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941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941B1
KR101631941B1 KR1020090120785A KR20090120785A KR101631941B1 KR 101631941 B1 KR101631941 B1 KR 101631941B1 KR 1020090120785 A KR1020090120785 A KR 1020090120785A KR 20090120785 A KR20090120785 A KR 20090120785A KR 101631941 B1 KR101631941 B1 KR 10163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ntenna
control pin
mobile termina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274A (ko
Inventor
박경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9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SAR 저감 구조가 제시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갖는 제1바디; 상기 제1힌지부와 동축(同軸) 상에 정렬되는 제2힌지부를 갖는 제2바디; 일단은 상기 제1힌지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힌지부에 삽입되는 축연결부 및, 상기 축연결부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연결부와 축지지부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의 방사시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의 방사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의 공진길이보다 길게 연장하는 도전성의 방사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SAR 저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여 처리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는 RF(Radio Frequency) 부품들을 포함한다. 그런데, RF 부품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 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수치화하기 위하여 전자파 비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io; SAR)을 도입하고, 기준치 이하의 휴대 단말기만이 생산 및 사용되도록 권장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SAR 저감방식은 안테나 패턴의 수정을 통한 TRP(Total Radiated Power)를 줄여서 원하는 성능으로 맞추는 것이었다. 그러나, 안테나 패턴의 수정으로 인한 개발 비용의 증가와 인건비, 사출물의 수정에 의한 재료비 상승 등의 문제가 수반된다.
이와 달리, 기구 케이스에 도전체 증착(sputtering)을 함에 의하여 SAR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시도도 있으나, 증착 작업이라는 추가 작업 및 저항치의 관리 면에서 편차의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이동 단말기의 대표적인 기구 형태 중의 하나인 폴더 타입, 즉, 어느 한 바디가 다른 한 바디에 대하여 회전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형태는 바디와 바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연결부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힌지연결부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은데, 힌지연결부는 SAR를 관리해야 하는 측면에서 그 위치 또는 형태가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도전 금속성 힌지연결부의 구조 또는 형상과 관련되어 안테나 패턴을 수정하지 않고도 SAR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갖는 제1바디; 상기 제1힌지부와 동축(同軸) 상에 정렬되는 제2힌지부를 갖는 제2바디; 일단은 상기 제1힌지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힌지부에 삽입되는 축연결부 및, 상기 축연결부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연결부와 축지지부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의 방사시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의 방사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의 공진길이보다 길게 연장하는 도전성의 방사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조절부는,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제1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힌지 연장부; 및 상기 힌지 연장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바디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콘트롤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연장부는 상기 제1바디의 상면의 좌우 양쪽 테두리부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힌지 연장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힌지 연장부는 다이캐스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트롤핀은 금속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연장부와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트롤핀와 힌지 연장부 사이에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직접 프린팅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힌지 연장부에 대하여 90도로 절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제1바디를 이루는 케이스의 내면에 도전성 금속의 증착(sputtering)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바디의 상기 제1힌지부보다 먼쪽에 배치되고,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안테나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축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바디에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한 쌍의 스크루 체결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바디는, 그 테두리가 상기 힌지 연장 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도전성의 금속 힌지연결부에 방사조절부를 연결시킴으로써 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체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방사(radiation)가 발생하는 위치를 힌지연결부의 이외의 지점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 방사위치의 변화는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닿기 쉬운 부분인 힌지연결부를 피함으로써 SAR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에 의하여도 내장 안테나의 성능은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안테나의 패턴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사조절부는 금속성의 힌지연결부에 의하여 안테나가 받는 영향을 간단히 조절하는 것이므로, 조작이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이동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이동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제1바 디(200)에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3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바디(200)와 제2바디(300)는 축방향으로 맞대어져 있는 각각의 힌지부(250,350)를 포함하고 있다. 제1바디(200)의 제1힌지부(250)와 제2바디(300)이 제2힌지부(350)는 하나의 축상에 배치됨으로서 서로에 대하여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30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 즉 제1및 제2바디(300)가 포개어지는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및 제2바디(3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 제1및 제2바디(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및 제2바디(200,300)의 일면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이동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내측 케이스(201)와 외측 케이스(202)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케이스(201)와 외측 케이스(2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내측 케이스(201)와 외측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 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300)도 내측 케이스(301)와 외측 케이스(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노출되는 제2바디(300)의 외측표면에는 제1디스플레이부(310)와 제1음향출력부(3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3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의 각종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312)는 닫힌 상태에서도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제1바디(200)의 외측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노출되는 제2바디(300)의 내측표면에는 제2디스플레이부(315)와 제2음향출력부(3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315) 역시 제1디스플레이부(3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감지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310,315)와 음향출력부(312,313)와 같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출력 외에 적절한 출력수단 진동발생부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음향출력부(313)는 이동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통화모드로 활용되는 경우 통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로 기능하거나, 각종 시스템 알림음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노출되는 제1바디(200)의 내측 표면에는 키패드(220) 및 마이크(210)가 설치된다.
