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911B1 - 테스트 디스크 - Google Patents

테스트 디스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911B1
KR100597911B1 KR1020040016815A KR20040016815A KR100597911B1 KR 100597911 B1 KR100597911 B1 KR 100597911B1 KR 1020040016815 A KR1020040016815 A KR 1020040016815A KR 20040016815 A KR20040016815 A KR 20040016815A KR 100597911 B1 KR100597911 B1 KR 10059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recording surface
pickup
disc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179A (ko
Inventor
마에노요시아끼
오가와미쯔아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11B7/24041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with different recording characteristi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97Structures for detection, control, recording operation or replay operation; Special shapes or structures for centering or eccentricity prevention; Arrangements for testing, inspecting or evaluating; Containers, cartridges or cassettes

Landscapes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기록층이 적층된 호환 재생 픽업 조정용 테스트 디스크로서, 각 기록층에 일정한 형식으로 기록된 신호 기록면이 형성되어 있는 테스트 디스크이다. 1장의 디스크에 기록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기록층을 적층함으로써, 호환 재생 픽업을 조정할 때, 디스크 교환 및 그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교환에 의한 디스크 자체 및 처킹 상태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픽업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기록층, 픽업, 파장 레이저광, 신호 기록면, 반사막, 경화 수지

Description

테스트 디스크{TEST DIS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 실시예의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의 정격값 및 재생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c)는 도 1 실시예의 제1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b)는 도 1 실시예의 제2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b)는 도 1 실시예의 제3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 실시예의 접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 실시예의 접합된 테스트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1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시킨 일체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3 신호 기록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1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반사막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한 테스트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 실시예의 CD, DVD, 및 AOD의 정격값 및 재생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의 (a)∼(c)는 도 13 실시예의 제1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의 (a)∼(b)는 도 13 실시예의 제2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3 실시예의 접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3 실시예의 접합된 테스트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의 (a)∼(c)는 도 19 실시예의 제1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의 (a)∼(b)는 도 19 실시예의 제2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의 (a)∼(b)는 도 19 실시예의 제3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19 실시예의 접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19 실시예의 접합된 테스트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19 실시예의 다른 제저 방법에서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한 일체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19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제3 신호 기록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19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반사막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19 실시예의 다른 제조 방법에 따른 테스트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0의 (a)∼(c)는 도 29 실시예의 제1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의 (a)∼(b)는 도 29 실시예의 제2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도 29 실시예의 접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도 29 실시예의 접합된 테스트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52, 68, 74 : 테스트 디스크
12 : 픽업
14 : 제1 기록층
20, 54 : 제2 기록층
26 : 제3 기록층
32 : 제1 파장 레이저광
34 : 제1 신호 기록면
36 : 제2 파장 레이저광
38 : 제2 신호 기록면
40 : 제3 파장 레이저광
42 : 제3 신호 기록면
60 : 제2a 파장 레이저광
62 : 제2a 신호 기록면
64 : 제2b 파장 레이저광
66 : 제2b 신호 기록면
70, 72, 76 :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
본 발명은, 테스트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기록층을 적층하고, 각 기록층에 신호가 일정한 형식으로 기록된 신호 기록면을 형성한, 호환 재생 픽업의 조정에 이용하는 테스트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스트 디스크의 일례가, 일본 특허 제29839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기판의 두께가 서로 다른 CD나 DVD 등의 광 디스크를 호환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용 픽업의 조정에 이용하는 광 디스크이다. 복수의 광 디스크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레이저 빔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자외선 경화 수지로 접합하여 작성된 디스크로서, 각 신호 기록면이 서로 다른 포맷이며, 직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호환 재생 픽업이 각 디스크를 올바르게 재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그 때마다 디스크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픽업의 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기록 용량이 DVD의 수배에 달하는 블루레이 디스크나 어드밴스드 옵티컬 스토리지(AOD) 등이 개발되어 있다.
