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988U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0988U KR20000000988U KR2019980010593U KR19980010593U KR20000000988U KR 20000000988 U KR20000000988 U KR 20000000988U KR 2019980010593 U KR2019980010593 U KR 2019980010593U KR 19980010593 U KR19980010593 U KR 19980010593U KR 20000000988 U KR20000000988 U KR 2000000098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 terminal
- fastening portion
- piece
- temporary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자 접속구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의 탄성변형에 의한 젖혀짐을 방지하여 걸림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접속단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접속단자와 ISO 릴레이의 접속이 안정되게 함은 물론 ISO 릴레이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릴레이 안착부, 단자 접속구, 및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릴레이 체결부가 다수 구획된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있어서, 단자 접속구 각각에 관계하여 상하로 핀홈이 관통·형성되고, 릴레이 안착부의 형상에 관계하여 구비된 십자형의 머리부와 십자형 머리부의 각 끝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릴레이 체결부의 측부에 관계하여 수직하게 구비되고, 그 적소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릴레이 체결부의 외부측에 체결시 릴레이 체결부에 지지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가조립 고정구; 머리부의 하부측에 하부 방향으로 단자 접속구에 관계하여 구비되고, 릴레이 체결부에 가조립 고정구를 완전 체결할시 단자 접속구에 삽입·안내되어 걸림편의 젖혀짐을 방지하는 탄성 방지편; 및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의 각 측부 적소에 형성되고, 가조립 고정구를 릴레이 체결부에 체결할시 지지편의 절개홈 하단부와의 걸림 작용에 의해 가조립 고정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 박스의 단자 접속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충격 등에 의해 유동되어 릴레이와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퓨즈 박스(Fuse Box)는 자동차의 엔진룸이나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퓨즈 박스에는 전장품에 과대한 전류가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녹아버리므로 이것을 차단하는 퓨즈나,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Relay)가 설치된다. 또한, 이 퓨즈 박스에 설치되는 퓨즈 및 릴레이는 전장품의 허용전류에 맞춘 것이 설치되고, 이 퓨즈 및 릴레이는 회로 중에 직렬로 설치된다.
한편, 퓨즈 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으로부터 연장되어 퓨즈 및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퓨즈 박스의 단자 접속구에 삽입·체결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접속단자의 결합을 보인 것으로 결합 전의 단면 상태도, 도 2 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접속단자의 장착을 보인 것으로 결합 후의 단면 상태도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퓨즈 박스는 각 전장품의 접속단자와 퓨즈 및 릴레이가 설치되는 퓨즈 박스 본체, 설치된 접속단자와 퓨즈 및 릴레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퓨즈 박스 본체의 상하부로 설치되는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박스 본체에는 각종 릴레이를 접속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릴레이 체결부(10)가 구비되는데, 이 릴레이 체결부(10) 각각에는 릴레이 안착부(12), 릴레이 안착부(12)의 하부로 관통되어 각 전장품으로부터 연장된 접속단자(20)를 체결하기 위한 단자 접속구(14), 및 단자 접속구(14)의 내측에 탄성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 접속구(14)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2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16)이 구비된다.
전술한 릴레이 안착부(12)는 퓨즈 박스 본체의 상부 즉, 릴레이 체결부(10)의 상부측에 각종 릴레이의 크기에 관계하여 형성된다. 특히, 범용의 ISO 릴레이(Isolator Relay; 30)를 설치하기 위한 릴레이 체결부(10)는 2개 구비된다.
