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970U -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 - Google Patents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1970U KR20000001970U KR2019980011777U KR19980011777U KR20000001970U KR 20000001970 U KR20000001970 U KR 20000001970U KR 2019980011777 U KR2019980011777 U KR 2019980011777U KR 19980011777 U KR19980011777 U KR 19980011777U KR 20000001970 U KR20000001970 U KR 2000000197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ladle
- weight
- crane
- win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선래들(Ladle)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Hook)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훅시브블록(19)의 하부에 지지브래킷(2)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래킷(2)에 보권훅(20-1)의 상단이 중심핀(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권훅(20-1)의 상단부에 웨이트베이스(5)가 보권훅(20-1)과 일정각도(θ2)를 이루도록 부착되고, 상기 웨이트베이스(5)의 체결핀(4)에 웨이트(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용선래들(Ladle)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Hook)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권훅의 각도를 웨이트를 이용하여 조정함으로써 장입래들의 훅걸이핀과 운반래들의 훅걸이링으로부터 보권훅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한 용선래들(Ladle)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Hook)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장의 전로에 용선을 장입하는 공정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로에서 생산(출선)되는 쇳물(용선)을 운반용기인 래들(30)에 담아 기관차로 제강공장으로 운반한 후, 용선운반용 크레인의 주권훅(10)으로 래들을 들어 올린 다음, 평량대에 안착시킨 상태로 장입용 래들(40)에 적정용량으로 따라 붓고, 다시 용선운반용 크레인의 주권훅(10)으로 장입용 래들(40)을 들어 올려 전로로 이동시킨 후, 장입용 래들내의 용선을 전로에 장입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이송래들(30)에서 장입래들(40), 장입래들(40)에서 전로로 용선이 장입될 때 용선운반용 크레인의 보권훅(20)을 래들경동용 훅걸이링(14) 또는 훅걸이핀(14-1)에 걸은 상태에서 주권훅(10)은 내리면서 보권훅(20)은 올려서 래들(30,40)을 기우려 용선을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주권훅(10)은 훅걸이핀(11,11-1)에 걸거나 벗기기 쉬우면서 훅걸이핀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보권훅(20)은 훅걸이핀(14-1)에 걸거나 벗길 때 훅시브블록(19)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가려져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훅걸이링(14)이 운반용래들(30)의 하부 안쪽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권훅(20)을 훅걸이링에 걸고자할 때 훅시브블록(19)이 프레임(12,12-1)에 구조상 필연적으로 충돌하게 되어 변형 및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훅걸이링(14)은 자중에 의해 하부측으로 처져 있어 보권훅(20)을 걸고자할 경우, 작업자가 훅걸이링(14)을 수평상태로 고정시킨 상태에 훅시브블록(19)을 밀어 훅걸이를 해야하는 등의 위험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보권훅의 각도를 웨이트를 이용하여 조정함으로써 장입래들의 훅걸이핀과 운반래들의 훅걸이링으로부터 보권훅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한 용선래들(Ladle)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Hook)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에 의한 운반래들의 경동작업을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2는 종래의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에 의한 장입래들의 경동작업을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권훅 13: 훅시브블록 14: 훅걸이링 14-1: 훅걸이핀 20,20-1: 보권훅 30: 운반래들 40: 장입래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훅시브블록의 하부에 지지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래킷에 보권훅의 상단이 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권훅의 상단부에 웨이트베이스가 보권훅과 일정각도(θ2)를 이루도록 부착되고, 상기 웨이트베이스의 체결핀에 웨이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보권훅(20-1)의 상단에 웨이트베이스(5)가 보권훅과 이루는 사이각인 θ2가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작 설계되어 있고, 여기서 θ2는 θ1의 값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또한, 훅시브블록(Hook Sheve Block)(19)의 하부측 중앙에는 지지브래킷(2)이 부착되어 있고, 이 지지브래킷(2)의 하부에는 웨이트베이스(5)와 보권훅(20-1)의 접합부가 중심핀(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웨이트베이스(5)에는 그 하단부에 2개의 체결핀(4)이 상하 이격되게 고정되어 있고, 이 체결핀(4)은 여러개의 웨이트(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어 있다.