현재, 대부분의 DVD 재생기로 CD를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금후 상품화가 기대되는 블루레이 디스크나 AOD 등의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기로도 마찬가지로 CD나 DVD 등의 저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하위 호환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록 밀도의 차이에 의해, 디스크의 피트(기록 마크)의 크기, 피치, 기판의 두께 등의 물리적 구조나, 기록 신호의 변조 방식 등이 다르기 때문에, 호환 재생할 수 있도록 픽업을 조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왜냐하면, 기록 밀도의 향상에 의해 디스크 등의 스펙이 엄격하게 되어, 픽업의 조정에 요구되는 정밀도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밀도 디스크와 저밀도 디스크와의 호환 재생 픽업의 조정을 고정밀도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테스트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은, 기록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기록층을 적층하고, 각 기록층에 신호가 일정한 형식으로 기록된 신호 기록면을 형성한, 호환 재생 픽업의 조정에 이용하는 테스트 디스크로서, 신호 기록면의 하나가 블루레이 디스크의 규격으로 형성되는 신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디스크이다.
또한, 그 신호 기록면에 판독 영역이 구분되어 형성된다. 혹은, 그 신호 기록면에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이 형성된다.
제2 발명은, 기록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기록층을 적층하고, 각 기록층에 신호가 일정한 형식으로 기록된 신호 기록면을 형성한, 호환 재생 픽업의 조정에 이용하는 테스트 디스크로서, 신호 기록면의 하나가 어드밴스드 옵티컬 스토리지 규격으로 형성되는 신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디스크이다.
또한, 그 신호 기록면에 판독 영역이 구분되어 형성된다. 혹은, 그 신호 기록면에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이 형성된다.
<작용>
테스트 디스크는 신호 기록면이 적층되며, 판독 영역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픽업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각 판독 영역에 신호 기록면을 재생하는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테스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호환 재생 픽업을 조정하면, 서로 다른 신호 기록면의 조정으로 바뀔 때에 디스크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교환 작업과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교환에 의한 각 디스크의 편심이나 기울기 등의 조정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택트 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교환에 의한 디스크 자체 및 처킹 상태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평가 데이터가 얻어져, 고정밀도로 픽업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신뢰성이 높은 테스트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의 하나를 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AOD로 함으로써,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기에서도 저밀도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하위 호환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신호 기록면에 구분된 판독 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파장 선택성을 갖 는 다층막을 형성한다. 다층막은 재생 기록면의 재생 파장의 레이저광을 반사하고, 재생 기록면으로부터 판독면과 반대측에 있는 기록면의 재생 파장의 레이저광을 투과한다. 따라서, 이 다층막을 신호 기록면에 형성한 테스트 디스크를 이용하여 픽업을 조정하면, 픽업을 이동시키지 않고,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각 디스크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정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고, 평가 데이터의 신뢰성은 높아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더 명백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테스트 디스크(10)는 픽업(12)에 의해 재생된다. 도 1에서는 우측이 테스트 디스크(10)의 내주측이고, 좌측이 외주측이다.
테스트 디스크(10)는, 적층된 3개의 기록층(14, 20, 26)을 포함한다. 제1 기록층(14)은 제1 기판(16)과 그것에 적층된 보호층(18)을 포함하고, 제2 기록층(20)은 제2 기판(22)과 그것에 적층된 접착층(24)을 포함하며, 제3 기록층(26)은 제3 기판(28)과 그것에 적층된 접착층(30)을 포함한다.
각 기판의 재료는 모두 투명이어야만 한다. 그리고, 휘어짐이 없다라는 이유로 유리가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PC(폴리카보네이트)나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투명한 수지를 이용해도 된다. 접착층(24, 30) 및 보호층(18)의 재료는, 경화 시간이 짧고 투명한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투명한 수지를 이용해도 된다.
