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367A - 디스크형정보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크형정보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367A
KR19990088367A KR1019990017809A KR19990017809A KR19990088367A KR 19990088367 A KR19990088367 A KR 19990088367A KR 1019990017809 A KR1019990017809 A KR 1019990017809A KR 19990017809 A KR19990017809 A KR 19990017809A KR 19990088367 A KR19990088367 A KR 1999008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케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고이케 후미로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디스크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케 후미로,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디스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고이케 후미로
Publication of KR1999008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염가에 제작할 수 있는 리드·온리·메모리(read only memory)와 랜덤·액세스·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를 가지는 디스크형의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보를 미리 기록한 요철(凹凸) 영역에 반사막을 성막한 리드·온리·메모리의 제1 기판과, 기록홈의 영역에 기록막을 성막한 랜덤·액세스·메모리의 제2 기판을 광 투과성의 접착제로 접합하는 것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DISK TY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판과 기판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신호나 화상 정보 등을 기록하기 위해,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가 주목되고 있다. 이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비디오 디스크나 컴팩트 디스크(상표명) 등으로 불려지고 있는 신호의 재생만을 하는 이른바 ROM(리드·온리·메모리(Read Only Memory))형의 정보 기록 매체나, 또는 추기형(追記型) 디스크형의 정보 기록 매체, 이른바 WO(라이트 원스 디스크(write once disk)) 등이 있다.
또한,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로서는 재기입이 가능한 광학식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나 광자기 디스크 등이 있다. 추기형 디스크나 재기입 가능한 광학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서는, 레이저광의 조사(照射)에 의한 정보의 독출(讀出)이나 기록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에는, 1장의 기판 위에, ROM(리드·온리·메모리, 독출 전용 메모리)의 영역과, RAM(랜덤·액세스·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수시 기입 독출 메모리)의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타입(hybrid type)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가 있다.
도 3은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형 정보 기록 매체(11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나의 기판(100) 위에는 ROM 에리어(101)와, RAM 에리어(102)가 형성되어 있다. ROM 에리어(101)는 기판(100)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RAM 에리어는 기판(100)의 외주측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체 성형된 디스크형 기판(100)에서는, ROM 에리어(101)의 핏(103) 영역에 반사막(104)을 성막하고, 동시에 RAM 에리어(102)의 기록홈(105)에는 기록막(106)을 성막할 필요가 있다.
도 3과 같은 일체 성형의 기판(100)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형용 원반(107)이 필요하다. 이 성형용 원반(107)의 내주측 영역에는 ROM 에리어(108)가 형성되고, 외주측에는 RAM 에리어(109)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3에 나타낸 디스크형의 하이브리드형 정보 기록 매체(110)와, 도 4에 나타낸 이를 위한 성형용 원반(107)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도 4의 성형용 원반(107)과 같이, 1장의 원반에 대하여 ROM 에리어(108)와 RAM 에리어(109)를 동시에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핏(103)과 기록홈(105)의 홈 깊이나 홈 폭이 상이하기 때문에, 양자를 100% 만족시키도록 최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다.
RAM 에리어(109)의 부분은 콘텐트(내용)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10만장 이상의 RAM 에리어용 정보 기록 매체를 프레스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ROM 에리어(108)는 콘텐트를 포함하고, 그 콘텐트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1천장 정도 밖에 프레스 할 수 없어, 콘텐트가 상이하면 원반(107)을 다시 만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반(107)에 대하여 ROM 에리어(108)와 RAM 에리어(109)를 동시에 형성할 때에는 원반(107)의 제작 코스트가 높아져 버린다.
