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345A - 건설관리시스템및건설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관리시스템및건설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345A
KR19990088345A KR1019990017690A KR19990017690A KR19990088345A KR 19990088345 A KR19990088345 A KR 19990088345A KR 1019990017690 A KR1019990017690 A KR 1019990017690A KR 19990017690 A KR19990017690 A KR 19990017690A KR 19990088345 A KR19990088345 A KR 1999008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ork
program
planned
bar ch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타미야겐이치
Original Assignee
메구로 가즈오
다키야 켄세쓰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야지와 요이치
가부시끼가이샤 나디스
이타미야 겐이치
가부시끼가이샤 아루케에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구로 가즈오, 다키야 켄세쓰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야지와 요이치, 가부시끼가이샤 나디스, 이타미야 겐이치, 가부시끼가이샤 아루케에무 filed Critical 메구로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8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3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설공사가 착수된 이후에, 레코드데이터는 일일보고서로 입력된다. 일일보고서가 입력되면, 입안하는 단계에 생성된 청색막대그래프는 적색으로 바뀐다. 이그래프의 적색영역은 완료된 작업들의 백분율을 표시한다. 달리 말하면, 전체 그래프에 대한 적색의 백분율은 작업의 진행을 표시한다. 녹색막대그래프는 작업들이 완료된 경우의 날들을 표시한다.

Description

건설관리시스템 및 건설관리방법{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건설, 또는 토목공사(civil engineering work) 등과 같은 일반적인 건설공사(construction work)를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설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일반적인 절차는 손으로 쓴 문서들로 건설을 계획 및 관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일작업의 진행은 일일보고서에 기재되고, 량들 예들 들면, 완료된 작업의 분량 또는 공급된 자원들의 량은 소정 기간의 일일보고서들을 표로 만듦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기존 기법에 있어서, 일일보고서들의 표로 만들기는 성가신 일이고, 완료된 작업들의 일일분량, 공급된 누적자원들, 비용 등을 확인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위의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의 진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건설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의 프로세스들의 개략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건설관리시스템을 입안, 진행중인 건설 및 보고서작성의 단계에 사용하는 경우의 프로세스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을 실현하는 하드웨어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을 건설입안단계에 이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공사항목(항목별로 쓰여진 공사)에 관련된 계획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현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작업에 관련된 계획데이터를 입력하는 시간에 현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자원목록(67)을 편집하는 시간에 현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4의 현시하는 단계를 위한 서브루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9는 공사항목일정 및 작업일정을 위한 현시된 막대도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각 자원에 대한 자원공급일정을 위한 막대도표 현시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계획된 항목계산서의 예를 보여주는 테이블,
도 12는 시행예산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이 발송되는 경우에 현시된 대화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시행예산문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건설공사가 완료된 이후, 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15는 일일보고서입력이 명령된 경우에 화면상에 현시된 대화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각 작업을 위한 시간도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건설이 진행중인 동안 현시된 막대도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테이블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루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일일보고서 출력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공사항목별로 쓰여진 자원량테이블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출력된 월별자원공급테이블이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링크설정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네트웍도면 현시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도 23으로부터 추출된 네트웍도면,
도 25는 쌓아올린보기 현시 대화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쌓아올린보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고르기방법을 이용한 정정대화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8은 고르기보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고르기동작을 반영한 네트웍도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쌓아올린보기 또는 고르기보기에 의해 표현되는 작업목록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1은 고르기방법을 이용한 정정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32는 도 3의 계획데이터(14c)의 상세한 내용물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l
11 : CPU 12 : ROM
13 : RAM 14 : 하드디스크
15 : VRAM 16 : CD-ROM드라이브
17 : CD-ROM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task)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프로그램은,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schedule), 계획된 분량(volume) 및 달성된 분량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계산하기 위한 작업완료분계산프로그램; 및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 및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컴퓨터화면에 현시(display)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프로그램은, 건설공사의 이름,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들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및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컴퓨터화면에 계층적으로 현시하며,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건설공사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며,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공사항목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고, 막대도표는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가지며 막대도표 자체는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작업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프로그램은,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획득하고 계획된 일정을 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 현시프로그램에 의해 현시된 막대도표의 위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는 막대도표변경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프로그램; 및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을, 막대도표 변경명령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막대도표변경명령에 따라서 갱신하기 위한 계획된 일정 갱신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복수개의 작업들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을 위한 계획된 일정 및 복수개의 작업들간의 연속하는 관계들을 표시하는 작업링크데이터를 획득하고, 계획된 일정 및 작업링크데이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및 복수개의 작업들의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들을 개별적으로 갖는 복수개의 노드들 및 복수개의 노드들을 작업링크데이터에 따라 연결하는 화살표를 보여주는 네트웍도면을 컴퓨터화면에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시스템은,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및 계획된 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작업에 관련되는 달성된 분량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분량 및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계산하기 위한 작업완료분계산수단; 및 막대도표, 계획된 일정을 나타내는 시간축상의 막대도표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시스템은,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및 계획된 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작업에 관련되는 달성된 분량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분량 및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계산하기 위한 작업완료분계산수단; 및 막대도표, 계획된 일정을 나타내는 시간축상의 막대도표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이름,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저장수단에 저장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보여주는 일정테이블,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그리고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를 서로 관련되게 현시하기 위한 현시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시스템은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수단; 현시수단에 의해 현시된 막대도표의 위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막대도표변경수단; 및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을 막대도표변경수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막대도표의 변경에 따라서 갱신하기 위한 계획된 일정 갱신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건설관리방법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방법은,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을 획득하는 획득단계;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작업완료분계산단계; 및 컴퓨터화면상의 막대도표, 계획된 일정을 나타내는 시간축상의 막대도표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현시하는 현시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건설관리방법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방법은, 건설공사의 이름,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들을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보여주는 일정테이블,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그리고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를 컴퓨터화면상에 서로 관련되게 현시하기 위한 현시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저장수단을 갖는 컴퓨터로 관리하는 건설관리방법을 제공하고, 이 건설관리방법은,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획득하고 계획된 일정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저장단계에서 획득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를 현시하는 현시단계; 현시단계에서 현시된 막대도표의 위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는 막대도표 변경명령을 획득하는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단계; 및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을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단계에서 만들어진 막대도표의 변경에 따라서 갱신하는 계획된 일정 갱신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이점들은 유사한 참조문자들이 도면들을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가리키는 첨부한 도면들에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명세서의 일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통합되었으며,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이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소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상대적인 위치정하기(positioning), 프로세스순서, 현시된 윈도우들 등은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자원은 예를 들면, 일반 노동자 또는 특수 노동자 등과 같은 인적자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설공사를 위해 사용된 기계들 또는 설비와 같은 물적자원 또한 포함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의 제 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 실시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건설관리시스템을 실현한다. 이 실시예는 계약된 건설프로젝트의 작업일정(task schedule), 완료된 작업들의 일일분량, 및 공급된 자원들의 량을 입력함으로써, 건설진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일의 유형, 자원들 및 비용은 서로 관련되게 저장되므로, 건설관리는 효율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건설관리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서의 배경]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의 프로세스들의 개략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건설회사가 건설부 등으로부터 공공토목공사(public works)를 위한 주문을 받은 경우에, 건설의 장소 및 세부사항을 명기한 건설계획이 건설현장(construction site)을 설명하는 회합에서 주어진다(S1).
특정한 공사항목들에 대하여, 건설부에 의해 발행된 기준테이블(reference table)은 특정 공사항목을 위한 필요 작업들, (재료, 인력, 및 감가견적(depreciation)을 포함한) 각 작업을 위한 필요 자원들, 및 각 자원을 공급하기 위해 요구된 비용을 명기한다. 그러므로, 전체 건설계획을 위해 요구된 최소비용은 기준테이블에 근거하여 대강 계산된다.
