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08Y1 -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08Y1
KR200193708Y1 KR2020000009970U KR20000009970U KR200193708Y1 KR 200193708 Y1 KR200193708 Y1 KR 200193708Y1 KR 2020000009970 U KR2020000009970 U KR 2020000009970U KR 20000009970 U KR20000009970 U KR 20000009970U KR 200193708 Y1 KR200193708 Y1 KR 200193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ain body
mobile phone
presen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최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807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94801A/ko
Application filed by 최민수 filed Critical 최민수
Priority to KR2020000009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안테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전자부품 및 회로가 장치되고 전면에 송신부와 수신부가 장치된 본체(1)와, 본체(1)의 뒷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밧데리(B)와,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본체(1)에 장치된 안테나부재(A)로 구성된 공지의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재(A)를 본체(1)의 하방에 장치하며, 상기 밧데리(B)를 본체(1)의 뒷면 상부에 결합하여서 구성된 것으로서, 안테나가 핸드폰의 하방에 장치되어 있으므로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인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AN ANTENNA STRUCTURE OF HANDPHONE}
본 고안은 휴대하면서 통화하기 위한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의 안테나 방향을 전환하여 유해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로 되도록 한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하면서 통화하기 위한 핸드폰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핸드폰은 기지국을 매체로 하여 전파를 송수신 하면서 통화하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핸드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대단히 유해하다라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에 전자파가 집중되며, 핸드폰의 구조상, 통화할때에 안테나가 사용자의 머리에 근접되므로서, 그 피해가 막대한 실정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핸드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핸드폰은 다이얼이 장치된 전면의 상하부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각각 장치하고 뒷면에 밧데리를 결합하며, 상부측에 인출식 안테나를 장치한 것으로서, 통화하기 위하여 스피커에 귀를 밀착시키면 안테나가 사용자의 머리에 근접된다. 즉,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하여 핸드폰을 작동하면 안테나에 송·수신전파가 집중되어 전자파의 발생이 최대가 되며 이러한 전자파가 뇌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장시간 통화하게 되게 두통이 발생되는등 인체, 특히 전자파가 뇌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은 심각한 실정이었다.
또한, 핸드폰으로 통화할때에 송·수신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상부로 길게 인출하여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오른손으로 핸드폰을 귀에 밀착시키고 왼손으로 안테나를 인출할 때 왼손과 안테나의 방향의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안테나를 인출하는 자세가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문제가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핸드폰의 안테나 위치를 전환하여 전자파에 의하여 뇌에 가해지는 피해가 최소로 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핸드폰으로 통화중에 안테나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안테나 부재 B : 밧데리 1 : 본체
본 고안은 내부에 전자부품 및 회로가 장치되고 전면에 다이알부와 송·수신부가 노출되도록 장치된 본체와; 본체의 뒷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밧데리와;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외부로 돌출되게 장치된 안테나로 구성된 공지의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본체의 하방으로 신축되게 장치하며, 상기 밧데리를 본체의 뒷면 상부에 결합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드폰을 이용하여 통화할때에 전자파가 집중되는 안테나가 머리로부터 먼 위치에 향하므로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밧데리의 위치를 안테나와 대향된 방향으로 변환하므로서 안테나가 장치될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자부품과 회로가 장치된 본체(1)의 전면에 송화부(2)와 수화부(3)를 각각 노출되게 장치하며, 본체(1)의 일측에 안테나부재(A)를 하방으로 향하게 장치하고 본체(1)의 후방상부측에 밧데리(B)를 장치한다.
상기 안테나 부재(A)는 본체(1)의 하방에 형성된 결합공(11)에 고정안테나(12)를 결합하고, 상하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신축 안테나체(13)를 고정안테나(12)에 관통되게 결합하여서 신축 안테나체(13)가 고정안테나(12)에 관통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장치한다.
