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990B1 -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90B1
KR100341990B1 KR1019990035615A KR19990035615A KR100341990B1 KR 100341990 B1 KR100341990 B1 KR 100341990B1 KR 1019990035615 A KR1019990035615 A KR 1019990035615A KR 19990035615 A KR19990035615 A KR 19990035615A KR 100341990 B1 KR100341990 B1 KR 10034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ntenna
microphone unit
connection lin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282A (ko
Inventor
조용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9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안테나가 연동되도록 하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안테나와; 상기 휴대폰의 소정의 위치에 일단이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가 가변되는 마이크부와, 상기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마이크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가 가변되고 상기 안테나가 연동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ANTENNA DEVIC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안테나가 연동되도록 하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요즘에는 휴대폰의 대량보급에 따른 공중파를 이용한 통신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상기 공중파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휴대폰은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는데 이런 유해전자파의 발생을 억제하는 근본적인 수단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유해전자파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해전자파의 발생을 억제하는 근본적인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에서는 차선책으로 유해전자파가 될 수 있는 한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휴대폰의 안테나를 인출하여 공중파가 안테나에 집중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널리 권장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휴대폰의 안테나는 휴대폰의 사이즈를 축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이 슬리브 안테나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에는 안테나를 손으로 잡아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나, 전파가 강한 지역에서는 상기와 같은 슬리브 안테나는 인출하지 않고 통화하게 되는 경우를 유발하는데 이는 유해 전자파가 안테나에 집중되지 않아서 인체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소형화된 휴대폰에 있어서 송화부와 수화부의 간격이 짧아지게 되어 안정된 통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부를 휴대폰으로부터 신장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의 송화부와 수화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안테나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안테나와; 상기 휴대폰의 소정의 위치에 일단이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가 가변되는 마이크부와, 상기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마이크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가 가변되고 상기 안테나가 연동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부와 안테나가 연동되어 휴대폰의 하향 또는 상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안테나(12) 인출장치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부(14)와 안테나(12)가 연동되어 휴대폰(10)의 하향 또는 상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휴대폰(10)의 안테나(12) 인출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안테나(12) 인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마이크부(14)를 휴대폰(10)의 측면으로부터 하향 또는 상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송화부(18)와 수화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된 통화가 가능하며, 마이크부(14)와 안테나(12)가 연동하는 일련의 동작이 한 손으로 동시에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휴대폰(10) 본체의 소형화를 위해서 마이크부(14)의 가동 이동거리와 동일정도로 안테나(12)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하였지만 PCS등 높은 주파수대의 단말기에는 그대로 응용할 수 있다. 단 톱 로딩 타입의 안테나쪽이 실현성이 높고 주파수 800㎒ 대의 휴대폰에서도 상품화가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10)의 안테나(12)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10)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휴대폰(10)에 내장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안테나(12)와; 상기 휴대폰(10)의 소정의 위치에 일단이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10)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가 가변되는 마이크부(14)와, 상기 안테나(12)의 타단과 상기 마이크부(14)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마이크부(14)의 움직임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안테나(12)로 전달하는 연결선(2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마이크부(14)는 일단에 형성되는 노브(knob)(16)와, 상기 노브(16)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송화부(18)로 구성되며, 상기 노브(16)는 상기 휴대폰(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10)의 일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안테나(12)의 타단과 상기 연결선(22)이 접하는 부분은 절연부(24)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부(14)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폰(10)의 송화부(18)와 수화부의 거리가 가변되고 상기 안테나(12)가 연동되어 상기 휴대폰(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의 안테나(12) 인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마이크부(14)와 안테나(12)를 연동시켜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에 있어서, 마이크와 안테나는 별도로 제작되어 있으면서 통화중 약전계에서 안테나를 별도로 뽑아야 하며, 초소형화된 휴대폰에 있어서는 송화부(18)와 수화부의 간격이 짧고 안정된 통화가 곤란했다. 또한 플립 타입 휴대폰의 경우에는 착신시 한 손으로 플립 커버를 열고 다른 한 손으로 안테나를 인출하는 2가지 동작이 필요하게되어 다소 불편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한 손으로 2가지 동작 즉, 마이크부(14)와 안테나를 연동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마이크부(14)의 움직임에 따라 휴대폰(10)으로부터 안테나(12)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부(14)가 휴대폰(10)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이고, 안테나(12)가 휴대폰(10)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이크부(14)의 노브(16)를 휴대폰(10)의 하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마이크부(14)는 상기 휴대폰(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20)을 따라 상기 노브(16)의 가동 이동거리만큼 슬라이드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본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16)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선(22)에는 상기 노브(16)의 움직임에 따른 작용력이 전달되고 상기 연결선(22)과 연결된 안테나(12)는 상기 연결선(22)의 작용력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폰(10)의 상부 방향(인출되는 방향)으로 가동 이동거리만큼 인출된다.
