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71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871B1 KR101409871B1 KR1020070108001A KR20070108001A KR101409871B1 KR 101409871 B1 KR101409871 B1 KR 101409871B1 KR 1020070108001 A KR1020070108001 A KR 1020070108001A KR 20070108001 A KR20070108001 A KR 20070108001A KR 101409871 B1 KR101409871 B1 KR 1014098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receiver
- circuit board
- rear cas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단말기 바디에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보청기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단에 리시버를 구비한 단말기 바디와 단말기 바디에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청기 사용자들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보청기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등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간섭 현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는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 Hearing Aid Compatibility)을 마련하고, 보청기와 무선 기기 제조사 등에 이를 준수하도록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는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와 휴대 단말기가 서로 장해를 미치지 않고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양립성에 관한 인증 및 평가 항목이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보청기의 텔레 코일(T-coil)에서 감지, 증폭되어 보청기 사용자에 통화 음향이 전달되며, 보청기 호환성 인증에는 이러한 보청기의 자기 반응(magnetic response)의 측정 방법과 규정값이 규정되어 있다.
보청기 호환성 인증(HAC)의 평가 방법의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0)의 일단에는 리시버(11)가 구비되며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11)를 중심으로 5(cm)×5(cm)의 크기를 가지고, 단말기로부터 1(cm)의 높이를 가지는 측정 영역(12)이 마련되고, 측정 영역(12)은 9개의 그리드(13)로 구성된다. 전자파 측정용 프로브(probe)로 각 그리드(13)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값을 측정한 후, 중심부 영역의 그리드(14)을 제외한 8개의 그리드 중 전자파의 양이 가장 많은 세 개의 그리드(13)를 제외한다. 그리고 중심부 영역의 그리드(14)과 나머지 5개의 그리드(13) 중 최대값을 정하여, 이 값이 미리 정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할 것을 요 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설계와 제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준을 통과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 근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리시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보청기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일단에 리시버가 구비된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형성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안테나로부터 연결되는 제1그라운드와, 상기 리시버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상기 리시버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리시버가 일단에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힌지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바디의 힌지에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바디는,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제2바디와 대면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라운드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그라운드는 상기 리어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연결부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에 전파를 방사하는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사부는 상기 리시버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시버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그라운드와 연결되어 리시버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를 구비함으로써 리시버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켜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보청기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그라운드를 제1바디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시키고, 제2그라운드를 리시버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킴으로써 전자파의 방사 영역이 보청기와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곳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음향출력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게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리시버(114)로 통칭하기로 한다.
제2바디(120)는 힌지 연결에 의해 제1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23,124)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5), 음향 입력부(126), 인터페이스(12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2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4)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5)는 영상입력부(115,도 3 참조)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8)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8)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영상 입력부(115)와, 제2디스플레이부(116)가 장착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15)는 본 실시예와 같이 제1바디(1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116)는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기능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13)의 보조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대기 모드에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메세지 수신시 메세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 영상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된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29)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9)는 제1음향출력부(114,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0)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그라운드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100)의 개념도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단말기 바디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나타내며, 화살표의 길이는 전자파의 양을 나타낸다.
제1바디(110)의 일단, 즉 사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리시버(114)가 배치되고, 제2바디(120)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위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31)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바디(110,120)에는 안테나(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부(140)가 형성되며, 그라운드부(140)는 안테나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그라운드(141)와, 제1그라운드(14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142)를 포함한다.
제1그라운드(141)는 안테나(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131)가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안테나(131)와 함께 휴대 단말기 (100)의 외부로 전자파를 방사한다.
제2그라운드(142)는 리시버(114) 주변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들의 일정양을 리시버(114)와 다른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시버(114)로부터 일정 거리(d)로 이격된 위치{이하, '분기점(143)'이라 한다.}에서 제1그라운드(141)와 연결되어 리시버(114)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2그라운드(142)는 제1바디(1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자파를 방사하는 방사부(144)와, 분기점(143)에서 리시버(114)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방사부(144)와 연결되는 그라운드 연결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부(144)는 전자파가 방사되는 방사 영역이 리시버(114)와 최대한 멀어지도록 리시버(114)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그라운드(142)는 방사부(144)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양이 리시버(114) 주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양보다 많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그라운드(141)는 분기점(143)에서 리시버(114) 쪽으로의 전류의 이동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리시버(114) 주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 단말기(100)의 안테나(131)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송수신할 때,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전자파를 방출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파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영역은 안테나(131) 주변이 되며, 안테나(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부(140)에서도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그라운드부(140) 중 단말기 바디의 안테나(131)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많은 양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된다.