상기 고정안테나(12)는 본체(1) 내부에 장치된 송·수신 회로기판(14)과 연결단자(15)에 의하여 접속되도록 장치한다.
상기 안테나체(13)는 하단부에 돌출부(16)를 형성하고 상단부에 접지부(17)를 형성하여서 신축 안테나체(13)를 하방으로 길게 신장하면 접지부(17)가 고정안테나(12)에 접속되도록 장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핸드폰은 송수신하는 모든 방법이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며 다만 안테나를 인출하는 방법이 상이하다.
본 고안은 통화하고자 할 경우에 통상의 방법으로 수화부(3)를 귀에 밀착시키고 송화부(2)를 입에 근접되게 하여서 사용하는 것이며, 이때 안테나 부재(A)가 본체(1)의 하방에 위치된다. 즉 수화부(3)가 귀에 밀착된 상태에서 안테나 부재(A)가 하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머리로부터 원거리에 안테나 부재(A)가 위치되므로 안테나 부재(A)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뇌에 영향을 줄 수 없게 된다.
많은 연구발표에 의하면 전자파가 미치는 영향은 그 영역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안전한 것으로서 전자파의 발생원으로부터 먼거리일수록 영향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으로 통화할때에 전자파의 발생원인 안테나 부재(A)가 머리, 특히 뇌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유지되므로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통화시 안테나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핸드폰을 한손에 잡고 통화하며, 일반적으로 신축 안테나체(13)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안테나(12)로 통화가 이루어지나 수신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에 신축 안테나체(13)를 인출하는 것으로서, 이때 신축 안테나체(13)가 하부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손으로 간편하게 신축 안테나체(13)를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폰으로 통화할때에 전자파의 발생원인 안테나가 머리의 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안테나가 핸드폰의 하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통화중 안테나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모든 핸드폰에 간단히 적용하여서, 근래 큰 문제를 대두되는 전자파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전자부품 및 회로가 장치되고 전면에 송신부와 수신부가 장치된 본체(1)와, 본체(1)의 뒷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밧데리(B)와,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본체(1)에 장치된 안테나 부재(A)로 구성된 공지의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부재(A)를 본체(1)의 하방에 장치하며, 상기 밧데리(B)를 본체(1)의 뒷면 상부에 결합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2020000009970U 2000-04-06 2000-04-07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200193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970U KR200193708Y1 (ko) 2000-04-06 2000-04-07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072A KR20010094801A (ko) 2000-04-06 2000-04-06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2020000009970U KR200193708Y1 (ko) 2000-04-06 2000-04-07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072A Division KR20010094801A (ko) 2000-04-06 2000-04-06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708Y1 true KR200193708Y1 (ko) 2000-08-16

Family

ID=2663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970U KR200193708Y1 (ko) 2000-04-06 2000-04-07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3708Y1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CA2523069C (en) Extended antenna suppor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20010094801A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US2005015372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rangement
US20050003849A1 (en) Mobile telephonic apparatus
JP3501166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158854Y1 (ko) 무선 전화기
KR200197390Y1 (ko) 송수신안테나가분리된휴대전화의안테나구조
JPH07307607A (ja) 携帯電話機のアンテナ
KR200188706Y1 (ko)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KR1006298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5472Y1 (ko) 휴대폰의 핸즈프리 키트
KR200194341Y1 (ko) 안테나를 송수화기 본체의 아랫부분에 배치한 휴대폰
JPH04335739A (ja) 携帯型無線電話機
KR100341990B1 (ko)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200269016Y1 (ko) 고온 초전도 안테나.
KR200289494Y1 (ko)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340074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77418Y1 (ko) 인형마이크폰
KR200223147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전자파 기피 안테나 장치
RU96715U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телефон
KR200222278Y1 (ko)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0235544Y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구조
KR200211432Y1 (ko) 휴대전화기의 하부로 설치한 안테나
KR200244962Y1 (ko) 하향 안테나 무선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