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198A -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198A
KR20000002198A KR1019980022801A KR19980022801A KR20000002198A KR 20000002198 A KR20000002198 A KR 20000002198A KR 1019980022801 A KR1019980022801 A KR 1019980022801A KR 19980022801 A KR19980022801 A KR 19980022801A KR 20000002198 A KR20000002198 A KR 2000000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carrier
power line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512B1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101998002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512B1/ko
Priority to US09/485,065 priority patent/US6750781B1/en
Priority to EP99929910A priority patent/EP1002378B1/en
Priority to PCT/KR1999/000314 priority patent/WO1999066655A1/en
Publication of KR2000000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7Wired teleph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방법을 이용하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시 단일 전력선상에서 많은 제어기기들을 양 방향 제어시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하여 데이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송하여 제어기기를 정확하게 제어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 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시 각각의 제어 대상기기에 연결된 송수신제어수단으로부터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들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시, 전송 데이터를 시간지연시켜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방법을 이용하는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전력선상에서 많은 제어기기들을 양 방향으로 제어할 때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하여 데이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송하여 제어기기를 정확하게 제어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기기 또는 장치(시스템)들을 원격조정하기 위하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제어방법이 그 편리성으로 인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전력선 제어방법으로는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상의 전력신호의 제로크로스포인트에서 캐리어를 전력선 상에 반송하는 방법을 택하여 전력선 상의 전력신호 노이즈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통신 데이터의 비트 단위의 표현을 전원 주파수의 1 사이클 내지 2개의 제로포인트로 나타나게 하여 ½ 사이클마다의 캐리어 위치에 따라 데이터 비트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예로서, 캐리어가 있을 때를 "ON", 캐리어가 없을 때를 "OFF"로 하면, 데이터 비트 "1"은 캐리어의 ON→OFF로, "0"은 캐리어의 OFF→ON으로 표현한다. 도 4B의 파형도는 데이터 "10011"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제어기를 연결시 2개 이상의 송신제어기가 동시에 제어데이터 송신을 시도할 경우에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상으로 출력된 2개 이상의 데이터는 서로 중첩되어 전혀 다른 데이터로 바뀌거나 데이터 충돌로 인한 데이터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력선 통신시에 발생할 수 있는 2개 이상 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주제어기(MASTER)를 두어 각 부제어기들(송신기 1,2,3……)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게 하는 폴링(POLLING)제어방법을 사용하거나 도 2의 C와 같이 1개의 송신제어기(MASTER)에 다수의 수신제어기를 두어 단 방향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에 있어서, 도 2B의 폴링제어방법은 원격제어하여야할 기기의 수가 많아질수록 각 송신제어기들과의 데이터 통신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여 실시간 제어처리가 불가능하게 되어 전력선 통신에서는 실용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양 방향 전력선 통신방법은 실용화되어 있지 않으며, 실제 이용은 도 2의 C와 같이 단 방향 전력선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1개의 주송신제어기와 다수의 수신제어기로 구성하여 기기들을 원격제어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1개의 주송신제어기를 가진 기기가 위치한 장소에서만 여타 기기를 제어할 수밖에 없게 되어 편의성이 주목적인 홈오토메이션시스템 등에 적용시에 원격제어의 의미를 반감시켜 이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에 있어서, 양 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어느 위치에서나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들을 자유자재로 제어가능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시에 2개 이상 다수의 송수신제어기 들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출력하여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송수신제어기들 간의 데이터를 에러없이 안전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충돌 검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시에 2개 이상의 다수의 송수신제어기 들에서 동시에 데이터가 출력되어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력선 반송식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데이터의 전송시, 각각의 제어 대상 기기에 연결된 송수신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들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시,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지연시켜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송신 데이터가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를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는 단계와, 전력신호로부터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전력선 상으로 전원의 제로크로스포인트와 동기하여 캐리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전송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캐리어 신호로부터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검파하는 단계와, 제로크로스 포인트 검출신호와 검파된 수신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와, 수신 데이터 신호와 입력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송신 데이터가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를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는 단계와, 전력신호로부터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전력선 상으로 전원의 제로크로스포인트와 동기하여 캐리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의 충돌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방법에 있어서, 충돌이 발생한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전송하기 위한방법이, 데이터 충돌을 검출시에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와, 충돌 검출시 충돌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충돌 횟수를 지수(P)로 하여 연산식(2p- 1)을 연산한 