키패드(220)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고 있으며, 영역적으로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부분(221)과 각종 기능들을 직접 실행시키는 부분(223)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도 2와 같이 이른바 '쿼티(qwerty)자판'을 이룰 수 있다. 키패드(220)를 이루는 각 키의 내부에는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러한 스위치는 푸시방식으로 동작하거나 터치와 같은 작은 압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타입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210)는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해 또는 녹음이나 동영상의 녹화시 음성을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마이크(210)는 그 위치면에 있어서, 도 2와 달리, 키패드(220)를 이루는 어느 키와 인접 키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1바디(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의하면, 제2바디(300)의 제2힌지부(350) 상에는 카메라(317)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317)는 제2바디(3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카메라(317)는 후방을 지향하도록 하고, 도 2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카메라(317)는 전방을 지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317)은 제2바디(300)의 다른 부품들과 같이 제1바디(200)와 제2바디(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 즉 연결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씨비에 의하여 제1바디(200)에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317)의 설치 위치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바디(300)의 다른 부분 또는 제1바디(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측면에는 인터페이스부(215) 또는 사이드키(213)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키(213)는 카메라(317)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220)와 함께 사용자 입력부를 이룬다.
인터페이스부(2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1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바디들(200,30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바디들(200,300)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한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금속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를 이루는 각 바디(200,300)는 복수의 케이스로 분해될 수 있다.
제1바디(200)는 내측케이스(201)와 외측케이스(202)를 포함하고 있으며, 내측케이스(201)와 외측케이스(202) 사이에는 제1힌지부(250) 및 회로기판(205) 등이 설치된다.
제1힌지부(250)는 원통형의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힌지부(250)의 내부공간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30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인 힌지연결부(400)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전체적으로 힌지연결부(400)는 일단부가 제1힌지부(250)에 삽입되는 축연결부(410)와 축연결부(41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지지부(420)로 구성되어 있다. 축연결부(410)의 타단부는 제2바디(300)의 제2힌지부(350)에 삽입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연결부(410)의 일단부(411)는 제1힌지부(250)에 삽입되어 있는 대신 제1힌지부(250)에 대하여 상대회전되지는 않으며, 축연결부(410)의 타단부(412) 역시 제2힌지부(350)에 삽입되어 있는 대신 제2힌지부(350)에 대하여 상대회전되지는 않는다. 축연결부(410)의 일단부(411)와 타단부(412) 사이에는 상대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그러한 구성은 알려져 있는 요소들(예: 금속 스 프링, 금속 캠)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축연결부(410)의 일단부(411)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금속성의 제1힌지부(25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대신, 축연결부(410)의 타단부(412)는 축지지부(420)에 의하여 제2바디(30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2힌지부(350)의 내부에 위에서 설명한 카메라(317)와 같은 요소들이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축연결부(410)의 타단부(412)를 축지지부(420)를 통하여 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축지지부(420)는 제2바디(300)의 외측케이스(402)에 직접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스크루홀(421)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루홀(421)은 보다 강한 고정력을 얻기 위하여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제2바디(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연결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씨비는 축연결부(410)와 축지지부(420)를 통과하여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축연결부(410)와 축지지부(420)에는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씨비의 통과홀들(상세히 도지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다시, 제1힌지부(2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힌지부(250)는 내측 케이스(301)와 외측 케이스(302)에 직접 형성되는 제2바디(300)의 제2힌지부(350)와 달리, 제1바디(200)의 내측 케이스(201) 및 외측 케이스(202)와 별도로 마련된다. 그러한 제1힌지부(250)는 힌지연결부(400)의 축연결부(4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 및 내마모성이 높은 다이캐스팅 금속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힌지연결부(400)를 이루는 재질 역시 다이캐스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부(250)는 내측 케이스(201) 및 외측 케이스(202)와의 고정을 위하여 제1바디(200)의 적어도 일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힌지 연장부(2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의하면, 힌지 연장부(270)는 제1바디(200)의 상면의 좌우측 테두리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 연장부(270)는 제1힌지부(250)의 형성시 함께 성형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3에 의하면, 힌지 연장부(270)는 제1바디(20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고 있다. 외측 케이스(202)의 결합을 위하여 내측 케이스(201)의 테두리 부분은 힌지 연장부(270)의 상부에 얹혀진다. 힌지 연장부(270)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부(25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나, 외관을 고려하여 제1바디(200)의 거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안테나(240)의 무선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힌지 연장부(270)는 안테나(240)가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제거된다.
