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706Y1 -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 Google Patents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706Y1
KR200188706Y1 KR2020000004425U KR20000004425U KR200188706Y1 KR 200188706 Y1 KR200188706 Y1 KR 200188706Y1 KR 2020000004425 U KR2020000004425 U KR 2020000004425U KR 20000004425 U KR20000004425 U KR 20000004425U KR 200188706 Y1 KR200188706 Y1 KR 200188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ain body
perso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electromagnetic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이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석 filed Critical 이용석
Priority to KR2020000004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용 통신장비에 있는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인체 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위치를 변경하여 전자파 발생에 따르는 개인용 통신장비의 유해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테나 구조는, 송.수화기(12)(13)가 있는 기기 본체(11)의 하부측에 안테나(14)를 넣고 빼는 안테나홀더(15)를 위치 시키고, 상기 안테나홀더(15)에 안테나(14)를 장착하여 안테나(14)를 송화기(13)측 주변부에 위치 시켜 안테나(14)와 인체간 거리를 더 넓혀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개인용 통신장비에서 생기는 유해성 전자파에 의한 인체 피해를 통화품질이나 조작성 저하 없이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Cellular phone antenna structure}
본 고안은 개인용 통신장비에 있는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인체 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위치를 변경하여 전자파 발생에 따르는 개인용 통신장비의 유해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개인용 통신장비의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기기 본체의 상부측 수화기에 가까운 쪽으로 위치한다.
도 1은 대표적인 개인용 휴대 통신장비인 휴대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휴대폰의 외관은, 다수의 다이얼 버튼이 배열된 키버튼과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본체(1)와, 기기본체(1) 상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기(2)와, 기기 본체(1)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에 통화음을 보내는 송화기(3)로 구분되며, 수화기(2) 근처에 윗쪽으로 안테나(4)를 구비한다.
수화기(2) 주변에 위치하는 안테나(4)는 기기 본체(1)측에 있는 안테나홀더(5)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안테나홀더(5)로부터 빼내거나 다시 넣을 수 있는 슬라이드 접이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휴대폰을 사용할 때는 통화품질이나 송수신 상태를 높히기 위해 안테나(5)를 윗방향으로 빼내고 통화가 끝나면 다시 반대로 밀어서 기기 본체(1) 안으로 집어 넣는다.
도 2는 휴대폰을 사용할 때 휴대폰 본체와 인체의 접촉 위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같은 휴대폰 사용에 의하면 휴대폰 기기 본체(1)는 좌 또는 우측 귀와 밀착 되어지며, 동시에 두부의 좌 또는 우측 상부측으로 안테나(4)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 수화기(2)는 귀와 닿으며, 송화기(3)는 입부분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안테나(4)가 있는 위치로 부터 두뇌 사이의 거리는 대략 3㎝ 정도의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된다. 보통 기기 사용중일 때 안테나(4)에는 전자기파가 발생되며 이러한 전자파는 그대로 두뇌(6)에 작용된다.
전자파의 영향을 벗어나기 위한 방편은 기기 본체(1)이 붙어 있는 수화기(2)나 송화기(3)를 귀와 입에 가깝게 대지 말고 가급적 멀리 떨어뜨려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사용 방법은 수신감도 저하나 송신음을 약화 시켜 현실적으로 어렵다.
전자파의 영향을 줄이는 또 다른 방법은 안테나(4)를 빼낸 상태로 사용함으로서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완화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 방법은 안테나(4)를 넣어 둔 경우에 비해 안테나(4)를 빼냈을 때 전자파가 줄어드는 현상을 이용한 사용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4)를 빼내면 전자파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 졌으나 마찬가지로 전자파의 유해성에서 벗어나기는 미흡했고 전자파 유해성을 줄이는 대안이 되지 못했다.