연산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난수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연산데이터 출력신호를 난수데이터 신호로 마스킹하여 지연상수(T)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지연상수(T), 제어 데이터 비스투 및 전원 주파수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연산식(T × 제어데이터비트수 × 전원주파수)을 이용하여 지연시간(N)을 연산하여 지연시간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를 지연시켜 재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시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스위치, 센서 등으로부터의 입력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와, 전력선으로부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신호의 제로-크로스 포인트(Zero-Cross Point)를 검출하여 제어데이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로크로스 검출부와,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제어데이터 신호를 받아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와, 제로크로스 검출부로부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와 데이터 변환부로 부터의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동기화부와,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데이터 변환부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선으로 출력하거나 전력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와,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받아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캐리어 검출부와, 제로크로스 검출부로부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와 캐리어 검출부로 부터의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 수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동기화부와, 궤환되어 온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신호와 데이터 입력부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송수신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간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충돌 검출수단과; 데이터 비교부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충돌의 발생시 마다 충돌 횟수를 카운트하여 충돌 횟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충돌 횟수 카운터부와, 충돌 횟수 데이터(p) 신호를 받아 연산식(2p- 1)을 연산하여 연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부와, 프리 런닝 타이머(Free Running Timer)에 의해 난수를 발생하기 위한 난수 발생기부와, 난수 데이터 신호와 연산부로부터의 연산 출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난수 신호를 연산 데이터 신호에 마스킹하여 난수에 따른 하나의 임의 지연상수(T)를 출력하기 위한 마스크부와, 마스크부로부터의 지연상수(T)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연산식(T × 제어데이터비트수 × 60Hz)에 따라서 연산하여 지연시간(N)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시간 연산부와, 지연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 지연신호를 데이터 입력부로 출력하여 제어 데이터 신호의 출력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지연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 재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장치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적용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HA) 시스템의 개요도,
도 2의 (A) (B) (C)는 종래의 전력선 통신 제어방법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 방향 전력선 통신 제어방법의 예시도,
도 4의 (A) (B)는 전력선 반송식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을 구체화한 제어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6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충돌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데이터 충돌 검출수단 11 : 제로크로스 검출부
12 : 데이터 송수신부 13 : 데이터 입력부
14 : 데이터 변환부 15 : 캐리어 검출부
16,18 : 동기화부 17 : 데이터 비교부
20,20' : 제어 데이터 재송신수단 21 : 충돌 횟수 카운터부
22 : 연산부 23 : 난수발생기부
24 : 마스크부 25 : 지연시간 연산부
26 : 지연 회로부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장치의 회로 블록도로서, 제어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스위치, 센서 등으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3)와, 전력선으로부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신호의 제로-크로스 포인트(Zero-Cross Point)를 검출하기 위한 제로크로스 검출부(11)와, 데이터 입력부(13)에 연결되어 제어 데이터 신호를 받아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14)와, 제로크로스 검출부(11)로부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와 데이터 변환부(14)로 부터의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동기화부(16)와,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데이터 변환부(14)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선으로 출력하거나 전력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12)와, 데이터 송수신부(12)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받아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캐리어 검출부(15)와, 제로크로스 검출부(11)로부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와 캐리어 검출부(15)로부터의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 수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동기화부(18)와, 궤환되어온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신호와 데이터 입력부(13)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송수신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데이터간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17)와, 데이터 비교부(1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충돌의 발생시 마다 충돌 횟수를 카운트하여 충돌 횟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충돌 횟수 카운터부(21)와, 충돌 횟수 데이터(p) 신호를 받아 연산식(2p- 1)을 연산하여 연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부(22)와, 프리 런닝 타이머(Free Running Timer)에 의해 난수를 발생하기 위한 난수 발생기부(23)와, 난수 데이터 신호와 연산부(22)로부터의 연산 출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난수 신호를 연산 데이터 신호에 마스킹하여 난수에 따른 하나의 임의 자연상수(T)를 출력하기 위한 마스크부(24)와, 마스크부(24)로부터의 지연상수(T) 데이터를 입력 받아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연산식(T × 제어데이터비트수 × 60Hz)에 따라서 연산하여 지연시간(N)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시간 연산부(25)와, 지연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지연신호를 데이터입력부(13)로 출력하여 제어 데이터 신호의 출력을 일정 시간동안 지연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지연회로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도 이다.