한편, 릴레이 체결부(10) 각각의 단자 접속구(14)는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 수에 관계하여 릴레이 안착부(12)의 하부측으로 5개 형성된다. 즉,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 수는 5개이며, 이 접속핀(32)이 접속단자(20)와 접속되기 위해서는 릴레이 체결부(10) 각각에 5개씩의 단자 접속구(14)가 형성된다. 또한, 이 단자 접속구(14)는 릴레이 체결부(10)에서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전술한 걸림편(16)은 단자 접속구(14) 각각에 탄성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걸림턱(16a)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비된 걸림편(16)은 단자 접속구(14)의 하단을 통해 삽입된 접속단자(20)의 탈거가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단자 접속구(14)의 하단을 통해 삽입되는 접속단자(20)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까지는 접속단자(20)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되고, 접속단자(20)의 완전 삽입에 의해 원위치되어 걸림턱(16a)이 접속단자(20)에 걸림으로써 탈거가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요약 정리하면, 단자 접속구(14) 각각에 접속단자(20)를 삽입하여 걸림편(1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단자 접속구(14)의 상부 즉, 릴레이 안착부(12)를 통해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을 접속단자(20)에 맞추어 꽂으면 전장품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편이 탄성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접속구에 접속단자를 삽입·체결한 상태에서도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여 유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ISO 릴레이와의 접속불량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ISO 릴레이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걸림편이 탄성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에 외부의 큰 충격으로 인하여 걸림편이 탄성 변형되어 단자 접속구로부터 접속단자가 임의로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 접속구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의 탄성변형에 의한 젖혀짐을 방지하여 걸림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접속단자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접속단자와 ISO 릴레이의 접속이 안정되게 함은 물론 ISO 릴레이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의 걸림 이후에 걸림편의 젖혀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단자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함은 물론 ISO 릴레이를 릴레이 체결부에 체결할시 가조립 고정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상부 적소에 형성되어 릴레이가 안착되는 십자형의 릴레이 안착부, 릴레이 안착부의 하부로 관통·형성된 단자 접속구, 및 단자 접속구 각각의 내측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 접속구 각각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릴레이 체결부가 다수 구획된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있어서, 단자 접속구 각각에 관계하여 상하로 핀홈이 관통·형성되고, 릴레이 안착부의 형상에 관계하여 구비된 십자형의 머리부와 십자형 머리부의 각 끝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릴레이 체결부의 측부에 관계하여 수직하게 구비되고, 그 적소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릴레이 체결부의 외부측에 체결시 릴레이 체결부에 지지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가조립 고정구; 머리부의 하부측에 하부 방향으로 단자 접속구에 관계하여 구비되고, 릴레이 체결부에 가조립 고정구를 완전 체결할시 단자 접속구에 삽입·안내되어 걸림편의 젖혀짐을 방지하는 탄성 방지편; 및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의 각 측부 적소에 형성되고, 가조립 고정구를 릴레이 체결부에 체결할시 지지편의 절개홈 하단부와의 걸림 작용에 의해 가조립 고정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릴레이 체결부의 각 측부에 형성된 고정턱 상부로 지지편의 하단부와 절개홈 하단부 사이의 두께에 관계하도록 고정턱과 일정 간격 유지되게 가조립 고정턱을 형성하여 릴레이 체결부에 가조립 고정구를 체결할시 탄성 방지편과 걸림편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접속단자의 결합을 보인 것으로 결합 전의 단면 상태도.
도 2 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접속단자의 장착을 보인 것으로 결합 후의 단면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릴레이 체결부를 보인 평면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가조립 고정구의 가조립 상태를 보인 정단면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가조립 고정구의 완전 결합 상태를 보인 정단면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접속단자 30. ISO 릴레이
32. 접속핀 100. 퓨즈 박스 본체
110. 릴레이 체결부 112. 릴레이 안착부
114. 단자 접속구 116. 걸림편
116a. 걸림돌기 200. 가조립 고정구
210. 머리부 212. 핀홈
220. 지지편 222. 절개홈
230. 탄성 방지편 240. 가조립 고정턱
250. 고정턱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릴레이 체결부를 보인 평면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가조립 고정구의 가조립 상태를 보인 정단면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서 가조립 고정구의 완전 결합 상태를 보인 정단면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크게 가조립 고정구(200)와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 및 완전 조립 상태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나누어진다.
전술한 가조립 고정구(200) 및 가조립 고정구(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자동차용 퓨즈 박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퓨즈 박스는 각 전장품의 접속단자(20)와 퓨즈 및 릴레이가 설치되는 퓨즈 박스 본체(100), 설치된 접속단자(20)와 퓨즈 및 릴레이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퓨즈 박스 본체(100)의 상하부로 설치되는 상부 뚜껑과 하부 뚜껑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퓨즈 박스 본체(100)에는 각종 퓨즈나 릴레이를 접속단자(20)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릴레이 체결부(110)가 구비되는데, 이 릴레이 체결부(110)에는 상부 적소에 형성되어 릴레이(30)가 안착되는 릴레이 안착부(112), 릴레이 안착부(112)의 하부로 관통·형성된 다섯 개의 단자 접속구(114), 및 단자 접속구(114) 각각의 내측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 접속구(114) 각각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2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116)이 구비된다.
