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090U - 자동차용 백밀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090U
KR20000000090U KR2019980009337U KR19980009337U KR20000000090U KR 20000000090 U KR20000000090 U KR 20000000090U KR 2019980009337 U KR2019980009337 U KR 2019980009337U KR 19980009337 U KR19980009337 U KR 19980009337U KR 20000000090 U KR20000000090 U KR 200000000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er
sunglass
creep
mirro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길
Original Assignee
김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길 filed Critical 김세길
Priority to KR2019980009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090U/ko
Publication of KR20000000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090U/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백밀러에 있어서, 백밀러의 상단부에 선그라스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지의 부착식 백밀러(M7)에 있어서, 하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되고 상부에 폭이 좁은 안내부(12)가 형성된 탄성질의 크립(C)을 상기 부착식 백밀러(M)의 상단부에 고정설치한 것으로서, 선그라스를 크립(C)에 끼워 백밀러(M)의 상단부에 보관하므로서 필요할 경우 쉽게 찾을 수 있고, 단정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백밀러 형태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서 실용화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밀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백밀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백밀러의 상단부에 선그라스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백밀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자동차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백밀러는 차체에 고정된 상태로 장치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백밀러의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정식 백밀러 외면에 넓이와 시야가 넓은 부착식 백밀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착식 백밀러는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고유기능 밖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운전자들은 주행중 태양광선에 의한 눈부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그라스를 착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그라스는 도로여건이나 날씨등에 따라 착용 또는 벗어두어야 되는 경우가 많았다. 즉, 평상시 선그라스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으나, 케이스를 공구함등에 넣어 보관하여야 하므로 운전자가 선그라스가 필요한 경우 보관장소를 알지 못하여 쉽게 찾지 못하였다.
때문에, 운전자들이 필요할 경우, 선그라스를 쉽게 찾아 착용하기 위하여 계기판등과 같이 눈에 잘 띄는 곳에 놓아두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러한 경우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외면이 손상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착식 백밀러는 그 자체의 고유 기능으로 만 사용되고 선그라스는 별개의 장소에 보관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선그라스를 백밀러의 상단부 빈 공간에 보관하여 필요할 경우 쉽게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차의 진동에 의하여 선그라스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M : 부착식 백밀러 C : 크립
11 : 삽입부 12 : 안내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부착식 백밀러 상단부에 크립을 부착 형성하여서, 선그라스의 다리를 크립에 끼워 고정하면 백밀러의 상단 공간부에 선그라스를 단정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에 거울(1)이 부착되고 후면 상,하부에 상부지지편(2a)과 하부지지편(2b)이 각각 돌출 형성된 부착식 백밀러(M)의 상단부 중앙에 크립(C)을 상부로 돌출되게 부착 형성한다.
상기 크립(C)은 탄성질재로 구성하여 하부에 삽입부(11)를 형성하고 상부에 폭이 좁은 안내부(12)를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3은 선그라스, 13a는 안경다리, 14는 자동차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백밀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운전석 상부에 고정장치된 고정식 백밀러(14)에 보조 백밀러(B)를 부착하는 것이다.
즉, 부착식 백밀러(B)의 상부 지지편(2a)과 하부지지편(2b)을 고정식 백밀러(1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걸어 끼우면 부착식 백밀러(B)가 고정식 백밀러(14)의 전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백밀러의 고유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그라스(13)가 상하로 뒤집힌 상태에서 안경다리(13a)를 크립(C)에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안경다리(13a)를 안내부(12)측으로 밀어 넣으면 재질적 특성인 탄성에 의하여 안내부(12)가 확장되면서 삽입부(11)에 유입된 후, 안내부(12)가 원상태로 복귀된다.
때문에, 안경다리(13a)가 삽입부(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부착식 백밀러(M)의 상단부에 선그라스(13)가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며, 자동차의 주생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흔들림이 없이 단정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선그라스(13)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손인 닿을 수 있는 근거리에 선그라스(13)가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선그라스(13)를 상부측으로 잡아 당기면, 안내부(12)가 확장되면서 안경다리(13a)가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백밀러의 상부측 빈공간에 선그라스를 보관하므로서 운전자가 선그라스를 찾기 위하여 시간을 소모하거나 운전중 주위가 산만해지는 일없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운전자의 근거리에 선그라스가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운전중에도 손을 뻗어 선그라스를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크립에 의하여 선그라스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중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보관된 선그라스가 손상되는 일없이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부착식 백밀러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크립을 부착형성하여서, 백밀러 상부에 구성되는 빈 공간에 선그라스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쉽게 실용화 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면에 거울이 부착된 공지의 부착식 백밀러(M)에 있어서, 하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되고 상부에 폭이 좁은 안내부(12)가 형성된 탄성질의 크립(C)을 상기 부착식 백밀러(M)의 상단부에 고정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밀러.
KR2019980009337U 1998-06-02 1998-06-02 자동차용 백밀러 KR200000000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337U KR20000000090U (ko) 1998-06-02 1998-06-02 자동차용 백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337U KR20000000090U (ko) 1998-06-02 1998-06-02 자동차용 백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90U true KR20000000090U (ko) 2000-01-15

Family

ID=6951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337U KR20000000090U (ko) 1998-06-02 1998-06-02 자동차용 백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0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402A (en) Receptacle for eyeglasses
FR2808753B1 (f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module de rangement escamotable
US4576320A (en) Eyeglass holder for operative association with the rear view mirror on a vehicle
KR20000000090U (ko) 자동차용 백밀러
KR19990011440U (ko) 자동차용 안경 걸이
KR19980039562U (ko) 자동차의 안경 보관함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215625Y1 (ko) 자동차용 룸 미러
KR910009165Y1 (ko) 자동차 실내 백미러(Back Mirror)용 안경걸이대
KR0125159Y1 (ko) 자동차 백미러부의 구조
KR200331440Y1 (ko) 자동차용 선글라스 거치대
KR19980034970U (ko) 자동차의 선글래스 및 티켓 꽂이 겸용 룸 미러
KR19980059589A (ko) 자동차의 선글래스 및 티켓 꽂이 겸용 룸 미러
KR0155135B1 (ko) 루프 사이드 트림에 설치된 안경 수납구
KR0115094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Sun-Visor)리테이너
KR0115105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JPH1016650A (ja) 眼鏡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用サンバイザ
JP3072432U (ja) 車両用の補助サンバイザー
KR0114618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의 카드보관함
JP3015479U (ja) 補助灯アッセンブリ
KR0115097Y1 (ko) 자동차용 선글라스 홀더
KR200266153Y1 (ko) 보조미러가 결합된 사이드미러
KR19980049217U (ko) 리어글래스용 선바이저의 설치구조
KR0180879B1 (ko) 차량용 선글래스 보관 홀더
KR10051543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리어 뷰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