시스템이 시작되면, 초기화하여, 직외선 리모콘, 스위치, 센서부 등의 송신 데이터가 있는 가를 판단하여 충돌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를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는 단계와, 전력신호로부터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여 전력선 상으로 전원의 제로크로스포인트와 동기하여 캐리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 캐리어 신호를 궤환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캐리어 신호로부터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검파하는 단계와, 수신 데이터 신호와 궤환 입력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충돌 카운터를 "1" 증가시키는 단계와, 충돌 횟수를 지수(P)로 하여 연산식(2p- 1)을 연산하여 난수 데이터로 마스킹하여 지연상수(T)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지연상수(T), 데이터 비트수 및 전원 주파수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지연시간(N)을 연산하여 지연시간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를 지연시켜 재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시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송신 데이터와 궤환 수신된 데이터가 동일하면 서로 다른 송수신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데이터간의 충돌없이 안전하게 제어 데이터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의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를 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송수신 제어기1,2가 동시에 각각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시에, 각각의 데이터 입력부(12)들로부터 출력된 DATA1과 DATA2는 데이터 변환부(14)에서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되어 제로크로스 검출부(11)와 제1 동기화부(16)를 이용하여 전력신호의 제로크로스 포인트 펄스와 합성되어 데이터 송수신부(12)를 통해 전력선상의 제로크로스 포인트와 동기화된 캐리어 데이터 신호를 전력선 상으로 출력한다.
동시에 출력된 캐리어 데이터1,2는 도 6의 전력선 상의 신호 파형도와 같이 전력선 상에 같이 존재하게 되는 데, 이때 신호의 중첩에 의한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기들이 데이터 송신시 제어 데이터간의 충돌이 발생하면, 전력선 상에는 1싸이클 내에 2개의 제로크로스 포인트에서 모두 캐리어가 존재하게 된다.
충돌된 데이터는 각 송수신 제어기의 데이터 송수신부(12)로 궤환 수신되고 캐리어 검출부(15)를 통해 반송파만 검출된다.
검출된 궤환 데이터는 제2 동기화부(18)에서 제로크로스 동기화되어 데이터 비교부(17)로 출력된다.
데이터 비교부(17)는 원래의 송신 제어 데이터와 궤환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각 제어기로부터의 데이터 간의 충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데이터의 전송을 준비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데이터간의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고 재전송 준비를 한다.
데이터의 재전송은 먼저 데이터 비교부(17)로부터의 출력신호(CD-OUT)를 충돌 횟수 카운터부(21)를 통해 충돌 횟수(P)를 카운트하여 연산부(22)의 입력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연산부(22)에서는 충돌 횟수(P)를 변수로 하여 연산식(2p- 1)을 연산하며, 이렇게 연산된 연산값 데이터는 난수 발생기부(23)로 부터의 난수 데이터에 의해 마스크부(24)를 통해 마스킹되어 임의의 지연상수(T)를 생성한다.
지연시간 연산부(25)에서는 지연상수(T)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연산식(T × 제어데이터비트수 × 60Hz)에 따라 연산하여 지연시간(N) 데이터를 지연회로부(26)로 출력한다.
지연회로부(26)에서는 지연시간(N)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된 지연 시간만큼 시간 지연을 한 후에 데이터 입력부(13)로 재전송 시작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 입력부(1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상으로 재 전송하게 한다.