음향을 출력하는 리시버(114)가 단말기 바디(120)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리시버(114) 주변에서 많은 양의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며, 리시버(114)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보청기 사용자의 보청기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그라운드(142)를 제1그라운드(141)의 분기점(143)에서 리시버(114)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고, 분기점(143)에서 리시버(114) 쪽으로의 전류의 이동을 최소화함으로써 리시버(114)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념적 설명을 기초로 하여 상기 그라운드부(140)의 구체적 인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제2바디(12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바디(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135)이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135)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부품들이 장착되며, 예를 들면 제1 및 제2조작부(123,124)의 누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내부에 정보를 입력시키는 스위치(136)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5)의 일단에는 안테나(131)가 장착될 수 있다. 안테나(131)는 전도성 재질의 방사체(132)와, 방사체(132)를 안착시키고 지지하는 캐리어(133) 및 방사체(132)와 인쇄회로기판(135)을 연결하여 방사체(132)에 수신된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35)에 공급하는 급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131)를 제2바디(120)의 힌지에 대향하는 단부에 장착시킴으로써, 안테나(131)와 인쇄회로기판(135)의 다른 전자부품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제2바디(120)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제1그라운드(141,도 4 참조)는 안테나(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바디(120)의 전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1그라운드(141)는 인쇄회로기판(135)의 내부 또는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 패턴,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에 부착되는 금속 구조물, 또는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에 도포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도료 등의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제1바디(1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1바디(110)를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제1바디(110)의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0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117)이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117)의 전면에는 제2디스플레이부(116)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7)의 후면의 일단에는 리시버(114, 도 4참조)가 장착된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디스플레이부(116)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118)이 형성되며, 설치홀(118)의 하측에는 제2그라운드(142)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그라운드(142)는 방사부(144)와 그라운드 연결부(145)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사부(144)는 리어 케이스(112)의 표면에 일정 영역을 형성시키도록 전도성 재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방사부는 전도성 재질로서 리어 케이스(112)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도록 배치되며, 예를 들면 방사부(144)는 금속 재질의 박막 또는 필름, EMI 도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부(144)가 위치하는 영역은 리시버(114)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연결부(145)는 인쇄회로기판(117)과 연결되도록 방사부(144)의 일영역에서 리어 케이스(112)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7)에 장착된 제2디스플레이부(116)의 하측에는 커넥터(134)가 장착될 수 있으며, 커넥터(134)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135))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135)은 힌지 연결부(136)를 통하여 제2바디(12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35, 도 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34)에는 리어 케이스(112)의 그라운드 연결부(145)와 접촉되는 그라 운드 접촉부(146)를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제2그라운드(140)의 방사부(144)와 제1그라운드(141,도 4 참조)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 접촉부(146)는 도 4의 분기점(143)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제1그라운드(141)는 인쇄회로기판(117)의 내부 또는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 패턴, 프론트 케이스(111)에 부착되는 금속 구조물, 또는 프론트 케이스(121)에 도포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도료 등의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리시버(114)가 위치한 영역과 그 주변의 영역에는 전도성 재질의 구조가 최소한 작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34)는 리시버(114)가 위치한 방향으로 최소한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의 전면에는 리어 케이스(112)의 전면과 제2그라운드(144)를 덮는 커버(15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커버(151)에는 제2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창(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그라운드(144)를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면의 반대 방향에 형성시킴으로써 전자파가 사용자의 얼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200)를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200)는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210)를 포함하며, 단말기 바디(210)는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 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케이스(211)의 일단에는 리시버(213)가 장착되며, 프론트 케이스에는 그 밖에 디스플레이부(214), 제1영상입력부(216) 및 제1조작부(217)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1) 또는 리어 케이스(2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조작부(218), 음향 입력부(215), 인터페이스(219), 및 전원 공급부(220)가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2)에는 제2영상입력부(221)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영상입력부(221)는 제1영상입력부(216)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2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2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11)와 거울부(223)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22)는 제2영상입력부(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223)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1)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230)이 장착 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30)의 일단에는 안테나(231)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그라운드부는 제1실시예에서의 그라운드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의 제2그라운드(242)는 단말기 바디(210)의 리어 케이스(212)에 형성된다.
제2그라운드(242)는 단말기 바디(210)의 외부로 전자파를 방사하는 방사부(244)와, 방사부(244)와 제1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부(244)는 리어 케이스(212)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전원 공급부(2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방사부(244)가 위치하는 영역은 리시버(213)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라운드 연결부(245)는 인쇄회로기판(230)과 접촉되도록 방사부(244)의 일영역에서 리어 케이스(2112)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30)의 리어 케이스(212)를 향하는 면에는 그라운드 접촉부(2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라운드 접촉부(246)는 그라운드 연결부(245)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212)에는 방사부(244)를 덮는 커버(25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그라운드부의 작용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폴더 타입(folder-type)과 바 타입(bar-type)의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슬라이드 타입(slide-type), 스위블 타입(swivel-type), 스윙 타입(swing-typw)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개념도.
