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211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211B1
KR101348211B1 KR1020070115087A KR20070115087A KR101348211B1 KR 101348211 B1 KR101348211 B1 KR 101348211B1 KR 1020070115087 A KR1020070115087 A KR 1020070115087A KR 20070115087 A KR20070115087 A KR 20070115087A KR 101348211 B1 KR101348211 B1 KR 10134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main body
peak
conduct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957A (ko
Inventor
김창일
송현석
이재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211B1/ko
Priority to US12/269,660 priority patent/US8150451B2/en
Publication of KR2009004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통화시 무선 통신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피크 영역을 측정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곳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HAC 등급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테나와 연결된 도전부에서의 전파의 방사 위치를 변위 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기파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이 저해되거나 외부 기기와의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 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 보다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등급이 향상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기장의 피크 영역의 세기를 줄이기 힘든 경우에도 HAC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피크 영역을 측정 영역에서 멀어지게 하여 간단하게 HAC 등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본체, 도전부 및 피크 변위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안테나와 음향을 출력하는 리시버를 구비한다. 상기 도전부는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의 작동에 의해 전파를 방사하여 상기 리시버와 인접한 말단 영역에 전기장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도전부는 상기 안테나가 접지되는 그라운드일 수 있다. 상기 피크 변위부는 상기 전기장의 피크 영역이 상기 리시버의 비활성화 시보다 활성화 시에 상기 리시버로부터 먼 곳으로 변위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피크 변위부에 의해, 상기 피크 영역은 통화 시에 그 크기와 상관없이 위치상으로 리시버에서 멀어진 곳으로 변위 되어, 상기 리시버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HAC 등급이 향상되게 한다.
상기 피크 변위부는 상기 도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말단 영역에 연결되는 도전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피크 영역은 상기 도전성 부재의 타단 측에 형성되기에,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피크 영역은 결과적으로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말단 영역보다 먼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는 상기 본체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일 면에 반대되는 타면 측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 피크 영역이 상기 리시버로부터 멀어져서 바람직하다.
상기 피크 변위부는 상기 도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전성 바일 수 있다. 상기 피크 영역은 상기 도전성 바의 자유단에 형성되기에,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말단 영역보다 먼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피크 변위부에 의한 상기 피크 영역의 변위 시에 상기 본체는 통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시에 터치 입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는 숫자 입력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호 수신시에 상기 피크 변위부를 작동시켜야만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피크 변위부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 이를 사용자가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보청기 사용자 등이 부지 중에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통화 시에 전파의 방사가 크게 일어나 피크 영역이 형성되는 도전부의 말단 영역을 피크 변위부에 의해 리시버로부터 멀어지게 변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리시버를 중심으로 측정되는 HAC 등급이 향상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크 영역의 세기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도 HAC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시에만 피크 변위부를 작동시키고 비 통화시에는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HAC 등급 향상을 위한 구성에 의해 단말기의 휴대성이 항상 저해되지는 않게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HAC(Hearing Aid Compatibility)은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가 서로 장해를 미치지 않고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양립성에 관한 인증 및 평가 항목으로서, 보청기 및 휴대 단말기와 같은 무선 기기 제조사 등에 적용하고 있다. 이 규정은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의해 제정되어, 미국 내에서 위 무선 기기를 제조·판매함에 있어서 일정 등급을 만족하는 제품이 요구된다.
휴대 단말기에 대한 HAC 등급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M)는 지지대 상에 고정되고, 통화 상태{리시버(R)의 활성화 상태}에서 전자파의 세기가 이 필드(E-Field) 또는 에이치 필드(H Field) 등을 측정하는 프로브(probe)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 영역(E)은 리시버(R)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정사각형 형태의 영역(5cm * 5cm)으로서, 휴대 단말기(M)의 표면으로부터는 1cm 이격된 공간상의 가상의 평면에 위치한 영역이다. 측정 영역(E)은 다시 격자 형태로 구분되어, 9개의 서브 영역들(1 내지 9)로 나뉜다.