재전송 시작신호를 입력받은 데이터 입력부(13)는 충돌이 발생한 제어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되는데, 재전송은 안전하게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지연시간 연산방법은 데이터의 양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전송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의 제어방법의 예시도로서, 리모콘을 통해 각 부하부분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수신기들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각 부하 부분인 제어대상 기기들을 제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적용한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오트메이션(HA) 시스템의 개요도로서,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제어 대상기기의 송수신 제어기로서 사용되어 전력선을 이용하여 양 방향으로 제어 가능하므로 어느 위치에서나 모든 제어 대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서 편의성을 높혀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시에 각기 다른 제어 대상기기의 송수신 제어기로 부터의 데이터 송신시 전력선 상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하여 잘못된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된 충돌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임의의 지연 시간으로 제어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으로, 종래에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분야에서 양 방향 통신의 데이터 속도 및 안전성 문제로 실용화가 불가능하여 단방향 통신만이 실용화 되었던 데에 비하여 양 방향 통신으로도 충분히 빠른 통신 속도와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대상기기의 수에 관계없이 양 방향 통신으로 데이터의 손실없이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므로 가정의 자동화를 위한 대용량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뿐만 아니라 빌딩(사무실) 자동화 설비는 물론이고 나아가서 공장자동화 설비 등 산업부문에도 널리 이용가능하다.

Claims (4)

  1.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력선 반송식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 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시 각각의 제어 대상기기에 연결된 송수신제어수단으로부터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들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시, 전송 데이터를 시간지연시켜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양 방향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제어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를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는 단계와, 전력신호로부터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전력선 상으로 전원의 제로크로스포인트와 동기하여 캐리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방법에서,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전송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캐리어 신호로부터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검파하는 단계와, 제로크로스 포인트 검출 신호와 검파된 수신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와, 수신 데이터 신호와 입력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를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는 단계와, 전력신호로부터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전력선 상으로 전원의 제로크로스 포인트와 동기하여 캐리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력선으로 출력된 데이터의 충돌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방법에서, 충돌이 발생한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재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데이터 충돌을 검출시에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와, 충돌 검출시 충돌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충돌 횟수를 지수(P)로 하여 연산식(2p- 1)을 연산한 연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난수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연산 데이터 출력신호와 난수 데이터 신호를 마스킹하여 지연상수(T)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지연상수(T), 제어 데이터 비트수 및 전원 주파수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연산식(T × 제어데이터비트수 × 전원 주파수) 지연시간(N)을 연산하여 지연시간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를 지연시켜 재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시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
  4.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력선 반송식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스위치, 센서 등으로 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3)와, 전력선으로부터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전원신호의 제로-크로스 포인트(Zero-Cross Point)를 검출하여 제어 데이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로크로스 검출부(11)와,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제어 데이터 신호를 받아 캐리어 반송파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부(14)와, 제로크로스 검출부로부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와 데이터 변환부로 부터의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동기화부(16)와,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데이터 변환부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선으로 출력하거나 전력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12)와,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받아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캐리어 검출부(15)와, 제로크로스 검출부로부터의 제로크로스 동기신호와 캐리어 검출부로부터의 캐리어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 수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동기화부(18)와, 궤환되어온 제로크로스 동기화된 반송파 데이터신호와 데이터 입력부로 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송수신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간의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17)를 포함하는 데이터 충돌 검출수단(10)과; 데이터 비교부(17)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데이터 충돌의 발생시 마다 충돌 횟수를 카은트하여 충돌 횟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충돌 횟수 카운터부(21)와, 충돌 횟수 데이터(p) 신호를 받아 연산식(2p- 1)을 연산하여 연산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부(22)와, 프리 런닝 타이머(Free Running Timer)에 의해 난수를 발생하기 위한 난수 발생기부(23)와, 난수 데이터 신호와 연산부로부터의 연산 출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난수 신호를 연산 데이터 신호에 마스킹하여 난수에 따른 하나의 임의 지연상수(T)를 출력하기 위한 마스크부(24)와, 마스크부로부터의 지연상수(T) 데이터를 입력 받아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연산식(T × 제어데이터비트수 × 전원주파수)에 따라서 연산하여 지연시간(N)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시간 연산부(25)와, 지연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지연신호를 데이터입력부로 출력하여 제어 데이터 신호의 출력을 일정 시간 동안 지연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지연 회로부(26)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 재송신 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선 반송식 원격 제어장치.