다음으로, 건설부에 의해 계약자로서 지정되고 등록된 이후에, 건설회사는 원시건설계획을 만들고(S2), 그 동안 작업들이 시행해야할 주문들,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 및 그 결과로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한다. 그 후에, 원시계획을 위한 요구된 비용이 견적된다. 견적금액은 입찰을 위해 사용된다. 만약 성공적으로 낙찰된다면, 주문은 승낙되고 계약금액이결정된다(S3).
주문이 승낙(reception)되는 경우, 더 상세한 건설계획이 생성되고(S4), 건설계획이 개선되면서 건설이 시작된다(S5). 건설의 시작 이후에, 완료된 작업들의 일일분량 및 공급된 자원들의 량은 건설공사의 진행에 따라 일일보고서에 기록된다. 당연한 일로서, 일부 건설공사들은 반드시 계획된 대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많은 경우에, 계획은 건설이 진행중인 동안 변경될 것이다.
건설이 완료되는 경우(S6), 그 결과는 건설현장에서 회사의 관리부로 보고된다(S7). 궁극적으로 소비된 자원들의 량, 소비된 비용, 및 계약금액에 관한 손익계산은, 일일보고서로부터 계산되며, 최종보고서의 형태로 집계되고 제출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은 건설계획을 승낙하는 단계로부터 건설완료보고서를 제출하는 단계까지의 모든 단계들에서 계약자를 지원한다. 달리 말하면, 이 실시예는 건설공사를 총체적으로(integrally) 그리고 편리하게 계획하며, 건설현장의 건설관리를 실행하고, 모순없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건설관리시스템의 개요]
다음으로, 본 시스템의 건설 및 동작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건설관리시스템을 입안, 진행중인 건설 및 보고서작성의 단계에 사용하는 경우의 프로세스의 개요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보인 것처럼, 소정 데이터는 소정의 하드웨어구조를 갖는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가짐으로써, 이 개인용 컴퓨터는 건설관리장치로서 사용될 수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은 전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또는 제어를 실행하는 CPU를 표시하고, 12는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고정된 값들을 저장하는 ROM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3은 임시 저장기로서의 RAM을 표시한 것으로, 로드된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로드영역(13a)을 구비한다. 참조번호 14는 운영체계(OS, 14a)와, 여러 가지 데이터 예를 들면, 레코드데이터(14b), 계획데이터(14c) 및 현시데이터(14d)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이후로는 "HD"로 언급됨)를 표시하는 것으로,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참조번호 15는 음극선관(CRT) 등에 현시하는 시간에 비트맵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는 VRAM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6은 CD-ROM드라이브를 표시한다. CD-ROM드라이브(16)는 CD-ROM(17)이 놓여지는 상태를 보여준다. CD-ROM(17) 또한 본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CD-ROM(17)에서, 건설관리프로그램(17a) 및 데이터베이스 (이후로는 "DB"로 언급됨) 예를 들면, 공사항목마스터데이터베이스(17b), 자원마스터데이터베이스(17c) 등이 미리 저장된다. 이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베이스는 CD-ROM(17)으로부터 HD(14)로 설치된 이후에 사용되어질 것이다.
건설관리프로그램(17a)은 계획데이터생성모듈(17aa), 레코드데이터입력모듈(17ab), 현시모듈(17ac), 및 출력모듈(17ad)을 구비한다.
참조번호 18은 외부 장치로부터/로 영상데이터를 입력/출력하기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I/O)를 표시한다. I/O(18)를 통하여, 데이터는 입력장치 예를 들면, 키보드(19), 마우스(20) 등 및 출력장치 예를 들면, CRT(21), 프린터(22) 등의 사이에서 교환된다. 게다가, 데이터는 통신유닛(23)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교환될 수 있다. 다른 저장기기들이 HD(14) 대신에 사용될 수 도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HD를 포함한) 다른 저장기기들은 CD-ROM(17)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액정디스플레이기기가 CRT(21) 대신에 사용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건설관리프로그램(17a)의 계획 데이터 생성모듈(17aa)의 실행을 입력장치들(19및 20)로 명령함으로써, 이 모듈의 프로그램코드들은 CD-ROM(17)으로부터 RAM(13)의 프로그램로드영역(13a)에 보내지고 CPU(11)에 의해 실행된다. 계획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건설에 필요한 작업들 및 자원들은 CD-ROM(17)에 저장된 공사항목마스터DB(17b) 및 자원마스터DB(17c)로부터 선택되고 등록되며(도 2의 2a 내지 2c), 그 후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 일정데이터가 입력된다(도 2의 3).
공사항목마스터DB(17b) 및 자원마스터DB(17c)는 도 1에 관련하여 설명된 기준테이블에 대응하고, 이 기준테이블은 건설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기구를 통해 대중이 이용할 수 있다. 공사항목마스터DB(17b)는 여러 가지 건설데이터가 복수개의 대(large)건설항목부문(category)들로 분류되며, 그 후에 각각의 대건설항목부문들은 중건설항목부문들로 분류되고, 각 중건설항목부문은 추가로 소건설항목부문들로 분류된 트리구조를 갖는다. 건설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작업부문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세밀하게 분류된다. 필요한 자원들 및 자원의 소정 단위를 사용하는데 요구된 비용은 작업부문들에 관련되게 저장된다.
한편, 자원마스터DB(17c)는 공사항목들, 작업들 및 자원들의 순위에 의한 트리구조로 분류되며 저장된 여러 가지 자원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이 자원마스터DB(17c) 또한 각 자원의 소정 단위를 사용하기 위한 비용을 명기한다. 자원마스터DB(17c)에서, 건설공사에 어쩌면 사용되는 모든 자원들은 각 작업에 대응하게 저장된다.
공사항목마스터DB(17b)는 대부문들 이를테면 토공(earth work), 기초공(foundation work) 등으로 분류된다. 게다가, 토공부문은 중간부문들 이를테면 기계에 의한 토공, 손으로 하는 토공 등을 구비한다. 더욱이, 기계에 의한 토공부문은 소부문들 이를테면 불도저 등에 의한 땅파기(excavation) 및 땅고르기(dozing) 등을 구비한다. 더더구나, 소부문은 거리, 모래 등의 성질에 대응하는 복수개 유형들의 작업들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소부문인 불도저에 의한 땅파기 및 땅고르기는 불도저의 유형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작업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작업들 각각에 대하여, 필요한 자원들 또한 결정된다. 예를 들면, 불도저의 유형 및 초기에 설정된 작업의 분량에 따라서, 얼마나 많은 시간동안 특수운전사가 운전해야 하며, 얼마나 많은 리터의 경유가 필요하고, 얼마나 많은 불도저 임차가 요구되는 지가 결정된다. 작업들에 관련되게 공사항목마스터DB(17b)에 저장된 자원들을 변경하기 위해, 데이터는 자원마스터DB(17c)에 등록된다. 자원들의 단위 당 량(quantity per unit) 또한 변경될 것이다.
등록된 공사항목데이터, 작업데이터, 자원데이터 및 입력된 일정데이터는 HD(14)에 계획데이터(14c)로서 저장된다. 도 3에 보인 것처럼, 계획데이터(14c)내의 공사항목데이터 또한 트리구조를 갖는다. 공사항목데이터 및 작업데이터는 입력된 일정데이터에 대응하게 저장되고, 각 작업데이터는 필요한 자원데이터를 위한 포인터와 함께 저장된다.
계획데이터(14c)의 상세한 구성은 도 32에 보여진다. 도 32에 보인 것처럼, 계획데이터(14c)는 건설테이블(321), 대부문공사항목테이블(322), 소부문공사항목테이블(323), 작업테이블(324) 및 자원테이블(325)을 구비한다. 당연한 일로서, 복수개 테이블들은 중간부문공사항목테이블로서 포함되어질 것이다.
