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033A - 네트워크인터페이스모듈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인터페이스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033A
KR19990088033A KR1019990015937A KR19990015937A KR19990088033A KR 19990088033 A KR19990088033 A KR 19990088033A KR 1019990015937 A KR1019990015937 A KR 1019990015937A KR 19990015937 A KR19990015937 A KR 19990015937A KR 19990088033 A KR19990088033 A KR 1999008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terface
interface module
circuit
high frequency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266B1 (ko
Inventor
마쯔우라슈우지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8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04N7/104Switchers or spl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업스트림 신호를 차단하고 다운스트림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HPF, 다운스트림 신호를 차단하고 업스트림 데이터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LPF, 분기를 위한 방향성 결합기, 및 스루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고주파 릴레이는 고주파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되어, 디지털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혼입을 억제한다. 케이블 텔레비젼 셋 탑 박스에 탑재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상기 고주파 모듈의 아날로그회로 및 다른 디지털회로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단일 튜너가 아날로그 및 디지털신호에 공용으로 사용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문제가 되는 AGC 전압의 절환은 AGC 절환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케이블 텔레비젼 셋 탑 박스에 탑재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하면, 회로구성이 간략화될 수 있고, 비용, 크기, 및 전력소비가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NETWORK INTERFACE MODULE}
본 발명은 케이블 텔레비젼 케이블 모뎀 및 셋 탑 박스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텔레비젼 사업자는 동축케이블이 가정으로 인입되는 선으로 사용되더라도, 다채널 및 공간 채널 방식에 의한 광대역 데이터 통신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광 화이버 또는 HFC(하이브리드 화이버/COAX)를 사용하여, 더 많은 수의 빌딩 간선 네트워크를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64치 QAM(직교위상변조)를 사용함에 의해, 1채널이 6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전송속도가 30Mbps인 고속데이터라인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모뎀 또는 셋 탑 박스내에, 이러한 케이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탑재된다.
도 3은,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셋 탑 박스(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예컨대, 54∼860MHz에서 운용되는 다운스트림 신호는, 케이블회선으로부터 입력단자(2)로 입력되고, 예컨대, 5∼42MHz에서 운용되는 업스트림 신호는, 상기 입력단자(2)로부터 상기 케이블회선으로 출력된다.
최근,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에서의 다운스트림 신호는 아날로그 NTSC 영상 및 음성신호, 디지털 QAM 영상 및 음성신호, 및 QPSK (직교위상편위변조)데이터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감쇠역으로서 5∼46MHz를 갖고, 통과역으로서 54MHz 이상을 갖는 중간주파필터인 하이패스필터(3)에 의해 여파된 다운스트림 신호는, 먼저 방향성 결합기(4)에 의해 분할된 후, 디지털 튜너(5)에 입력되며, 2분배기(6)를 통해 아날로그 튜너(7) 및 QPSK 튜너(8)에 입력된다.
튜너(5,7,8)는 470∼860MHz의 UHF 밴드(B3 밴드), 170∼470MHz의 VHF 하이밴드(B2 밴드), 및 54∼170MHz의 VHF 로우밴드(B1 밴드)에 대한 수신회로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그러나, 밴드분할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튜너(5)를 통해 선국된 소망하는 채널의 디지털 텔레비젼방송의 중간주파신호는, 디지털 SAW 필터(9)를 통해, 저주파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되기 위해 다운컨버터(10)에 공급되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에 의해 8비트 또는 10비트의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신호는 QAM 복조기(12)에 의해 I,Q 복조되고, 오차가 정정된 후,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서 트랜스포트 디코더(13)로 출력된다. 트랜스포트 디코더(13)는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MPEG2 디코더(14)에 추출된 신호를 공급한다. MPEG2 디코더(14)는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의 대역을 신장하고, 아날로그 NTSC 컴포지트 영상 및 음성신호로서 멀티플렉서(15)로 디코드된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아날로그 튜너(7)를 통해 선국된 소망하는 채널의 아날로그 텔레비젼방송의 중간주파신호는 NTSC 복조기(16)에 의해 아날로그 NTSC 컴포지트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복조된다. MPEG2 디코더(14) 및 NTSC 복조기(16)에서의 컴포지트 영상 및 음성신호는 멀티플렉서(15)에 의해 선택되며, 고주파 변조기(17)에 의해서 제1채널, 제2채널, 또는 제13채널 등의 소망하는 채널의 텔레비젼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단자(18)로부터 텔레비젼 수상기의 안테나 입력단자로 출력된다.