제1힌지부(250) 및 힌지 연장부(270)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기에 제1바디(200)의 내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250)는 제1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안테나(240)의 방사와 관련될 수 있다. 즉, 안테나(240)의 동작시 제1힌지부(250)에 흐르는 표면 전류에 의하여 방사를 야기하게 되고, 그러한 방사는 적절한 공진 길이를 충족시키는 위치 또는 부위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만약, 도 5와 같이, 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는 제1힌지부(250)에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금속성의 제1힌지부(250) 또는 제1힌지부(250) 에 연결된 금속성의 힌지연결부(400)가 갖는 길이(L; 도 4 참조)에 의하여 일어나는 방사(radiation)는 그대로 사용자에게 흡수될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바디(200)에는 안테나(240)의 방사시 제1힌지부(250)로부터의 방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안테나(240)의 공진길이보다 길게 연장하는 도전성의 방사조절부(260)를 포함한다.
방사조절부(260)는, 도 3에 의하면, 힌지 연장부(270) 및 힌지 연장부(270)의 단부에 연결되는 콘트롤핀(280)을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콘트롤핀(280)은 힌지 연장부(270)의 단부에서 안테나(240)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힌지 연장부(270)가 갖는 길이를 충분히 연장시킨다. 콘트롤핀(280)은 사용자의 신체와 가장 근접할 수 있는 부분인 제1힌지부(250)에서 방사가 집중되는 것을 막고 가급적 신체가 쉽게 닿지 않는 부분에 방사가 유발되도록 한다.
도 3에 의하면, 콘트롤핀(280)은 힌지 연장부(270)의 단부에 형성된 스크루홀(271)에 스크루(290)에 의하여 체결되고 있다. 스크루(290)는 회로기판(205)의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힌지 연장부(270)는 스크루(290)에 의하여 회로기판(205)의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스크루(290)에 의하여 고정되고 연장된 콘트롤핀(280) 힌지 연장부(270)이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안테나(240)의 공진길이를 증가시킨다. 콘트롤핀(280)은 금속 스트립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콘트롤핀(280)은 회로기판(205)에 동박과 같은 금속 프린팅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트롤핀(280)의 제작을 위한 비용이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위치면에 있어서, 콘트롤핀(280)은 안테나(240)가 위치된 영역과 겹쳐지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 안테나(240)는 그 패턴이나 도전체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콘트롤핀(280)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전체를 지지하는 유전체 캐리어가 위치되므로, 콘트롤핀(280)에 의하여 안테나(240)의 방사체가 받는 영향은 매우 작다. 이에 따라, 콘트롤핀(280)은 안테나(240)의 무선품질(예: 3D TRP)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여 인체가 흡수하는 전자파의 양(SAR)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콘트롤핀(280)은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 SAR의 규격을 맞추기 위해 안테나의 패턴을 수정하거나,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의하여 차폐하거나, 케이스의 표면에 도막을 증착시키는 것과 같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수정 작업이 없이, 엔지니어로 하여금 간단히 기구적인 조치만으로 SAR와 3D TRP의 최적점을 추구할 수 있게끔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한 최적점을 추구하기 위해 콘트롤핀(280)의 길이(ℓ: 도 4참조)가 조절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콘트롤핀(280)의 길이에 따른 2D TX 무선 파워와 SAR의 성능 관계를 보인 도표이다.
Metal
Length [mm]
DCN 384CH
2D TX Power
SAR (1g)
2 23.8 1.78
4 23.7 1.63
6 23.5 1.56
8 23.2 1.43
10 23.0 1.38
12 22.9 1.31
14 22.7 1.24
16 22.5 1.13
18 22.1 0.94
20 21.9 0.82
22 21.4 0.74
24 20.0 0.63
26 19.0 0.52
표 1과 같이 콘트롤핀(280)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SAR는 감소하고, 2D TX 파워도 줄어듦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엔지니어는 최적의 SAR와 TRP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절한 콘트롤핀의 길이를 채택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와 표 3은 각각 콘트롤핀의 최적 길이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무선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 2는 콘트롤핀의 적용 전이고 표 3은 적용 후를 보인 것이다.