건설테이블, 몇 개의 공사항목테이블들, 작업테이블 및 자원테이블이 개별포인터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트리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건설에 포함된 공사항목들,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들 또는 작업에 필요한 자원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테이블들을 자원들 및 단위 당 비용을 저장하는 단위당비용(cost-per-unit)테이블과 서로 관련되게 연결함으로써, 건설프로젝트 I을 위한 전체 비용을 쉽게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소정 작업에 대한 완료된 작업의 분량을 계산하기 위해, 작업의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이 전술한 작업테이블로부터 읽혀지고, 달성된 분량은 CPU에 의해 계획된 분량에 의하여 나누어진다. 도 32의 작업테이블(324)은 완료된 작업의 얻어진 분량을 등록하기 위한 필드를 구비할 것이다. 비슷한 방식으로, 공급된 자원량의 비율은 CPU에서 공급된 량을 계획된 량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되어진다.
건설관리프로그램(17a)에서 레코드데이터입력모듈(17ab)을 실행함으로써, 계획데이터의 각 작업을 위한 일일보고서의 형태로 레코드데이터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레코드데이터는 주로 완료된 작업들의 분량 및 공급된 자원들의 분량을 언급한다. 레코드데이터는 또한 매일의 날씨, 시간일정 및 다른 명령들을 구비한다. 레코드데이터(14b)는 도 3에 보인 것처럼, 일일보고서데이터, 일일보고서데이터의 누적물인 월별보고서데이터, 및 모든 데이터의 누적물인 누적데이터를 구비한다.
건설관리프로그램(17a) 내의 현시모듈(17ac)을 실행함으로써, 작업일정 및 진행은 계획데이터(14c) 및 레코드데이터(14b)에 근거하여 막대도표의 형태로 CRT(21)에 현시된다. 이 프로세스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건설관리프로그램(17a) 내의 출력모듈(17ad)을 실행함으로써, HD(14)에 저장된 계획데이터(14c) 및 레코드데이터(14b)에 근거하여 시행예산문서(도 2의 6)의 생성 및 테이블생성(도 2의 7)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성된 시행예산문서(9)는 CRT(21)에 현시되며, 그 후에 프린터(22)에 의해 프린트되어지거나 또는 통신유닛(23)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것이다.
[건설관리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시스템의 작동, 현시하기(displaying) 및 프린트출력동작이 도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1. 건설입안단계
도 4는 본 시스템을 건설 입안하는 단계에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건설의 개요로서, 건설 장소, 건설의 시작날짜 및 완료날짜, 계약금액이 입력된다. 추가로, 월별노동일, 표준일일노동시간 및 노동시간의 초과근무수당계수가 입력되고 휴일들이 명기된다. 그 후에, 계획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공사항목들 및 작업을 위해 입력된다(단계 S41). 만약 정정이 필요하면, 데이터는 필요한 대로 정정된다(단계 S42). 도 5는 공사항목(항목별로 쓰여진 공사)에 관련된 계획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현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필드(51)에는, 계획되어지고 이 화면으로 입력되는 공사항목의 이름이 입력된다. 이 예는 계획데이터가 보통의 대지(ground)에 모래 또는 모래흙(sandy soil)으로 구성된 장소가 불도저에 의해 20미터만큼 땅파기 및 땅고르기되는 경우를 위해 입력됨을 보여준다.
필드(52)에는, 공사항목의 일정이 입력된다. 필드(53)에는, 계획된 공사분량(여기서, 그 단위는 m3)이 입력된다. 건설공사가 진행되면, 그 시행날짜는 필드(54)에 현시되며, 달성된 공사분량은 필드(55)에 현시되고, 완료된 공사의 백분율은 필드(56)에 현시된다.
도 6은 작업에 관련된 계획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현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 화면은 도 5의 화면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작업의 이름은 필드(61)에 현시되며, 이 작업의 일정은 필드(62)에 현시되고, 계획된 작업분량은 필드(63)에 현시된다. 계획된 작업분량은 일반적으로 공사항목의 계획된 분량에 따라 미리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의 상황에 따라 융통성있게 변경될 수 있다. 건설공사가 진행되면, 시행날짜는 필드(64)에 현시되며, 달성된 작업분량은 필드(65)에 현시되고, 완료된 작업들의 백분율은 필드(66)에 현시된다.
전술한 공사항목계획데이터 입력화면과는 달리, 작업계획데이터 입력화면은 자원공급계획데이터 입력구역(도 6의 아래 부분의 절반)을 갖는다. 필드(67)에는, 자원들의 목록이 현시된다. 필드(68)에는, (반전된 문자들로 보여진)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자원에 대한 계획된 량이 현시되고, 하루의 표준자원공급량(일일자원공급량)은 필드(69)에 현시된다. 이러한 량들이 상부계층의 공사항목의 계획된 분량에 따라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융통성있게 변경된다.
작업을 위해 자원목록(67)에 열거된 것과는 다른 자원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자원부가버튼(70)이 마우스버튼을 눌러 선택된다. 그 후에, 도 7에 보여진 대화부가 현시된다. 부문현시구역(7l)으로부터, 자원들의 부문(예를 들면, 인력, 임차(hire), 소모성재료들 등)이 선택된다. 그 후에, 선택된 부문에 속한 자원들이 자원마스터DB로부터 읽혀지고, 계획데이터가 도 6에서 입력된 작업을 위한 목록(72)(도 7)처럼 현시된다.
도 7은 인력, 임차(hire), 임대(rental) 등을 제외한 소모성재료가 자원부문으로 선택되며, 선택된 자원목록(72)이 현시되고 미리 혼합된(ready-mixed) 콘크리트가 자원필드(73)에서 보인 것처럼 자원목록(72)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에 현시된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선택된 자원(여기서, 미리 혼합된 콘크리트)에 대하여, 비용은 필드(74)에 현시되며, 유용성인자(availability factor)는 필드(75)에 현시되고, 단위 및 이 단위의 분류 또한 현시된다. 이러한 것들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자원부가버튼(76)이 이 상태에서 마우스버튼을 눌러 선택된다면, 선택된 자원(미리 혼합된 콘크리트)은 도 6의 자원목록(67)에 더해진다. 새로운 자원들이 자원목록(72)에 더해지거나, 또는 이 목록 내의 기존 자원들이 변경되거나 삭제될 것이다.
계획데이터는 전술한 방식으로 입력된다. 입력된 계획데이터는 막대도표로 현시되어질 것이다(도 4에서 단계 S43). 도 8은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서브루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막대도표현시명령이 수신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고(단계 S81), 만약 현시명령이 수신된다면 계획데이터(14c)는 HD(14)로부터 (또는 계획데이터가 아직 HD에 저장되지 않았다면 RAM(13)으로부터)읽혀진다(단계 S82). 읽혀진 계획데이터(14c)는 현시데이터로 변환되고 미리 CD-ROM으로부터 읽어낸 현시포맷과 함께 현시데이터(14d)로서 HD(14)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현시데이터(14d)는 영상으로 변환되고(developed)(단계 S83) VRAM(15)에 저장된다(단계 S84). VRAM(15)에 일시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I/O(18)를 통해CRT(21)로 보내지고 현시된다(단계 S85).
도 9는 막대도표의 현시된 예를 보여준다. 공사항목의 계획된 일정은 회색그래프(91)(수평점선)에 의해 표시되고, 작업의 계획된 일정은 청색그래프(92)(수평실선)에 의해 표시된다. 막대길이 및 이 막대길이의 수평위치는 날짜들(93)에 대응하게 보여진다. 오른쪽 필드(94) 내의 막대그래프들의 수직위치들은 왼쪽 필드(95)에서 트리구조를 갖는 일정목록 내의 공사항목들 및 작업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도표 맨 위의 막대그래프(91)는 건설이 3월 30일 과 5월 1일 사이로 일정잡혀짐(scheduling)을 표시한다.