QPSK 튜너(8)를 통해 선국된 데이터신호는 QPSK 복조기(19)에 의해서 복조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다른 소자 등에 의해 실현되는 처리회로(20)에 공급된다. 과금정보(information on viewing fees) 등의 업스트림 데이터는, 더욱이, 변조되기 위한처리회로(20)로부터 QPSK 변조기(21)로 입력되고, 파워 앰플리파이어(22)에 의해 증폭된 후, 데이터단자(23)에 도입되어, 업스트림 회로인 로우패스필터(24)를 통해 입력단자(2)로 도출된다.
상기 방식으로 구성된 종래의 셋 탑 박스(1)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하이패스필터(3), 로우패스필터(24), 방향성 결합기(4), 2분배기(6), 튜너(5,7,8), 디지털 SAW 필터(9), 다운 컨버터(10),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 QAM 복조기(12), NTSC 복조기(16), 및 QPSK 복조기(19)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디지털 노이즈 및 고주파 노이즈는 튜너(5,7,8), 하이패스필터(3), 로우패스필터(24), 방향성 결합기(4), 및 처리회로(20)에 의한 2분배기(6), QPSK 변조기(21), QPSK 복조기(19), QAM 복조기(12) 등을 포함하는 고주파회로에서 발생되어, 디지털 복조성능을 나타내는, C/N, BER(비트 오차율) 및 페이스 노이즈 등의 특성을 열화시킨다. 이것이 셋 탑 박스 설계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노이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대책으로서, 하이패스필터(3), 로우패스필터(24), 디지털 튜너(5), 아날로그 튜너(7), QPSK 튜너(8), 및 고주파 변조기(17)가 고주파 소자들을 분리하여 취급하도록 각각 개별적인 실드케이스에 설치된다. 따라서, 셋 탑 박스를 조립할 때, 이러한 고주파부품들을 조합하게 되어, 불가피하게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조립된 셋 탑 박스 비용의 증가, 부피 증가, 및 소비전력에서 불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략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비용, 크기 및 전력소비를 개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케이블 텔레비젼방송의 수신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케이블 텔레비젼국에 업스트림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로우패스필터;
상기 업스트림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케이블 텔레비젼국에서의 다운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이패스필터; 및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와 제어신호 수신용 회로에 다운스트림 신호를 공급하는 방향성 결합기를 포함하며,
고주파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로우패스필터, 하이패스필터, 및 방향성 결합기는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단의 고주파회로가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영상 및 음성신호와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데이터신호 등의 디지털신호를 취급하는 이러한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할 수 있고, C/N, BER, 및 다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로구성의 간략화, 및 비용, 크기, 및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도록 모듈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실드 하우징내에 디지털회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양쪽의 신호를 취할 수 있는 공용 튜너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배를 위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분배수단에 의한 삽입 손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모듈로서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 크기, 및 전력소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회로는,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의 전단에 제공되는 스루 출력 도출용의 고주파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릴레이는 스루 출력회로를 제공함에 의해 범용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전자스위치회로 만큼 공간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회로와 함께 모듈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분배기보다 손실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탑재한 케이블 텔레비젼 셋 탑 박스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모듈 레이아웃을 나타낸 정면도, 및
도 3은 전형적인 종래의 셋 탑 박스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수신용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탑재한 셋 탑 박스(3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예컨대, 54∼860MHz에서 운용되는 다운스트림 신호는, 케이블회선으로부터 입력단자(32)로 공급되고, 예컨대, 5∼42MHz에서 운용되는 업스트림 신호는, 입력단자(32)로부터 케이블회선으로 출력된다. 다운스트림 신호는 감쇠역으로서 5∼46MHz, 통과역으로서 54MHz 이상을 갖는 중간주파필터인 하이패스필터(33)에 의해 여파되고, 방향성 결합기(34) 및 고주파 릴레이(35)의 제 1 접점(S1)을 통해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로 입력된다.