또, 도 3의 정보 기록 매체(1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ROM 에리어(101)의 핏(103)과, RAM 에리어(102)의 기록홈(105)에서는 홈 형상이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최적의 성형을 동시에 하기는 곤란하다. 예를 들면 ROM 에리어의 핏 깊이는 1/4λ이며, RAM 에리어의 홈 깊이는 1/6λ이다. RAM 에리어(102)의 기록홈(105)의 성형 및 기록막(106)의 성막은 ROM 에리어의 핏(103)의 성형 및 반사막(104)의 성막에 대하여, 2배 내지 5배의 시간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ROM에 최적의 성형 조건과 RAM에 최적의 성형 조건이 상이해, ROM 성형 온도가 90∼100℃인 데 대하여, RAM 성형 온도는 120∼130℃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형의 정보 기록 매체(110)를 만드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ROM 에리어(101)의 콘텐트에 따라서는 원반의 ROM 에리어(108)의 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고, 한편에서는 RAM 에리어(109)는 콘텐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RAM 에리어(109)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즉 ROM 에리어(108)는 콘텐트의 변경이 있으면, 당연히 원반(107)을 다시 만들지 않으면 안되지만, RAM 에리어(109)는 콘텐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만들어 모아 둘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 기판(100)에 대하여 ROM 에리어(101)와 RAM 에리어(102)를 동시에 형성하면 실제의 생산 상 불이익이 발생하여, 제작 코스트가 상승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고, 염가에 제작 할 수 있는 리드·온리·메모리와 랜덤·액세스·메모리를 가지는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타입(hybrid type)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종래의 하이브리드 타입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원반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 12: 제1 기판, 14: 제2 기판, 16: 접착층, 22: 정보핏(pit)(요철(凹凸) 영역), 24: 반사막, 32: 기록홈, 34: 기록막, 40: ROM 에리어, 50: RAM 에리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보를 미리 기록한 요철(凹凸) 영역에 반사막을 성막한 리드·온리·메모리의 제1 기판과, 기록홈의 영역에 기록막을 성막한 랜덤·액세스·메모리의 제2 기판을 광 투과성의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기판의 리드·온리·메모리는 정보를 미리 기록한 요철 영역에 반사막을 성막하고 있다. 제2 기판의 랜덤·액세스·메모리는 기록홈의 영역에 기록막을 성막한 것이다. 이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광 투과성의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콘텐트의 변경에 의해 제작 변경될 것인 제1 기판의 리드·온리·메모리와 콘텐트의 변경과는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제2 기판의 랜덤·액세스·메모리를 별도로 만들어 두어, 광 투과성의 접착제로 접합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형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를 염가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기판은 광 투과성을 가지고, 제1 기판의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제2 기판과 접착제를 통해 광을 요철 영역측에 조사하고, 제2 기판을 통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제2 기판에 정보를 기입하거나, 제2 기판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투명한 자외선 경화 수지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이 붙여져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설명에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斷面)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는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 및 중간의 광 투과성 접착층(접착제)(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기판(12)은 정보를 미리 기록한 요철 영역에 반사막을 성막한 리드·온리·메모리이다. 제2 기판(14)은 기록홈의 영역에 기록막을 성막한 랜덤·액세스·메모리이다. 이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는 중심 부분에 중심공(18)을 가지고 있으며, 도 1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 내의 절반의 영역을 도 2에서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기판(12)은 디스크형의 기판 부분(20)과, 정보핏(요철 영역)(22) 및 반사막(24)을 가지고 있다. 제1 기판(12)의 기판 부분(20)은, 예를 들면 광 투과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정보핏(22)은 이 기판 부분(20)의 내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핏(22)은 정보핏 작성용 원반으로 만들 수 있다.
정보핏(22)의 위에는 반사막(24)이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막(24)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광 반사 특성이 우수한 재질을 채용할 수 있다. 정보핏(22)과 반사막(24)은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의, 예를 들면 반경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내주측에 걸쳐 형성된다.
한편, 제2 기판(14)은 기판 부분(30)과, 기록홈(기록부 홈)(32)과, 기록막(34)을 가지고 있다. 기판 부분(30)은, 예를 들면 광 투과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기판 부분(30)의 내면측에는, 기록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록막(34)은 그 기록홈(32)의 위에 얇게 성막되어 있다
기록홈(32)은 기록홈(32)을 성형하기 위한 원반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 기록홈(32)의 성형용 원반과, 전술한 정보핏(22)을 성형하기 위한 원반은 별개의 원반이다.