도 5는 제2바디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바디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1바디를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Claims (11)
- 프론트 케이스 및 프론트 케이스와 연결되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안테나;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고, 리시버;상기 단말기 바디에 형성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상기 그라운드부는,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리시버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및상기 제1그라운드 상의 기 설정된 분기점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를 포함하고,상기 제2 그라운드는,외부에 전파를 방사하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부와 이격되며, 상기 분기점을 기준으로 상기 리시버와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부; 및상기 제1 그라운드부와 상기 방사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라운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상기 리시버가 일단에 구비되는 제1바디; 및힌지에 의해 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바디의 힌지에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리시버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되는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2 바디에 장착되는 제2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제2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장착되며,상기 커넥터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와 그라운드 접촉되는 그라운드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사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부착되는 전도성 재질의 필름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도포되는 EMI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프론트 케이스 및 프론트 케이스와 연결되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안테나;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리시버;상기 단말기 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회로기판;상기 단말기 바디에 형성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상기 그라운드부는,상기 안테나로부터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및상기 리시버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상기 리어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2 그라운드를 포함하고.상기 제2 그라운드는,외부에 전파를 방사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와 이격되며 상기 리어 케이스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방사부; 및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방사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방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상기 방사부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로부터 상기 리시버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8001A KR101409871B1 (ko) | 2007-10-25 | 2007-10-25 | 휴대 단말기 |
US12/244,620 US8228240B2 (en) | 2007-10-25 | 2008-10-02 |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8001A KR101409871B1 (ko) | 2007-10-25 | 2007-10-25 |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2094A KR20090042094A (ko) | 2009-04-29 |
KR101409871B1 true KR101409871B1 (ko) | 2014-06-20 |
Family
ID=4058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8001A KR101409871B1 (ko) | 2007-10-25 | 2007-10-25 |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228240B2 (ko) |
KR (1) | KR1014098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390943B (zh) * | 2009-06-15 | 2013-03-21 | Htc Corp | 手持式電子裝置 |
CN101924803B (zh) * | 2009-06-16 | 2012-12-19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手持式电子装置 |
KR101589209B1 (ko) * | 2009-08-28 | 2016-02-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접지 구조 |
KR101631941B1 (ko) * | 2009-12-07 | 2016-06-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8462968B2 (en) | 2010-06-18 | 2013-06-11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hared coil for inductive charging and hearing-aid-compliance requirements in mobile phones |
KR101246752B1 (ko) * | 2011-09-28 | 2013-03-2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전자파 감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KR101318877B1 (ko) * | 2011-10-14 | 2013-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
TWI523322B (zh) * | 2012-04-02 | 2016-02-21 | 宏碁股份有限公司 | 通訊裝置 |
WO2013165421A1 (en) * | 2012-05-03 | 2013-11-07 | Intel Corporation | Modular antenna for near field coupling integration into metallic chassis devices |
KR102015577B1 (ko) * | 2012-11-01 | 2019-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테나 캐리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07283A1 (en) * | 2003-07-11 | 2005-01-13 | Young-Min Jo | Apparatus for reducing ground effects in a folder-typ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09582B (en) * | 2003-12-24 | 2007-04-18 | Nokia Corp |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US7482982B2 (en) * | 2004-10-13 | 2009-01-27 | Kyocera Wireless Corp. | Multipart cas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multiple groundplane connectors |
US7012571B1 (en) * | 2004-10-13 | 2006-03-14 | Kyocera Wireless Corp. | Multiple ground plane section antenna systems and methods |
US7199762B2 (en) * | 2005-08-24 | 2007-04-03 | Motorola Inc. | Wireless device with distributed load |
US7362275B2 (en) * | 2006-02-14 | 2008-04-22 | Palm, Inc. | Internal antenna and motherboard architecture |
JP4724084B2 (ja) * | 2006-09-28 | 2011-07-13 | 株式会社東芝 | 携帯無線装置 |
-
2007
- 2007-10-25 KR KR1020070108001A patent/KR1014098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10-02 US US12/244,620 patent/US822824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07283A1 (en) * | 2003-07-11 | 2005-01-13 | Young-Min Jo | Apparatus for reducing ground effects in a folder-typ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228240B2 (en) | 2012-07-24 |
US20090111541A1 (en) | 2009-04-30 |
KR20090042094A (ko) | 2009-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987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5276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3450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86752B1 (ko) | 이동 단말기 | |
ES2585752T3 (es) | Terminal portátil | |
KR10143799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13953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0700B1 (ko) | 이동 단말기 | |
US20100279694A1 (en) |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 |
KR20110062100A (ko)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56258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48211B1 (ko) | 휴대 단말기 | |
JP2007143086A (ja) | 無線通信端末 | |
KR10165902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9516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04743B1 (ko) |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 |
KR101561912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마이크 노이즈 저감방법 | |
KR10147444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3797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04749B1 (ko)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 |
KR101484537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0475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13630B1 (ko) | 멀티 밴드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1361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89536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