아날로그 및 디지탈 공용 튜너(36)는 470∼860MHz를 커버하는 UHF 밴드(B3 밴드), 170∼470MHz를 커버하는 VHF 하이밴드(B2 밴드), 및 54∼170MHz를 커버하는 VHF 로우밴드(B1 밴드)에 대한 수신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밴드분할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를 통해 선국된 소망하는 채널의 디지털 텔레비젼방송의 중간주파신호는, 디지털 SAW 필터(37)를 통해, 다운 컨버터(38)에 공급되어 저주파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9)에 의해 8비트 또는 10비트의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신호는 QAM 복조기(40)에 의해 I,Q 복조되고, 오차가 정정된 후,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서 트랜스포트 디코더(41)로 출력된다. 트랜스포트 디코더(41)는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신호를 MPEG2 디코더(42)로 공급한다. MPEG2 디코더(42)는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의 대역을 신장하여, 아날로그 NTSC 컴퍼지트 영상 및 음성신호로서 디코드된 신호를 멀티플렉서(43)로 전송한다.
한편,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에 의해 선국된 소망하는 채널의 아날로그 텔레비젼방송의 중간주파신호는 NTSC 복조기(44)에 의해 아날로그 NTSC 컴포지트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복조된다. MPEG2 디코더(42) 및 NTSC 복조기(44)에서의 컴포지트 영상 및 음성신호는 멀티플렉서(43)에 의해 선택되어, 고주파 변조기(45)에 의해 제1채널, 제2채널 또는 제13채널 등의 소망하는 채널의 텔레비젼신호로 변환되고, 고주파 릴레이(35)의 제 2 접점(S2)을 통해 출력단자(46)로부터 텔레비젼수상기의 안테나 입력단자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는 공용의 아날로그방송 및 디지털방송의 텔레비젼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AGC 절환회로(47)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와 연관되어 제공된다. 자동이득제어를 위한 AGC 전압은 아날로그 방송수신 및 디지털방송수신에 대해 다른 값과 경사에서 감쇠를 시작하는 이득을 가지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가 AGC 절환회로(47)로 AGC 전압을 절환함에 의해 공용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절환은 QAM 복조기(40)가 직렬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동안의 디지털방송의 수신과 QAM 복조기(40)가 직렬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지 않는 동안의 아날로그방송의 수신을 식별하기 위해서 신호출력을 절환함에 의해 실행되고, AGC 절환회로(47)가 절환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실행된다.
고주파 릴레이(35)의 2개의 접점(S1,S2)은 서로 연동방식으로 절환되도록 제어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이 동작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성 결합기(34)로부터의 다운스트림 신호는 제 1 접점(S1)에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공용 튜너(36)로 출력됨과 동시에, 고주파 변조기(45)로부터의 텔레비젼신호는 제 2 접점(S2)에서 출력단자(46)로 출력되며; 이와 대조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이 대기 및 스루 동작할 때, 방향성 결합기(34)로부터의 다운스트림 신호는 제 1(S1) 및 제 2 접점(S2)을 접속함에 의해 직접 출력단자(46)로 출력된다.