건설공사가 진행되면, 공사일정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는 청색으로부터 적색으로 변경되어, 완료된 작업들의 비율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만약 모든 그래프들이 청색으로 보여진다면, 이것은 건설공사가 시작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더욱이, 막대그래프는 이 막대그래프를 마우스로 가리키고 끌어서 떨굼(drag and drop)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표에서 확장되거나 이동될 것이다. 막대도표에서의 이러한 동작과 병행하여, 도 5 및 도 6의 일정입력필드들(52 및 56)의 값들 또한 변한다. 달리 말하면, 도표상의 막대그래프를 조작함으로써, 공사항목들 및 작업일정들은 효과적으로 계획될 것이다.
더욱이, 막대도표들은 각각의 자원을 위해 현시되어질 것이다. 도 10은 각자원을 위한 현시된 막대도표의 예를 보여준다.
도 9와 유사하게, 회색그래프(101)(수평점선)는 각 자원부문을 위한 자원공급일정을 표시하고, 청색그래프(102)(수평실선)는 작업에 필요한 각 자원을 위한 자원공급일정을 표시한다. 막대길이 및 이 막대길이의 수평위치는 날짜들(103)에 대응하게 보여진다. 오른쪽 필드(104)의 막대그래프들의 수직위치들은 왼쪽필드(105)에서 트리구조를 갖는 자원공급일정목록 내의 각 작업에 필요한 자원부문들 및 자원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한다. 도 9와 유사하게, 막대도표는, 동일 유형의 자원들이 다른 작업들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이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쉬운 작업 일정잡기를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막대그래프들의 겹침들(overlaps)을 조절함으로써, 단지 세 명의 특수운전사들이 필요하게 되도록 쉽게 일정잡기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축에 날짜들을 그리고 수직축에 공급된 자원들의 량을 갖는 도표를 생성하여, 각 자원의 공급된 량의 변화(variance)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함에 유념해야 한다. 이런 경우, 도표는 수직막대도표 또는 라인도표가 될 것이다.
이전의 도 4를 참조하면, 한 계획의 막대도표가 현시되어지는 동안(단계 S43), 이 계획은 필요한 대로 조절된다. 이 계획이 확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계획된 항목계산서가 출력되어야하는 지를 선택한다(S44). 만약 출력이 선택된다면, 계획된 항목계산서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보내진다(S45). 계획된 항목계산서는 입안단계에서 얻어진 각 공사항목 및 각 작업을 위한 데이터 요약이다. 도 11은 계획된 항목계산서의 예를 보여준다. 공사항목들 및 개별 분량들, 비용, 일정, 자원들, 개별 량들 및 비용들은 테이블에서 보여진다.
도 4를 한번 더 참조하면, 선택은 시행예산문서가 제출되어야 할 지에 대하여 행해진다(단계 S46). 시행예산문서는 계약금액과 건설을 위해 요구된 실제비용을 비교함에 의해 계산된 이익금액을 보고할 목적을 위해 제출된다. 도 12는 시행예산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이 단계 S46에서 보내지는 경우에 현시된 대화부(dialogue)의 예를 보여준다. 필드(121)에는, 시행예산문서를 생성하는 날짜가 입력된다. 그 후에, 이 예산문서가 생성되는 현재 상태가 선택버튼들(122)로 부터 선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들을 수신하기 이전에, "예비계획"버튼이 선택된다. 주문들을 수신한 이후 및 건설을 시작하기 이전에, "초기계획"버튼이 선택된다. 계획이 건설을 시작한 이후에 변경되는 경우에는, "계획변경"버튼이 선택되고, 변경된 항목들의 갯수가 입력된다. 건설이 완료된 이후, 최종이익금액이 계산되고 시행예산문서로 보고된다. 이런 경우, "계산서"버튼이 선택된다.
도 13은 출력된 시행예산문서를 보여준다. 칼럼(131)의 "초기계획 1" 및 칼럼(132)의 "초기계획 2"는 계획의 변경에 의해 유발된 여러 가지 비용들 및 이익금들의 변경들을 확인하는데 제공된다. 금액차이(amount difference)는 칼럼 "2-1"에 보여진다.
전술한 계획된 항목계산서는 도 4 흐름도의 순서로 출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독단적인 타이밍(timing)으로 출력되어질 것이다.
2. 건설 이후
도 14는 건설공사가 완료된 이후, 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건설을 시작한 이후에, 레코드데이터는 건설의 진행을 관리하도록 일일보고서로 입력된다(단계 S141). 이 일일보고서는 통신유닛(23)을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어질 것이다. 도 15는 일일보고서입력이 명령된 경우에 화면에 현시되는 대화부를 보여준다. 도 15에서, 참조번호 151은 일일보고서의 내용물에 대응하는 날짜가 보여진 날짜입력필드를 표시한다. 이 날짜는 융통성있게 변경될 수 있다. 이변경에 따라, 나중에 설명되어질 작업목록(155) 및 자원목록(158)이 변경된다. 필드(152)에는, 오늘이 작업일인 지 휴일인 지가 표시된다. 초기설정에서, 토요일 및 일요일은 휴일로 설정되고, 다른 날들은 작업일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것 역시 변경될 수 있다. 필드(153)에는, 오늘의 날씨가 입력된다. 필드(154)는 일일작업 등에 관한 코멘트가 자유로이 입력되는 메모필드이다.
그 날에 시행되어야 할 작업들을 보여주는 작업목록(155)은 계획데이터로부터 도출된다. 만약 작업이 시행되어야 한다면(또는 시행된다면), 왼쪽의 점검상자(check box)는 점검표시(tick)된다(또는 마우스를 통해 버튼눌러 선택된다). 작업목록(155)에 열거된 작업들이 삭제되거나 또는 새로운 작업이 계획데이터의 공사항목트리로부터 작업목록으로 부가되어질 것이다. 완료된 작업의 분량은 오늘의 분량 필드(156)에 입력되어질 수 있다. 필드(156)에 입력된 분량은 그 날에 달성된 작업들의 분량에 대응한다. 작업들의 누적분량을 위한 필드(157)의 값은 도 6의 달성된 작업분량(65)에 대응한다. 이 예는 차도(driveway)에 대해 100m2만큼의 유지보수공사가 3월 30일에 시행됨을 보여준다. 작업들의 누적분량이 도 15에서 "0"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 작업은 그 날에 막 시작된 것이다.
참조번호 158은 작업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작업을 위해 요구된 자원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자원이 공급되는 경우, 점검상자는 점검표시된다. 각 자원이 자원목록(158)에서 점검표시된 경우, 그 날에 공급된 각 자원의 량은 필드(159)에 입력된다. 이 예는 25m3의 도로용 파쇄석이 3월 30일에 차도에 대한 유지보수공사를 위해 공급됨을 보여준다. 필드(160)는 일정잡힌 시간 및 실제공사시간이 각 작업을 위해 입력되는 노동시간입력필드이다. 노동시간들은 시간도표(time chart)버튼(161)을 마우스를 통해 버튼눌러 선택함으로써 막대도표에서 현시될 것이다. 도 16은 각 작업을 위한 시간도표를 보여준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 각 작업(칼럼 163의 왼쪽)에 관련되게 , 일정잡힌 시간은 청색막대그래프(164)(수평실선)로 보여지고 실지작업시간은 녹색막대그래프(165)(해칭)로 보여진다.
