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35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35B1
KR101594435B1 KR1020090066026A KR20090066026A KR101594435B1 KR 101594435 B1 KR101594435 B1 KR 101594435B1 KR 1020090066026 A KR1020090066026 A KR 1020090066026A KR 20090066026 A KR20090066026 A KR 20090066026A KR 101594435 B1 KR101594435 B1 KR 10159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and
portable terminal
recei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605A (ko
Inventor
진영석
김창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35B1/ko
Priority to US12/781,025 priority patent/US8462055B2/en
Publication of KR2011000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리시버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대역에서 동작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제2대역에서 동작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제2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1도전체부와, 상기 리시버 주변의 제1대역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2도전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보청기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청기 사용자들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보청기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등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간섭 현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는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 Hearing Aid Compatibility)을 마련하고, 보청기와 무선 기기 제조사 등에 이를 준수하도록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는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가 서로 장해를 미치지 않고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양립성에 관한 인증 및 평가 항목이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보청기의 텔레 코일(T-coil)에서 감지, 증폭되어 보청기 사용자에 통화 음향이 전달되며, 보청기 호환성 인증에는 이러한 보청기의 자기 반응(magnetic response)의 측정 방법과 규정값이 규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의 평가 방법을 소개하기로 한다.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의 평가는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11)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계 강도(전기장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10)의 일단에는 리시버(11)가 구비되며, 리시버(11)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영역에 발생된 전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영역(12)이 마련된다.
측정 영역(12)는 단말기 바디(10)로부터 1cm의 높이의 영역에 5㎝×5㎝의 크기로 마련된다. 그리고, 측정영역(12)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9개의 그리드(13)들로 구성된다. 전기장 측정용 프로브(probe)로 각 그리드(13)에 형성된 전계 강도(전기장의 세기)를 측정한 후, 중심부 영역의 그리드(14)을 제외한 8개의 그리드 중 전자파의 양이 가장 많은 세 개의 그리드(13)를 제외한다. 그리고 중심부 영역의 그리드(14)과 나머지 5개의 그리드(13) 중 최대값을 정하여, 이 값이 미리 정한 기준 치 이하가 되도록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설계와 제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준을 통과할 수 있도록 리시버(11) 주변에 형성되는 전계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 주변에 형성되는 전계 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와 보청기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리시버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대역에서 동작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제2대역에서 동작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제2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1도전체부와, 상기 리시버 주변의 제1대역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2도전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제1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는 복수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대역은 상기 복수의 대역 중 상기 리시버 주변에 최대 전계 강도를 형성시키는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제1안테나의 일 부분에는 상기 제1대역의 전파가 방사되는 방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 중 상기 방사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리시버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시버의 타측에는 제3대역에서 동작되는 제3안테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대역에서 동작되는 제1안테나와 다른 위치의 제2안테나에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2도전체를 형성시킴으로써, 리시버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1대역 전파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보청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110)를 포함한다.
단말기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제1 및 제2조작부(116,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본 실시예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3)는 전화번호 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 상에 표시된 시각정보를 터치함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110)의 일단에 배치된다.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16,117)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 및 제2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조작부(117)는 제1음향출력부(11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 디스플레이부(113)의 터치 인식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기능 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10)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0)는 제1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0)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0)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와 거울부(122)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1)는 제2영상입력부(120)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2)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110)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23)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3)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5, 도 8 참조)가 장착되며, 전원공급부(125)는 본 실시예와 같이 충전 가능한 배터리(125)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배터리(125)를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12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단말기 바디(11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130)이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130) 상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단말기 바디(110)의 일단에는 음향출력부(114)를 구현하는 리시버(131)가 장착된다. 리시버(131)는 인쇄회로기판(130)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리시버(131)의 하측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2)이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32)의 하측에는 제1조작유닛(116)이 누름 동작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133)가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0)의 일측(또는 일면)에는 제1대역에서 동작되는 제1안테나(150)가 장착된다. 아울러, 제1안테나(150)와 다른 위치에는 제2대역에서 동작되는 제2안테나(16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안테나(150)는 단말기 바디(110)의 타단, 즉 리시버(131)의 반대쪽 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그리고, 제2안테나(160)는 단말기 바디(110)의 측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제1안테나로(150)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배면도로서, 제1 및 제2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안테나(150)는 내장 안테나(150)는 도전성 재질의 방사체(151)와, 이를 안착 및 지지하는 캐리어(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체(151)는 전파의 방사를 담당하며, 인쇄회로기판(130)에 급전되도록 구성된다. 방사체(151)는 도전성 금속이 제1대역의 전파를 방사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가진다. 예를 들어, 방사체는(151)는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도록 제1대역 파장의 1/2, 1/4 등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방사체(151)는 이러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캐리어(152) 상에서 임의의 형태로 패턴화될 수 있다.