방향성 결합기(34)에 의해 분할된 다운스트림 신호는 채널이 선국되는 QPSK 튜너(51)로 입력되어, QPSK 복조기(52)에 의해 데이터신호로 복조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다른 소자들에 의해 실현되는 처리회로(53)에 공급된다. 과금정보(information on viewing fees) 등의 업스트림 데이터는 변조될 처리회로(53)로부터 QPSK 변조기(54)로 입력되어, 파워 앰플리파이어(55)에 의해 증폭된 후, 데이터단자(56)에 도입되어, 업스트림 회로인 로우패스필터(57)를 통해 입력단자(32)로 도출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1)이 수신상태 또는 대기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처리회로(53)가 고주파 릴레이(35)의 접점(S1,S2)을 제어함으로써 접점(S1,S2)이 서로 연동방식으로 절환되어, 아날로그 및 디지털공용 튜너(36)의 동조주파수와 멀티플렉서(43)의 절환상태를 제어하고, QPSK 튜너(51) 및 QPSK 복조기(52)를 사용하여 다운스트림 데이터 수신동작 및 QPSK 변조기(54) 및 파워 앰플리파이어(55)를 사용하여 업스트림 데이터 송신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방식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하이패스필터(33), 로우패스필터(57), 방향성 결합기(34), 및 고주파 릴레이(35)를 포함하는 입력단 회로가 고주파 모듈(M1)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에 설치된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의 일부 및 고주파 변조기(45)가 각각 모듈(M2,M3)로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된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공용 튜너(36)의 나머지의 부분, 디지털 SAW 필터(37), 다운 컨버터(38), 및 AGC 절환회로(47)를 포함하는 디지털회로는 모듈(M4)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9), QAM 복조기(40), QPSK 튜너(51), 및 QPSK 복조기(52)를 포함하는 디지털회로는 모듈(M5)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된다. 아날로그회로인 NTSC 복조기(44)는, 모듈(M6)로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된다. 또한, 모듈(Ml,M2,M3,M4,M5,M6)은,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레이아웃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의 실드하우징내에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고주파회로에 디지털회로에 의한 디지털 노이즈 및 고주파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C/N, BER, 및 페이스 노이즈 등의 특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회로를 모듈로서 제조하고 디지털과 아날로그 모드 사이에서 단일 튜너를 공유함에 의해, 비용 및 전력소비를, 예컨대, 약 20%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소비의 삭감의 결과로 발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회로가 모듈로서 제조되더라도, 발열이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과 아나로그 모드 사이에서 단일 튜너를 공유함에 의해, 분배기를 생략할 수 있고, 입력단자(32)로부터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36)까지의 삽입손실을,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에 대해, 약 2dB 정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실드하우징에서, 모듈(Ml,M2,M3,M4,M5,M6)은 인접한 모듈과 공통의 외면을 공유하고, 실드 하우징은 외면이 모듈(Ml,M2,M3,M4,M5,M 6)의 외면으로서 작용하도록 제조된다. 회로블럭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실드판에 의해 격리되더라도, 모듈(Ml,M2,M3, M4,M5,M6)을 개별적으로 모듈화하는 것과 비교하여,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드 하우징에서, 도 1의 블록도에 나타낸 신호의 경로는 모듈(M1)의 후단에 모듈(M2,M3)이 제공되고, 모듈(M2,M3)의 후단에 모듈(M4,M5,M6)이 제공됨에 따라 최단거리로 된다. 또한, 특히 QAM 복조부(40)에서, 디지털처리부의 + B 라인 및 어스패턴이 아날로그처리부의 + B 라인 및 어스패턴과 분리되도록, 패턴이 레이아웃된다. 따라서, BERT(비트 오차율)가 개선된다.