KR1019980022801A 1998-06-17 1998-06-17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1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801A KR100261512B1 (ko) 1998-06-17 1998-06-17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09/485,065 US6750781B1 (en) 1998-06-17 1999-06-17 Appliance control system utiliz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s
EP99929910A EP1002378B1 (en) 1998-06-17 1999-06-17 Appliance control system utiliz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s
PCT/KR1999/000314 WO1999066655A1 (en) 1998-06-17 1999-06-17 Appliance control system utiliz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801A KR100261512B1 (ko) 1998-06-17 1998-06-17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98A true KR20000002198A (ko) 2000-01-15
KR100261512B1 KR100261512B1 (ko) 2000-07-15

Family

ID=1953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801A KR100261512B1 (ko) 1998-06-17 1998-06-17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50781B1 (ko)
EP (1) EP1002378B1 (ko)
KR (1) KR100261512B1 (ko)
WO (1) WO199906665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11A (ko) * 2001-08-22 2003-03-03 주식회사 젤라인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패킷 통신방법
US10285246B2 (en) 2014-02-17 2019-05-07 Softkerne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using powerline and LED lighting system using the device
KR102157151B1 (ko) 2019-03-12 2020-09-17 셀로코주식회사 펄스 기반의 plc 데이터 전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0063B2 (ja) * 2000-01-31 2008-08-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KR20010113231A (ko) * 2000-06-17 2001-12-28 남궁석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TW561725B (en) * 2001-02-14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munications set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etting syste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WO2002071644A1 (en) * 2001-03-07 2002-09-12 Planet System Co., Ltd. Plug-and-play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KR100394036B1 (ko) * 2001-03-07 2003-08-06 주식회사 플레넷 대역확산 기법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 송수신기
DE10121048A1 (de) * 2001-04-28 2002-10-31 Abb Patent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Verbreitung von Informationen über das Stromnetz
JP2003162398A (ja) * 2001-11-22 2003-06-06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電源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030045576A (ko) * 2001-12-04 2003-06-11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데이터 패킷 기록 매체,운용 방법 및 양방향 통신 방법
AU2003214656A1 (en) * 2002-02-21 2003-09-22 Hyun-Oh Shin A remote control equ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9965A1 (de) * 2002-03-06 2003-10-02 Integrated Electronic Systems Sys Consulting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von Industrie- oder Baugeräten
US7360055B2 (en) * 2003-02-10 2008-04-15 Broadcom Corporation Two address map for transactions between an X-bit processor and a Y-bit wide memory
KR100600734B1 (ko) * 2004-02-25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1164295A (zh) * 2005-02-24 2008-04-16 Lg电子株式会社 网络系统中用于设置家庭代码的方法和用于网络的装置
JP2006295479A (ja) * 2005-04-08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線通信装置及び電力線通信方法
EP1990929A1 (en) * 2007-05-08 2008-11-12 Feelux Co., Ltd.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US7800251B2 (en) * 2007-10-18 2010-09-21 Hammerhead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load control
US7944086B2 (en) * 2007-10-18 2011-05-17 Hammerhead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load control
CA2716760C (en) * 2008-03-17 2016-02-16 Jps Electronique Inc. Switching unit adapted for communicating with a processing unit
IL192462A0 (en) * 2008-06-26 2009-02-11 B S N Pro Ltd Electrical device control
US20100315209A1 (en) * 2009-06-11 2010-12-16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Command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CN101854082A (zh) * 2010-04-01 2010-10-06 上海高柏光电科技有限公司 远程读取电器数据及节能控制一体化装置及读取控制方法
US8893210B2 (en) * 2010-08-20 2014-11-18 Sony Corporation Server load balancing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8918801B2 (en) 2010-08-30 2014-12-23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JP2013165448A (ja) * 2012-02-13 2013-08-22 Sony Corp 機器管理装置及び機器管理方法
DE102012202595B3 (de) 2012-02-21 2013-07-25 Osram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r steuerinformation von einer steuervorrichtung zu einem betriebsgerät für mindestens ein leuchtmittel sowie betriebsgerät für mindestens ein leuchtmittel
