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209B1 - 텔레미터. 텔레콘트롤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미터. 텔레콘트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209B1
KR100201209B1 KR1019960005468A KR19960005468A KR100201209B1 KR 100201209 B1 KR100201209 B1 KR 100201209B1 KR 1019960005468 A KR1019960005468 A KR 1019960005468A KR 19960005468 A KR19960005468 A KR 19960005468A KR 100201209 B1 KR100201209 B1 KR 10020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random number
stations
mother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362A (ko
Inventor
타카유키 스에마쯔
히로유키 이마이
카즈히로 안도
신이찌로 오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6003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모국이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1대의 모국으로 복수의 자국을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자국의 소비전력이 작은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연속동작을 행하는 모국(11)과,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복수의 자국(12)~(14)이 통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자국(12)∼(14)의 제어장치(121)~(141)는, 각각, 모국(11)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무선통신장치(122)~(142)를 제어한다. 모국(11)의 제어장치(112)는, 각 자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기억장치(112)로부터 대응하는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무선통신장치(113)를 제어한다. 또, 모국(11)의 제어장치(112)는, 데이터를 재송신할때에, 난수발생장치(114)로부터 난수치를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본래의 송신타이밍으로부터 난수치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게한다. 한편, 각자국(12)~(14)의 제어장치(121)~(141)는, 데이터를 재수신할때에, 난수발생장치(123)~(143)로부터 난수치를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본래의 수신타이밍으로부터 난수치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게한다. 이에 의해서, 데이터가 충돌하는 확률이 저감된다.

Description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있어서, 난수치(亂數値)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송수신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있어서, 난수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모국(貌局)(11)과 자국(子局)(12)과의 사이의 송수신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송수신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동기신호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
제8도는 종래의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 모국 111, 211, 311 : 기억장치
112, 212, 312 : 제어장치 113, 213, 313 : 무선통신장치
114 : 난수발생장치 12~14, 22∼24, 32~34 : 자국
121~141, 221∼241, 321∼341 : 제어장치
122~142, 222~242, 322~342 : 무선통신장치
123∼143 : 난수발생장치
본 발명은,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모국이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공장이나 창고등에 있어서, 가스미터, 전기미터등의 계기를 자동계측, 원격제어하는 목적으로, 모국 1대, 자국 1대의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종래의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도는, 종래의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이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은, 모국(81)과, 자국(82)을 구비하고 있다.
모국(81)은, 자국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자국(82)은, 연속적으로 수신동작하고 있으며, 모국(81)으로 부터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모국(81)으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모국(81)은, 자국(82)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자국(82)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복수대의 자국의 접속 및 제어가 필요하게 되었을때에, 모국도 복수대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자국(82)은 연속수신동작하고 있기때문에, 소비전력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국이 전지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지의 소모가 빠르고, 단기간에 전지교환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국이 복수대로 되었을때에도, 1대의 모국으로 복수의 자국을 관리할 수 있고, 또한 각 자국의 소비전력이 작은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과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 1의 구성은, 1개의 모국이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들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각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제 1통신장치와, 모국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1제어장치를 구비하고, 모국은, 제 2통신장치와, 각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각 자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를 수신했을때,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2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 2의 구성은, 제 1의 구성에 있어서, 모국은, 각 자국별로 고유의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2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각 자국은, 제 2난수발생장치가 대응하는 난수계열과 동일한 난수계열을 발생하고, 또한 상호에는 다른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1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모국의 제 2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1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당해시간 tl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2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1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고, 자국의 제 1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l에서 데이터를 수신할때에, 당해시간 tl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의 구성은, 1개의 모국이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들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모국은, 제 1통신장치와, 각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각 자국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및 자국에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1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각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제 2통신장치와, 모국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간헐수신동작을 행하도록,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2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 4의 구성은, 1개의 모국이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들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모국은, 제1통신장치와, 각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모든 자국에 대해서 일제히 또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및 자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1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각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제 2통신장치와, 모국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간헐수신동작을 행하도록,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5도의 구성은, 제 3 또는 제 4의 구성에 있어서, 모국은, 각 자국별로 고유의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1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각 자국은, 제 1난수발생장치가 대응하는 난수계열과 동일한 난수계열을 발생하고, 또한 상호에는 다른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2난수발생 장치를 또 구비하고, 모국의 제 1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l에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당해시간 t1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고, 자국의 제 2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l에서 데이터를 수신할때에, 당해시간 t1에 대웅하는 난수치a를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의 구성은, 제 5의 구성에 있어서, 자 자국은, 모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대해서, 그 응답신호를 소정의 순번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의 구성은, 제 2또는 제 5의 구성에 있어서, 제 1및 제 2난수발생장치는, 난수발생을 동기신호의 주기에 의해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의 구성에서는, 각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으로서, 모국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모국은, 각 자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를 수신했을때,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한다.