Origianal Mode Channel 2D Close 2D Open SAR
DCN 1011 102.3/20.08 106.5/23.26 1.78
  384 102.8/20.64 106.8/22.54 1.54
  779 98.53/20.06 103/22.93 1.69
US-PCS 25 101.4/16.49 103/18.83  
  600 101.8/17.63 103.7/19.91  
  1175 99.45/18.41 101.3/20.15  
최적
길이 적용
Mode Channel 2D Close 2D Open SAR
DCN 1011 103.5/20.43 105.7/22.16 1.03
  384 104.2/20.41 106.7/21.09 0.98
  779 100.5/20.48 102.5/22.00 1.13
US-PCS 25 101.9/16.29 103.8/19.04  
  600 103.1/17.34 104.4/19.72  
  1175 100.9/18.80 101.9/20.65  
표 2와 표 3과 같이, 안테나가 위치하는 부분에 콘트롤핀(280)이 배치되어도 방사시 2D 감도 및 파워에는 큰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거의 동등한 무선 성능이 구현된다. 그에 반해, 길이 조정을 통해, SAR성능은 피크(peak)인 1.78에서 1.13으로 0.35mW/kg 이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무선특성 중 안테나이득(gain)과 관련하여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 대역에 따라 보인 것이다. 표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콘트롤핀(280)을 포함하는 방사조절부(26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있는 경우에도 안테나의 전체 성능은 변화가 없다.
ITEM DCN GPS US-PCS
방사조절부 유무 닫힘/열림 824 849 869 894 1575 1850 1910 1930 1990
닫힘 -7.36 -6.47 -7.23 -8.84 -6.47 -7.19 -6.62 -7.09 -8.92
닫힘 -7.59 -6.58 -7.41 -9.15 -6.8 -7.85 -6.37 -6.5 -8.19
열림 -4.09 -3.19 -2.85 -2.81 -4.52 -3.31 -3.07 -3.03 -3.64
열림 -4.26 -3.27 -2.89 -3.07 -7.89 -3.62 -3 -2.81 -3.38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도 1은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금속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13)

  1.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갖는 제1바디;
    상기 제1힌지부와 동축(同軸) 상에 정렬되는 제2힌지부를 갖는 제2바디;
    일단은 상기 제1힌지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2힌지부에 삽입되는 축연결부 및, 상기 축연결부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연결부와 축지지부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의 방사시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의 방사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의 공진길이보다 길게 연장하는 도전성의 방사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조절부는,
    상기 제1힌지부로부터 제1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하는 힌지 연장부; 및
    상기 힌지 연장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바디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콘트롤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장부는 상기 제1바디의 상면의 좌우 양쪽 테두리부쪽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힌지 연장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힌지 연장부는 다이캐스팅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핀은 금속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연장부와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핀와 힌지 연장부 사이에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직접 프린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힌지 연장부에 대하여 90도로 절곡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제1바디를 이루는 케이스의 내면에 도전성 금속의 증착(sputtering)에 의하여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바디의 상기 제1힌지부보다 먼쪽에 배치되고, 상기 콘트롤핀은 상기 안테나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바디에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한 쌍의 스크루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그 테두리가 상기 힌지 연장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120785A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KR10163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85A KR101631941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85A KR101631941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74A KR20110064274A (ko) 2011-06-15
KR101631941B1 true KR101631941B1 (ko) 2016-06-20

Family

ID=4439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785A KR101631941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586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3149B2 (en) 2020-07-31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12B1 (ko) 2005-11-17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폴더형 힌지장치 및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KR100758633B1 (ko) 2006-06-20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514A (ko) * 2006-12-13 200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KR101409871B1 (ko) * 2007-10-25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12B1 (ko) 2005-11-17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폴더형 힌지장치 및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KR100758633B1 (ko) 2006-06-20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586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58673B2 (en) 2019-01-25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device
KR102606484B1 (ko) * 2019-01-25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74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515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941116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tenna assembly with floating director elements on flexible substrate and related methods
US7183983B2 (en) Dual-layer antenna and method
KR100908188B1 (ko)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KR100652620B1 (ko)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1011743B1 (ko) 도전성이며 전기적으로 플로팅된 빔 성형 소자를 포함한이동 무선 통신 장치 및 관련 방법
US20130285868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tenna assembly with antenna element and floating director element on flexible substrate and related methods
JP2002368850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KR20100049643A (ko) 핸드헬드 전자 장치용 안테나
US7187959B2 (en) Antenna structure for devices with conductive chassis
US20080129644A1 (en) Built-in type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JP4312100B2 (ja) 携帯通信端末
KR101036541B1 (ko) 가요성 기판 상에 안테나 소자와 플로팅 지향 소자를 갖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 안테나 어셈블리 및 관련 방법
KR101631941B1 (ko) 이동 단말기
US20100231458A1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KR10081924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40100057A (ko) 이동통신기기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기기
JP2011176604A (ja) 携帯端末
KR20060072265A (ko) 커버 교체형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