일일보고서입력이 완료된 경우, 도 15의 갱신버튼(162)이 마우스버튼을 눌러 선택되어 그 데이터가 갱신된다(도 14의 단계 S142). 레코드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현시된 막대도표 또한 변한다. 도 17은 도 14의 단계 S143에서 현시되는 막대도표의 예를 보여준다. 건설이 시작된 이후, 만약 레코드데이터가 입력되면, 작업막대그래프(171)는 청색(171a)(수평실선) 및 적색(171b)(수직실선)으로 현시되어 완료된 작업들의 부분(비율)을 나타낸다. 전체 막대그래프에 대한 적색막대그래프의 비율은 그 작업의 진행을 표시한다. 녹색막대그래프(172)(해칭)는 그 작업이 시행된 날들을 표시한다.
도 17은 작업들을 나타내는 6개의 막대그래프들을 보여준다. 맨 위의 작업막대그래프(171)는 다음의 정보를 표시한다:
- 15톤 중량 및 14마력의 불도저를 이용한 작업은 4월 23일과 5월 2일 사이에 일정잡혀지며,
- 공사가 4월 23일, 24일, 27일 및 28일에 행해지고,
- 그 작업의 3/4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일보고서에 입력된 레코드데이터는 막대도표로 현시되기 때문에, 작업진행은 쉽사리 확인되어질 수 있다. 입안단계와 유사하게, 막대도표는 각 자원을 위해 현시되어질 수 있다(도 10 참조). 이런 경우에, 계획된 공급량에 대한 실제로 공급된 량의 비율은 다른 색들로 현시된다. 이것에 의해, 공급된 자원량의 비율은 쉽사리 확인될 수 있다. 막대그래프들의 현시된 색은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마우스로 날짜필드(173)를 클릭함으로써, 월별 또는 년간(annual) 막대도표가 현시될 수 있다. 이것은 장기간 건설의 진행의 쉬운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마우스로 날짜를 클릭함으로써, 일일보고서 입력대화부(도 15)가 현시될 것이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여러 가지 테이블들이 갱신된 레코드데이터에 따라 출력되어질 것이다(단계 S144). 이 프로세스는 막대도표현시 프로세스 이전에 실행될 것이다(단계 S143).
도 18은 테이블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루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생성하려는 테이블이 테이블선택화면에서 선택된다(S180). 다음으로, 일일보고서가 생성되어야 하는 지가 결정된다(S181). 만약 일일보고서가 생성되지 않아야 한다면, 제어는 단계 S183으로 진행하고, 반면에 만약 일일보고서가 생성되어야 한다면, 제어는 단계 S182로 진행한다. 단계 S182에서, 일일보고서데이터는 날짜가 일일공사보고서의 포맷에 넣어지고 출력된 레코드데이터의 읽기출력(read out)이다. 출력은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온라인 전송될 것이다. 도 19는 일일보고서출력의 예를 보여준다. 일일보고서는 도 15에 보여진 대화부에 입력된 모든 정보를 구비할 것이다.
단계 S183에서, 공사항목별로 쓰여진 자원량테이블이 생성되어야 하는 지가 결정된다. 만약 자원량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야 한다면, 제어는 단계 S185로 진행한다. 만약 자원량테이블이 생성되어야 한다면, 제어는 단계 S184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실제자원공급량, 입안단계에 견적한 비용, 및 실제비용을 구비한 테이블은 특정기간 동안의 특정한 공사항목에 대하여 출력된다. 출력은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온라인 전송될 것이다. 도 20은 공사항목별로 쓰여진 자원량테이블의 예를 보여준다.
단계 S185에서, 월별자원공급테이블이 생성되어야 하는 지가 결정된다. 만약 월별자원공급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야 한다면, 그 테이블출력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만약 월별자원공급테이블이 생성되어야 한다면, 제어는 단계 S186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월별자원공급량은 레코드데이터 내의 월별데이터에 근거한 테이블로 출력된다. 도 21은 출력된 월별자원공급테이블의 예를 보여준다.
도 14에 보여진 흐름도는 단순히 테이블출력 프로세스의 예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테이블생성을 걸정하는 프로세스는 이런 순서로 수행되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전술한 테이블들은 동시에 출력되어지거나, 또는 독단적인 타이밍으로 출력되어질 것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출력되는 테이블들은 충분히 공식보고서로서 소용된다. 그러므로, 일일보고서데이터의 단순한 입력은 정확한 공식보고서의 쉬운 생성을 달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안, 건설현장의 건설관리, 및 보고서의 생성은 모순없이 쉬운 조작으로 일체로 수행되어 질 수 있다. 더욱이, 건설의 진행이 곧바로 확인되기 때문에, 건설관리는 적절히 실행되어질 것이다.
건설공사의 진행이 본 실시예에서는 막대그래프들의 다른 색들로 표현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도면들 또는 그래프들은 작업의 일정 및 작업의 달성된 비율이 보여지기만 한다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작업의 달성된 비율은 막대그래프끝부터 그래프질감묘사를 변경함에 의해, 경계선의 위치에 의해, 또는 막대그래프에서의 색농도(color density) 또는 색조(hue)를 가변시킴에 의해 표현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작업의 달성된 비율을 표시하는 값은 막대그래프 안쪽에 현시되어질 것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완료된 작업의 일일분량은 각 작업을 위해 일일보고서에 입력될 것이다. 막대도표가 현시되는 경우, 완료된 작업의 누적분량은 각 작업에 대하여 현시된다. 그러나, 완료된 작업의 일일분량은 작업들의 그룹을 위해 입력되어질 것이고, 완료된 작업의 누적분량은 각 그룹의 작업들을 위해 막대그래프에 의해 보여질 것이다.
<제 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도 22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에 더하여, 나중에 설명될 네트웍도면생성기능과 쌓기(stacking) 및 고르기(leveling) 기능들을 구비한다. 다른 구성들은 제 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제 2실시예에서, 계획데이터가 도 4의 단계 S41에서 입력되는 경우 작업들간의 링크(link)가 설정된다. 작업들간의 이 링크는 작업 A, 작업 A를 시행하기 이전에 시행해야 하는 선행작업 B, 및 작업 A가 완료된 이후에만 시행되어지는 후속작업 C를 연결한다. 하나의 작업 A에 대해, 복수개의 선행작업들 B 및/또는 복수개의 후속작업들 C는 링크되거나, 또는 작업 A는 작업 B 또는 작업 C 없이 링크될 것이다.
도 22는 링크설정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도 22에 보여진 화면은 도 9의 왼쪽 필드(95)에 트리구조를 갖는 일정목록으로부터 작업을 선택하고 링크설정명령을 실행함에 의해 현시된다.
도 22의 필드(221)에는, 동작대상이 현시된다. 달리 말하면, 링크설정되어야 하는 작업이 현시된다. 필드(222)에 현시되는 것은 작업이 속하는 공사항목의 계층(hierarchy)이다. 필드(223)에는, 선행작업링크들의 목록이 현시된다. 도 22에서, "길이방향지하배수유형 1" 및 "길이방향지하배수유형 2"는 동작대상인 "침전물"의 선행작업링크들로서 설정된다. 달리 말하면, 이 화면은 이러한 배수공사들이 완료된 경우에만 침전물공사(sediment work)가 시행되어질 수 있음을 표시한다. 게다가, 제 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왼쪽 클릭으로 도 9의 왼쪽 필드(95)에서 트리구조를 갖는 일정목록으로부터 작업을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도 22의 링크설정 대화부를 현시하는 동안 오른쪽 클릭을 클릭함으로써, 선택된 작업은 선행작업링크로서 설정되어질 수 있다.
