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78Y1 -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78Y1
KR200222278Y1 KR2020000034533U KR20000034533U KR200222278Y1 KR 200222278 Y1 KR200222278 Y1 KR 200222278Y1 KR 2020000034533 U KR2020000034533 U KR 2020000034533U KR 20000034533 U KR20000034533 U KR 20000034533U KR 200222278 Y1 KR200222278 Y1 KR 200222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bile phone
phone terminal
body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권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종
Priority to KR2020000034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78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 단말기의 내부 하단에 안테나의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타단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적용함으로서, 안테나의 방향이 뇌로부터 이격되어 유해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대방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내부에 회로가 내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A Mobile Telephone Terminal Using Antenna}
본 고안은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내부 하단에 안테나의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타단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적용함으로서, 안테나의 방향이 뇌로부터 이격되어 유해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기(100)에 구성되는 몸체부(200)의 상단에 안테나(300)가 상향의 방향으로 위치하여, 사용자의 뇌 부분에 매우 근접된 상기 안테나(300)로부터 전자파가 방사되어, 뇌를 손상시키는 위험성이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100)는 안테나(300)가 몸체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해서는 안테나(300)에 송수신 전파가 집중되어 전자파의 발생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전자파가 뇌에 그대로 전달되어 장시간 통화를 하게 되면 두통이 발생하는 등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대방과 통화할 때 송수신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안테나(300)를 상부로 길게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오른손으로 이동전화 단말기(100)를 귀에 밀착시키고 왼손으로 안테나(300)를 인출할 때, 왼손과 안테나(300)의 방향의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안테나를 인출하는 자세가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문제가 노출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300)의 주변에 전자파 차단물질을 부착하거나, 본체와 송수화기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이러한, 해결법으로는 통화시 효과적으로 전자파를 차단하기가 어렵고, 이동전화 단말기 사용시 사용자의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내부 하단에 안테나의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의 타단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적용함으로서, 안테나의 방향이 뇌로부터 이격되어 유해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대방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내부에 회로가 내장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안테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00)에 돌출된 상기 안테나(300)의 일단에 회동체(30)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300)가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상기 안테나(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부(20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안테나(300)는 고리형상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회동체 100: 이동전화 단말기
200: 몸체부 300: 안테나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서는 이동전화 단말기(100)가 사용되는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로 구성되는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 지면방향으로 안테나(300)의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300)의 타단은 상기 몸체부(20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돌출되는 상기 안테나(300)의 일부분에 회동체(3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안테나(300)를 회동 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한 각도(90°정도)로 회동이 가능한 안테나(300)는 평상시 상기 안테나(300)가 접힌상태로 유지하고, 상대방과 통화시에는 상기 안테나(300)를 90°정도로 펴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 및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동가능한, 상기 안테나(300)는 풀립형 및 폴더형 단말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과 통화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이동전화 단말기(100)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에 구성되는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는 지면방향으로 안테나(300) 일단이 내장된다. 그리고, 타단의 상기 안테나(300)는 상기 몸체부(200)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방과 통화시 안테나(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부(200)의 측면으로 안테나(300)를 도출되도록 하고, 상대방과 통화를 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몸체부(200)의 측면에서 안테나(300)를 밀어 넣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 및 상기 몸체부(200)의 측면으로 돌출가능한, 상기 안테나(300)는 풀립형 및 폴더형 단말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 지면방향으로 안테나(300)의 일단이 내장되고, 상기 안테나(300)의 타단은 상기 몸체부(200)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돌출된 상기 안테나(30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안테나(300)가 어느 방향이든 움직이 가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300)는 사용자의 뇌와 이격시켜 상기 안테나(300)로부터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를 최소화 하여, 인체에 영향의 끼침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 및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고리형상의 상기 안테나(300)는 풀립형 및 폴더형 단말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의하면,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안테나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내장되고, 상기 안테나의 타단은 외부로 돌출됨으로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는 안테나의 방향을 하단에 설치함으로서, 유해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전자파의 방사방향을 좁혀 송수신 감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있어서,
    상대방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내부에 회로가 내장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 일단이 지면방향으로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안테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에 돌출된 상기 안테나(300)의 일단에 회동체(30)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300)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상기 안테나(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부(20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안테나(300)는 고리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20000034533U 2000-12-09 2000-12-09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0222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533U KR200222278Y1 (ko) 2000-12-09 2000-12-09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533U KR200222278Y1 (ko) 2000-12-09 2000-12-09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278Y1 true KR200222278Y1 (ko) 2001-05-02

Family

ID=7306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533U KR200222278Y1 (ko) 2000-12-09 2000-12-09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1204C (en) Antenna apparatus and wristwatch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KR100297225B1 (ko) 방사차폐안테나장치를가진휴대용통신장치
JPH0422085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6188805A (ja) 無線装置
KR200222278Y1 (ko) 안테나를 이용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0197390Y1 (ko) 송수신안테나가분리된휴대전화의안테나구조
KR200187225Y1 (ko) 절곡가능한 안테나를 가진 휴대폰
KR200176271Y1 (ko) 휴대폰에서의 휴대용 손잡이끈 겸용 안테나
KR200163715Y1 (ko) 하향식 안테나를 갖는 핸드폰
KR200188038Y1 (ko) 전자파 피해가 감소되는 안테나 구조를 가진 휴대폰.
KR200179804Y1 (ko) 다운 안테나 휴대폰
KR200203676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KR200217200Y1 (ko) 핸드폰 안테나
KR200295337Y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318605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244962Y1 (ko) 하향 안테나 무선 전화기
KR200194341Y1 (ko) 안테나를 송수화기 본체의 아랫부분에 배치한 휴대폰
KR200235544Y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구조
JP2002095521A (ja) アンテナ機能付き携帯電話用ストラップ
JPH11289271A (ja) 携帯無線機
KR19990007023U (ko) 하단부에 안테나가 설치된 무선 통신 단말기
KR200211432Y1 (ko) 휴대전화기의 하부로 설치한 안테나
KR200193708Y1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19980019748U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8908A (ko) 휴대폰의 내장형 평면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