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914B1 -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914B1
KR101392914B1 KR1020070046700A KR20070046700A KR101392914B1 KR 101392914 B1 KR101392914 B1 KR 101392914B1 KR 1020070046700 A KR1020070046700 A KR 1020070046700A KR 20070046700 A KR20070046700 A KR 20070046700A KR 101392914 B1 KR101392914 B1 KR 10139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695A (ko
Inventor
차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91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성을 위하여 단말기에서 보청기에 방사되는 전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면에 수화부를 갖는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단말기 하우징의 타면 중 상기 수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배치되는 수화부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배면 중 상기 수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수화부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의 방향을 수화부의 배면에 장착된 배터리 방향으로 바꿈으로써, 수화부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장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보청기 호환성 규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에서 방사되는 전기장의 측정영역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전기장 측정 결과를 나타낸 테이블.
도 4는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장 분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기장 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전기장 측정 결과를 나타낸 테이블.
도 7은 상기 도5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장 분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기장 분포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제1바디 303 : 제1하우징
304 : 배터리 수용부 400 : 제2바디
402, 801, 901 : 수화부 403 : 제2하우징
404, 803, 902 : 배터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청기 호환성을 위하여 단말기에서 보청기에 방사되는 전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안테나, 백라이트, 혹은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서 보청기에 간섭을 일으키는 요인이 있다. 따라서, 최근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내 청각장애인 보호를 위해 보청기 호환성(HAC : Hearing Aid Compatibility) 기능을 장착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보청기 호환성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란,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서로 장해를 미치지 않고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기 보청기 호환성에 관한 규정은, 텔레코일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는 보청기에 대하여 무선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규정과, 텔레코일 모드에서 동작하는 보청기에 대하여 유도결합(IC : Inductive coupling)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규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도결합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에서 규정 이상의 전기장이 발생할 경우, 보청기의 텔레코일(T-coil)에 자기 유도현상을 일으켜 보청기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청기 호환성을 위하여 단말기에서 보청기에 방사되는 전기장의 방향을 바꿔서 보청기 방향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에 수화부를 갖는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단말기 하우징의 타면 중 상기 수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배치되는 수화부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배면 중 상기 수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전기장의 특성에 대해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전기장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전기장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 방향으로 존재하게 되며, 특히 전기장 발생 지점(101)에서 가까운 도체(102)를 향하여 전기장의 분포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장 발생 지점은 수화부(402)가 되고, 상기 도체는 배터리(404)가 될 수 있다.
그럼,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의 분포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일반적인 보청기 호환성 규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에서 방사되는 전기장의 측정영역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보청기 호환성 규정에는 전기장의 측정 시,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부 주변의 5 * 5(cm) 내부를 9개의 균등한 영역으로 분할하고,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된 영역을 기준면으로부터 1(mm)떨어진 곳에서 측정기(201)를 이용해 측정한다.
상기 측정 방법은 일실시예이므로 규정마다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전기장 측정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다수의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전기장 측정 결과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기의 전기장 측정영역에 대한 측정 결과는, 단말기1의 경우 41.0418(dB V/m), 단말기2의 경우 42.6367(dB V/m), 단말기3의 경우 42.2266(dB V/m), 단말기4의 경우 41.0414(dB V/m), 단말기5의 경우 41.6382(dB V/m)으로,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다소 다르게 측정되었지만, 평균 41.3188(dB V/m) 정도로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측정 결과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삼차원으로 도시된 전기장의 분포도를 이용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상기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장 분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기장 분포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402)와 마이크(302)가 장착된 끝부분으로부터 전기장이 방사되고 있으며, 전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인 배터리 방향으로 전기장이 생성되고 있다. 특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수화부(402)와 먼 거리에 있을 경우, 전기장의 방향이 한곳에 집중되지 못하고 불규칙적이고 랜덤하게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3에서 측정된 전기장의 세기가 높을수록 수화부의 전방을 향하는 전기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수화부와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보청기(미도시)에 자기유도 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상기 보청기 내에 있는 텔레코일(미도시)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화부 전방을 향하여 발생하는 전기장의 세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기장 발생 지점을 차폐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사실상 전기장의 차폐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위가 낮은 도체를 수화부의 후방에 근접시키는 구조에 의해 전기장을 유도함으로써, 수화부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을 수화부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조절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바디(300)와, 상기 제1바디(30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4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300)는 외관을 이루는 제1하우징(303)과, 상기 제1하우징(303)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30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300)의 일측에는 사운드를 입력하는 마이크(302)가 장착된다.