이하, 기술될 릴레이 체결부(110)는 퓨즈 박스 본체(100)에 다수 구획된 릴레이 체결부 중 ISO 릴레이(30)를 체결할 수 있는 릴레이 체결부(110)를 의미하고, 이 릴레이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릴레이는 범용의 ISO 릴레이(30)를 의미한다.
릴레이 안착부(112)는 퓨즈 박스 본체(100)의 상부 즉, 릴레이 체결부(110)의 상부측에 ISO 릴레이(30)의 크기에 관계하여 형성된다. 특히, ISO 릴레이(30)를 설치하기 위한 릴레이 체결부(110)는 두 개 구비된다.
단자 접속구(114)는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 수에 관계하여 릴레이 안착부(112)의 하부측으로 다섯 개 형성되는데, 이는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 수가 다섯 개이고, 또한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에 관계하는 접속단자(20)도 다섯 개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걸림편(116)은 단자 접속구(114) 각각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걸림돌기(116a)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비된 걸림편(116)은 단자 접속구(114)의 하단을 통해 삽입된 접속단자(20)를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걸림편(116)의 걸림돌기(116a)에 의해 단자 접속구(114)로 삽입·체결된 접속단자(20)가 걸리도록 하여 걸림돌기(116a)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한 단자 접속구(114)로부터 접속단자(2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단자 접속구(114)의 하단부로 접속단자(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편(116)은 걸림돌기(116a)와 접속단자(20)의 간섭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젖혀지고, 접속단자(20)의 완전 삽입에 의해 걸림편(116)은 원위치되어 걸림돌기(116a)를 통해 접속단자(20)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접속단자(20)와 걸림돌기(116a)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한 접속단자(20)는 단자 접속구(114)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한편, 단자 접속구(114)에 접속단자(20)를 삽입·체결한 상태에서 릴레이 체결부(110)의 상부인 릴레이 안착부(112)를 통해 ISO 릴레이(30)를 체결하여 접속핀(32)과 접속단자(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처럼 접속단자(20)와 ISO 릴레이(30)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전장품은 전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접속구(114)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20)를 임의적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116)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접속단자(20)를 완전히 고정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단자 접속구(114)에 체결된 접속단자(20)는 유동될 수 있고, 접속단자(20)의 유동에 의해 접속단자(20)와 ISO 릴레이(30)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어 접속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걸림편(116)에 의해 접속단자(20)가 단자 접속구(114)에 고정된 이후 걸림편(116)이 충격 등에 의하여 임의로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접속단자(20)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조립 고정구(200) 및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 및 완전 조립 상태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품이 구비된다.
전술한 가조립 고정구(200)에는 십자형 머리부(210), 지지편(220) 및 탄성 방지편(230)이 구비되고,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 및 완전 조립 상태로 결합하기 위한 구성에는 지지편(220)의 절개홈(222),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110)의 각 측부 적소의 위치에 형성된 가조립 고정턱(240) 및 각각의 가조립 고정턱(240) 하부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형성된 고정턱(250)이 구비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십자형 머리부(210)는 릴레이 체결부(110)의 릴레이 안착부(112)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 머리부(210)에는 단자 접속구(114) 및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에 관계하여 핀홈(212)이 관통·형성된다. 물론, 단자 접속구(114) 및 접속핀(32)이 다섯 개이기 때문에 핀홈(212) 역시 다섯 개 형성된다.
