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294U - 생육 절단기 - Google Patents

생육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294U
KR20000000294U KR2019980009650U KR19980009650U KR20000000294U KR 20000000294 U KR20000000294 U KR 20000000294U KR 2019980009650 U KR2019980009650 U KR 2019980009650U KR 19980009650 U KR19980009650 U KR 19980009650U KR 20000000294 U KR20000000294 U KR 20000000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blade
cutter
cut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조
Original Assignee
정운조
주식회사 우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조, 주식회사 우진기계 filed Critical 정운조
Priority to KR2019980009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294U/ko
Publication of KR20000000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94U/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를 절단하는 육절기의 일종인 생육절단기(일명 촙커터, chop cut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육을 절단함에 있어 고기를 회전칼의 와선형상의 날부에의한 깍아내기형 절단으로 물렁한 생육의 육질을 파손시키지 않고 절단할수 있는 생육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단기구성에서는 상단에서 고속하강되는 칼날이 절단육을 강하게 내려 칠때에 그 마찰에 의한 육질의 파손을 가지고 온다.
즉. 칼날부가 만곡된 활형상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상부에서 고속 하강하는 칼날이 육류와 면접촉을 이룸으로서 타격되는 작용으로 육질의 파손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칼날이 많은 면적에 접촉되는 마찰에 의해 육질을 파손시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촙 커터형에서도 생육의 절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워지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지의 생육절단기에 있어서, 절단고기의 하부측 저면보다 약 5분의 1정도의 상측으로 회전축을 구성함과 함께 회전칼날을 축으로부터 와선(渦線, spiral of Archimedes)형으로 굴곡구성하여 칼날의 시작점 날부에서 부터 절단고기에 밀착슬라이드되면서 고기를 절단함을 특징으로 한 목적의 고안이다.