제1 기판(16)에는 제1 파장 레이저광(32)으로 재생 가능한 제1 신호가 기록된 제1 신호 기록면(34)이, 제2 기판(22)에는 제2 파장 레이저광(36)으로 재생 가능한 제2 신호가 기록된 제2 신호 기록면(38)이, 그리고 제3 기판(28)에는 제3 파장 레이저광(40)으로 재생 가능한 제3 신호가 기록된 제3 신호 기록면(42)이, 각각 형성된다. 각 신호 기록면(34, 38, 42)의 일부가 판독 영역으로서 알루미늄의 반사막(44)으로 피복된다. 즉, 제1 신호 기록면(34)으로부터 제3 신호 기록면(42)에 걸쳐, 각각 판독 영역 w1, w2 및 w3이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부분적으로 순서대로 구분된다.
또한, 반사막의 재료는 알루미늄 대신에, 은, 인듐, 안티몬 및 텔루륨의 합금(Ag-In-Sb-Te계), 혹은 게르마늄, 안티몬 및 텔루륨의 합금(Ge-Sb-Te계)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판독 영역 w1, w2 및 w3을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순서대로 형성하고 있지만, 어떤 순서로 형성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제1 신호 기록면(34), 제2 신호 기록면(38) 및 제3 신호 기록면(42)은 각각 도 2에 도시한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의 규격으로 신호면(피트나 그루브 등)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파장, 제2 파장 및 제3 파장은 일례로서 780㎚, 650㎚ 및 405㎚이다. 또한, CD의 판독면측(픽업이 있는 측)의 기판 두께 h1은 1.2㎜, DVD의 기판 두께 h2는 0.6㎜, 블루레이 디스크의 기판 두께 h3은 0.1㎜이다. 디스크(10)의 전체 두께 h1+β는, 보호층(18)의 두께 β가 수㎛로 디스크에 비해 매우 얇기 때문에 h1=1.2㎜로 근사할 수 있다. 제1 기판(16)의 두께 s1은 수학식 1에 의해 주어지며, 제2 기판(22)의 두께 s2는 수학식 2에 의해 주어진다. 단, 접착층(24, 30)의 두께 α는 수십㎛이다. 제3 기판(28)의 두께 s3은 h3=0.1㎜이다.
Figure 112004010325076-pat00001
Figure 112004010325076-pat00002
또한, 여기서는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의 3개의 신호 기록면을 갖고 있지만, 호환 재생 픽업(12)의 사양에 맞춘 신호 기록면, 예를 들면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의 2개의 신호 기록면만을 형성해도 된다.
호환 재생 픽업(12)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각 신호 기록면에 형성한 판독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반사막(44)에서 반사된 광을 픽업(12)으로 검출함으로써 행한다. 이 경우, DVD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픽업(12)으로부터 레이저광(36)을 제2 신호 기록면(38)의 판독 영역 w2에 조사한다. 다음으로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픽업(12)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레이저광(40)을 제3 신호 기록면(42)의 판독 영역 w3에 조사하고, CD의 경우에는 픽업(12)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레이저광(32)을 판독 영역 w1에 조사한다.
이와 같이, 1장의 테스트 디스크(10) 내에 기록층이 적층되고, 각 신호 기록면의 일부에 반사막(44)으로 피복된 판독 영역을 형성하면, 디스크를 교환하지 않 고 픽업(12)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각 신호 기록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호환 재생 픽업(12)에 의해 각 디스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를 교환하면, 각 디스크의 상태 및 처킹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평가 데이터에 디스크 상태 등의 인자가 들어간다. 그러나, 1장의 테스트 디스크(10)에서는 그러한 것이 없어, 픽업(12)을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그 밖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최단 피트 길이」란,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판독할 수 있는 가장 짧은 피트의 길이이다. 「트랙 피치」란, 인접하는 트랙간의 거리이다. 「스폿 직경」이란, 조사된 레이저광의 신호 기록면에서의 스폿의 직경이다. 「개구수」란, 픽업의 대물 렌즈의 해상도나 초점 심도 등을 정하는 값으로, 개구수가 클수록, 해상도가 높고 광량이 많은 레이저광이 얻어지지만, 그 반면, 초점 심도는 얕아진다. 「파장」이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파장이다.