캐리어(152)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예를 들어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맞게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고정되거나 인쇄회로기판(13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테나(160)는 제1도전체부(161), 제2도전체부(162), 및 캐리어(163)를 포함한다.
제1도전체부(161)는 제2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물리적 조건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130)에 급전되도록 구성된다. 제1도전체부(161)는 제2대역의 전파를 방사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 예를 들어 제2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도록 제2대역 파장의 1/2, 1/4 등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도전체부(161)는 제1안테나(150)의 방사체(151)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2도전체부(162)는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는다. 제2도전체부(162)는 제1대역의 전파를 방사시키는 기능을 하지는 않지만, 제1안테나(150)의 방사체(151)와 무선적으로 커플링되어 리시버(141) 주변의 제1대역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도전체부(161)와 제2도전체부(162)는 캐리어(163)에 임의의 형태로 패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전체부(162)는 제1대역 파장의 1/2, 1/4 등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1도전체부(161)의 일측에 임의의 형태로 패턴화될 수 있다.
도 6은 제2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여기서, VSWR은 정재파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비로서, 정재파가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안테나는 제2대역 뿐만 아니라 제1대역에서 추가적으로 공진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안테나(160)는 제1도전체부(161)에 의해 제2대역(W2)의 전파를 공진시키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2안테나(160)는 제2대역(W2)에서 동작되게 된다. 아울러, 제2안테나(160)는 제2도전체부(162)에 의해 제1대역(W1)의 전파를 추가적으로 공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리시버(131)의 주변에 형성되는 제1대역(W1) 전파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보청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안테나(150)는 음성 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 한 메인 안테나로서 구현되며, 제2안테나(160)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근리 통신 또는 GPS 통신을 위한 서브 안테나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경우, 제1안테나(150)의 제1대역(W1)은 GSM/WCDMA 850Mhz, GSM/WCDMA 900Mhz, DCS/GSM 1800Mhz, PCS/GSM 1900Mhz, 및 WCDMA 2100Mhz 대역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안테나(160)의 제2대역(W2)은 블루투스 2400Mhz 또는 GPS 1500Mhz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시버(232)는 단말기 바디(210)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안테나(250)는 단말기 바디(210)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안테나(260)는 제1안테나(25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7에 의하면, 제2안테나(260)는 제1안테나(250)의 측단부로부터 단말기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안테나(26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1도전체부(261)와,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2도전체부(262)를 포함하고 있다.