상기 제2바디(400)는 제1바디(300)의 안내 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관을 이루는 제2하우징(403)과, 상기 제2하우징(403)의 내부에 내장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01)과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미도시)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403)은 수화부에서 방사되는 전기장을 수화부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수화부의 후방 부위를 전위가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403)의 후면에는, 수화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4)로 구성된다. 그 이유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가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요소 중 전위가 가장 낮은 구성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403)에 장착된 배터리의 형상은 제1하우징(303)과의 슬라이드에 방해받지 않는 형상임은 자명하다. 또한, 제1하우징의 전명 중 배터리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측이 리세스된(recessed)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배터리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개된(cut out)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 제2하우징의 후면에 배터리를 장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장착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장 측정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전기장 측정 결과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장 측정 결과는, 상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탈 전계강도가 39.72(dB V/m)로서, 상기 보청기 호환성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계강도보다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측정 결과를 삼차원으로 도시된 전기장의 분포도를 이용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상기 도5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장 분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기장 분포도이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304)는 도7의 (a)와 같이 제1하우징의 전면측이 리세스된(recessed) 형태이거나, 도7의 (b)와 같이 상기 배터리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개된(cut out) 형태로 형성된다. 도7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의 전기장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7의 (c)에서는 전기장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배터리가 분리되게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결합되는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부(402)에서 전방을 향하여 방사되고 있는 전기장이 상당부분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7의 (c)와 같이 수화부(402)에서 전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인 배터리 방향으로 전기장이 집중됨으로써, 수화부(402)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이 감소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수화부의 전방을 향하는 전기장이 적기 때문에, 수화부와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보청기(미도시)에도 그만큼 영향을 덜 미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수화부의 후면에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 수화부에서 방사되는 전기장이 수화부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에 집중적으로 분포됨으로써, 수화부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 타입의 단말기로서, 제 1 바디(804)에서 오픈된 제 2 바디(802)의 상단 끝 부분에 부착된 수화부(801)의 반대측으로, 상기 수화부와 인접한 위치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803)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도9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는 바(Bar) 타입의 단말기로서, 수화부(901)의 반대측면에 상기 수화부와 인접하도록 착탈 가능한 배터리(902)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화부의 배면에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 상기 수화부(801, 901)에서 방사되는 전기장이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부분인 배터리(803, 902) 방향으로 집중됨으로써, 수화부(801, 901)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이 감소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수화부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의 방향을 수화부의 배면에 장착된 배터리 방향으로 바꿈으로써, 수화부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수화부의 전방으로 방사되는 전기장의 양을 줄임으로써, 보청기 사용자의 통화 시 보청기에 발생할 수 있는 자기 유도현상 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배치되는 수화부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배면 중 상기 수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1바디의 전면 중 배터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제1바디의 전면측이 리세스된(recessed)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제1바디가 배터리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개된(cut out)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70046700A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단말기 KR10139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00A KR101392914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00A KR101392914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95A KR20080100695A (ko) 2008-11-19
KR101392914B1 true KR101392914B1 (ko) 2014-05-09

Family

ID=4028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00A KR101392914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11B1 (ko) * 2007-11-12 201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335A (ja) * 2001-07-13 2003-01-31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JP2003152834A (ja) * 2001-11-16 2003-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7027806A (ja) 2005-07-12 2007-02-01 Hitachi Ltd 携帯端末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335A (ja) * 2001-07-13 2003-01-31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JP2003152834A (ja) * 2001-11-16 2003-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7027806A (ja) 2005-07-12 2007-02-01 Hitachi Ltd 携帯端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95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2049B (zh) 采用最佳单极天线的纯正无线耳机
EP1719384B1 (en) Hearing aid with antenna for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signals and shielding battery
KR100782512B1 (ko) 전자파 흡수율을 개선한 휴대 단말기
US5819162A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for a telephone handset
US8207897B2 (en) Radio device and slot antenna which facilitates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element
US7859467B2 (en) Radio machine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machine
US20070003088A1 (en) Hearing aid compatible mobile phone and method
EP1979984B1 (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educed electric field emission levels near the earpiece
KR101409871B1 (ko) 휴대 단말기
EP2291922A1 (en) Wireless personal audio equipment
JPWO2009034648A1 (ja) 無線通信装置
KR101392914B1 (ko) 이동통신단말기
CN206195993U (zh) 一种蓝牙耳机
US2012003851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6013843A1 (ja) 携帯電話機
US2005015372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rangement
KR101177361B1 (ko)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패널
CN205726239U (zh) 采用最佳单极天线的纯正无线耳机
EP4262240A1 (en) Removable battery designs for custom hearing instruments
CN208590115U (zh) 听力设备
CN210578745U (zh) 一种电子设备
KR200188706Y1 (ko) 개인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구조
JPH10308595A (ja) 電磁波遮断用携帯電話ケース
JP4079810B2 (ja) 携帯電話機
KR200235544Y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안테나 배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