Description

생육 절단기
본 고안은 육류를 절단하는 육절기의 일종인 생육절단기(일명 촙커터, chop cut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육을 절단함에 있어 고기를 회전칼의 와선형상의 날부에의한 깍아내기형 절단으로 물렁한 생육의 육질을 파손시키지 않고 절단할수 있는 생육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현대의 음식문화에서는 많은 육류를 이용한 음식의 번창과 함께 소비 문화가 번창하면서 이러한 육류를 가공하는 기계장치들 일예로 냉장 및 냉동육절기와 골절기, 지방제거와 분리기등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육절기는 고기덩어리를 절단하는 기계장치로서 기체상에 고기를 절단하는 회전칼장치와 고기를 적재하여 좌,우 연동함과 함께 적재된 고기를 이송하여 회전절단칼로 공급 절단되도록하며, 회전칼과 이격된 두께조절판으로 절단두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이다.
즉, 고기적재부에 적재된 고기를 이송콘베이어밸트와 가압로울러에 의해 선단의 두께조절판인 정지판으로 압송함과 같이 적재된 고기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게 되면 회절절단칼과 상기 두께조절판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 절단두께가 설정되고 선단의 고속회전되는 회전칼에 의해 설정된 두께로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육절기는 고속회전하는 칼날에의해 고깃덩어리를 절단함으로서 그 장치의 일부 부대장치를 변동시킴으로서 냉동육이나 생육에 이용할수 있으나 속도가 매우 느린단점과 함께 고속회전되는 칼날에의해 말랑말랑하고 연한 육질을 파손하는 단점이 많아 생육절단에서는 많은 사용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회전칼날이 활형상으로 구성된 촙커터(chop cutter)가 있다
이러한 촙커터형의 생육절단기는 이송된 고기절단부를 활형상의 칼날이 위에서 아래로 급하강하는 속도에 의해 절단함과 함께 활형상의 만곡날부가 가압력으로 고기덩어리를 자르는 작용에의해 육질의 파손을 줄일수 있도록 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을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같이 절단육류 위치와 칼날의 회전축점 및 칼날의 만곡정도를 볼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단에서 고속하강되는 칼날이 절단육을 강하게 내려 칠때에 그 마찰에 의한 육질의 파손을 가지고 온다. 즉. 칼날부가 만곡된 활형상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상부에서 고속 하강하는 칼날이 육류와 면접촉을 이룸으로서 타격되는 작용으로 육질의 파손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칼날이 많은 면적에 접촉되는 마찰에의해 육질을 파손시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촙 커터형에서도 생육의 절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워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음식문화가 발달되고 또다른 맛을 추구하는 소비형태에서는 냉동육보다 생육을 선호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절단기의 개발로서 생육 절단과 육질의 파손이 없는 절단기를 창출하여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지의 생육절단기에 있어서, 절단고기의 하부측 저면보다 약 5분의 1정도의 상측으로 회전축을 구성함과 함께 회전칼날을 축으로부터 와선(渦線, spiral of Archimedes) 형으로 굴곡구성하여 칼날의 시작점 날부에서부터 절단고기에 밀착슬라이드되면서 고기를 절단함을 특징으로 한 목적의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생육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발취 측단면도.
도 3의 (가)(나)는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구성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기체 20 : 회전축 30 : 촙커터
31 : 칼날 50 : 출구 51 : 고정날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칼날의 축을 절단고기의 하부측으로 구성시켜 회전되는 칼날이 절단고기를 상부에서 내려치지 않고 옆하단모서리에서부터 칼날과 밀착슬라이드되어 절단고기를 자르는 작용을 도출시켜 육질의 파손이 없도록 한 와선형칼날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생육절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를 도시한 발취 측단면도이며 도 3의 (가)(나)는 작동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에 미도시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0)에 와선형 촙커터(30)를 구성하고 이송장치로부터 이동 공급되는 절단고기(40)를 배출시키는 출구(50)와 고정날(51)을 구성하여 출구(50)로부터 이송되는 절단할 고기를 회전 촙커터(30)가 절단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고정날(51)을 구성하는 출구(50)를 비스듬히 구성시켜 그 모서리 상단측으로 촙커터(30)의 회전축(20)을 출구(50)의 중심 하단측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촙커터(30)는 회전축(20)에 축설치되는 체결부와 함께 상기 체결부의 외측으로부터 와선형으로 형성되는 칼날(31)부를 형성하되,
촙커터(30)의 칼날(31)이 약 340-360도 이상 회전구성되고 최단날이 출구(50) 내측부와 근접되면서 끝단날는 출구(50)의 외측부를 지나는 크기의 만곡된 와선형으로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며 절단고기편을 절단된후 하단측에 마련된 이송콘베이어 밸트(61)로 낙하이송된다.
상기 이송콘베이어(60)는 몸체 상부측에 구동모터로 연동되는 이송 콘베이어밸트(61)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0은 절단고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생육절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를 도시한 발취 측단면도이며 도 3의 (가)(나)는 작동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수단으로 구동되는 회전축(20)에 촙커터(30)를 구성하되, 촙커터(30)의 축은 비스듬히 형성된 출구(50)의 모서리 상부와 중심부에서 하단측으로 구성하고 촙커터(30)은 축수부에서 외측으로부터 와선형으로 형성되는 만곡된 칼날(31)부를 약 340-360도 이상 회전구성되고 최단날이 출구(50) 내측부의 고정날(51)과 근접되면서 끝단날은 출구(50)의 외측부를 지나는 크기의 만곡된 와선형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서 그 작동상태를 보인고 있다
상기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50)는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할고기가 비스듬한 상태로 이동됨으로 칼날(31)이 고기의 저항을 적게 받고 절단고기량이 적은 모서리부터 절단하게 됨으로 최초에 많은 저항을 받지 않고 또한 회전력에 부하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함께 절단 초기가 원활하게 이루워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공지와 같이 기체(10)에 절단할 고기를 적재함과 함께 작동스위치를 "온"하게되면 미도시된 동력장치부에의해 연동되는 회전축(20)으로 회전되는 촙커터(30)는 고속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이송장치부의 연동으로 출구(50)에서는 적재된 생육이 설정된 두께의 거리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출구(50)에서 절단 두께의 거리를 이동하여 출구(50)외측으로 돌출된 절단할 고기는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구(50) 모서리측으로 돌출되는 고기모서리를 촙커터(30)의 최단날의 와선형 칼날(31)이 모서리를 절단함과 함께 회전되는 촙커터(30)는 이동에 따라 고기를 압착하고 그 와선형의 칼날에 의해 고기를 슬라이드하면서 절단이 된는 것이다.
이때에 칼날(31)과 출구(50)의 고정날(51)이 슬라이드마찰되는것이 바람직하고 절단효과를 증대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공지의 고기절단기인 촙커터의 날을 와선형으로 형성함과 같이 출구의 모서리 상부에 구성시켜 와선형날이 회전되면서 절단할 고기를 슬라이드 자르기로 고기를 자르도록 하여 연한 육질을 파손시키지 않게 절단되어 낙하된다. 이에의해 낙하된 고기편은 그 낙하지점에 위치된 이송콘베이어밸트(61)로 낙하됨으로 이송콘베이어밸트(61)의 순차적 이송에 의해 일정기리 이동되고 다음절단 고기편과 압착되지 않도록 함으로 고기편이 서로 압착되어 파손되는 단점을 개선한 고안이다.
이와 같이 본고안은 절단할 연질의 고기에 충격을 가하지 않고 측하단부부터 와선형의 칼날이 슬라이드되어 자르기를 함으로서 고기에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는 특징으로 육질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자르기로 인한 절단으로 고기를 신속하고 정확히 절단할수 있으면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제조될수 있는 생육절단기를 제공한 고안이다.