도 8a 및 8b는 제2도전체부의 적용 전후에 각각 측정된 측정 영역의 전계 분포를 나타낸다. 도 8a 및 8b에서 전계 강도의 크기는 강한 부분부터 약한 부분가지 흰색, 노란색, 빨간색, 보라색, 푸른색 등의 순서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안테나(260)에 제2도전체부(262)를 적용하기 전에는 측정 영역(R)의 오른쪽 부분, 즉, 7번 내지 9번 영역에 강한 전계 분포가 나타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안테나(260)에 제2도전체부(262)를 적용한 경우, 강한 전계 분포가 형성되었던 측정 영역(R)의 오른쪽 부분(7번 내지 9번 영역)의 전계 분포가 약화됨을 알 수 있다. 즉, 제2도전체부(261)의 적용에 따라 도 8a에서 강한 전계 분포가 나타난 부분이 오른쪽을 향해 쉬프팅(shifging)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안테나(260)에 제2도전체부(262)를 적용함으로써 측정 영역에 나타난 전계 강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적용된 제2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시버(331)는 단말기 바디(310)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안테나(350)는 단말기 바디(310)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안테나(360)는 제1안테나(350)로부터 단말기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안테나(360)는 리시버(3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제3대역에서 동작되는 제3안테나(37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3안테나(370) 또한 제1안테나(350)로부터 단말기 바 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시버(331)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안테나(350)는 복수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안테나(350)는 GSM/WCDMA 850Mhz, GSM/WCDMA 900Mhz, DCS/GSM 1800Mhz, PCS/GSM 1900Mhz, 및 WCDMA 2100Mhz 대역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대역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안테나(350)는 GSM 850Mhz, GSM 900Mhz, DCS 1800Mhz, PCS 1900Mhz의 총 4개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메인 안테나로서 구현된다.
아울러, 제2안테나(360)와 제3안테나(370)는 블루투스 또는 GPS 통신을 위한 서브 안테나로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안테나(360)는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로서 구현되며, 제3안테나(370)는 GPS 안테나로서 구현된다. 이 때, 제2안테나(360)는 블루투스 2400Mhz(제2대역)를 동작 대역으로 가지며, 제3안테나(370)는 GPS 1500Mhz를 동작 대역(제3대역)으로 가진다.
여기서, 제1대역은 이러한 복수의 대역들 중 리시버(331) 주변에 최대 전계 강도를 형성시키는 대역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대역에 의해 형성되는 최대 전계 강도를 제2안테나(360)의 제2도전체부(362)를 이용하여 약화시킴으로써, 측정 영역에서의 전계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PCS 1900Mhz의 대역(제1대역)의 전파에 의해 가장 큰 전계 강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2안테나부(360)의 제2도전체 부(362)가 PCS 1900Mhz의 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도록 제2도전체부(362)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안테나(350)의 일 부분에서 PCS 1900Mhz의 대역(제1대역)의 전파가 방사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대역들 중 최대 전계 강도를 형성시키는 제1대역의 전파가 방사되는 영역을 '방사 영역'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안테나(350)의 우측 영역에 '방사 영역(A)'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때, 제2안테나(360)는 단말기 바디(310)의 폭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 중 방사 영역(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방사 영역(A)이 단말기 바디(31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형성된 경우, 제2안테나(360) 또한 단말기 바디(31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안테나(360)를 리시버(331)의 우측에 배치시키고, 제3안테나(360)를 리시버(331)의 좌측에 배치시킨다.
