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19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419B1 KR101474419B1 KR1020070115685A KR20070115685A KR101474419B1 KR 101474419 B1 KR101474419 B1 KR 101474419B1 KR 1020070115685 A KR1020070115685 A KR 1020070115685A KR 20070115685 A KR20070115685 A KR 20070115685A KR 101474419 B1 KR101474419 B1 KR 101474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disposed
- antenna
- receiver
- shie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리시버 주변의 측정 영역을 향해 진행하는 전파를 차폐하는 수단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HAC 등급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는 전파가 측정 영역을 진행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기파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이 저해되거나 외부 기기와의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 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 보다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등급이 향상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안테나 및 그에 연결된 도전성 부분에 대한 변경 없이도 HAC 등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HAC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본체와, 리시버 및 차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외면을 이루는 복수의 케이스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들에 의해 한정된 내부(내부 공간)에는 무선 통신 등을 위한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가 배치된다. 상기 리시버는 음성 등의 소리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안테나에 의해 상기 리시버 측으로 방사되는 전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파에 의한 전기장 등을 측정하는 가상의 측정 영역은 상기 리시버 측에 설정되므로, 상기 차폐부에 의해 상기 리시버 측으로 진행하는 전파가 차폐됨에 따라 HAC 등급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리시버가 배치되는 영역 및 그에 인접한 영역을 커버 하 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윈도우를 넘어서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일 면에 도포 되는 도전성 물질이기에, 상기 확장은 상기 안테나의 작동을 저해하지 않는지를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안테나를 상기 차폐부에서 먼 부분에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의 도전성 물질은 적어도 일 부분은 투명한 물질로서, ITO(Indium-Tin Oxide)를 포함하며,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쉬 구조는 복수의 라인들이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형태로서,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부재보다 외부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리시버가 노출되는 케이스의 적어도 일 면에 차폐부가 형성되기에, 상기 차폐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안테나 및 그와 연결된 전도성 부재의 구조를 변경하는 등의 조작 없이도 상기 케이스에 차폐부만을 형성하면 되므로, HAC 등급 향상을 위해 단말기의 내부 설계까지 변경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HAC(Hearing Aid Compatibility)은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가 서로 장해를 미치지 않고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양립성에 관한 인증 및 평가 항목으로서, 보청기 및 휴대 단말기와 같은 무선 기기 제조사 등에 적용하고 있다. 이 규정은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의해 제정되어, 미국 내에서 위 무선 기기를 제조·판매함에 있어서 일정 등급을 만족하는 제품이 요구된다.
휴대 단말기에 대한 HAC 등급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M)는 지지대 상에 고정되고, 통화 상태{리시버(R)의 활성화 상태}에서 전자파의 세기가 이 필드(E-Field) 또는 에이치 필드(H Field) 등을 측정하는 프로브(probe)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 영역(E)은 리시버(R)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정사각형 형태의 영역(5cm * 5cm)으로서, 휴대 단말기(M)의 표면으로부터는 1cm 이격된 공간상의 가상의 평면에 위치한 영역이다. 측정 영역(E)은 다시 격자 형태로 구분되어, 9개의 서브 영역들(1 내지 9)로 나뉜다.
9개의 서브 영역들(1 내지 9)에서 측정된 값 중에서 중앙의 서브 영역(5)에서 측정된 값과 나머지 서브 영역들 중 세기가 가장 큰 세 개의 서브 영역들의 값은 제외된다. 최종적으로 5개의 서브 영역들의 측정값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이 HAC 등급을 결정하는 피크 값이 된다. 그 결과로, 상기 피크 값을 포함하는 범위에 대하여 정의된 등급이 휴대 단말기(M)의 HAC 등급으로 결정된다.
HAC 등급은 무선주파수 장해에 대한 M 등급(M1 내지 M4, M4가 가장 양호)과 유도결합에 관한 T 등급(T1 내지 T4, T4가 가장 양호)이 있다. 이 중에서, 이 필드에 의한 M 등급이 우세하므로, M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 및 20)는 통칭하여 본체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 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3a) 및 그를 감싸는 윈도우(13b, 이상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 또는 리시버(14)는 상대방의 음성 등과 같은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 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도 2와 더불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HAC 등급 향상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바디(10)의 일 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음성 통화 등을 위한 통신용 안테나(17)는 제2 바디(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17)는 제1 바디(10)에 배치 또는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리시버(14)는 제1 바디(10)의 프론트 케이스(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안테나(17)는 제2 바디(20) 및 제1 바디(10) 내부를 연장하는 도전성 영역(C), 예를 들어 그라운드 또는 EMI 영역 등에 연결되기에, 상기 안테나(17)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파는 리시버(14)를 향해서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17)에 의한 전파가 리시버(14) 측을 향한 방향으로 진행하여 결과적으로 측정 영역(E)에서 검출되는 것을 완화 또는 차폐하기 위하여, 차폐부(100)가 프론트 케이스(11)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100)는 측정 영역(E)에서 전기장 등의 세기를 완화시켜 HAC 등급이 향상되게 하면서도, 프론트 케이스(11)에 형성되기에 안테나(17) 또는 도전성 영역(C) 등의 구조적인 변경을 요구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차폐부(100)는 리시버(14)를 기준으로 설정된 측정 영역(E)으로 전파가 진행 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기에, 리시버(14)가 배치되는 영역 및 그에 인접한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전파는 진행 중에 회절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차폐부(100)는 측정 영역(E)에 대응되는 영역뿐만 아니라, 그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폐부(100)가 리시버(14)가 배치되는 영역뿐만 아니라, 윈도우(13b)를 커버하는 영역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까지 확장될 수 있다. 그 결과로,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100)는 측정 영역(E) 중 제1 바디(10)와 겹치는 영역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차폐부(100)는 도전성 물질이 프론트 케이스(11)에 도포 또는 인쇄됨에 따라 전파를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100)를 이루는 도전성 물질의 적어도 일 부분은 투명하다면, 위와 같은 영역 확장에도 디스플레부(13)가 기능적으로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도전성 물질로서, 인-주석 산화물(ITO, Indium-Tin Oxide)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3a)의 화질에 영향을 주지 않아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물질은 연속적이지 않은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메쉬 구조의 차폐부(100)는 연속적인 도체는 아니지만, 전파의 특성상 전기장 방향으로 도체 부분이 있으면 전파가 투과하지 못하기에 전파의 차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차폐부(100)를 이루는 복수의 라인들은 제1 바디(10)의 폭방향(W)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라인들(110)과,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라인들(120)로 구분 할 수 있다. 제1 라인들(110) 및 제2 라인들(120)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형태일 수 있다.