기록막(34)은 기록홈(32)에 성막하는 것이지만, SiO2, ZnS, SbAgAb, ZnS, 고반사 알루미늄과 같은 다층막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기판 부분(30)의 두께 W가, 예를 들면 0.6mm이며, 광 투과성 접착층(16)의 두께와 기판 부분(30)의 두께 W를 합계한 두께 W1은, 예를 들면 0.60mm±0.03mm이다. 기판 부분(20)의 두께 W2는, 예를 들면 0.6mm이다.
기록홈(32) 및 기록막(34)은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의, 예를 들면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주 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제1 기판(12)의 정보핏(22)과 반사막(24)과, 제2 기판(14)의 기록홈(32)과 기록막(34)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 투과성의 접착층(16)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 경화성의 수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자외선 경화(硬貨)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1 기판(12)은 원반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이에 따라 제1 기판(12)의 내면측에 정보핏(22)이 만들어진다. 이 정보핏(22)은 미리 음악 정보 등의 정보(콘텐트)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제1 기판(12)의 정보핏(22)의 자리에는 반사막(24)이, 예를 들면 스퍼터링이나 증착법에 의해 성막된다.
한편, 제2 기판(14)은 별도의 원반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되지만, 이에 따라 제2 기판(14)의 내면측에는 기록홈(32)이 형성된다. 이 기록홈(32)은 정보(콘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 후, 기록홈(32)의 위에는 기록막(34)이 스퍼터링이나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제1 기판(12)의 내면측과 제2 기판(14)의 내면측이 광 투과성의 접착제(16)에 의해 접착된다. 일예로서는,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을 겹쳐 맞춘 상태에서, 중심공(18)을 중심으로 하여 R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또한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향하는 T 방향으로 자외선을 차례로 조사해 감으로써, 광 투과성의 접착층(16)을 광 경화시킨다.
제1 기판(12)의 기판 부분(20)과 제2 기판(14)의 기판 부분(30)이, 예를 들면 0.60mm인 경우에는 완성된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 전부의 두께는, 예를 들면 1.20mm 전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 기판(12)은 ROM 에리어(리드·온리·메모리)(40)를 가지며, 이 ROM 에리어(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핏(22)과 반사막(24)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기판(14)은 RAM 에리어(랜덤·액세스·메모리)(50)를 가지며, RAM 에리어(50)는 기록홈(32)과 기록막(34)으로 형성되어 있다.
ROM 에리어(40)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콘텐트)를 독출하는 경우에는, 광학 픽업(60)의 대물 렌즈(62)를 통해 독출용 레이저광 L을 정보핏(22)측에 조사한다. 이에 따라, 정보핏(22)의 반사막(24)은 레이저광 L의 귀환광을 광학 픽업(60)측으로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광학 픽업(60)은 소정의 처리 수단에 의해 정보핏(22)의 정보(콘텐트)를 신호로서 독출할 수 있다.