JP5930787B2 (ja) * 2012-03-22 2016-06-08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機器識別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US8917715B2 (en) 2012-12-19 2014-12-2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ulti-level output devices in an unreliable network
KR101336860B1 (ko) 2013-04-08 2013-12-04 권종택 전력선의 고장점 위치 검출장치
US9374855B2 (en) * 2013-10-24 2016-06-21 Osram Sylvania Inc.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lighting systems
US9819544B2 (en) * 2014-10-31 2017-11-14 Distech Controls Inc. Method for configuring devices in a daisy chai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CN107079518B (zh) * 2015-01-07 2018-09-18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方法
KR101717369B1 (ko) 2015-08-20 2017-03-17 오씨아이 주식회사 불화 온실 가스의 정제 방법
CN105573282B (zh) * 2016-02-03 2020-03-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家庭电网
JP2019169432A (ja) * 2018-03-26 2019-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220A (en) * 1975-03-31 1977-12-13 Xerox Corporation Multipoint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collision detection
JPS5925536A (ja) * 1982-07-30 1984-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力線デ−タ伝送システム
GB8507418D0 (en) * 1985-03-21 1985-05-01 Smiths Industries Plc Mains signalling networks & systems
US4703306A (en) * 1986-09-26 1987-10-27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system
JPS63141418A (ja) * 1986-12-03 1988-06-13 Hitachi Ltd 電力線搬送制御方法
DE3804379A1 (de) * 1988-02-12 1989-08-24 Liebscher & Co Kg Lehrmittel F Fernschaltbare zwischensteckdose mit rueckmeldung
JP2506969B2 (ja) * 1988-08-03 1996-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コン操作型送信機能付電子機器
US5032833A (en) 1989-04-27 1991-07-16 Schlumberger Industries, Inc. Adaptive network routing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WO1990015394A1 (en) * 1989-06-02 1990-12-13 Aisi Research Corporation Appliance interface for exchanging data
ES2023339A6 (es) * 1990-07-30 1992-01-01 Ingenieria De Sistemas De Cont Sistema de transmision de informacion del estado de las cargas conectadas a una linea electrica.
US5699515A (en) * 1995-01-23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Backoff scheme for access collision on a local area network
JPH1094170A (ja) * 1996-09-13 1998-04-10 Toshiba Corp 消費電力制御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11A (ko) * 2001-08-22 2003-03-03 주식회사 젤라인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패킷 통신방법
US10285246B2 (en) 2014-02-17 2019-05-07 Softkerne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using powerline and LED lighting system using the device
KR102157151B1 (ko) 2019-03-12 2020-09-17 셀로코주식회사 펄스 기반의 plc 데이터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50781B1 (en) 2004-06-15
EP1002378B1 (en) 2005-06-08
KR100261512B1 (ko) 2000-07-15
WO1999066655A1 (en) 1999-12-23
EP1002378A1 (en) 200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512B1 (ko) 양 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8581B1 (ko) 치료대와 작동 제어장치 사이의 양방향 아이알 데이타전송방법 및 장치
JPH11317767A (ja) データ入力方法およびデータ入力システム
MXPA02008362A (es) Metodo y aparato para inteconectar una portadora de linea de energia y un dispositivo.
JP2006109473A5 (ko)
KR100201209B1 (ko) 텔레미터. 텔레콘트롤시스템
SG56592G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signals between control devices interconnected by a loop system
EP0584464A1 (en) Infrared ray receiving and transmitting system
WO1982001438A1 (en) Remote supervisory control unit
JP3611062B2 (ja) テレメータ・テレ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4445175A (en) Supervisory remote control system employing pseudorandom sequence
KR100705191B1 (ko)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가지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0133B1 (ko) 자동 rs232/rs485통신컨버터
US3790699A (en) Simplex radiotelegraph system
JPH06276180A (ja) ワイヤレス送受信装置
Travis et al. A software interface for an industrial control network using the CAN protocol
JP2655117B2 (ja) 周波数ホッピング制御方式
JPS59168737A (ja) マルチ・ドロツプ伝送方式
RU2602001C1 (ru)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к объектам управления
SU8409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дл систем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S61224534A (ja) 多重伝送装置
JPH0654385A (ja) データ送受信装置
GB2213969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JPH06268634A (ja) 無線通信方式
JPH09107322A (ja) 無線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