지에스엠 대역(GSM band)가 본체를 기준으로 수직 편파(vertical polarization)에 가깝고 디씨에스 대역(DCS band)이 수평 편파(horizontal polarization)에 가까운 점을 고려하면, 위 제1 라인들(110) 및 제2 라인들(120)의 직교의 형태는 전파 차폐를 위해 바람직하다. 다만, 차폐부(200)의 메쉬 구조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라인들(210 및 220)이 서로 직교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메쉬 구조의 차폐부(100)는 완전한 도체(Perfect Electric conductor)와 전기적 특성이 같기에, 안테나(17)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고자 한다면 안테나(17)와의 거리 역시 고려한 사이즈로 형성되어야 한다.
차폐부(100)의 사이즈에 대한 고려 시, 안테나(17)의 위치 역시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7)가 차폐부(100)와 먼 제2 바디(20), 특히 제2 바디(2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곳에 배치된다면 리시버(14)를 기준으로 한 차폐부(100)의 확장에도 안테나(17)와의 거리는 일정 수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HAC 등급에 대한 측정이 열린 상태(도 2와 같은 상태)에서의 통화 모드에서 측정되기에, 제1 바디(10)의 하측 단부와 제2 바디(20)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만 충분하다면 차폐부(100)는 안테나(17)에 대한 고려 없이도 제1 바디(10)의 모든 부 분에까지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차폐부(100)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부재보다 외부에 가깝게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1)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차폐부(100)는 프론트 케이스(11)의 외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반면에 프론트 케이스(11)가 플라스틱 사출물 이라면, 차폐부(100)는 프론트 케이스(1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 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25),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6),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7),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를 포함한다.
조작부(16,23,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3,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 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 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 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31),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HAC 등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제1 바디의 일 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차폐부의 메쉬 구조의 다른 변형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1)
-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본체;상기 제1바디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리시버; 및상기 제1바디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에 의해 방사되어 상기 리시버 측을 향해 진행하는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상기 차폐부는 상기 리시버가 배치되는 영역 및 그에 인접한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일 면에 도포되는 도전성 물질이며,상기 도전성 물질은 복수의 라인들이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메쉬 구조이며,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바디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바디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상기 차폐부는 상기 윈도우 및 리시버가 배치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성 물질의 적어도 일 부분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Tin Ox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라인들은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차폐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다른 도전성 부재보다 외부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5685A KR101474419B1 (ko) | 2007-11-13 | 2007-11-13 | 휴대 단말기 |
US12/267,323 US8055274B2 (en) | 2007-11-12 | 2008-11-07 |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5685A KR101474419B1 (ko) | 2007-11-13 | 2007-11-13 |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9430A KR20090049430A (ko) | 2009-05-18 |
KR101474419B1 true KR101474419B1 (ko) | 2014-12-19 |
Family
ID=4085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5685A KR101474419B1 (ko) | 2007-11-12 | 2007-11-13 |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41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8625A (ja) * | 1999-12-08 | 2001-06-22 | Toshiba Corp |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
US20060152112A1 (en) * | 2003-09-04 | 2006-07-13 | Yasuhiro Sasaki |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and portable device |
-
2007
- 2007-11-13 KR KR1020070115685A patent/KR1014744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8625A (ja) * | 1999-12-08 | 2001-06-22 | Toshiba Corp |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
US20060152112A1 (en) * | 2003-09-04 | 2006-07-13 | Yasuhiro Sasaki |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and portabl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9430A (ko) | 2009-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764B1 (ko) | 휴대 단말기 | |
EP2192652B1 (en) |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ductive element coupled to an antenna | |
KR101622731B1 (ko) | 이동 단말기 | |
US9363341B2 (en) |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ntenna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143799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070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6465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09871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00385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48211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00273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94435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131750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74419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61912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마이크 노이즈 저감방법 | |
KR101513630B1 (ko) | 멀티 밴드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404744B1 (ko) | 루프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453907B1 (ko) |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 |
KR101437974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018208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27732B1 (ko) |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 |
KR101427261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17907A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158709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3618B1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