또한, QAM 복조기(40)에 의한 발열량이 많은 것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은 실드 하우징이 셋 탑 박스의 하우징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셋 탑 박스의 하우징에 부착되는 실드 하우징을 갖는다. 또한, 실드 하우징의 뚜껑부에는 방열을 위한 펀치 구멍이 제공된다. 이로써 방열효과를 향상시키고, QAM 복조기(40)에 의한 발열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30)의 파손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루출력회로를 제공함에 의해, 다른 셋 탑 박스(31)로 송신된 출력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셋 탑 박스(31)의 종속접속이 가능해져,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주파 릴레이(35)에 의해 실현되는 바로서, 스루회로는 전자스위치회로보다 공간을 작게 차지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이패스필터(33), 로우패스필터(57), 및 방향성 결합기(34)등의 다른 회로와 모듈화가 용이하고, 분배기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보다 손실이 작다. 또한, 이러한 스루회로의 분기는 영상 및 음성신호 라인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다운스트림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는 QPSK 튜너(51)에는 방향성 결합기(34)에 의해 상기 다운스트림 신호가 항상 공급될 수 있고, 사업자로부터의 데이터가 대기동안에도 확실히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단의 고주파회로가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영상 및 음성신호와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데이터신호 등의 디지털신호를 취급하는 이러한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할 수 있고, C/N, BER, 및 다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로구성의 간략화, 및 비용, 크기, 및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도록 모듈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실드 하우징내에 디지털회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를 위한 구성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분배수단에 의한 삽입 손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모듈로서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 크기, 및 전력소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주파 릴레이는 스루 출력회로를 제공함에 의해 범용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전자스위치회로 만큼 공간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회로와 함께 모듈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분배기보다 손실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모든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케이블 텔레비젼 국에 업스트림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로우패스필터;
    상기 업스트림 신호의 차단 및 상기 케이블 텔레비젼 국으로부터의 다운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이패스필터; 및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 및 제어신호 수신용 회로에 상기 다운스트림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방향성 결합기를 포함하며,
    고주파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로우패스필터, 상기 하이패스필터, 및 방향성 결합기는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패키지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에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튜너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회로는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회로의 전단에 제공된, 스루출력 도출용의 고주파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회로는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의 전단에 제공된, 스루출력 도출용의 고주파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회로 및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는 각각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 패키지내에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모듈은 각각 적어도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회로 및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는 각각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 패키지내에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모듈은 각각 적어도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회로 및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는 각각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 패키지내에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모듈은 각각 적어도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회로 및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는 각각 모듈로서 일체로 실드 패키지내에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모듈은 각각 적어도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두개의 모듈 사이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일부분의 외면을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9. 제 2 항에 있어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방송이 수신되는 가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공용 튜너의 자동이득제어를 위해 AGC 전압을 절환하기 위한 AGC 절환회로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동작중일 때 상기 방향성 결합기를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동작중일 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영상 및 음성출력을 출력단자에 결합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대기중일 때 상기 방향성 결합기를 제 1 스위치를 통해 출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릴레이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동작중일 때 상기 방향성 결합기를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 수신용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동작중일 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출력을 출력단자에 결합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대기중일 때 상기 방향성 결합기를 제 1 스위치를 통해 출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KR1019990015937A 1998-05-21 1999-05-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KR100322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40272 1998-05-21