작업이 선행작업링크목록(223)으로부터 선택된 다음 선행작업링크취소(cancel)버튼(224)이 클릭되는 경우, 선택된 작업은 선행작업링크목록(223)으로부터 삭제된다. 더욱이, 필드(225)에는, 후속작업링크목록이 현시된다. 버튼(224)과 유사하게, 버튼(226)은 선택된 후속작업링크를 후속작업링크목록(225)으로부터 삭제하기 위한 취소버튼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HD(14)에 설정된 이러한 작업링크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해, 다른 작업들에 대한 포인터를 나타내는 필드는 도 32의 작업테이블(324)의 각 레코드에 제공되어질 것이다.
다음으로, 네트웍도면현시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전술의 프로세스에서 설정된 링크들을 반영하는 네트웍도면이 생성되고 현시된다. 이 네트웍도면을 현시함으로써, 계획데이터로서 입력된 작업들간의 상대적인 관계들이 쉽사리 보여질 것이다.
도 23은 화면에 현시된 네트웍도면의 예를 보여준다. 제 2실시예에 따른 건설관리시스템에서, 공사완료백분율그래프(232)는 네트웍도면(231)과 동시에 현시된다. 공사완료백분율그래프(232)는 계획된 공사완료백분율 및 공사완료누적백분율 둘 다를 보여줄 수 있다.
네트웍도면(231) 및 공사완료백분율그래프(232)는 달력 형태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공사완료백분율의 변화(variance)는 네트웍도면의 진행중인 작업들을 참조하는 동안에 가시적으로 확인된다.
도 24는 도 23에 보여진 화면보기(screen view)로부터 추출된 네트웍도면이다.
이 네트웍도면은 공사항목의 내용물, 작업들 및 그 작업기간을 표시하는 노드(node, 241), 그리고 공사항목들/작업들의 연속을 표시하는 화살표(242)를 구비한다.
이 노드(241)는 공사항목노드(241a) 및 작업노드(241b)를 구비한다. 도 24에서, 공사항목노드(241a)는 원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반면 작업노드(241b)는 타원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공사항목에 대한 노드번호(node number)는 공사항목노드(241a) 속에 현시되고, 공사항목노드(241a)의 이웃(neighbor)에 공사항목의 이름 및 그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 일정잡힌 날짜수(작업이 실지로 시행되는 날짜수는 괄호 속에 현시됨)가 현시된다. 작업노드(241b)에서 보여진 것은 작업번호(타원의 중앙), 건설시작일이 되는 "0"을 지닌 가장 이른 작업시작일(the earliest task starting day)(타원의 맨 위)(이후로는 "가장이른시작일"이라 함), 그리고 건설시작일이 되는 "0"을 지닌 가장 늦은 작업시작일(이후로는 "가장늦은시작일"이라 함)이다. 날짜들의 카운트는 "0" 포인트 즉, 건설시작일로부터의 작업일들의 카운트임에 유념해야 한다. 작업노드(241b)의 이웃에는, 작업의 이름 및 그 작업을 시행하기 위해 일정잡힌 날짜수(작업이 실지로 시행되는 날짜수는 괄호 속에 현시됨)가 현시된다.
실선으로 보여진 화살표(242a)는 도 22에 설정된 링크들을 나타내는 작업관계를 표시하는 반면, 점선으로 보여진 화살표(242b)는 여유날짜들(margin dates)(부동(float))을 표시한다. 더욱이, 네트웍도면이 도 23에 보인 것처럼 현시되는 경우, 대화부(233)는 여러 가지 명령들을 가능하도록 현시된다. 도 23에 보여진 대화부(233)는 10개의 명령들을 구비하고 그 한 예로서, 네트웍도면초기화, 현시되어지는 계층레벨 상승/하강, 공사완료백분율재계산, 결정적경로(critical path)현시, 고르기방법에 의한 정정, 쌓기계산(stacking calculation), 고르기도표현시, 쌓아올린보기(stacking view)현시, 및 작업목록이 있다.
만약 명령 "결정적경로현시"가 대화부(233)로부터 선택된다면, 결정적경로(도 24의 굵은 화살표)는 플로트 및 설정 링크들로부터 도출된다. 도 24에서, 작업노드번호들인 2 → 3 → 4 → 5 → 6 → 8 → 9 → 12는 결정적경로를 구성한다.
네트웍도면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막대도표의 생성 이후에, 계획데이터로 부터 자동으로 생성될 것이다. 거꾸로, 작업들의 설정기간 및 이 작업들 간의 링크들에 의해, 네트웍도면은 작업들 모두에 대한 가장이른시작일에 생성될 것이다. 독단적인 계획은 또한 그러한 네트웍도면에서 작업노드를 가장늦은시작일로 자리이동시킴으로써 만들어질 것이다.
"쌓기계산"명령이 대화부(233)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도 25에 보여진 쌓아올린보기현시대화부가 현시된다. 쌓기에 지배받는 자원은 자원목록(251)으로부터 선택되고, 계획된 날들, 가장 이른 날, 또는 가장 늦은 날은 쌓아올린날버튼(stacking day button)(252)으로부터 선택되고, 그 후에 확인버튼(253)이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선택된 자원의 일일량(daily quantity)을 보여주는 쌓아올린보기가 현시된다(도 26).
도 26은 도 23의 네트웍도면에서 건설계획의 일일 일반노동자들의 수를 보여주는 쌓아올린보기이다. 각 작업에 대한 자원의 량은 박스들(26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박스(261) 내의 숫자 262는 작업노드번호에 대응한다.
쌓아올린보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자원은 각 작업일에 대해 골고루 분배되지는 않는다. 자원분배가 건설공사에 대해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에, "고르기방법에 의한 정정"명령이 도 23의 대화부(233)로부터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 자원분배는 균등하게 분배되어질 수 있다. 고르기는 최대자원량을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량보다 낮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동을 이용하여, 결정적경로의 그것들과는 다르게 작업들의 시작일을 자리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되어진다. 예를 들어, 도 26을 참조하면, 세 명의 일반노동자들이 11월 9일 및 10일에 요구된다. 다른 날들이 오직 한 명의 일반노동자를 요구함을 조건으로 하면, 앞의 두 날들에 대해서만 인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비효율적이다. 계획을 고르기법으로 정정함에 의해, 그 계획은 일반노동자들의 수가 많아야 두 명으로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변경되어질 수 있다.
도 27은 고르기방법을 이용한 정정대화부의 예를 보여준다. 필드(271)에는, 우선순위들이 작업들(우선순위매겨야하는 작업들이 설정됨)에 대하여 설정된다. 필드(271)에서, PERT에서 사용하려는 매개변수(성능평가 및 재검토 기법)계산이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된 작업, 적은 수의 총부동(total float)을 지닌 작업, 조업단축(short time)을 요구하는 작업, 또는 장시간(long time)을 요구하는 작업이 선택가능하다. 더욱이, 대화부는 고르기정정에 지배되는 자원, 적용기간, 및 자원공급량의 상한값을 설정하기 위한 필드(272)를 갖는다.
도 28은 도 25의 쌓아올린보기가 일반노동자들의 수를 많아야 두 명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고르기방법에 의해 고르게 되어진 고르기보기이다. 고르기방법에 의한 정정의 결과는 네트웍도면 및 작업일정(막대도표)에 반영된다. 도 29는 도 28에 보여진 고르기동작을 반영한 네트웍도면이다. 일부 작업들에 대한 시작날짜들이 도 24와 비교할 때 변경됨에 주의해야 한다. 만약 고르기동작이 이전에 설정된 링크들과 일치하지 않는 일정을 생기게 한다면, 에러메시지가 현시된다.
더욱이, 만약 "작업목록"명령이 도 23의 대화부(233)로부터 선택된다면, 고르기보기에 포함된 작업들의 목록은 도 30에 보인 것처럼 현시된다.
