격에 비해 훨씬 줄어들게 되어, 즉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가 떨어져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목소리가 정확히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커버의 선단에 마이크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커버를 회동시켜 이어폰과 마이크의 간격을 늘리도록 된 플립형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전면에 커버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커버가 없는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비해 경량화가 어려우며, 커버의 회동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추가로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에도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경량화와 가격의 저렴화 및 디자인의 개발로 인해 여전히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과 단말기의 마이크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통화품질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소정 길이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통화시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단말기 본체 20 : 수용부
30 : 함체 40 : 신축관
50 : 마이크 60 : 회로기판
70 : 연결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 상단에는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가 위치하는 공지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상기 마이크가 내장된 함체가 안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기 함체를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선은 상기 신축관 내부를 통해 마이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를 탄력성이 있는 7~8cm 길이의 길쭉한 관의 끝에 설치하고, 안테나를 넣었다 뺏다 하듯이(수동 혹은 자동 포함) 마이크도 단말기 본체에 수도 혹은 자동으로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마이크 관은 고무,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거나 뽑으면 자동으로 약간 휘게 하여 사람의 입에 더 가까워지게 할 수도 있다. 물론, 마이크를 넣은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수동으로 필요한 만큼 뽑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어폰을 마이크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토록 하여 가급적 거리를 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를 단말기에 대해 소정길이 인출시켜 통화시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가 마련되고, 이 수용부에는 마이크가 내장된 함체가 안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며, 수용부의 내측면과 함체는 신축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용부에 대해 함체를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선은 신축관 내부를 통해 마이크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사용자가 함체를 당겨 혹은 자동으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로부터 마이크를 소정거리 신장시킴으로써, 마이크와 이어폰간의 간격을 늘려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은 소리로도 상대방과통화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면 상단에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50)가 위치하는 공지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50)가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와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는 신축관(40)을 매개로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에 대해 소정길이 신장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10)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20)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시키고, 이 수용부(20)에는 수용부(20)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마이크(50)가 내장된 함체(30)가 안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수용부(20)의 내측면과 함체(30)는 신축관(40)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용부(20)에 대해 함체(30)를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휴대용 단말기 본체(10) 내부의 회로기판(60)에 연결되는 연결선(70)은 신축관(40) 내부를 통해 마이크(50)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신축관(40)은 관 내부에 다른 관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텔레스코픽관으로, 관의 내부로 다른 관이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뽑으면 자동으로 약간 휘게 하여 사람의 입에 더 가까워지게 할 수도 있으며, 고무 혹은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50)와 회로기판(60)을 연결하는 연결선(70)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짧은 연결선(70) 길이에 의해 신축관(40)의 신장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사용자의 마이크(50)가 설치되어 있는 함체(30)를 인위적으로 당기거나 자동 버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누름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의 수용부(20)로부터 함체(30)가 인출되면서 소정거리 신장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50)와 이어폰간의 간격을 늘려 마이크(50)를 사용자의 입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은 소리로도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의 수용부(20)에 마이크(50)가 설치되어 있는 함체(30)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함체(30)의 외표면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게 되고, 함체(30)와 수용부(20)를 연결하고 있는 신축관(40)은 최대한 신축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서, 함체(30)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50)는 신축관(40)을 통해 연결선(70)으로 회로기판(60)과 연결되어 있어서 마이크(50)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화는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주위가 시끄럽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마이크(50)를 원하는 길이만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마이크(50)가 내장되어 있는 함체(30)를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의 수용부(20)에 대해 인위적으로 당기거나 자동 버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누르게 되면 함체(30)가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부(20)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된다.
여기서, 함체(30)는 수용부(20)의 내축면과 신축관(40)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0)가 당겨지는 만큼 신축관(40)이 신장되게 되고, 함체(30)는 신축관(40)을 이루는 각 관이 최대한 늘어날 때가지 신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체(30)를 신장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과 마이크(50)와의 간격을 최대한 늘려 줄 수 있게 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더라도 마이크(50)의 위치를 사용자의 입쪽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통화가 끝난 후에는 함체(30)를 원상태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의 수용부(20)에 인위적으로 밀어 넣거나 자동 버튼을 눌러 인입시켜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마이크를 단말기 본체에 대해 신장시킬 수 있고 각도를 주어 약간 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에 마이크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시끄러운 주위 환경에서도 작은 소리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 상단에는 이어폰이 위치하고 하단에는 마이크가 위치하는 공지의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전면 하단에 마이크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꼭 맞는 크기를 이루면서 내부에 상기 마이크가 내장된 함체가 안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상기 함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관의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기 함체를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선은 상기 신축관 내부를 통해 마이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은,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상기 마이크를 상기 본체에 대해 신장시킬 수 있고 각도를 주어 약간 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에 마이크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00076083A 2000-12-13 2000-12-13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020047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083A KR20020047594A (ko) 2000-12-13 2000-12-13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083A KR20020047594A (ko) 2000-12-13 2000-12-13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594A true KR20020047594A (ko) 2002-06-22

Family

ID=2768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083A KR20020047594A (ko) 2000-12-13 2000-12-13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5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NO305630B1 (no) HÕndfrigj°rings-modul
JPH08111703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2000106594A (ja) 携帯型電話装置
KR20020047594A (ko) 마이크가 인출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JP3988199B2 (ja) 電話機
KR100725050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JP2000032106A (ja) 無線通信端末
KR20000002478U (ko) 휴대폰의 마이크 인출구조
JPH04335739A (ja) 携帯型無線電話機
MXPA02010419A (es) Aparato de transmision de sonido.
JPH10126470A (ja) 携帯電話機
JP2005277995A (ja) 無線ヘッドセット装置
KR200340074Y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3073415U (ja) 携帯電話の通話装置
KR200174765Y1 (ko) 드로형 송화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200193708Y1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200176934Y1 (ko) 휴대전화기
KR200266277Y1 (ko) 라디오가 내장된 휴대폰용 핸드프리 목걸이
JP2006345566A (ja) 電話機
KR200165950Y1 (ko) 초슬림형 전화기
KR200188706Y1 (ko)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JP3078426U (ja) 携帯型情報通信機器のアンテナ装置
KR20040077170A (ko) 인출 가능한 마이크가 장착된 휴대폰
KR100977116B1 (ko) 휴대전화 액세서리형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