JP10140272A JPH11341453A (ja) 1998-05-21 1998-05-21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フェイス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033A true KR19990088033A (ko) 1999-12-27
KR100322266B1 KR100322266B1 (ko) 2002-02-04

Family

ID=1526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937A KR100322266B1 (ko) 1998-05-21 1999-05-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50063B1 (ko)
EP (1) EP0959624B1 (ko)
JP (1) JPH11341453A (ko)
KR (1) KR100322266B1 (ko)
CN (1) CN1127853C (ko)
DE (1) DE6992032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12B1 (ko) * 2001-06-11 2004-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집적회로를 이용한 케이블 모뎀 튜너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2910B1 (en) * 1999-04-20 2007-04-10 Thomson Licens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311830B1 (ko) * 2000-02-21 2001-10-17 이형도 셋탑박스용 채널모듈장치
GB2361595B (en) * 2000-03-30 2004-07-21 Samsung Electro Mech Switching circuit of radio frequency module in cable set-top box
JP3875458B2 (ja) 2000-06-30 2007-01-31 株式会社東芝 送受信一体型高周波装置
US20020095689A1 (en) * 2001-01-12 2002-07-18 Novak Robert E. Hardware decoding of media streams from multiple sources
KR100418812B1 (ko) * 2001-11-13 2004-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알에프 스위치 일체형 알에프 변조회로
US6999132B1 (en) * 2002-02-19 2006-02-14 Lsi Logic Corporation RF/IF digital demodulation of video and audio
KR100461720B1 (ko) * 2002-05-13 2004-12-1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탈 케이블 방송 튜너
JP4234529B2 (ja) * 2003-08-12 2009-03-04 株式会社東芝 ケーブルモデムモジュール装置及び電子機器
JP4247072B2 (ja) * 2003-08-13 2009-04-0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0525406C (zh) 2004-05-19 2009-08-05 汤姆森特许公司 用于多种广播标准信号接收器的滤波器
US8160526B2 (en) * 2004-08-13 2012-04-17 Thomson Licensing Filter configuration for a receiver of multiple broadcast standard signals
JP2006060474A (ja) * 2004-08-19 2006-03-02 Toshiba Corp ケーブルモデムモジュール装置、ケーブルモデム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
JP4712416B2 (ja) * 2005-03-25 2011-06-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のフロントエンド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WO2006117583A1 (en) * 2005-04-29 2006-11-09 Farimex S.A. System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elevision signals
JP2007116429A (ja) * 2005-10-20 2007-05-10 Sharp Corp 放送受信装置
US8144266B2 (en) * 2007-02-27 2012-03-27 Sony Corporation Module system for permitting storage device interface with TV
EP2095781B1 (en) 2008-02-29 2019-09-18 Arthrex, Inc. Button cannula
US9363469B2 (en) 2008-07-17 2016-06-07 Ppc Broadband, Inc. Passive-active terminal adapter and method having automatic return loss control
JP5187080B2 (ja) * 2008-09-01 2013-04-2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US8356322B2 (en) 2009-09-21 2013-01-15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Passive multi-port entry adapter and method for preserving downstream CATV signal strength within in-home network
US9647851B2 (en) 2008-10-13 2017-05-09 Ppc Broadband, Inc. Ingress noise inhibiting network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cable television networks
US10154302B2 (en) 2008-10-13 2018-12-11 Ppc Broadband, Inc. CATV entry adapt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ATV and in-home entertainment signals
US9351051B2 (en) 2008-10-13 2016-05-24 Ppc Broadband, Inc. CATV entry adapt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ATV and in-home entertainment signals
US8429695B2 (en) * 2008-10-21 2013-04-23 Ppc Broadband, Inc. CATV entry adapter and method utilizing directional couplers for MoCA signal communication
US8510782B2 (en) 2008-10-21 2013-08-13 Ppc Broadband, Inc. CATV entry adapter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eMTA equipment from MoCA Signals
US11910052B2 (en) 2008-10-21 2024-02-20 Ppc Broadband, Inc. Entry device for communicating external network signals and in-home network signals
US8487717B2 (en) 2010-02-01 2013-07-16 Ppc Broadband, Inc. Multipath mitigation circuit for home network