도 31은 고르기방법에 따른 정정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310에서, 사용자는 도 27에 보여진 대화부를 이용하여, 작업에 관한 우선순위들의 조건들, 그리고 예를 들면 자원이름, 고르기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작일 및 종료일, 자원공급량의 상한값 등을 위한 다른 조건들을 입력한다. 이 프로세스는 눌러져야하는 확인버튼을 위해 대기한다. 사용자가 조건들의 입력을 완료하는 경우, 각 작업에 대한 가장이른시작일, 가장늦은시작일 및 결정적경로가 PERT(성능평가 및 재검토기법)분석에 의한 설정기간을 위해 얻어진다(단계 S311). 만약 이 데이터가 이미 다른 명령들에 의해 얻어졌다면, 그러한 얻어진 데이터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고르기적용기간의 첫 날에 대하여, 시작되어지는 작업들의 목록은, 얻어진 가장이른시작일, 가장늦은시작일 및 결정적경로에 근거하여 검색되고, 그 후에 시작가능작업목록이 생성된다(단계 S312). 만약 건설공사가 이미 진행중이라면, 맨 처음의 계획변경가능일 즉, 고르기법이 적용되어지는 날에 시작되어질 수 있는 작업들은 검색되고 작업들의 목록이 생성된다. 이 목록은 진행중인 작업들 및 완료되지 않은 선행작업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작업들은 사용자에 의해 대화부에 입력된 우선순위들의 조건들에 일치하는 순서로 목록에 쓰여진다. 결정적경로 상의 작업들은, 그것들의 시작날짜가 변경될 수 없는 것으로서, 가장 높은 우선권의 작업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가장 높은 우선권의 작업들은 시작가능작업목록으로부터 검색된다. 달리 말하면, 시작날짜가 변경될 수 없는 작업데이터가 조사된다. 단계 S3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원에 대하여, 작업에 필요한 자원량은 자원공급량의 상한값과 비교된다(단계 S313). 여기서, 만약 가장 높은 우선권의 작업을 위해 요구된 자원량이 상한값보다 낮거나 같으면, 작업은 시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작업은 시작가능작업목록으로부터 삭제되고 시행작업목록에 쓰여진다(단계 S314). 그와 동시에, 시행되어지는 그 작업을 위한 자원량은 상한값으로부터 공제된다.
다음으로, 시작가능작업목록에 다른 작업들이 있는 지가 결정된다(단계 S315). 만약 시작가능작업목록에 작업이 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313으로 돌아간다.
단계 S313에서, 만약 가장 높은 우선순위 작업에 요구된 자원량이 자원공급량의 상한값을 초과한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316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시작되어지지 않은 어떤 작업들이 있는 지가 결정된다. 만약 시작되지 않은 작업이 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317로 진행한다.
단계 S317에서 , 날짜는 앞당겨지고(advanced), 선행하는(preceding) 날짜들에 완료된 작업들은 시행작업목록으로부터 삭제된다. 자원공급량의 상한값은 사용자에 의해 상한으로 설정된 값으로 재설정된다. 날짜앞당김(date advance)의 결과로, 만약 날짜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고르기법적용기간을 지나면, 무한대(infinity)가 자원공급량의 상한을 위해 설정된다. 더욱이 단계 S318에서, 시행작업목록의 작업들을 위해 요구된 자원들의 량이 자원공급량의 상한값으로부터 공제된다. 그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 S312로 돌아간다.
단계 S315에서 시작가능작업목록에 작업이 없다면, 프로세스는 시작되지 않은 임의의 작업들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는 단계 S316으로 전진한다. 만약 시작되지 않은 작업이 있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317로 진행한다. 만약 단계 S316에서 발견되는 작업이 없다면, 이것은 시행되어야 하는 모든 작업들이 시작된 것으로 간주되어, 고르기동작이 종료되고 그 결과는 현시된다. 만약 에러가 앞서의 프로세스에서 발견된다면, 이 에러의 내용들은 현시된다. 에러들은 예를 들면 설정작업링크와의 불일치, 원래 계획된 건설기간을 초과하는 모든 작업들의 작업완료일 등을 포함한다.
도 31에 보여진 것 같은 고르기법에 의해 전술한 정정을 시행하여 사용자가 도 25에 보여진 쌓아올린보기를 관측한 이후에 자원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이다. 그러나, 요구된 자원량이 단계 S313에서의 상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조건들을 입력함으로써, 가장 짧은 건설기간을 위한 일정을 생성하면서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를 만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만약 자원공급량의 상한이 계획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값으로 설정된다면, 고르기프로세스는 항상 단계 S313으로부터 단계 S314로 진행하여, 시작될 수 있는 모든 작업들이 시행된다. 이것에 의해, 모든 계획된 작업들은 이른 날짜들로 자리이동되며, 그리고 그 결과로, 가장 짧은 건설기간을 위한 일정이 생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네트웍도면에 작업들간의 관계를 표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이해하기 쉽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고르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원들이 효과적으로 공급되면서도 작업들간의 관계들이 유지되는 작업계획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들>
앞서의 실시예들에서, CD-ROM이 프로그램코드들을 공급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사용되었다. CD-ROM 외에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 자기테이프, 불휘발성 유형의 메모리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본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의 청구범위가 만들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관리 방법 및 장치는 건설공사의 진행을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은 작업들의 관계를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제공하며, 효과적으로 자원들을 공급하면서도 작업들간의 관계들이 유지되는 작업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Claims (24)

  1. 건설에 관련된 작업(task)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schedule), 계획된 분량(volume) 및 달성된 분량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상기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계산하기 위한 작업완료분계산(a portion-of-task-completed calculation)프로그램; 및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 상에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 및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컴퓨터화면에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막대도표의 색변화로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표현하는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막대도표로 실제 작업일을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건설공사의 이름, 이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개별적인 계획된 일정들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상기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컴퓨터화면에 계층적으로 현시하며,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건설공사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며,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공사항목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고,
    막대도표는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가지며 막대도표 자체는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작업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을 위한 막대도표들을 동시에 현시하기위한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간의 연속하는 관계들을 표시하는 작업링크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을 위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들을 개별적으로 갖는 복수개의 노드들 및 작업링크데이터에 따라서 복수개의 노드들을 연결하는 화살표를 보여주는 네트웍프로그램을 컴퓨터화면에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에 필요한 소정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각 기간을 위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을 상기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에 근거하여 보여주는 쌓아올린보기(stacking view)를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각 기간을 위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이 소정의 상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업들의 계획된 일정을 변경하기 위한 고르기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각 기간을 위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을, 계획된 일정이 상기 고르기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의 고르기보기(leveling view)로서 시간축상에 보여주는 쌓아올린보기를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상기 고르기프로그램에 의해 만들어지는 작업들의 계획된 일정의 변경을 반영하는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및 계획된 분량으로서, 작업에 필요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일정, 계획된 공급량 및 실제공급량을 획득하며,
    상기 작업완료분계산프로그램은 작업의 완료된 부분 때문에 소비된 자원의 부분을,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 및 실제공급량에 근거하여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길이가 자원의 계획된 공급일정을 실연(demonstration)하며 막대도표 자체는 소비된 자원의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동일한 자원이 복수개의 작업들을 위해 소비된 경우에, 각 작업에 대한 자원을 위한 막대도표들을 동시에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자원의 단위비용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 실제공급량 및 단위비용에 근거하여 계획된 비용 및 소비된 실제비용을 계산하기 위한 비용계산프로그램을 더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3.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건설공사의 이름,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들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및
    상기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컴퓨터화면에 계층적으로 현시하며,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건설공사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며,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공사항목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고,
    막대도표는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가지며 막대도표 자체는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표시하는 막대도표를, 계층적으로 현시된 작업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4.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획득하고 계획된 일정을 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상기 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
    상기 현시프로그램에 의해 현시된 막대도표의 위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는 막대도표변경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프로그램; 및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을, 상기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프로그램에 의해 획득된 막대도표변경명령에 따라서 갱신하기 위한 계획된 일정 갱신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5. 건설에 관련된 복수개의 작업들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을 위한 계획된 일정 및 복수개의 작업들간의 연속하는 관계들을 표시하는 작업링크데이터를 획득하고, 계획된 일정및 작업링크데이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획득프로그램; 및
    복수개의 작업들의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들을 개별적으로 갖는 복수개의 노드들 및 복수개의 노드들을 작업링크데이터에 따라 연결하는 화살표를 보어주는 네트웍도면을 컴퓨터화면에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작업들에 필요한 소정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각 기간에 대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을 보여주는 쌓아올린보기를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관리프로그램은 각 기간에 대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이 소정의 상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업들의 계획된 일정들을 변경하기 위한 고르기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시프로그램은 각 기간에 대한 자원의 계획된 공급량을, 계획된 일정이 상기 고르기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의 고르기보기로서 시간축상에 보여주는 쌓아올린보기를 현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8.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및 계획된 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작업에 관련되는 달성된 분량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분량 및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계산하기 위한 작업완료분계산수단; 및
    막대도표, 계획된 일정을 나타내는 시간축상의 막대도표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건설관리시스템.