제 2의 구성에서는, 모국은 소정시간 t1에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당해시간 t1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2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소정시간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웅하는 시간만큼 어긋나게 한다. 한편, 자국은, 소정시간 t1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 당해시간 t1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소정시간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틈어긋나게 한다. 각 자국에 있어서, 발생하는 난수계열은 다르게되어 있다.
제 3의 구성에서는, 모국은, 각 자국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또, 자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한다. 각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모국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간헐수신동작을 행한다.
제 4의 구성에서는, 모국은, 모든 자국에 대해서 일제히 또한 일정준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또, 자국에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한다. 각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모국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간헐수신동작을 행한다.
제 5의 구성에서는, 모국은, 소정시간 t1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당해시간tl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1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게한다. 한편, 자국은, 소정시간t1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 당해시간 t1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게 한다. 각 자국에 있어서, 발생하는 난수계열은 다르게 되어있다.
제 6의 구성에서는, 각 자국은, 모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대해서, 그 응답신호를 소정의 순번으로 송신한다.
제 7의 구성에서는, 제 1및 제 2난수발생장치는, 난수발생을 동기신호의 주기에 의해 리세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이 텔레미터 1Q 텔레콘트롤시스템은, 연속수신을 행하는 모국(11)과, 주기t로 간헐수신을 행하는 자국(12)∼(14)을 구비하고 있다. 모국(11)은,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장치(111)와, 각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12)와, 무선통신장치(113)와, 난수발생장치(114)를 포함한다. 자국(12)은, 제어장치(121)와, 무선통신장치(122)와, 난수발생장치(12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자국(13)은, 제어장치(131)와 무선통신장치(132)와, 난수발생장치(133)를 포함하고, 자국(14)은, 제어장치(141)와, 무선통신장치(142)와, 난수발생장치(143)를 포함한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에 있어서, 난수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송수신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이다. 제 2도에 있어서, ta는, 모국(11)의 자국(12)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주기이다. tb는, 모국(11)의 자국(13)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주기이다 tc는, 모국(11)의 자국(14)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주기이다. 이들 주기ta, tb, tc는, 각각 비동기이나, 주기시간은 거의 동일하다. a0, al, a2는, 난수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자국(12)의 간헐수신타이밍이다. b0, bl, b2는 난수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자국(13)의 간헐수신타이밍이다. c0, cl, c2는, 난수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자국(14)의 간헐수신타이밍이다. A는 자국(12)의 모국(11)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이다. B는, 자국 (13)의 모국(11)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이고, C는 자국(14)의 모국(11)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타이 밍이다.
제3도는, 난수치를 고려한 경우의, 모국(11)과 자국(12)과의 사이의 송수신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이다. 제2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a0, al, a2는, 난수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자국(12)의 간헐수신타이밍이다. β는 타이밍a1에 대응하는 자국(12)과 모국(11)사이에서 공유하는 난수치이다. γ는 타이밍a2에 대응하는, 자국(12)과 모국(11)사이에서 공유하는 난수치이다. al'는, 타이밍 al으로부터 대응하는 난수치β분 어긋나게한 자국(12)의 간헐수신타이밍이다. a2'는, 타이밍 a2로부터 대응하는 난수치γ분 어긋나게한 자국(12)의 간헐수신타이밍이다. 또한, 간헐수신타이밍 al' 및 a2'는, 데이터의 재송처리를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에,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해서, 제1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자국(12)으로부터 모국(11)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보내지는 동기신호에 관련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국(12)은, 모국(11)에 대해서 주기t를 정수배한 주기ta(타이밍A)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모국(11)은, 자국(12)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자국(12)에 대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그와동시에, 모국(11)의 제어장치(112)는, 일정기간마다 보내오는 동기신호에 의거해서, 자국(12)의 간헐수신타이밍(a0, at, a2)을 검출하고, 당해 검출한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장치(111)에 격납한다. 자국(12)은, 동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모국(11)으로부터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재송처리를 행한다.