제2안테나(360)의 배면에는 제1도전체(361)와 제2도전체(3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안테나(350)의 방사 영역(A)과 제2안테나(360)의 제2도전체부(362)의 위치를 대응시킴으로써, 제1안테나(350)와 제2도전체부(362)의 커플링(coupl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2안테나(360)와 제3안테나(370)가 함께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3안테나(370) 없이 제2안테나(360)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안테나(360)는 블루투스 2400Mhz 대역(제2대역) 뿐만 아니라 PCS 1900Mhz 대역(제1대역)에서 추가적으로 공진이 발생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체부의 적용 전후에 각각 측정된 측정 영역의 전계 분포를 나타낸다. 본 도면들은 PCS 1900Mhz 대역의 전파에 의해 형성된 전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안테나(360)에 제2도전체부(362)를 적용하기 전에는 측정 영역(R)의 오른쪽 부분, 즉, 7번 내지 9번 영역에 강한 전계 분포가 나타난다. 이는 PCS 1900Mhz 대역 전파의 방사 영역이 단말기 바디의 우측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2안테나(360)에 제2도전체부(362)를 적용한 경우, 강한 전계 분포가 형성되었던 측정 영역(R)의 오른쪽 부분(7번 내지 9번 영역)의 전계 분포가 약화됨을 알 수 있다. 즉, 제2도전체부(361)의 적용에 따라 전계 분포가 오른쪽을 향해 쉬프팅(shifging)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안테나(350)의 방사 영역(A)과 제2안테나(360)의 제2도전체부(362)의 위치를 대응시킴으로써 측정 영역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본 실시예 또한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안테나(450)의 좌측 영역에 '방사 영역(B)'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방사 영역(B)은 단말기 바디(41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제2도전체(462)가 적용된 제2안테나(460)은 단말기 바디(41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안테나(350)는 GSM 850Mhz, GSM 900Mhz, DCS 1800Mhz, PCS 1900Mhz의 총 4개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메인 안테나로서 구현된다. 여기서, 제1대역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PCS 1900Mhz 대역이다.
아울러, 제2안테나(460)은 GPS 1500Mhz 대역(제2대역)에서 동작되는 GPS 안테나로 구현되며, 제3안테나(470)는 블루투스 2400Mhz(제3대역)에서 동작되는 블루투스 안테나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반대로 방사 영역(B)이 단말기 바디의 좌측 영역에 형성되므로, 제2안테나(460)를 이에 대응되도록 리시버(431)의 좌측 영역에 배치하였다. 여기서, 제2안테나(460)의 배면에는 제1도전체(461)와 제2도전체(46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제2안테나(460)와 제3안테나(470)가 함께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3안테나(470) 없이 제2안테나(460)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안테나(460)는 GPS 1500Mhz 대역(제2대역) 뿐만 아니라 PCS 1900Mhz 대역(제1대역)에서 추가적으로 공진이 발생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실시예에서 제2도전체부의 적용 전후에 각각 측정된 측정 영역의 전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4a 및 14b는 PCS 1900Mhz 대역의 전파에 의해 형성된 전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2안테나(460)에 제2도전체부(462)를 적용하기 전에는 측정 영역(R)의 왼쪽 부분, 즉, 1번 내지 3번 영역에 강한 전계 분포가 나타난다. 이는 앞선 실시예와 반대로 PCS 1900Mhz 대역 전파의 방사 영역(B)이 단말기 바디(410)의 좌측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2안테나(460)에 제2도전체부(462)를 적용한 경우, 측정 영역(R)의 왼쪽 부분(1번 내지 3번 영역)의 전계 분포가 상대적으로 약화됨을 알 수 있다. 즉, 제2도전체부(361)의 적용에 따라 전계 분포가 왼쪽을 향해 쉬프팅(shifging)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안테나(450)의 방사 영역(B)과 제2도전체부(462)가 적용된 제2안테나(460)의 위치를 대응시킴으로써 측정 영역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및 제4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310,410)의 복수 위치에 서브 안테나들이 장착되는 경우, 방사 영역(A,B)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서브 안테나에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도전체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측정 영역에 분포된 제1대역 전파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 듈(181), 조작부(116,117), 영상입력부(115,120), 음향입력부(118),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부(114,123), 센싱유닛(186), 인터페이스(119), 방송 수신 모듈(185), 메모리(184), 전원공급부(125),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2)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17)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영상입력부(115,1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1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14,123)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 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25)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19)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3),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 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보청기 호환성 인증에 규정된 휴대 단말기 주변의 전기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제2안테나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나타내는 도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a 및 8b는 도 7에 도시된 제2도전체부의 적용 전후에 각각 측정된 측정 영역의 전계 분포.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적용된 제2안테나의 VSWR을 나타내는 도표.