한편, 광학 픽업(60)의 대물 렌즈(62)를 통해 RAM 에리어(50)에 대하여 독출용 레이저 광 L을 조사함으로써, 기록홈(32)에 정보(콘텐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귀환광을 사용하여 독출할 수 있다. 기록홈(32)에 대하여 정보를 새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광학 픽업(60)으로부터의 기록용 레이저광을 기록홈(32)측에 조사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를 만드는 경우에는, 제1 기판(12)의 ROM 에리어(4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ROM 에리어용 원반을 사용하고, 한편 제2 기판(14)의 RAM 에리어(5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RAM 에리어용 원반을 별도로 필요로 한다. 즉, 2장의 원반을 사용하여, 도 2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의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을 별개로 제작한다. 이에 따라 RAM 에리어(40)와, 정보핏(22)이 필요한 홈 깊이나 홈 폭과, RAM 에리어(50)의 기록홈(32)이 필요한 홈 깊이나 홈 폭을 각각 별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타입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RAM 에리어(50)를 가지는 제2 기판(14)은, 그 물리적 수명까지 사용할 수 있어, 정보(콘텐트)의 변경에 의해 다시 만들 필요가 있는 것은 ROM 에리어(40)를 가지는 제1 기판(12) 뿐이다. 이에 따라, 제1 기판(12)은 콘텐트의 변경에 따라 다시 만들면 되고, 제2 기판(14)은 콘텐트 변경에 상관 없이 그대로 동일한 것을 만들어 두면 된다. 그러므로 RAM 에리어(50)를 가지는 제2 기판(14)은, 별도로 많이 만들어 모아 둘 수 있다. 그리고, 콘텐트에 맞춘 제1 기판(12)을 따로 만들어, 미리 만들어져 있는 RAM 에리어용 제2 기판(14)과, ROM 에리어용 제1 기판(12)을 접합하면, 짧은 시간에 대량의 하이브리드 타입의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10)를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ROM 에리어(4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콘텐트)를 독출하는 경우라도, 제2 기판(14)의 RAM 에리어(50)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라도, 광학 픽업(60)은 독출용 레이저광 또는 기록용 레이저광을 제2 기판(14)의 기판 부분(30)을 통해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 ROM 에리어(40)의 정보를 독출하는 경우에는, 레이저광은 기판 부분(30)과 광 투과성 접착층(16)을 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기판(12)의 기판 부분(20)은 반드시 광 투과성의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온리·메모리와 랜덤·액세스·메모리를 가지는 염가의 정보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정보를 미리 기록한 요철(凹凸) 영역에 반사막을 성막한 리드·온리·메모리
    (ROM)의 제1 기판과, 기록홈의 영역에 기록막을 성막한 랜덤·액세스·메모리(RAM)의 제2 기판을 광 투과성의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되고, 제2 기판의 기판 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照射)함으로써, RAM 영역의 기록 정보를 재생하거나 RAM 영역의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의 정보 핏(pit)과 기록층 및 제2 기판의 기록홈과 기록층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의 기판 부분은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정보 기록 매체.
KR1019990017809A 1998-05-25 1999-05-18 디스크형정보기록매체 KR19990088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43208A JPH11339318A (ja) 1998-05-25 1998-05-25 ディスク状の情報記録媒体
JP98-143208 1998-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367A true KR19990088367A (ko) 1999-12-27

Family

ID=1533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809A KR19990088367A (ko) 1998-05-25 1999-05-18 디스크형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39318A (ko)
KR (1) KR1999008836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39318A (ja) 199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3914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805563A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n which a visible display having a stereoscopically view effect and a depth viewing effect can be made
JPH11120617A (ja) 光記録媒体
US7161893B2 (en) Stamper for fabrication of optical recording medium, method of forming information recording area and light transmissive layer,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JP4258037B2 (ja) 光記録媒体と、こ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KR20000006510A (ko) 광기록매체및광기록재생장치
JPH0944898A (ja) 光学ディスク
JPH0997452A (ja) 多層光学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0242976A (ja) 光情報媒体
JPH06274940A (ja) 光ディ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88367A (ko) 디스크형정보기록매체
JPH08297859A (ja) 光学ディスク
JP2000298879A (ja) 光記録媒体
JP2003006919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製造方法
JPH0991752A (ja) 多層光ディスク
EP1429322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JPH09147415A (ja) 多層ディスク
JP3986702B2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用基板
JP4192929B2 (ja) 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0251324A (ja) 光記録媒体
JPH01286135A (ja) 光ディスク
KR100616232B1 (ko) 고밀도광기록매체그리고그기록/재생장치및방법
KR100597911B1 (ko) 테스트 디스크
KR100699632B1 (ko)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2184032A (ja)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