여기서, 웨이트베이스(5)의 체결핀(4)에 웨이트(1)를 취부하지 않을 때에는 보권훅(20-1)이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로 놓이게 되지만, 체결핀(4)에 1개씩의 웨이트(1)를 취부할 때마다 웨이트의 무게에 의해 보권훅(20-1)은 약5。씩 상향 이동하도록 웨이트의 무게가 설계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핀(4)에 9개의 웨이트(1)가 끼워지면 웨이트베이스(5)는 웨이트의 무게에 의해 수직상태에 놓이게 되고, 보권훅(20-1)은 지지브래킷(2)에 대해 θ1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한편,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의 보권훅(20-1)은 θ1이 125。보다 작을 경우, 그 선단부가 장입래들(40)의 보권훅걸이핀(14-1)에 걸려 취외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θ1이 145。를 넘을 경우, 훅시브블록(19)이 운반래들(30)의 중단부에 충돌되어 보권훅(20-1)을 운반래들(30)의 보권훅걸이링(14)에 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보권훅(20-1)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 즉, 웨이트(1)의 무게에 의해 웨이트베이스(5)가 수직상태로 놓일 때, θ1이 125∼145。의 각도를 이루도록 θ1의 값을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θ1이 45。로 관리되고, 하중이 걸린 보권훅(20-1)이 수직상태를 이룰 경우, θ3은 최소 225。이하로 줄지 않기 때문에 상승되는 웨이트(1)에 의해 훅시브블록(19)이 파손되는 일은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웨이트(1)의 무게에 의해 웨이트베이스(5)는 수직상태로 놓이게 되고, 이때,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의 보권훅(20-1)은 θ1이 135。이루도록 놓이게 되어 장입래들(40)의 보권훅걸이핀(14-1)과 운반래들(30)의 보권훅걸이링(14)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4b 및 도4c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권훅(20-1)에 하중이 걸리기 시작하면 웨이트(1)의 무게보다 큰힘이 작용되어 보권훅이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4d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권훅(20-1)에 의해 장입래들(40)과 운반래들(30)의 경동이 시작되면 보권훅에는 완전히 하중이 걸리게 되고, 이로써 보권훅은 그 하중에 의해 수직상태로 놓이게 된다.
여기서, θ1이 45。로 관리되고, 하중이 완전히 걸린 보권훅(20-1)이 수직상태를 이룰 경우, θ3은 최소 225。이하로 줄지 않기 때문에 상승되는 웨이트(1)에 의해 훅시브블록(19)이 파손되는 일은 벌어지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보권훅의 각도를 웨이트를 이용하여 조정함으로써 장입래들의 훅걸이핀과 운반래들의 훅걸이링으로부터 보권훅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하고, 이로써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 훅시브블록(19)의 하부에 지지브래킷(2)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래킷(2)에 보권훅(20-1)의 상단이 중심핀(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권훅(20-1)의 상단부에 웨이트베이스(5)가 보권훅(20-1)과 일정각도(θ2)를 이루도록 부착되고, 상기 웨이트베이스(5)의 체결핀(4)에 웨이트(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보권훅(20-1)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훅시브블록(19)과 보권훅(20-1)의 사이각(θ1)이 125∼145。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래들 경동용 크레인의 보권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777U KR200295669Y1 (ko) | 1998-06-30 | 1998-06-30 | 용선래들경동용크레인의보권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777U KR200295669Y1 (ko) | 1998-06-30 | 1998-06-30 | 용선래들경동용크레인의보권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970U true KR20000001970U (ko) | 2000-01-25 |
KR200295669Y1 KR200295669Y1 (ko) | 2003-02-12 |
Family
ID=4939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1777U KR200295669Y1 (ko) | 1998-06-30 | 1998-06-30 | 용선래들경동용크레인의보권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566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002B1 (ko) | 2003-07-04 | 2010-05-20 | 주식회사 포스코 | 슬래그 배제가 용이한 래들 |
-
1998
- 1998-06-30 KR KR2019980011777U patent/KR2002956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5669Y1 (ko) | 2003-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95669Y1 (ko) | 용선래들경동용크레인의보권훅장치 | |
US4930827A (en) | Hoisting hooks used to lift, transport and dump metallurgical ladles | |
CN217627095U (zh) | 一种叉车后配重用吊架 | |
US2881488A (en) | Tilting ladle | |
CN106348152B (zh) | 一种安全吊运转炉副枪的吊具及吊运方法 | |
KR100951763B1 (ko) | 제철용 용선 크레인의 후크이동설비 | |
CN213622863U (zh) | 一种转炉托圈吊装装置 | |
CN106185600A (zh) | 一种用于半环形铸件的吊运装置及其使用方法 | |
CN213976626U (zh) | 一种斗齿铸件热处理存放箱 | |
US2910746A (en) | Tilting ladle | |
CN219885442U (zh) | 一种浸渍管吊具 | |
JP2002066728A (ja) | レードル搬送用専用吊具 | |
CN219861430U (zh) | 一种具有防护功能的炼钢炉台 | |
KR20060076671A (ko) | 고철 장입 슈트 | |
CN214733811U (zh) | 一种转底炉托辊、定心辊安装的吊装辅助工具 | |
CN212450244U (zh) | 一种梅花钩自动脱挂钩存放装置 | |
CN212334355U (zh) | 一种用于圆柱形钢锭的起吊夹具 | |
JPH11268881A (ja) | 玉掛用フックおよびレードルクレーンの補巻フックシフト装置およびクレーン | |
CN218174369U (zh) | 一种新型的包盖取放机构 | |
JP6743789B2 (ja) | シュート鍋 | |
CN219384465U (zh) | 一种包盖起吊连接装置 | |
CN212863826U (zh) | 一种用于吊装钢包盖的多功能吊钩装置 | |
CN115109888B (zh) | 一种转炉裙罩过跨安装和拆卸方法 | |
KR200342472Y1 (ko) | 레들카바의 착탈장치 | |
CN213231184U (zh) | 一种吊装吊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