다음으로, 도 1의 실시예의 테스트 디스크(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3∼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기록층(14)을 위한 제1 기판(16)은, 도 3의 (a)에 도시한 제1 신호 기록면(34)을 한쪽의 면에 갖고, 예를 들면 앞에서 예를 든 광 투과성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계속해서, 제1 신호 기록면(34)의 판독 영역 이외의 부분을 마스킹하고, 스퍼터링 등으로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을 도 3의 (b)와 같이 형성한다. 그 위를 보호층(18)으로 피복하여, 도 3의 (c)의 제1 기록층(14)을 작성한다.
도 4의 (a)의 제2 신호 기록면(38)이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제2 기판(22)은, 투명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이 제2 신호 기록면(38)의 판독 영역에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퍼터링 등으로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을 형성한다. 또한, 도 5의 (a)의 제3 기판(28)도 그 한쪽의 면에 제3 신호 기록면(42)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으로 작성된다. 이 제3 신호 기록면(42) 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신호 기록면(34)과 제2 신호 기록면(38)의 판독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반사막(44)을 형성한다.
각각 작성한 3개의 기판(16, 22, 28)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 수지(46)에 의해 접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46)를 경화시킴으로써, 도 7의 테스트 디스크(10)를 작성한다.
또한, 여기서는 3개의 기판의 작성 방법에 사출 성형을 예로 들었지만, 2P(Photo Polymer) 성형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테스트 디스크(10)의 다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8∼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으로 작성된 제1 기판(16)에 반사막(44)과 보호층(18)을 형성하고, 제2 기판(22)에 반사막(44)을 형성한다. 이들 2개의 기판(16, 22)을 자외선 경화 수지(46)로 접합하여, 도 8에 도시한 제1 기록층(14)과 제2 기록층(20)의 일체층(48)을 작성한다.
사전에 제작해 둔 일체층(48)에 2P 성형법을 이용하여 제3 기록층(26)을 작성한다. 예를 들면, 일체층(48)에 제3 신호 기록면(42)이 형성된 금형을 얹어, 그 안에 광 경화성 수지를 주입하고, 자외선을 일체층(48)측으로부터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층(48) 상에 제3 신호 기록면(42)을 갖는 자외선 경화 수지층(30a)이 형성된다. 이 제3 신호 기록면(42)의 판독 영역 이외의 부분에 마스킹하고, 스퍼터링 등에 의해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을 형성한다(도 10). 마지막으로, 제3 신호 기록면(42) 상에 보호 시트를 접착하거나, 스핀 코팅 등으로 투명 수지를 매립하면, 도 11의 3개의 기록층이 적층된 1장의 테스트 디스크(10)가 작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제3 기록층(42)의 성형에서, 제1 기록층(14)과 제2 기록층(20)의 일체층(48) 상에 직접 신호 기록면(42)을 갖는 자외선 경화 수지층(30a)을 형성하였지만, 별도로 신호 기록면(42)을 갖는 자외선 경화 수지층(30a)을 제작하고, 후에 일체층(48)에 접착해도 된다.
<제2 실시예>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테스트 디스크(50)는 픽업(12)에 의해 재생된다. 도 12에서는 우측이 테스트 디스크(50)의 내주측으로 되고, 좌측이 외주측이다.
테스트 디스크(50)는 적층된 3개의 기록층(14, 20, 26)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 재료, 제조 방법, 및 픽업(12)의 재생 방법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반사막(44)의 형성 영역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1 기판(16)의 제1 신호 기록면(34)에는 전면에 스퍼터링에 의해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이 형성된다. 제2 신호 기록면(38)에는 제1 신호 기록면(34)의 판독 영역 w1을 제외하고 그것보다 내주측으로 반사막(44)이 형성된다. 제3 신호 기록면(42)에는 제1 신호 기록면(34)과 제2 신호 기록면(38)의 판독 영역 w1과 w2를 제외하고 더욱 내주측으로 반사막(44)이 형성된다.