9개의 서브 영역들(1 내지 9)에서 측정된 값 중에서 중앙의 서브 영역(5)에서 측정된 값과 나머지 서브 영역들 중 세기가 가장 큰 세 개의 서브 영역들의 값은 제외된다. 최종적으로 5개의 서브 영역들의 측정값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이 HAC 등급을 결정하는 피크 값이 된다. 그 결과로, 상기 피크 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대하여 정의된 등급이 휴대 단말기(M)의 HAC 등급으로 결정된다.
HAC 등급은 무선주파수 장해에 대한 M 등급(M1 내지 M4, M4가 가장 양호)과 유도결합에 관한 T 등급(T1 내지 T4, T4가 가장 양호)이 있다. 이 중에서, 이 필드에 의한 M 등급이 우세하므로, M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에는 제1 조작부(12), 디스플레이부(13), 제1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음향 입력부(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2)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4)는 상대방의 음성 등과 같은 소리를 출력하며, 리시버(receiver)라 칭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21)에는 전원공급부(22),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3), 제2 조작부(24), 인터페이스(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2)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2)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17)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3)는 리어 케이스(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24)는 리어 케이스(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2)와 더불어 제2 조작부(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과 같은 정보 또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4)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5)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21)에는 제2 음향출력부(26)와 제2 영상입력부(27)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26)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제1 음향출력부(14)와 마찬가지로 리시버라 칭해질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7)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8)와 거울부(29)가 추가로 배치된 다. 상기 플래쉬(28)는 제2 영상입력부(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2) 등은 프론트 케이스(11)에, 제2 조작부(24) 등은 리어 케이스(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24)가 제1 조작부(12)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대한 개략적인 종 단면도인 도 4와 함께,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체의 일 부분을 감싸고서는 피크 변위부(100)가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결합 된다. 피크 변위부(100)는 본체 내부의 안테나(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부, 예를 들어 그라운드(18)의 말단 영역(18')에서의 전파 방사에 의한 전기장(E-Field)의 피크 영역(피크 값을 가지는 영역)이 리시버(14)의 활성화 시에 비활성화 시보다 리시버(14)에서 멀리 변위 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피크 변위부(100)가 전개되기 전의 상태를, 도 3에서는 피크 변위부(100)가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다.
피크 변위부(100)는 말단 영역(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리시버(14)에서 멀어지게 이동 가능한 도전성 부재(110)를 포함한다. 도전성 부재(110)의 이동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피크 변위부(100)는 슬라이드 방향(S)을 따라 본체에 슬 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슬라이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120)에 배치된 도전성 부재(110)는 상기 슬라이딩 시에도 접촉핀(115)에 의해 그라운드(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슬라이드부(120)의 일 부분인 프론트 영역(121)은 프론트 케이스(11)를 감싸고, 다른 부분인 리어 영역(122)은 리어 케이스(21)를 감싸게 된다. 프론트 영역(121)은 사용자가 슬라이드부(120)를 슬라이딩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도전성 부재(110)는 슬라이드부(120)의 리어 영역(122)에 형성되어, 프론트 케이스(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리시버(14)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라운드(18)와 연결되어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새로운 말단 영역이 되는 도전성 부재(110)의 자유단이 측정 영역(E, 도 1)에서 휴대 단말기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더 멀리 위치하여, 측정 영역(E)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A는 피크 변위부(100)의 미 전개 상태에서의 이 필드(E-Field) 분포 현황을 보인 도면이고, 도 5B는 피크 변위부(100)가 전개된 상태에서의 이 필드(E-Field) 분포 현황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미 전개 상태(도 2 참조)에서, 도 5A와 같이, 이 필드(E-Field)는 리시버(14)와 인접한 서브 영역들(2,3,5,6,8,9)에서 우세하고, 중앙 및 세기가 큰 3개 영역들(5,3,6,9)을 제외하고도 다른 영역들(2,8)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세기를 갖게 된다. 그 결과, HAC 등급은 낮은 등급, 예를 들어 M2 등급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비 통화시라면 보청기가 직접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낮은 HAC 등급에도 불구 하고 비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휴대 단말기의 콤팩트화 (및 그에 따른 휴대성 강화)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
피크 변위부(100)를 본체에서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킨 전개 상태(도 3, 4 참조)에서는, 그라운드(18)의 말단 영역(18')에서 보다는 말단 영역(18')에 연결된 도전성 부재(110)의 자유단 영역에서 전자기파의 방사가 주로 일어나게 된다.