Claims (2)

  1. 미도시된 구동장치에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0)에 와선형 촙커터(30)를 구성하고 이송장치로부터 이동 공급되는 절단고기(40)를 배출시키는 출구(50)와 고정날(51)을 구성하여 출구(50)로부터 이송되는 절단할 고기를 회전 촙커터(30)가 절단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에 고정날(51)을 구성하는 출구(50)를 비스듬히 구성시켜 그 모서리 상단측으로 촙커터(30)의 회전축(20)을 출구(50)의 중심 하단측으로 구성함과 함께,
    상기 촙커터(30)는 회전축(20)에 축설치되는 체결부와 함께 상기 체결부의 외측으로부터 와선형으로 형성되는 칼날(31)부를 형성하되.
    촙커터(30)의 칼날(31)이 약 1회전구성되고 최단날이 출구(50) 내측부와 근접되면서 끝단날는 출구(50)의 외측부를 지나는 크기의 만곡된 와선형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생육절단기.
  2. 제1항에 있엇 칼날(31)전면하단에 위치되어 간헐이송되는 이송콘베이어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절단기.
KR2019980009650U 1998-06-08 1998-06-08 생육 절단기 KR200000002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50U KR20000000294U (ko) 1998-06-08 1998-06-08 생육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50U KR20000000294U (ko) 1998-06-08 1998-06-08 생육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94U true KR20000000294U (ko) 2000-01-15

Family

ID=6951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50U KR20000000294U (ko) 1998-06-08 1998-06-08 생육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2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205B1 (ko) * 2019-10-22 2020-06-10 김만섭 가금류에서 위시본을 분리하는 위시본 분리장치
KR102121204B1 (ko) * 2019-10-22 2020-06-10 김만섭 가금류에서 위시본을 분리하는 관통부가 포함된 위시본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205B1 (ko) * 2019-10-22 2020-06-10 김만섭 가금류에서 위시본을 분리하는 위시본 분리장치
KR102121204B1 (ko) * 2019-10-22 2020-06-10 김만섭 가금류에서 위시본을 분리하는 관통부가 포함된 위시본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9837B1 (en) cutting blade for a ROTARY APPARATUS FOR CUTTING A FOOD PRODUCT and rotary cutting apparatus
KR100319131B1 (ko) 식품 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US10933550B2 (en) Size-reduction machine and size-reduction unit therefor
KR102287919B1 (ko)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WO2002083377A1 (en) Impeller for rotary slicing machine
US4813317A (en) Rotary slicing machine
JPS6123026B2 (ko)
GB1357242A (en) Method and machine for severing meat slabs
KR100400698B1 (ko) 육절기
KR20000000294U (ko) 생육 절단기
EP1523399B1 (en) Food cutting apparatus
KR100941625B1 (ko) 냉장육 다이서
US2161891A (en) Machine for dicing vegetables, fruit, meat, etc.
KR101162992B1 (ko) 구이김 세절기
WO2004080215A1 (en) Tobacco cutting apparatus
US3010497A (en) Potato slicing machine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US265519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open filling-receiving groove in frankfurter rolls and other bakery products
RU1659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инкования капусты
KR200322068Y1 (ko) 다이서의 절단칼 어셈블리
KR200217106Y1 (ko) 식품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RU225844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RU2078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инкования капусты
KR20000011930U (ko) 오징어 세절장치
US5722318A (en) Olive ston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