핀홈(212)은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을 관통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이 핀홈(212)은 접속핀(32)을 안내하는 안내홈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지지편(220)은 가조립 고정구(200)를 릴레이 체결부(110)에 체결할시 가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이 지지편(220)은 십자형 머리부(210)의 각 끝단으로부터 하향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편(220) 각각에는 장홈의 절개홈(222)이 형성되어 가조립 고정턱(240) 및 고정턱(250)과의 걸림 작용에 의해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및 완전 조립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탄성 방지편(230)은 각각의 단자 접속구(114)에 관계하여 다섯 개 구비되고, 단자 접속구(114)에 삽입·체결될시 걸림편(116)의 탄성변형 즉, 젖혀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 방지편(230)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걸림편(116)의 젖혀짐을 방지하여 걸림편(116)에 의해 걸려 있는 접속단자(20)의 고정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걸림편(116)의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접속단자(20)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자(20)와 ISO 릴레이(30)의 접속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단자 접속구(114)에 접속단자(20)가 삽입·체결된 상태이고, 탄성 방지편(230)이 단자 접속구(114)에 완전히 삽입·체결된 상태에서의 걸림편(116)은 접속단자(20)와 탄성 방지편(230)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가조립 고정구(200)를 릴레이 체결부(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의 가조립 고정턱(240)은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110)의 각 측부 적소의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지지편(220)에 절개 형성된 장홈의 절개홈(222)에 관계한다. 즉, 릴레이 체결부(110)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체결할시 가조립 고정턱(240)은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다시 말해서,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로 체결하게 되면, 절개홈(222)의 하단부가 가조립 고정턱(240)에 걸림과 동시에 지지편(220)의 하단부와 절개홈(222)의 하단부 사이의 두께만큼이 가조립 고정턱(240)과 후술할 고정턱(250)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됨으로써 십자형 머리부(210)의 하부는 릴레이 안착부(112)의 면과 일정 간격 떨어져 있다. 또한, 탄성 방지편(230)과 걸림편(116)과의 간섭이 없는 상태이기도 하다.
그리고, 가조립 고정구(200)를 릴레이 체결부(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의 고정턱(250)은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110)의 각 측부 적소의 위치에 형성된 가조립 고정턱(240)의 하부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 고정턱(250) 역시 지지편(220)에 절개 형성된 장홈의 절개홈(222)에 관계한다. 즉, 릴레이 체결부(110)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체결할시 고정턱(250)은 가조립 고정구(200)를 완전 조립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가조립 고정구(200)가 가조립 상태 즉, 지지편(220)의 하단부와 절개홈(222)의 하단부 사이의 두께만큼이 가조립 고정턱(240)과 고정턱(25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압하여 하부로 밀게 되면 지지편(220)의 하단부가 고정턱(250)을 넘어가 절개홈(222)의 하단부가 고정턱에 걸리게 된다. 이때, 탄성 방지편(230)은 단자 접속구(114) 내측에 삽입되어 걸림편(116)의 젖혀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가 가조립 고정구(200)의 완전 조립 상태이다.
따라서, 가조립 고정구(200)의 가조립과 완전 조립 상태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먼저, 가조립 고정구(200)의 가조립 상태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홈의 절개홈(222) 하단부가 가조립 고정턱(240)에 걸려 있는 상태임과 동시에 릴레이 체결부(110)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체결은 했으되 탄성 방지편(230)에 의한 간섭이 걸림편(116)에 미치지 않은 상태이다. 즉, 가조립 고정구(200)의 가조립 상태에서는 탄성 방지편(230)과 걸림편(116)의 간섭이 없는 상태로 걸림편(116)을 인위적으로 젖혀 접속단자(20)를 뺄 수 있는 상태이다.