이때는, 도 5B에서와 같이, 이 필드(E-Field)가 우세한 영역들은 측정 영역(E)의 상부 영역들(3,6,9)로 변위(shift) 된다. 그 결과로, 중앙 영역(5)과 위 상부 영역들(3,6,9)이 제외된 상태에서는 이 필드(E-Field)가 우세한 서브 영역이 거의 사라지게 되어, 다른 서브 영역들(1,2,4,7,8)에 의한 이 필드(E-Field)에 대한 피크 값은 미전개 상태보다는 작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피크 변위부(100)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한 전개 상태에서의 HAC 등급은 미전개 상태보다 높아져서 일정 기준, 예를 들어 M3 또는 M4 등급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크 변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피크 변위부(200)는 도전부(18, 도 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리시버(14)에서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전개되는 도전성 부재(21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전개를 위하여, 피크 변위부(200)는 일 방향(R)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에 회전축(221)에 의해 결합 되며, 도전성 부재(210)가 형성되는 회전 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20)는 프론트 케이스(11) 측보다는 리어 케이스(21) 측에 형성되는 것이 측정 영역(E)과 두께 방향으로 보다 멀어진 곳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회전부(220)의 회전은 사용자가 회전부(220)를 상기 방향(R)으로 조작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1)에 스프링을 채용하거나, 폴더형 단말기의 힌지부에 채용되는 캠 유닛을 채용하는 경우라면, 위 회전 조작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도전부와 연결된 피크 변위부(200)가 리시버(14)에서 멀어지도록 전개됨에 따라, 높은 이 필드 값을 가지는 영역들이 측정 영역(E)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로, 피크 변위부(200)의 전개 시에 HAC 등급은 미 전개시 보다 향상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크 변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피크 변위부(300)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전성 바(310)일 수 있다. 도전성 바(310)는 그 자체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부재이거나, 내부의 도전성 물질과 그를 감싸는 외부의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도전성 바(310)의 일 단부가 결합 되기 위하여, 본체에는 소켓(320)이 장착될 수 있다. 소켓(320)은 도전부의 말단 영역(18', 도 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켓(320)은 프론트 케이스(11) 측보다는 리어 케이스(21) 측에 형성되는 것 이, 도전성 바(310)의 자유단에 우세하게 형성되는 전기장이 측정 영역(E)과 두께 방향으로 보다 멀어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전성 바(310)의 장착 시에는 안테나(17)의 작동에 의한 전자파는 말단 영역(18') 보다는 도전성 바(310)의 자유단에서 보다 우세한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그 결과, 리시버(14)에 인접한 말단 영역(18') 측 보다는 그에서 먼 도전성 바(310)의 자유단에 강한 이 필드 값이 형성됨에 따라, 도전성 바(310)의 장착 시에 앞선 실시예들과 같이 HAC 등급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 2에 도시된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2,24), 영상 입력부(15,27), 음향입력부(16),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26),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5),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2),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을 포함한다.
조작부(12,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2,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5,27)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7)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 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26)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6)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26)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2)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 이스(2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26),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2)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에서의 동작은 상기 피크 변위부(100,200,300)의 작동과 연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크 변위부(100,200,300)의 작동시{피크 변위부(100,200)가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여 리시버(14)에서 멀어지게 전개된 경우, 및 피크 변위부(300)가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제어부(40)는 본체를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피크 변위부(100,200,300)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 특히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피크 변위부(100,200,300)를 작동시키고서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크 변위부(100)를 슬라이딩시키면 수신된 호가 연결될 수 있고, 그 결과로 보청기 사용자는 간편하게 통화를 시작하면서도 자신의 보청기가 통화에 의해 장해를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통화를 시도하기 위한 경우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가 대기 상태일 때 피크 변위부(100,200,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터치 입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3)에 숫자를 표시하게 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숫자를 터치하여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위와 같은 통화 모드에서 또는 통화 모드로 전환하려는 경우에 피크 변위부(100,200,300)가 작동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알림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 따른 피크 변위부(300)를 장착하지 않고 통화 버튼을 누르는 등의 시도를 하는 경우, 알림부(40')는 디스플레이부(13)나 음향 출력부(14,26)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출력을 만들 수 있다.