도 11a 및 11b는 도 9에 도시된 제2도전체부의 적용 전후에 각각 측정된 측정 영역의 전계 분포.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안테나의 VSWR을 나타내는 도표
도 14a 및 14b는 도 12에 도시된 제2도전체부의 적용 전후에 각각 측정된 측정 영역의 전계 분포.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0)

  1. 일단에 리시버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대역에서 동작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제2대역에서 동작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제2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1도전체부; 및
    상기 리시버 주변의 제1대역의 전계 강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대역의 전파를 공진시킬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갖는 제2도전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상기 리시버가 배치되는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복수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대역은 상기 복수의 대역 중 상기 리시버 주변에 최대 전계 강도를 형성시키는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의 일 부분에는 상기 제1대역의 전파가 방사되는 방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 중 상기 방사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의 제2대역은 블루투스 대역 및 GPS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리시버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의 타측에 배치되며, 블루투스 대역 및 GPS 대역 중 하나이며, 상기 제2대역과 다른 제3대역에서 동작되는 제3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삭제
KR1020090066026A 2009-07-20 2009-07-20 휴대 단말기 KR10159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26A KR101594435B1 (ko) 2009-07-20 2009-07-20 휴대 단말기
US12/781,025 US8462055B2 (en) 2009-07-20 2010-05-17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26A KR101594435B1 (ko) 2009-07-20 2009-07-20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05A KR20110008605A (ko) 2011-01-27
KR101594435B1 true KR101594435B1 (ko) 2016-02-16

Family

ID=4346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26A KR101594435B1 (ko) 2009-07-20 2009-07-20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62055B2 (ko)
KR (1) KR101594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256B1 (ko) * 2019-05-28 2020-07-3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7410B (zh) * 2011-09-19 2015-07-29 惠州硕贝德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提升手机天线与助听器电磁兼容性的方法
CN102694889B (zh) * 2012-06-11 2015-09-16 惠州硕贝德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兼顾小型终端手机天线电磁兼容性和全向辐射功率的方法
US9548535B1 (en) * 2013-03-06 2017-01-17 Amazon Technologies, Inc. Phase-controlled antenna with independent tuning capability
US9584965B2 (en) * 2014-07-25 2017-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roximity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KR102386389B1 (ko) * 2015-10-05 2022-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468A1 (en) 2006-07-07 2008-01-10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311A (ja) * 2000-07-14 2002-03-29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型無線端末
JP2005286895A (ja) * 2004-03-30 2005-10-13 Nec Access Technica Ltd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装置
US7109924B2 (en) * 2004-05-18 2006-09-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band antenna systems including a plurality of separate low-band frequency antennas, wireless terminals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the same
FI119009B (fi) * 2005-10-03 2008-06-13 Pulse Finland Oy Monikaistainen antennijärjestelmä
US7812772B2 (en) * 2007-08-23 2010-10-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Antenna, and associated method, for a multi-band radio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7468A1 (en) 2006-07-07 2008-01-10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256B1 (ko) * 2019-05-28 2020-07-3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62055B2 (en) 2013-06-11
US20110012795A1 (en) 2011-01-20
KR20110008605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64B1 (ko) 휴대 단말기
EP2192652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ductive element coupled to an antenna
KR10162273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44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0700B1 (ko) 이동 단말기
KR101409871B1 (ko) 휴대 단말기
US9293819B2 (en)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8525740B2 (en) Mobile terminal
KR101348211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10416A (ko) 이동 단말기
KR101495161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131750A (ko) 이동 단말기
KR101446702B1 (ko)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CN115693138A (zh) 穿戴式电子设备机芯、外壳及穿戴式电子设备
KR20170052014A (ko) 이동 단말기
KR10136021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30B1 (ko) 멀티 밴드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17907A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3929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53907B1 (ko)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101404744B1 (ko) 루프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19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18208A (ko) 이동 단말기
KR10158709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53152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