한편, 가조립 고정구(200)의 완전 조립 상태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홈의 절개홈(222) 하단부가 고정턱(250)에 걸려 있는 상태임과 동시에 릴레이 체결부(110)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체결시 탄성 방지편(230)의 간섭이 걸림편(116)에 미치는 상태이다. 즉, 가조립 고정구(200)의 완전 조립 상태에서는 탄성 방지편(230)의 간섭이 걸림편(116)에 미치는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걸림편(116)을 인위적으로 젖힐 수 없고, 또한 접속단자(20)를 뺄 수도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를 요약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단자 접속구(114) 각각에 관계하여 상하로 핀홈(212)이 관통·형성되고, 릴레이 안착부(112)의 형상에 관계하여 구비된 십자형의 머리부(210)와 십자형 머리부(210)의 각 끝단으로부터 하향되게 릴레이 체결부(110)의 측부에 관계하여 수직하게 구비되고, 그 적소에는 절개홈(222)이 형성되며, 릴레이 체결부(110)의 외부측에 체결시 릴레이 체결부(110)에 지지되는 지지편(220)으로 이루어진 가조립 고정구(200); 머리부(210)의 하부측에 하부 방향으로 단자 접속구(114)에 관계하여 구비되고, 릴레이 체결부(110)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완전 체결할시 단자 접속구(114)에 삽입·안내되어 걸림편(116)의 젖혀짐을 방지하는 탄성 방지편(230); 및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110)의 각 측부 적소에 형성되고, 가조립 고정구(200)를 릴레이 체결부(110)에 체결할시 지지편(220)의 절개홈(222) 하단부와의 걸림 작용에 의해 가조립 고정구(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25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서 릴레이 체결부(110)의 각 측부에 형성된 고정턱(250) 상부로 지지편(220)의 하단부와 절개홈(222) 하단부 사이의 두께에 관계하도록 고정턱(250)과 일정 간격 유지되게 가조립 고정턱(240)을 형성하여 릴레이 체결부(110)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체결할시 탄성 방지편(230)과 걸림편(116)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조립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절개홈(222)의 하단부가 가조립 고정턱(240)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편(116)과 탄성 방지편(230)의 간섭이 없는 상태이고, 가조립 고정구(200)를 완전히 체결하여 지지편(220)의 절개홈(222)이 고정턱(250)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 방지편(230)에 의해 걸림편(116)의 젖혀짐이 방지된 상태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20)의 고정 과정은 먼저, 릴레이 체결부(110) 상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로 조립한 상태에서 접속단자(20)를 단자 접속구(114)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체결하여 걸림편(116)에 의해 일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가조립 고정구(200)를 완전 조립 상태로 체결하여 탄성 방지편(230)에 의해 걸림편(116)의 탄성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릴레이 체결부(110)의 릴레이 안착부(112) 상부에 가조립 고정구(200)를 체결하여 지지편(220)의 절개홈(222)을 가조립 고정턱(240)과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 즉,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로 조립한다.
이후, 가조립 고정구(200)를 가조립 상태로 한 상태에서 접속단자(20)를 단자 접속구(114)의 하단부를 통해 삽입·체결하여 접속단자(20)를 걸림편(116)에 의해 일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걸림편(116)을 통해 접속단자(20)를 일차적으로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가조립 고정구(200)를 완전 체결하여 고정턱(250)에 지지편(220)의 절개홈(222) 하단부가 걸리게 한다. 이처럼 고정턱(250)과 절개홈(222)의 상호 관계에 의해 가조립 고정구(200)는 릴레이 체결부(110) 상에 고정되고, 가조립 고정구(200)의 고정에 의해 탄성 방지편(230)은 걸림편(116)을 고정시켜 걸림편(116)의 탄성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단자 접속구(114)에 체결된 접속단자(20)는 걸림편(116) 및 탄성 방지편(230)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접속단자(20) 및 가조립 고정구(200)의 완전 조립 후, ISO 릴레이(30)의 접속핀(32)을 가조립 고정구(200)의 머리부(210)에 형성된 핀홈(212)에 일치시켜 접속핀(32)과 접속단자(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접속단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ISO 릴레이(30) 또한 릴레이 체결부(110)의 릴레이 안착부(112)에 장착과 동시에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가조립 고정구(200)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본체(100)에 체결된 상태로 납품되어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서 퓨즈 박스 본체(100)에 접속단자(20)의 삽입·체결을 통해 완전하게 조립된다. 즉, 조립 라인에서 단자 접속구(114)에 접속단자(20)를 체결한 후 가조립 고정구(200)를 완전히 결합시켜 걸림편(116)의 탄성변형이 방지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 고정장치는 접속단자(20)의 유동을 방지하여 ISO 릴레이(30)와 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ISO 릴레이(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가조립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자 접속구에 삽입·체결된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의 탄성변형에 의한 젖혀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접속단자의 확실한 고정을 통해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접속단자와 ISO 릴레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속단자와 ISO 릴레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함으로써 ISO 릴레이의 수명을 연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접속단자의 걸림 이후에 걸림편의 젖혀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단자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함은 물론 ISO 릴레이를 릴레이 체결부에 체결할시 가조립 고정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2)