반사막을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해도, 판독 영역 w1, w2, 및 w3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신호 기록면(34)으로부터 제3 신호 기록면(42)에 걸쳐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부분적으로 순서대로 형성된다.
<제3 실시예>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테스트 디스크(52)는 픽업(12)에 의해 재생된다. 도 13에서는 우측이 테스트 디스크(52)의 내주측으로 되고, 좌측이 외주측이다.
테스트 디스크(52)는 적층된 2개의 기록층(14, 54)을 포함한다. 제1 기록층(14) 및 테스트 디스크(52)의 재료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기록층(54)은 제2 기판(56)과 그것에 적층된 접착층(58)을 포함하며, 제2 기판(56)은 제2a 신호 기록면(62)과 제2b 신호 기록면(66)을 갖고, 제2a 신호 기록면(62)은 제2a 파장 레이저광(60)으로 재생 가능한 제2a 신호가 기록되며, 제2b 신호 기록면(66)은 제2b 파장 레이저광(64)으로 재생 가능한 제2b 신호가 기록된다. 각 신호 기록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루미늄의 반사막(44)으로 피복되고, 이들 부분이 판독 영역 w1, w2a, 및 w2b로 된다. 즉, 제1 신호 기록면(34), 제2a 신호 기록면(62), 및 제2b 신호 기록면(66)의 판독 영역 w1, w2a 및 w2b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부분적으로 순서대로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판독 영역 w1, w2a, 및 w2b를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으로 판독 영역을 형성하고 있지만, 어떤 순서라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제1 신호 기록면(34), 제2a 신호 기록면(60) 및 제2b 신호 기록면(64)은, 각각 도 14에 도시한 CD, DVD, 및 AOD의 규격으로 신호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 파장, 제2a 파장, 및 제2b 파장은, 일례로서 780㎚, 650㎚, 및 405㎚이다. 또한, CD의 판독면측의 기판 두께 h1은 1.2㎜, DVD와 AOD의 기판 두께 h2는 0.6㎜이다. 디스크(52)의 전체 두께 h1+β는, 보호층(18)의 두께 β는 매우 얇기 때문에 h1=1.2㎜로 근사할 수 있다. 제1 기판(16)의 두께 s1은 앞의 수학식 1에 의해 주어지고, 제2 기판(56)의 두께 s4는 h2=0.6㎜이다.
또한, 여기서는 CD, DVD, 및 AOD의 3개의 신호 기록면을 갖고 있지만, 호환 재생 픽업(12)의 사양에 맞춘 신호 기록면, 예를 들면 DVD와 AOD의 2개의 신호 기록면만을 형성해도 된다.
호환 재생 픽업(12)의 조정은, 픽업(12)을 이동시켜, 테스트 디스크(52) 내에 형성된 각 판독 영역 w1, w2a, 및 w2b에 레이저광(32, 60, 64)을 조사하고, 반사막(44)에서 반사된 광을 픽업(12)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행한다. 즉, AOD를 재생하는 경우, 픽업(12)으로부터 레이저광(64)을 제2b 신호 기록면(66)의 판독 영역 w2b에 조사한다. DVD의 경우에는 픽업(12)을 외주측으로 이동시켜, 레이저광(60) 을 판독 영역 w2a에 조사하고, CD의 경우에도 픽업(12)을 외주측으로 이동시켜, 레이저광(62)을 판독 영역 w1에 조사한다.
이와 같이, 1장의 테스트 디스크(52) 내에 기록층이 적층되고, 각 신호 기록면이 구분되어 있으며, 각 신호 기록면의 일부에 판독 영역이 형성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신속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픽업(12)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스트 디스크(52)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5∼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기록층(14)은 도 15의 (a)∼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작된다. 다음으로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a 신호 기록면(62)과 제2b 신호 기록면(66)을 한쪽의 면에 갖는 제2 기판(56)을 사출 성형으로 작성한다. 그리고, 이들 신호 기록면(62, 66) 상에 판독 영역 w1을 마스킹하고, 스퍼터링 등으로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을 도 16의 (b)와 같이 형성한다. 각각 작성한 2개의 기판(16, 56)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 수지(46)에 의해 접합하여, 도 18의 테스트 디스크(52)를 작성한다.