또한, 자국(13)과 모국(11)과의 사이, 및, 자국(14)과 모국(11)과의 사이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모국(11)으로부터 자국(12)에 데이터를 송신할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런경우, 제어장치(112)는, 기억장치(111)로부터 자국(12)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a0, al, a2)를 취득한다. 다음에, 제어장치(112)는, 기억장치(111)로부터 판독한 최초의 타이밍a0을 송신타이밍으로하고, 무선통신장치(113)를 개재해서 자국(12)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자국(12)에서는, 제어장치 (121)가, 타이밍a0을 수신타이밍으로하고, 무선통신장치(122)를 개재해서 모국(11)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제어장치(121)는, 모국(1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수신완료신호를 무선통신장치(122)를 개재해서 모국(11)으로 송신한다.
모국(11)은, 자국(12)으로부터 수신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자국(12)에 대한 데이터송신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자국(12)에 있어서 타이밍a0의 데이터가 충돌등에 의해 잃어버렸을경우, 자국(12)으로부터 모국(11)에 대해서 수신완료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므로, 모국(11)은 재송처리를 행한다.
모국(11)에 있어서 재송처리로 들어가면, 제어장치(112)는, 난수발생장치(114)로부터 다음의 송신타이밍al에 대응하는 난수치β를 취득하고, 당해 타이밍al으로부터 난수치β분 어긋나게한 타이밍al'를 송신타이밍으로하고, 무선통신장치(113)를 개재해서 자국(12)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자국(12)에서는, 제어장치(121)가 난수발생장치(123)로부터, 다음의 수신타이밍at에 대응하는 난수치β를 취득하고, 타이밍al으로부터 난수치B분 어긋나게한 타이밍at'를 수신타이밍으로하고, 무선통신장치(122)를 개재해서 모국(11)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제어장치(121)는, 모국(1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수신완료신호를 무선통신장치(122)를 개재해서 모국(11)으로 송신한다.
모국(11)은, 자국(12)으로부터 수신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자국(12)에 대한 데이터송신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자국(12)에 있어서, 타이밍at'의 데이터가 충돌등에 의해 잃어버려진경우, 자국(12)으로부터 모국(11)에 대해서 수신완료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므로, 모국(11)은 재차, 재송처리를 행한다.
모국(11)에 있어서 재송처리로 들어가면, 제어장치(112)는, 난수발생장치(114)로부터 다음의 송신타이밍a2에 대응하는 난수치γ를 취득하고, 당해 타이밍a2으로부터 난수치γ분 어긋나게한 타이밍a2'를 송신타이밍으로하고, 무선통신장치(113)를 개재해서 자국(12)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자국(12)에서는, 제어장치(121)가 난수발생장치(123)로부터, 다음의 수신타이밍a2에 대응하는 난수치β를 취득하고, 타이밍a1로부터 난수치β분 어긋나게한 타이밍a2'를 수신타이밍으로하고, 무선통신장치(122)를 개재해서 모국(11)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제어장치(121)는, 모국(1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수신완료신호를 무선통신장 치(122)를 개재해서 모국(11)으로 송신한다.
또한, 모국(11)으로부터 자국(13)으로 데이터를 송신할때 및 모국(11)으로부터 자국(14)으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 각 자국이 발생하는 난수 β,γ의 값은, 각 자국간에서 다르게 되어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데이터를 재송할때의 송신 및 수신타이밍을 난수치분어긋나게 함으로써, 자국간에서 데이터의 송수신타이밍이 어긋나고, 자국간에서 데이터가 충돌하는 확률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발생시키는 난수계열을, 자국으로부터 송신하는 동기신호에 의해서 리세트하고, 당해동기신호와 동일한주기로 발생시키므로써, 충돌등의 원인에 의해 송신쪽과 수신쪽의 난수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키는 난수의 어긋남이 발생한때에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모국(11)은, 연속수신상태이므로, 자국(12), 자국(13), 자국(14)으로부터 모국(11)으로 데이터를 송신할때의 타이밍은, 특별히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이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은, 연속수신을 행하는 모국(21)과, 주기t로 간헐수신을 행하는 자국(22)∼(24)을 구비하고 있다. 모국(21)은,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장치(211)와, 각 자국으로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12)와, 무선통신장치(213)를 포함한다. 자국(22)은, 제어장치(221)와, 무선통신장치(22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자국(23)은, 제어장치(231)와, 무선통신장치(232)를 포함하고, 자국(24)은, 제어장치(241)와, 무선통신장치(242)를 포함한다.