실제로 개인용 통신장비에 있는 안테나(4)를 통해 흐르는 전자파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비의 유해성은 많은 논란이 되어 왔으며 그 유해성이 예상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피해는 뇌에 작용되는 전자파에 의해 기억력 장애, 두통, 뇌종양 등의 직접적인 발병 원인 등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휴대폰의 전자파(극초단파)가 기억력을 저하 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같은 전자파의 인체 영향에 관한 연구는 크게 분류하여 열적 작용(thermal effect)으로 대변되는 비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SAR)에 관한 연구와 신경 계통 및 만성적인 노출로 인한 질병 발생과 관계되는 비열 작용(nonthermal effect)에 대한 연구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테나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폰 등의 개인용 통신장비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비의 유해성을 안테나의 위치 변경 만으로 특별한 장비없이 최소화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다수의 다이얼 버튼이 배열된 키버튼과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 본체와, 상기 기기 본체 상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기와, 상기 기기 본체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에 통화음을 보내는 송화기로 구분되며, 상기 기기 본체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개인용 통신장비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구조는,
송.수화기가 있는 기기 본체의 하부측에 안테나를 넣고 빼는 안테나홀더를 위치 시키고, 상기 안테나홀더에 안테나를 장착하여 안테나를 송화기측 주변부에 위치 시켜 안테나와 인체간 거리를 더 넓혀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안쪽 위치 (b)는 중앙부 위치 (c)는 바깥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통신장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기기 본체 12:수화기
13:송화기 14:안테나
15:안테나홀더 16:두뇌
이렇게 개인용 통신장비에서 기기 본체의 상부측 수화기 근처에 위치하는 안테나 위치를 기기본체의 하부 송화측으로 변경 하면 기기 사용중 안테나와 인체 두뇌간 거리를 더 넓혀 주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안테나를 통해 발생되는 전자파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b)(c)는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 위치 및 그에 따른 다양한 안테나 위치 변경의 예를 나타낸 도면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통신장비의 사용에 따른 안테나 위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다.
본 고안의 안테나 구조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다이얼 버튼이 배열된 키버튼과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 본체(11)와, 기기 본체(11) 상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기(12)와, 기기 본체(11)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에 통화음을 보내는 송화기(13)로 구분되고, 기기 본체(11)에 안테나(14)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개인용 통신장비에 있어서, 도 3 과 같이 송화기(13)가 있는 기기 본체(11)의 하부측에 안테나(14)를 넣고 빼는 안테나홀더(15)를 위치 시키고, 안테나홀더(15)에 안테나(14)를 장착하여 안테나(14)를 송화기(13)측 주변부에 위치 시켜 기기 사용 위치 기준으로 안테나(14)와 인체 두뇌간의 거리를 넓혀 준 형태이다.
안테나(14)의 위치는 도 3의 (a)와 같이 기기 본체(11)의 안쪽부, 도 3(b)와 같이 기기 본체(11)의 하단 중앙부, 또는 도 3 (c)와 같이 기기 본체(11)의 하단 바깥부 등을 선택하여 위치 시킬 수 있다.
도 4는 기기 사용에 따른 기기 본체(11)와 안테나(14) 위치간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안테나(14)가 상부가 아니고 하부에 위치 함으로서 안테나(14)와 인체 간의 거리가 상부에 위치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더 벌어졌다.
안테나(14)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비의 유해성은 두되(16)에 집중되므로 이같은 안테나(14)의 위치는 기기 사용중 기준으로 두뇌(16)와 안테나(14)의 사이 거리를 더 늘려주는 쪽으로 작용된다. 즉, 기기 사용 기준으로 안테나(14)가 수화기(12)의 상부에 있을 경우 안테나(14)와 두뇌(16)간 거리는 대략 3㎝ 정도의 거리로 아주 가깝지만, 안테나(14)가 송화부(13)가 있는 기기 하단부에 있을 경우는 도 4와 같이 안테나(14)와 두뇌(16)간 거리는 대략 25㎝정도로 나타난다. 이 거리는 안테나(14)와 두뇌(16)간 거리를 기기 사용 기준으로 대략 22㎝ 정도의 간격을 더 벌려 주는 것과 같으므로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전자파는 두되(16)에 전달되기 전에 거리에 의해 주어지는 공간에서 약화되며 아주 적은 양만이 두뇌(16)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안테나(14)가 상부에 있는 경우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모두 안테나(14)를 통해 발생 되는 전자파의 실질적인 양은 변화가 없지만, 정상적인 기기 사용 위치로 볼 수 있는 수화기(12)의 귀 밀착 상태와 송화기(13)의 입 밀착 위치 기준으로도 안테나(14)와 두뇌(16)간 거리를 충분히 벌려줄 수 있으므로 두뇌(16)에 전달되는 전자파의 양을 줄여줄 수 있는 결과로 나타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안테나 위치를 기기 본체(11)의 하단부 어느쪽에 두어도 이러한 안테나(14)와 두뇌(16)간 거리는 충분히 유지 된다. 