<제4 실시예>
도 1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테스트 디스크(68)는 픽업(12)에 의해 재생된다. 도 19에서는 우측이 테스트 디스크(68)의 내주측으로 되고, 좌측이 외주측이다.
테스트 디스크(68)는 적층된 3개의 기록층(14, 20, 26)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 및 재료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판독 영역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신호 기록면(38, 42)의 전면이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70, 72)으로 피복되고, 제1 신호 기록면(34)의 전면이 알루미늄의 반사막(44)으로 피복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신호 기록면의 판독 영역이 부분적이었지만, 이 경우에는 판독 영역이 각 신호 기록면의 전면이다.
신호 기록면에 형성된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은, 그 신호 기록면을 재생하는 레이저광을 반사하고, 그것으로부터 판독면과 반대측에 있는 신호 기록면을 재생하는 레이저광을 투과하는 막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신호 기록면(34), 제2 신호 기록면(38) 및 제3 신호 기록면(42)은, 각각 도 2에 도시한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의 규격이고, 제1 파장, 제2 파장, 및 제3 파장은 780㎚, 650㎚, 및 405㎚이다. DVD(38)의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70)은 재생 파장 650㎚의 레이저광(36)을 반사하고, 판독면과 반대측에 있는 CD(34)의 재생 파장 780㎚의 레이저광(32)을 투과한다. 블루레이 디스크(42)의 다층막(72)은 재생 파장 405㎚의 레이저광(40)을 반사하고, CD와 DVD의 재생 파장 650㎚와 780㎚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32, 36)을 투과한다. CD(34)는 판독면의 반대측에 신호 기록면이 없어 레이저광을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전반사하는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을 형성한다.
호환 재생 픽업(12)의 조정은, 각 신호 기록면(34, 38, 42)의 재생 파장의 레이저광(32, 36, 40)을 각 기록면(34, 38, 42)에 조사하고, 다층막(70, 72) 또는 반사막(44)에서 반사된 광을 픽업(12)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행한다. 즉, 블루레이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픽업(12)으로부터 파장 405㎚의 레이저광(40)을 제3 신호 기록면(42)에 조사하고, 다음으로 DVD의 경우에는 픽업(12)을 이동시키지 않고 파장을 650㎚로 바꾼 레이저광(36)을 제2 신호 기록면(38)에 조사하며, CD의 경우에도 픽업(12)을 이동시키지 않고 파장을 780㎚로 바꾼 레이저광(32)을 신호 기록면(34)에 조사한다.
제1 실시예∼제3 실시예에서는 신호 기록면의 판독 영역이 전반사하는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이기 때문에, 각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 각 판독 영역에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픽업(12)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동시키면 디스크의 틸트 등의 미소한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재차 픽업(12)의 미세 조정을 행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4 실시예의 다층막을 이용한 경우, 픽업(12)을 이동시키지 않고, 레이저광의 파장을 바꾸는 것만으로 각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픽업(12)의 조정 정밀도는 향상된다.
다음으로, 테스트 디스크(68)의 제조 방법은 도 20∼도 28에 도시하고, 또한 다른 제조 방법은 도 25∼도 28에 도시하지만, 모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신호 기록면의 판독 영역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신호 기록면(34)의 전면에 반사막(44)을 형성하고, 도 21의 (b), 도 22의 (b)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신호 기록면(38)과 제3 신호 기록면(42)의 전면에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70, 72)을 스퍼터링 또는 진공 증착법 등으로 형성한다. 또한, 반사막(44) 또는 다층막(70, 72)을 신호 기록면의 전면이 아니라 일부에 형성해도 되지만, 마스킹 등의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테스트 디스크의 제조에서, 각 기록층의 접합에 자외선 경화 수지(46)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실시예∼제3 실시예와 같이 반사막(44)을 형성하면,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이 반사막(44)에서 반사되게 된다. 그러나,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을 이용하면,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의 투과율이 올라가, 단시간에 수지가 경화되어 기록층을 양호한 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2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테스트 디스크(74)는 픽업(12)에 의해 재생된다. 도 29에서는 우측이 테스트 디스크(74)의 내주측으로 되고, 좌측이 외주측이다.