제5도는, 제4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송수신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이다. 제5도에 있어서, A1은, 자국(22)의 간헐수신타이밍 및 모국(21)의 자국(22)에 대한 송신타이밍이다. Bl은, 자국(23)의 간헐수신타이밍 및 모국(21)의 자국(23)에 대한 송신타이밍이다. Cl은, 자국(24)의 간헐수신타이밍 및 모국(21)의 자국(24)에 대한 송신타이밍이다. 각 자국으로의 송신주기t는, 각각 동기하고 있으며, 동기시간을 동일하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하여, 제4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모국(21)에서는, 제어장치(212)가 주기tx의 송신슬롯을 복수로 분할하고, 자국(22)에 타이밍Al을, 자국(23)에 타이밍Bl을, 자국(24)에 타이밍Cl을, 각각 송신타이밍슬롯으로서 할당한다. 그리고, 이들의 송신타이밍정보를 기억장치(211)에 기억시킨다.
모국(21)으로부터 자국(22)에 대해서, 주기t(타이밍Al)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자국(22)에서는, 모국(21)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무선통신장치(222)를 개재해서 수신하면, 제어 장치(221)가, 무선통신장치(222)를 개재해서, 모국(21)에 대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모국으로부터 자국(22)에 대해서, 동기신호를 송신할때에는, 제어장치(212)가 기억장치 (211)로부터 자국(22)에 대한 송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송신타이밍(타이밍Al)으로, 무선통신장치(213)를 개재해서 자국(22)으로의 송신을 행한다.
다음에, 모국(21)으로부터 자국(23)에 대해서, 주기t(타이밍Bl)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자국(23)에서는, 모국(21)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무선통신장치(232)를 개재해서 수신하면, 제어장치(231)가, 무선통신장치(232)를 개재해서, 모국(21)에 대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모국으로부터 자국(23)에 대해서, 동기신호를 송신할때에는, 제어장치(212)가 기억장치(211)로부터 자국(23)에 대한 송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송신타이밍(타이밍Bl)으로 무선통신장치 (213)를 개재해서 자국(23)으로의 송신을 행한다.
다음에, 모국(21)으로부터 자국(24)에 대해서, 동기t(타이밍Cl)로 동기신호를 송신한다. 자국(24)에서는, 무선통신장치(242)를 개재해서, 모국(21)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장치(241)가 무선통신장치(242)를 개재해서, 모국(21)에 대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모국으로부터 자국(24)에 대해서, 동기신호를 송신할때에는, 제어장치(212)가 기억장치(211)로부터 자국(23)에 대한 송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송신타이밍(타이밍Cl)으로 무선통신장치(213)를 개재해서 자국(24)으로의 송신을 행한다.
또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 2실시예에서는, 모국(21)이 각 자국(22)~(24)과의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을 각각 할당제어하므로,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국의 간헐송수신타이밍이 각 자국간에서 어긋나고, 모국과 자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도 그 타이밍은 어굿나게 된다. 따라서, 자국간에서 데이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이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은, 주기t로 간헐수신을 행하는 모국(31)과, 주기t로 간헐수신을 행하는 자국(32)~(34)을 구비하고 있다. 모국(31)은,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장치(311)와, 각 자국으 로의 송신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312)와, 무선통신장치(313)를 포함한다. 자국(32)은, 제어장치(321)와, 무선통신장치(322)와, 기억장치(32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자국(33)은, 제어장치(331)와, 무선통신장치(332)와, 기억장치(334)를 포함하고, 자국(34)은, 제어장치(341)와, 무선통신장치(342)와, 기억장치(344)를 포함한다.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동기신호타이밍을 표시한 타이밍차트이다. 제7도에 있어서, A2, B2, C2는, 각각, 모국(31)의 자국(32), 자국(33), 자국(34)에 대한 동기신호의 송신타이밍이다. 또, A3은 모국(31)의 동기신호에 대한 자국(32)의 응답 신호의 송신타이밍이다. 또, B3은, 모국(31)의 동기신호에 대한 자국(33)의 응답신호의 송신타이밍이다. C3은, 모국(31)의 동기신호에 대한 자국(34)의 응답신호의 송신타이밍이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해서, 제6도에 표시한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시스템내에서 전체자국의 동기신호응답용의 송신타이밍을 복수설정하고, 자국(32)에 송신타이밍A3을, 자국(33)에 송신타이밍B3을, 자국(34)에 송신타이밍C3을 할당한다. 그리고, 모국(31)에서는, 제어장치(312)가 그것들을 간헐수신타이밍정보로서, 기억장치(311)에 기억시키고 있다.