나아가, 전화가 걸려 오는 경우에도, 알림부(40')는 피크 변위부(300)가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알림부(40')의 작동은,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메뉴 등을 통해 HAC 고등급 설정을 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HAC 등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략적인 종 단면도.
도 5a는 피크 변위부의 미 전개 상태에서의 이 필드 분포 현황을 보인 개념도.
도 5b는 피크 변위부가 전개된 상태에서의 이 필드 분포 현황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크 변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크 변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4)

  1. 안테나와 리시버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와 인접한 말단 영역에 전기장이 형성되게 하는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장의 피크 영역이 상기 리시버의 비활성화 시보다 활성화 시에 상기 리시버로부터 먼 곳으로 변위되게 하는 피크 변위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변위부는 상기 도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말단 영역에 연결되는 도전성 부재로서, 상기 피크 영역은 상기 도전성 부재의 타단에 의해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말단 영역보다 먼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본체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일 면에 반대되는 타면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주면들 중 상기 도전성 부재와 인접하지 않는 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변위부는 상기 도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전성 바 로서, 상기 피크 영역은 상기 도전성 바의 자유단에 의해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말단 영역보다 먼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본체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도전성 바는 상기 일 면에 반대되는 타면 측에 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기 안테나가 접지되는 그라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 모드의 동작은 상기 피크 변위부의 작동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서,
    상기 피크 변위부에 의한 상기 피크 영역의 변위 시에 상기 본체는 통화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서,
    상기 본체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며 터치 입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모드 전환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숫자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호 수신시에는 상기 피크 변위부가 작동되면 상기 단말기가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통화 모드에서 상기 피크 변위부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 이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15087A 2007-11-12 2007-11-12 휴대 단말기 KR10134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87A KR101348211B1 (ko) 2007-11-12 2007-11-12 휴대 단말기
US12/269,660 US8150451B2 (en) 2007-11-12 2008-11-12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87A KR101348211B1 (ko) 2007-11-12 2007-11-1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57A KR20090048957A (ko) 2009-05-15
KR101348211B1 true KR101348211B1 (ko) 2014-01-07

Family

ID=4062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87A KR101348211B1 (ko) 2007-11-12 2007-11-1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50451B2 (ko)
KR (1) KR101348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0943B (zh) * 2009-06-15 2013-03-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
CN102056069B (zh) * 2009-10-30 2013-12-11 清华大学 一种助听兼容性测试方法
EP2360896B1 (en) * 2010-02-15 2012-07-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utomatic gain adjustment for hearing aid compatibility
US8483415B2 (en) * 2010-06-18 2013-07-09 Motorola Mobility Llc Antenna system with parasitic element for hearing aid compliant electromagnetic emission
KR102102644B1 (ko) * 2013-12-24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7085334A (ja) * 2015-10-28 2017-05-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9184561A1 (en) * 2018-03-31 2019-10-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695A (ko) * 2007-05-14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7970A (en) * 1998-10-07 2000-08-22 Ericsson Inc. Integral antenna assembly and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AU2002351371A1 (en) * 2001-12-12 2003-06-23 Jerry Allen Grant Audio extens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4309091B2 (ja) * 2002-03-06 2009-08-05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状態報知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6765536B2 (en) * 2002-05-09 2004-07-20 Motorola, Inc. Antenna with variably tuned parasitic element
US8095073B2 (en) * 2004-06-22 2012-01-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obile station and hearing aid compatibility
US7554496B2 (en) * 2007-04-10 2009-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 ground patch provid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reduction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695A (ko) * 2007-05-14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4306A1 (en) 2009-05-14
US8150451B2 (en) 2012-04-03
KR20090048957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64B1 (ko) 휴대 단말기
EP2192652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ductive element coupled to an antenna
KR101348211B1 (ko) 휴대 단말기
US20090156264A1 (en) Mobile terminal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03854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08606A (ko) 이동 단말기
KR20090042094A (ko) 휴대 단말기
KR20110002731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66741A (ko) 와치형 휴대 단말기
KR20100030970A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80426A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27514A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20110018208A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1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4744B1 (ko) 루프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619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마이크 노이즈 저감방법
KR101463825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101587090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48956A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61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