테스트 디스크(74)는 적층된 2개의 기록층(14, 54)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 및 재료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판독 영역이 제3 실시예와 다르다. 신호 기록면(62, 66)의 전면이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70, 76)으로 피복되고, 제1 신호 기록면(34)의 전면이 알루미늄의 반사막(44)으로 피복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신호 기록면(34), 제2a 신호 기록면(62) 및 제2b 신호 기록면(66)은, 각각 도 14에 도시한 CD, DVD, 및 AOD의 규격이고, 제1 파장, 제2a 파장, 및 제2b 파장은 780㎚, 650㎚, 및 405㎚이다. DVD의 다층막(70)은 재생 파장 650㎚의 레이저광(60)을 반사하고, 판독면과 반대측에 있는 CD(34)의 재생 파장 780㎚의 레이저광(32)을 투과한다. AOD의 다층막(76)은 재생 파장 405㎚의 레이저 광(64)을 반사하고, CD의 재생 파장 780㎚의 레이저광(32)을 투과한다. CD는 판독면의 반대측에 신호 기록면이 없어 레이저광에 투과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신호 기록면(34) 전체에 전반사하는 알루미늄의 반사막(44)이 형성된다.
또한, DVD와 AOD의 다층막(70, 76)은 모두 파장 780㎚의 레이저광(32)을 투과하고, 파장 650㎚와 405㎚의 레이저광(60, 64)을 반사하기 때문에, 650㎚와 780㎚ 사이에서 구획되는 막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파장 700㎚ 이상의 레이저광을 투과하고 그 이하의 파장의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다층막이면, 상기와 같이 DVD와 AOD의 2개의 다층막을 형성하지 않고 1개의 막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픽업의 조정에 대하여, DVD와 AOD가 동일한 제2 신호 기록면에 있기 때문에, 픽업을 이동시키지 않고서 CD, DVD, 및 AOD의 3개의 디스크를 재생할 수 없다. 그러나, 도 2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OD를 재생하는 경우, 픽업(12)으로부터 레이저광(64)을 AOD(66)에 조사하고, 픽업(12)을 거기로부터 이동시키지 않고 레이저광의 파장을 405㎚로부터 780㎚로 바꾸는 것만으로 CD(34)에 레이저광(32)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DVD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레이저광(60)을 DVD(62)에 조사하고, 레이저광의 파장을 650㎚로부터 780㎚로 바꿔 CD(34)에 레이저광(32)을 조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스트 디스크(74)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30∼도 3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기록층의 작성 방법 및 접합하는 방법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신호 기록면의 판독 영역은 다르다. 제1 신 호 기록면(34)은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반사막(44)이 형성된다. 제2 신호 기록면은 도 3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a 신호 기록면(62)을 마스킹하고 내주측의 제2b 신호 기록면(66)에 스퍼터링 또는 진공 증착법 등으로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7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다층막(76)을 형성한 영역을 마스킹하고, 도 31의 (c)와 같이 제2a 신호 기록면(62)에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층막(7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환 재생 픽업을 조정할 때의 디스크 교환에 의한 디스크 형태의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어, 고밀도 디스크와 저밀도 디스크와의 조정에 이용된다. 또한, 디스크 교환이나 그것에 수반되는 조정 시간이나 작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6)

  1. 상호 재생 픽업의 조정에 사용하는 테스트 디스크로서,
    제1 깊이 위치에 제1 신호 기록면이 형성된 제1 기록층과,
    상기 제1 기록층으로부터 판독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기록층에 적층되어, 상기 제1 깊이 위치보다 얕은 제2 깊이 위치에 제2 신호 기록면이 형성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신호 기록면의 구분된 2개의 판독 영역에 서로 상이한 레이저 광으로 재생가능한 2개의 신호 기록면을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신호 기록면중 1개는 DVD 규격의 신호 기록면이며, 나머지 1개는 블루레이 디스크 규격의 신호 기록면이며, 또한,
    상기 DVD 규격의 신호 기록면 및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 규격의 신호 기록면을 서로 상이한 파장 반사 특성을 갖는 다층막으로 형성한, 테스트 디스크.