동기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모국(31)의 제어장치(312)가 기억장치(311)로부터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송신타이밍(A2, B2, C2)으로 시스템내의 전체자국에 대해서, 주기t로 동기신호를 일제히 무선통신장치(313)를 개재해서 송신한다. 자국(32)은, 모국(31)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장치(321)가 기억장치(324)로부터 모국(31)에 대한 응답신호의 송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송신타이밍(타이밍A3)으로 응답신호를 무선통신장치(322)를 개재해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자국(33)은, 모국(31)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장치(331)가 기억자이(334)로부터 모국(31)에 대한 응답신호의 송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송신타이밍(타이밍B3)으로 응답신호를 무선통신장치(332)를 개재해서 송신한다. 또, 자국(34)은, 모국(31)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장치(341)가 기억장치(344)로부터 모국(31)에 대한 응답신호의 송신타이밍정보를 취득하고, 당해타이밍(타이밍C3)으로 응답신호를 무선통신장치(342)를 개재해서 송신한다.
모국(31)은, 제어장치(312)에 의해 전체자국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감시하고, 타이밍A3으로 자국(32)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자국(32)으로부터의 동기처리가 정상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재송처리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타이밍B3으로 자국(33)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자국(33)으로부터의 동기처리가 정상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재송처리를 행한다. 또, 타이밍C3으로 자국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자국(34)으로부터의 동기처리가 정상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재송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근,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 3실시예에서는, 모국은 전체자국에 대해서, 동시에 동기신호를 송신하고, 자국으로부터의 응답신호는 타이밍을 어긋나게해서 송신되어 온다.
또한, 상기 제 2 또는 제 3실시예에서는, 간헐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자국 또는 모국이 있으므로, 무선회선으로 데이터의 충돌에 의해 데이터가 잃어버려진 경우에는, 통신불능, 또는 많은 재송처리가 필요하게 되어버린다고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국쪽, 자국쪽에 동일한 난수발생장치를 부가하고, 송신쪽은 데이터재송시에 난수발생장치에 의해 난수시간 α를 발생시켜, 재생데이터송신타이밍을 α만큼 어긋나게하고, 수신쪽은 재송데이터수신시에 난수발생장치에 의해 난수시간 a를 발생시켜, 재송데이터수신타이밍을 a만큼 어긋나도록해도 된다. 이에 의해서, 데이터의 충돌의 빈도를 적게할 수 있고, 확실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할 수 있다.

Claims (7)

1개의 모국이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것들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각 상기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제 1통신장치와, 상기 모국에 대해서, 상기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1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모국은, 제 2통신장치와, 각 상기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각 상기 자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를 수신했을때,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2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은, 각 상기 자국별로 고유의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2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각 상기 자국은, 상기 제 2난수발생장치가 대응하는 난수계열과 동일한 난수계열을 발생하고, 또한 상호에는 다른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1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상기 모국의 제 2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l에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당해 시간 tl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상기 제 2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1으로부터 난수치 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자국의 제 1제어장치는, 소정시간t1에서 데이터를 수신할때에, 당해 시간 t1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상기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소정시간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1개의 모국이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것들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국은, 제 1통신장치와, 각 상기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각 상기 자국에 대해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및 상기 자국에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자국으로의 송신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1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각 상기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제 2통신장치와, 상기 모국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간헐수신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2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1개의 모국이 복수의 자국으로부터 계측치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것들의 동작을 원격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국은, 제 1통신장치와, 각 상기 자국의 간헐수신타이밍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장치와, 모든 상기 자국에 대해서 일제히 또한 일정주기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도록, 및 상기 자국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자국에 대한 간헐수신타이밍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간헐수신타이밍에 맞춰서 당해 자국으로의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1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각 상기 자국은, 일정주기로 간헐송수신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제 2통신장치와, 상기 모국으로부터 송신된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간헐수신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 2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은, 각 상기 자국별로 고유의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1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각 상기 자국은, 상기 제 1난수발생장치가 대응하는 난수계열과 동일한 난수계열을 발생하고, 또한 상호에는 다른 난수계열을 발생하는 제 2난수발생장치를 또 구비하고, 상기 모국의 제 1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1에서 데이터를 송신할때에, 당해 시간 tl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상기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송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l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제 1통신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자국의 제 2제어장치는, 소정시간 tl에서 데이터를 수신할때에, 당해시간 tl에 대응하는 난수치a를 상기 제 1난수발생장치로부터 판독하고, 데이터의 수신타이밍을 소정시간 t1으로부터 난수치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제 2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자국은, 상기 모국으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대해서, 그 응답신호를 소정의 순번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 1·Q 텔레콘트롤시스템.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난수발생장치는, 난수발생을 상기 동기신호의 주기에 의해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미터·텔레콘트롤시스템.