  19.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건설공사의 이름,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보여주는 일정테이블,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그리고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를 서로 관련되게 현시하기 위한 현시수단을 포함하는 건설관리시스템.
  20.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를 현시하기 위한 현시수단;
    상기 현시수단에 의해 현시된 막대도표의 위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막대도표변경수단;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을 상기 막대도표변경수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막대도표의 변경에 따라서 갱신하기 위한 계획된 일정 갱신수단을 포함하는 건설관리시스템.
  21.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건설관리방법에 있어서,
    작업에 관련되는 계획된 일정,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을 획득하는 획득단계;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계획된 분량 및 달성된 분량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작업완료분계산단계; 및
    컴퓨터화면상의 막대도표, 계획된 일정을 나타내는 시간축상의 막대도표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작업의 완료된 부분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자체를 현시하는 현시단계를 포함하는 건설관리방법.
  22.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건설관리방법에 있어서,
    건설공사의 이름, 건설공사에 포함된 공사항목의 이름, 공사항목에 포함된 작업의 이름, 그리고 건설공사, 공사항목 및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들을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건설공사의 이름, 공사항목의 이름 및 작업의 이름을 계층적으로 보여주는 일정테이블, 건설공사를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공사항목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 그리고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보여주는 막대도표를 컴퓨터화면상에 서로 관련되게 현시하기 위한 현시수단을 포함하는 건설관리시스템.
  23. 건설에 관련된 작업의 진행을 저장수단을 갖는 컴퓨터로 관리하는 건설관리방법에 있어서,
    작업을 위한 계획된 일정을 획득하고 계획된 일정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저장단계에서 획득된 계획된 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축상의 위치 및 길이를 갖는 막대도표를 현시하는 현시단계;
    상기 현시단계에서 현시된 막대도표의 위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는 막대도표변경명령을 획득하는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단계;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획된 일정을 상기 막대도표변경명령획득단계에서 만들어진 막대도표의 변경에 따라서 갱신하는 계획된 일정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건설관리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CD-ROM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9990017690A 1998-05-12 1999-05-12 건설관리시스템및건설관리방법 KR19990088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9184 1998-05-12
JP12918498 1998-05-12
JP12068099A JP2000034835A (ja) 1998-05-12 1999-04-27 工事管理システム及び工事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タ可読媒体
JP11-120680 1999-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345A true KR19990088345A (ko) 1999-12-27

Family

ID=2645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690A KR19990088345A (ko) 1998-05-12 1999-05-12 건설관리시스템및건설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034835A (ko)
KR (1) KR199900883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554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건설 공정/공사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469832B1 (ko) * 2002-06-08 2005-02-02 (주) 엘콘시스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KR100777373B1 (ko) * 2004-12-03 2007-11-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객체와 일정을 연계한 토목공사 시설물의 4차원 건설공사 공정관리시스템의 구현방법
KR100844467B1 (ko) 2007-10-22 2008-07-07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08985605A (zh) * 2018-07-04 2018-12-11 成都希盟泰克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施工计划编制的进度管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44A (ko) * 2000-07-24 2002-01-31 홍명희 실시간 건설관리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방법
KR20000063951A (ko) * 2000-08-12 2000-11-06 최원석 통신망을 통한 건설관련 실적신고방법
JP2002123577A (ja) * 2000-10-17 2002-04-26 Sangikyou:Kk 工事支援システムおよび工事支援方法
JP4831882B2 (ja) * 2001-04-19 2011-12-07 株式会社ビーイング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工程管理システム
JP2003141317A (ja) * 2001-10-30 2003-05-16 Kazuo Tani ゴルフ場管理システム
JP4718394B2 (ja) * 2006-08-14 2011-07-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作業工程人数割当方法及び装置
JP2010044663A (ja) * 2008-08-15 2010-02-25 Wise Solutions Co Ltd プロジェクト管理情報表示装置、プロジェクト管理情報表示方法、プロジェクト管理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カルテ情報表示装置
US8063904B2 (en) * 2008-11-26 2011-11-2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roject timeline visualization methods and systems
US8346581B2 (en) * 2008-12-15 2013-01-01 Exelis, Inc. Project timeline visualization methods and systems
JP6437711B2 (ja) * 2013-08-21 2018-12-12 ピーアンドダブリュ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状態表示制御装置、状態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554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건설 공정/공사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469832B1 (ko) * 2002-06-08 2005-02-02 (주) 엘콘시스템 계층적공간정보 및 작업공종정보를 이용한 공정표자동작성방법
KR100777373B1 (ko) * 2004-12-03 2007-11-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객체와 일정을 연계한 토목공사 시설물의 4차원 건설공사 공정관리시스템의 구현방법
KR100844467B1 (ko) 2007-10-22 2008-07-07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08985605A (zh) * 2018-07-04 2018-12-11 成都希盟泰克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施工计划编制的进度管控方法
CN108985605B (zh) * 2018-07-04 2023-08-08 成都希盟泰克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施工计划编制的进度管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34835A (ja)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219A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onstruction project costs and schedules based on historical data
US4700318A (en) Project construction with depiction means and methods
KR19990088345A (ko) 건설관리시스템및건설관리방법
Antill et al. Critical path methods in construction practice
US5016170A (en) Task management
Hendrickson et al. Expert system for construction planning
De Wit et al. An evaluation of microcomputer-based software packages for project management
JP4177280B2 (ja) 計画業務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計画業務管理支援プログラム
US8234137B2 (en) One view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system
Adelsberger et al. The leitstand-a new tool for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
US2007024530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ject scheduling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workflow information
KR20080019581A (ko) 원가 요소 관리 시스템
US20220374802A1 (en) Automated analysis of objects for construction planning
JP3262522B2 (ja) 土木工事原価管理装置
JP2000250975A (ja) 工程表作成システム
Yau An object-oriented project model for integrating building design, construction scheduling, and cost estimating for mid-rise construction
Lowery et al. Managing projects with Microsoft Project 2000: for Windows
Harris Planning and Control Using Microsoft Project 2013
Riyaz et al. Project Management of an Automotive Industrial Building Using MS Project and Primavera
Cicala et al. Monitoring and Controlling—The Project Manager’s Functions
Venkadesan et al. Planning and Scheduling of Commercial Projects Using Advanced Management Software
Sweger 1130 Project Control System (1130-CP-05X). User’s Manual
Halpin et al. Struc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in Romania
CA1281141C (en) Construction means and method with depiction of structure
Jeong et al. Effective Production Rate Estimation and Activity Sequencing Logics Using Daily Work Repor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