US8479247B2 (en) 2010-04-14 2013-07-02 Ppc Broadband, Inc. Upstream bandwidth conditioning device
US8561125B2 (en) * 2010-08-30 2013-10-15 Ppc Broadband, Inc. Home network frequency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WO2012088350A2 (en) 2010-12-21 2012-06-28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solation in a home network
US10212392B2 (en) 2016-06-30 2019-02-19 Ppc Broadband, Inc. Passive enhanced MoCA entry device
CA3088988A1 (en) 2018-01-19 2019-07-25 Ppc Broad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an in-home splitter network
CN109167945B (zh) * 2018-09-27 2020-09-25 江苏银河数字技术有限公司 大斜率有线电视信号的电路处理方法、装置及系统
TWM583659U (zh) * 2019-02-20 2019-09-11 訊鼎電子股份有限公司 具有印刷電路板佈線元件之有線電視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9829A (en) 1970-11-27 1972-07-25 Richard J Hofmeister Electronic chassis assembly for a television receiver
DE3133760C2 (de) * 1981-08-26 1983-09-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Empfangsstufe für Rundfunk- und Fernsehempfänger
JPS5887896A (ja) * 1981-11-20 1983-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周波回路機器の組立構造
CA1212457A (en) * 1983-06-14 1986-10-07 Nec Kansai, Ltd. Frequency converter, especially catv converter
DE8319031U1 (de) 1983-07-01 1983-09-2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Hf-baugruppen integriert in ein einplatinenchassis eines fernsehgeraetes
US5109286A (en) * 1988-03-10 1992-04-28 Scientific-Atlanta, Inc. CATV reverse path manifold system
JPH02246199A (ja) 1989-03-17 1990-10-01 Fujitsu Ltd 高周波モジュールのシールド構造
US5412720A (en) 1990-09-28 1995-05-02 Ictv, Inc. Interactive home information system
US5587734A (en) * 1990-09-28 1996-12-24 Ictv, Inc.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television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pseudo-channel access
JPH05191807A (ja) 1991-10-07 1993-07-30 Alps Electric Co Ltd チューナ
US5638112A (en) * 1995-08-07 1997-06-10 Zenith Electronics Corp. Hybrid analog/digital STB
US5745836A (en) * 1995-09-01 1998-04-28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Undesirable energy suppression system in a contention based communication network
JPH1042266A (ja) * 1996-07-22 1998-02-13 Nec Corp Catv端末装置
CA2265958C (en) 1996-09-17 2006-07-18 Diva Systems Corporation Set top terminal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5870513A (en) * 1997-06-17 1999-02-0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Bidirectional cable network with a mixing tap for suppressing undesirable noise in signals from a remote end of the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12B1 (ko) * 2001-06-11 2004-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집적회로를 이용한 케이블 모뎀 튜너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50063B1 (en) 2003-04-15
DE69920323D1 (de) 2004-10-28
JPH11341453A (ja) 1999-12-10
EP0959624A2 (en) 1999-11-24
EP0959624B1 (en) 2004-09-22
CN1127853C (zh) 2003-11-12
CN1238643A (zh) 1999-12-15
KR100322266B1 (ko) 2002-02-04
DE69920323T2 (de) 2005-09-29
EP0959624A3 (en)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266B1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KR100691421B1 (ko) 양방향 오픈 케이블용 멀티입출력장치 및 튜너장치
US20090141183A1 (en) Active Splitter Device and Method Using Diplexed Front End
US20030022631A1 (en) Multi-mode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 diplexer having a switchable notch filter
US7020186B2 (en) Multi-mode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 diplexer having switchable low pass filters
KR20010083019A (ko) 셋탑박스용 채널모듈장치
JP4467383B2 (ja) デジタル放送用チューナ
US7757263B2 (en) Front-end device of set-top box for two-way communication
US20090180035A1 (en) Filter arrangement for a tuner in a broadband receiver
US6891575B2 (en) Reduced noise digital tuner
KR100340437B1 (ko) 셋탑박스용 고주파 모듈장치
EP1250006B1 (en) Cable modem tuner
JP3675715B2 (ja) 伝送端子の壁内収納ユニット
JP2006270872A5 (ko)
US6188446B1 (en) Dual diplexer combining device and television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using same
JP3958007B2 (ja) 信号処理装置
JP4695746B2 (ja) 双方向増幅器
US20080284546A1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JP3458939B2 (ja) ケーブルモデム用チューナ
KR100638816B1 (ko) 알에프 스워칭 박스와 튜너의 연결구조
JP3668024B2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イスモジュール
JPH1032805A (ja) セットトップコンバータ
US20030172379A1 (en) Digital CATV tuner
US20030035073A1 (en) Multimode downstream signal processing in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device
JP2005253019A (ja) 信号混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