즉, 안테나(14) 위치를 기기 본체(11) 하단부 안쪽에 위치 시킨 도 3의 (a)의 경우와, 안테나(14)를 기기 본체(11)의 하단부 중앙부에 위치 시킨 도 3의 (b)의 경우 및 안테나(14)를 기기 본체(11)의 바깥쪽에 위치 시킨 도 3의 (c)의 경우 등은 안테나홀더(15) 및 안테나(14)의 위치가 횡선 방향으로만 변화될 뿐 안테나(14)와 두뇌(16)간 거리의 변화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안테나홀더(15)의 위치는 기기 본체(11) 하단부 어느 위치에 두어도 무방하며, 이 때에는 기기의 성능과 관계되는 전파유도에 대한 기기 본체(11)의 패키지 설계만을 고려하면 되는데, 이론적으로 안테나(14) 위치를 하부측에 둘 경우 통화품질에 관계되는 전파유도에는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정도로서 허용될 수 있는 정도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적인 상부 적용 안테나와 하부 적용 안테나의 기기 사용 편의성 측면 즉 안테나 조작성을 비교하면, 습관적인 조작을 제외하면 안테나의 상하부 조작 방향 만의 변화만을 통해 조작 가능 하므로 위치와 관계없이 대등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기 사용 기준으로 안테나 위치는 상하부 어느 방향에 위치 하여도 통화품질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조작 편의성도 대등하기 때문에 안테나를 하부측에 둔 본 고안은 현실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노출로부터 사용자의 피해를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개인용 통신기기에 부착되는 안테나 위치를 변경 함으로서 안테나를 통해 발생되는 유해성 전자파에 의한 인체 피해를 통화품질이나 조작성 저하 없이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안테나 부착 위치 변경 만으로 간단히 전자파 노출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적용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다이얼 버튼이 배열된 키버튼과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 본체와, 상기 기기 본체 상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기와, 상기 기기 본체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대측에 통화음을 보내는 송화기로 구분되며, 상기 기기 본체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개인용 통신장비에 있어서,
    송.수화기가 있는 기기 본체의 하부측에 안테나를 넣고 빼는 안테나홀더를 위치 시키고, 상기 안테나홀더에 안테나를 장착하여 안테나를 송화기측 주변부에 위치 시켜 안테나와 인체간 거리를 더 넓혀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기기 본체의 하단부 중앙부에 위치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기기 본체의 하단부 일측면부에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구조.
KR2020000004425U 2000-02-18 2000-02-18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KR200188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25U KR200188706Y1 (ko) 2000-02-18 2000-02-18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25U KR200188706Y1 (ko) 2000-02-18 2000-02-18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706Y1 true KR200188706Y1 (ko) 2000-07-15

Family

ID=1964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25U KR200188706Y1 (ko) 2000-02-18 2000-02-18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7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US20060120546A1 (en) Ear fixed type conversation device
EP3094105A1 (en) Audio capture and transmission device having sound attenuation
KR200188706Y1 (ko)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US6389297B1 (en) Radiocommunications terminal
JP3988199B2 (ja) 電話機
KR100834640B1 (ko) 공명 공간을 제공하는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EP1301013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istance keeping means for hands free operation mode
JPH04335739A (ja) 携帯型無線電話機
KR200203676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JP2004229147A (ja) 耳装着型の通話装置
KR200172066Y1 (ko) 안테나가 하부를 지향하는 헨드폰
JPH10224439A (ja) 携帯無線機
JP2006345566A (ja) 電話機
KR101392914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200295337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51511Y1 (ko)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용 전용 휴대폰 단말기
KR200193708Y1 (ko) 핸드폰의 안테나 구조
GB2439765A (en) Passive telephone privacy device
KR200158854Y1 (ko) 무선 전화기
KR20000063118A (ko) 휴대폰의 안테나 장치
KR20020078912A (ko) 폴더형 휴대폰
KR200219089Y1 (ko) 스피커 기능이 내장된 무선송수신장치를 이용한마우스겸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