- 상부 적소에 형성되어 릴레이가 안착되는 십자형의 릴레이 안착부, 상기 릴레이 안착부의 하부로 관통·형성된 단자 접속구, 및 상기 단자 접속구 각각의 내측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자 접속구 각각에 삽입·체결된 상기 접속단자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릴레이 체결부가 다수 구획된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있어서,상기 단자 접속구 각각에 관계하여 상하로 핀홈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릴레이 안착부의 형상에 관계하여 구비된 십자형의 머리부와 상기 십자형 머리부의 각 끝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릴레이 체결부의 측부에 관계하여 수직하게 구비되고, 그 적소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릴레이 체결부의 외부측에 체결시 상기 릴레이 체결부에 지지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가조립 고정구;상기 머리부의 하부측에 하부 방향으로 상기 단자 접속구에 관계하여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 체결부에 상기 가조립 고정구를 완전 체결할시 상기 단자 접속구에 삽입·안내되어 상기 걸림편의 젖혀짐을 방지하는 탄성 방지편; 및상기 십자형 릴레이 체결부의 각 측부 적소에 형성되고, 상기 가조립 고정구를 상기 릴레이 체결부에 체결할시 상기 지지편의 절개홈 하단부와의 걸림 작용에 의해 상기 가조립 고정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체결부의 각 측부에 형성된 고정턱 상부로 상기 지지편의 하단부와 상기 절개홈 하단부 사이의 두께에 관계하도록 상기 고정턱과 일정 간격 유지되게 가조립 고정턱을 형성하여 상기 릴레이 체결부에 상기 가조립 고정구를 체결할시 상기 탄성 방지편과 상기 걸림편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0593U KR200227485Y1 (ko) | 1998-06-18 | 1998-06-18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0593U KR200227485Y1 (ko) | 1998-06-18 | 1998-06-18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0988U true KR20000000988U (ko) | 2000-01-15 |
KR200227485Y1 KR200227485Y1 (ko) | 2001-07-20 |
Family
ID=6951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0593U KR200227485Y1 (ko) | 1998-06-18 | 1998-06-18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748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0103B1 (ko) * | 2008-08-08 | 2009-12-07 |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형 분기장치용 정션박스 |
-
1998
- 1998-06-18 KR KR2019980010593U patent/KR20022748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0103B1 (ko) * | 2008-08-08 | 2009-12-07 |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형 분기장치용 정션박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7485Y1 (ko) | 2001-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94158B2 (ja) | 電気コネクタ取付け用枠体及び電気コネクタ接続装置 | |
US4938710A (en) | Connector apparatus | |
US5000693A (en) | Electric junction box | |
US6524136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including removable cover enclosed within a casing | |
US9326395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KR100382174B1 (ko) | 단자보유시스템을갖는전기커넥터조립체 | |
US4800358A (en) | Fuse | |
US5445528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ounting | |
KR100956922B1 (ko) |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 | |
US6176735B1 (en) | Accommodation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mprising the block | |
JP2012222851A (ja) | ワッシャ保持用ブラケット構造 | |
KR200227485Y1 (ko)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
KR200227484Y1 (ko)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
KR200227486Y1 (ko) | 자동차용 퓨즈 박스의 접속단자 고정장치 | |
KR200243895Y1 (ko) | 단자대 모듈의 접지 구조 | |
GB1590348A (en) | Electrical connectors | |
EP1241738B1 (en) | Electrical connector, particularly for vehicles | |
US6648700B1 (en) | Stepped/keying interface stabilization alignment mechanism | |
KR200410105Y1 (ko) |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 |
JP2001102021A (ja) | 電気接続箱のバッテリーへの組付け構造 | |
JP5024946B2 (ja) | 電気接続箱 | |
KR20090004141U (ko) |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 |
JP3210594B2 (ja) | 電気接続箱 | |
KR0140193Y1 (ko) | 3중결합방식 커넥터 | |
KR20050031761A (ko) | 차량용 정션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