  2. 삭제
  3. 삭제
  4. 상호 재생 픽업의 조정에 사용하는 테스트 디스크로서,
    제1 깊이 위치에 제1 신호 기록면이 형성된 제1 기록층과,
    상기 제1 기록층으로부터 판독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기록층에 적층되어, 상기 제1 깊이 위치보다 얕은 제2 깊이 위치에 제2 신호 기록면이 형성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신호 기록면의 구분된 2개의 판독 영역에 서로 상이한 레이저 광으로 재생가능한 2개의 신호 기록면을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신호 기록면중 1개는 DVD 규격의 신호 기록면이며, 나머지 1개는 AOD 규격의 신호 기록면이며, 또한,
    상기 DVD 규격의 신호 기록면 및 상기 AOD 규격의 신호 기록면을 서로 상이한 파장 반사 특성을 갖는 다층막으로 형성한, 테스트 디스크.
  5. 삭제
  6. 삭제
KR1020040016815A 2003-03-31 2004-03-12 테스트 디스크 KR100597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6259 2003-03-31
JP2003096259A JP2004303351A (ja) 2003-03-31 2003-03-31 テストディ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179A KR20040086179A (ko) 2004-10-08
KR100597911B1 true KR100597911B1 (ko) 2006-07-10

Family

ID=3340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815A KR100597911B1 (ko) 2003-03-31 2004-03-12 테스트 디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03351A (ko)
KR (1) KR100597911B1 (ko)
CN (1) CN1266683C (ko)
TW (1) TWI267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618A (ja) * 2005-01-07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層光ディ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03351A (ja) 2004-10-28
KR20040086179A (ko) 2004-10-08
TWI267075B (en) 2006-11-21
TW200423113A (en) 2004-11-01
CN1538403A (zh) 2004-10-20
CN1266683C (zh)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422B1 (ko) 광 기록 매체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US6881465B2 (en) Optical di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627215B1 (ko)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를 이용한 광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광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KR19990011140A (ko) 광디스크
US20050167865A1 (en) Multilayer optical recording medium manufacturing method and multilayer optical recording system
KR100611863B1 (ko) 광 정보 매체
KR19990023643A (ko) 광 디스크 및 그 기록 재생 방법
US6721265B1 (en) High-density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 substrate and a stamper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0597911B1 (ko) 테스트 디스크
US20040262793A1 (en) Multi-layere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ulti-layered optical recording medium manufacturing method
JP4345246B2 (ja) 光学記録媒体
JP2001134981A (ja) 多層光ディスク
KR20050085027A (ko) 디스크 기판 및 광디스크
KR19990086849A (ko) 다층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75686B1 (ko) 광디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619004B1 (ko) 고밀도 광디스크
JP3986702B2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用基板
KR100618999B1 (ko) 고밀도 광디스크
KR100708104B1 (ko) 고밀도 광디스크
KR100619000B1 (ko) 고밀도 광디스크
KR100616232B1 (ko) 고밀도광기록매체그리고그기록/재생장치및방법
WO2003065359A1 (fr) Support d&#39;enregistrement optique
KR100618998B1 (ko) 고밀도 광디스크
US20070231528A1 (en) Optical disk, optical disk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disk reproducing method
JP2004062991A (ja) ディスク基板および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