이와는 반대로 노브(16)를 원래의 위치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의 측면에 위치시키고자 하면 전술한 노브(16)의 움직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력을 가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부(14)가 휴대폰(10)의 측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이고, 안테나(12)가 휴대폰(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이크부(14)의 노브(16)를 휴대폰(10)의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마이크부(14)는 상기 휴대폰(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20)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본체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브(16)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선(22)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노브(16)의 움직임에 따른 작용력이 전달되고 상기 연결선(22)과 연결된 안테나(12)는 상기 연결선(22)의 작용력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폰(10)의 하부 방향(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단하게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송화부(38)를 플립 커버(34)의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동작 원리로 상품화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30)의 안테나(32) 인출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30)의 안테나(32) 인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플립형 휴대폰(30)의 안테나(32)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30)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휴대폰(30)에 내장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3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안테나(32)와; 상기 휴대폰(3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30)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가 가변되는 플립 커버(34)와, 상기 안테나(32)의 타단과 상기 플립 커버(34)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플립 커버(34)의 움직임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안테나(32)로 전달하는 연결선(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플립 커버(34)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휴대폰(30)의 송화부(38)와 수화부의 거리가 가변되고 상기 안테나(32)가 연동되어 상기 휴대폰(3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립 커버(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3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6)와, 상기 손잡이부(36)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송화부(38)로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32)의 타단과 상기 연결선이 접하는 부분은 절연부(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그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30)의 안테나(32) 인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송화부(38)를 갖는 플립 커버(34)의 슬라이드 움직임에 따라 휴대폰(30)으로부터 안테나(32)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송화부(38)를 갖는 플립 커버(34)가 휴대폰(3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이고, 안테나(32)가 휴대폰(30)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립 커버(34)의 손잡이부(36)를 휴대폰(30)의 하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플립 커버(34)는 상기 휴대폰(30)의 전면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상기 플립 커버(34)의 가동 이동거리만큼 슬라이드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30) 본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립 커버(34)의 내측면 일단에 연결된 연결선(도시되지 않음)에는 상기 플립 커버(34)의 움직임에 따른 작용력이 전달되고 상기 연결선과 연결된 안테나(32)는 상기 연결선의 작용력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폰(30)의 상부 방향(인출되는 방향)으로 가동 이동거리만큼 인출된다.
이와는 반대로 플립 커버(34)를 원래의 위치 즉, 휴대폰(30)의 전면에 배열된 키패드부를 완전히 덮는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전술한 플립 커버(34)의 움직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력을 가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34)가 휴대폰(30)의 전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이고, 안테나(32)가 휴대폰(3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립 커버(34)의 손잡이부(36)를 휴대폰(30)의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플립 커버(34)는 상기 휴대폰(30)의 내측 양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키패드부를 덮도록 휴대폰(30) 본체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립 커버(34)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선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플립 커버(34)의 움직임에 따른 작용력이 전달되고 상기 연결선과 연결된 안테나(32)는 상기 연결선의 작용력을 전달받아 상기 휴대폰(30)의 하부 방향(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 마이크부를 움직이게되면 자동으로 안테나가 인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하는 공중파가 안테나에 집중될 수 있게 함으로써종래의 손으로 매번 안테나를 인출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는 한편 사용자가 안테나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휴대폰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전자파로 인한 인체의 피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송화부와 수화부의 길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안테나와;
    일단에 형성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송화부로 구성되며, 상기 노브는 상기 휴대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의 일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가 가변되는 마이크부와;
    상기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마이크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소정의 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가 가변됨과 동시에 상기 안테나가 연동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연결선이 접하는 부분은 절연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4. 삭제
  5. 플립형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도록 장착되며,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안테나와;
    상기 휴대폰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송화부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가 가변되는 플립 커버와;
    상기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플립 커버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플립 커버의 움직임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플립 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폰의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가 가변됨과 동시에 상기 안테나가 연동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연결선이 접하는 부분은 절연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1019990035615A 1999-08-26 1999-08-26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10034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615A KR100341990B1 (ko) 1999-08-26 1999-08-26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615A KR100341990B1 (ko) 1999-08-26 1999-08-26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282A KR20010019282A (ko) 2001-03-15
KR100341990B1 true KR100341990B1 (ko) 2002-06-26

Family

ID=1960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615A KR100341990B1 (ko) 1999-08-26 1999-08-26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6016A (zh) * 2018-03-26 2019-10-22 江苏爱仕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遥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282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3529C (e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CA2285318C (en) Portable radiotelephone for automatically dialing a central voice-activated dialing system
EP1672878A1 (en) Antenna device in a slidable type mobile phone
US7106260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341990B1 (ko) 휴대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20060042821A (ko) 슬라이드 폰의 안테나 장치
KR100700137B1 (ko) 이동식 안테나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JPH0766614A (ja) リトラクタブルアンテナ
KR20000019834U (ko)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전화기
KR200193708Y1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200176934Y1 (ko) 휴대전화기
KR1004257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539936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안테나 장치
EP1265369A1 (en) Mobile telephone using a movable antenna
KR100523910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자동인출장치
KR200158854Y1 (ko) 무선 전화기
KR200173899Y1 (ko) 플립형 이동 단말기
KR20010094801A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KR20050000560A (ko) 안테나 자동 인출/인입시 각각 접속되는 두 접점 포인트를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KR20030035788A (ko) 폴더형 휴대폰의 안테나 장치
KR19990018848U (ko)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 결합구조
KR20000039072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자동 인출장치
KR19980074977A (ko)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를 이용한 수신모우드 전환장치
MXPA99001818A (es) Radiotelefono portatil con cubierta deslizable yextension de antena automa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