KR1019960005468A 1995-03-03 1996-03-02 텔레미터. 텔레콘트롤시스템 KR100201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98695 1995-03-03
JP95-43986 1995-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62A KR960036362A (ko) 1996-10-28
KR100201209B1 true KR100201209B1 (ko) 1999-06-15

Family

ID=1267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468A KR100201209B1 (ko) 1995-03-03 1996-03-02 텔레미터. 텔레콘트롤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11872A (ko)
KR (1) KR100201209B1 (ko)
CN (1) CN11101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6003B2 (ja) * 1998-01-23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移動局送受信機
US7003790B1 (en) * 1998-01-31 2006-02-21 Sony Corporation Broadcast-program selection history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ES2176125B1 (es) * 2001-01-17 2004-02-16 Spin Off Technology S L Dispositivo para sistemas de telemedida y/o telecontrol.
ES2197007B1 (es) * 2002-05-30 2005-03-01 Juan Carlos Benito De Blas Sistema de telecontrol de dispositivos remotos, mediante localizacion, recogida de lecturas, envio y recepcion de datos por paquetes.
US6744774B2 (en) * 2002-06-27 2004-06-01 Nokia, Inc. Dynamic routing over secure networks
US8185653B2 (en) * 2004-08-09 2012-05-22 Johnny Yau Method and apparatus for ad hoc mesh routing
US7362212B2 (en) * 2004-09-24 2008-04-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s, systems, apparatus, and devices involving RF tag registration
ATE461507T1 (de) * 2004-10-18 2010-04-15 Kidde Portable Equipment Inc Gateway-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systems mit live-safety-einrichtungen
JP4548235B2 (ja) * 2005-06-17 2010-09-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7172488A (ja) * 2005-12-26 2007-07-05 Kyocera Corp テレメータシステム、テレメ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30079B2 (en) 2007-08-15 2012-03-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discovering electronic devices
ES2700724T3 (es) * 2013-10-24 2019-02-19 Panasonic Ip Man Co Ltd Aparato de recolección de señales, aparato de transmisión de señales periódicas y sistema de recolección de señales
US9910470B2 (en) * 2015-12-16 2018-03-06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telemetry data communication in a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680A (en) * 1986-02-06 1988-03-29 Emhart Industries, Inc. Detection system with randomized transmissions
US4799059A (en) * 1986-03-14 1989-01-17 Enscan, Inc. Automatic/remote RF instrument monitoring system
US4855713A (en) * 1988-10-07 1989-08-08 Interactive Technologies, Inc. Learn mode transmitter
US5053883A (en) * 1988-12-23 1991-10-01 Scientific-Atlanta, Inc. Terminal polling method
JP2579357B2 (ja) * 1989-03-13 1997-02-05 東陶機器株式会社 リモコン信号送受信システム
JPH0815355B2 (ja) * 1992-04-09 1996-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
US5446453A (en) * 1992-04-09 1995-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sidential facility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62A (ko) 1996-10-28
CN1110159C (zh) 2003-05-28
CN1146675A (zh) 1997-04-02
US6111872A (en)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209B1 (ko) 텔레미터. 텔레콘트롤시스템
EP0878110B1 (en) Synchronized electronic network including backup masters
US4807259A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in data transmission system
EP1386431B1 (en) Clock synchronization over a powerline modem network for multiple devices
US20120057620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H0666740B2 (ja) 一点対多点間通信方法
US823014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master-slave system for a field bu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AS-interface standard
US5428603A (en) 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interrogate-respo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JP3108393B2 (ja) Plc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
EP245122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5016264B2 (ja) ワイヤレス火災報知システム
US20060126671A1 (en) Cycle tim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1394 system
JPS6364436A (ja) デ−タ伝送方法および装置
JP3611062B2 (ja) テレメータ・テレ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WO1982001438A1 (en) Remote supervisory control unit
US7349511B2 (en) Synchronous network
US3461238A (en) Simplex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HU221577B (hu) Eljárás adatok átvitelére
EP347150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393059B2 (ja) 複数の送信器から単一の受信器への単方向通信方法
SU1522417A1 (ru) Система св зи с ретрансл цией сообщений
SU8092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JPS61224534A (ja) 多重伝送装置
SU6109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леконтрол буровых работ
JPH03436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