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483A - 유압작동크러치릴리스(clutchrelease)장치의링피스톤패킹(ringpistonpacking) - Google Patents

유압작동크러치릴리스(clutchrelease)장치의링피스톤패킹(ringpistonp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483A
KR19990087483A KR1019980706911A KR19980706911A KR19990087483A KR 19990087483 A KR19990087483 A KR 19990087483A KR 1019980706911 A KR1019980706911 A KR 1019980706911A KR 19980706911 A KR19980706911 A KR 19980706911A KR 19990087483 A KR19990087483 A KR 1999008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release device
radial direction
ring pist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609B1 (ko
Inventor
루드비히 빈켈만
해럴드 페쉬케
Original Assignee
제스 칼스텐센, 마티아스 베커
아이엔에이 뵐즈라거 쉐플러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스 칼스텐센, 마티아스 베커, 아이엔에이 뵐즈라거 쉐플러 오하게 filed Critical 제스 칼스텐센, 마티아스 베커
Publication of KR1999008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마찰크러치에 대한 유압작동식릴리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속기축(3)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압축실(2)을 포함하며 그안에 가이드스리브가 환형의 압실을 형성하기위하여 반경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그안에는 링피스톤(7)이 축방향에 따라 스라이딩이 되도록 되어 있고 압실측으로 보강된 패킹(8a)이 있고 그의 패킹립(14,15)은 반경방향에 따라서 벌려져 있다.
발명에 따라서 패킹(8a)의 보강재(18a)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 따르는 자유도를 가지고 링피스톤(7)에 끼워마춤으로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압작동크러치릴리스(CLUTCH RELEASE)장치의 링피스톤패킹 (RING PISTON PACKING)
이러한 상기유형의 크러치릴리스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어서 차량에 적용된다. DE-C31 48 183에는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크러치릴리스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그 안에 링피스톤에 따라서 압축실을 제한한다. 기밀을 유지하기위하여 링피스톤에 압축실측으로 패킹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의 패킹립(packing lip)은 반경방향으로 부품들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뻗어 있어서 그 사이에 링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크러치릴리스장치에서 링피스톤에 감안되어 있는 강체의 패킹배열의 단점을 들어보면 예컨대 내연기관의 크랑크축에서 발생하는 축진동이 마찰크러치와 크러치릴리스베아링을 거쳐서 링피스톤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비완충상태하에 유압장치에 전달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압축진동은 이 경우에 크러치페달에 불안정한 "불쾌감"감을 발생한다.
미특허 US-A 4,821,627에는 한가지 다른 링피스톤패킹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링피스톤의 단부측 반경방향돌기는 패킹소재에 의하여 거의 압출처리가 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방안도 하등의 진동보상을 할 수 없음으로 상기와 같은 진동은 동시에 완충이 안된채로 크러치페달에 전달된다.
또한 다양한 크러치릴리스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는 데 이에 의하면 패킹은 링피스톤에 하등의 결합이 되어 있지 않다. 패킹은 이 경우에 별도로 링피스톤 전방에 축방향에 따라서 놓여 있는 패킹캐리어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방안은 자주 고장이 나기 쉽고 예컨대 크러치릴리스장치의 진공조성을 위하여 공급에 민감한 밸브를 요한다.
본 발명은 수동전환치차변속기를 가진 차량의 마찰크러치에 대한 유압작동식릴리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릴리스장치는 내연기관에 치차변속기와 더불어 동심으로 연결되어 있는 변속기입력축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하우징과 더불어 수용실린더(salve cylinder)를 가지며 이 때 압축실의 종방향구멍내에 원형링형상으로 되어 있는 압축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이드스리브가 반경방향에 따라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압축실내에는 링피스톤이 축방향에 따라 스라이딩이 되도록 들어 있으며 압축실측으로 패킹(packing)이 감안이 되어있어서 그의 기밀립(lip)은 반경방향에 따라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3가지 실시 예들이 일곱 도면들에 의하여 제시되어 있으며 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1 발명에 따르는 유압크러치릴리스 장치의 1/2단면;
도2 도1에 의한 상세 "Z"의 확대도;
도3 도1에 의한 링피스톤의 패킹확대도;
도4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발명에 따르는 패킹의 한가지 대체안;
도5 도2와 비교되는 도의 하나로 이에 의하면 달리 패킹을 립과 일체형으로 하여 링피 스톤에 끼워마춤고정이 되어 있다;
도6 도3에 따르는 발명에 의한 패킹의 확대 단면프로파일;
도7 도6에 도시되어 있는 패킹에 대한 압력구배 "dp/dl" 의 변화;
도8 외관변화를 보이기 위한 1/2단면의 패킹포로파일확대도;
도9 도3에 의한 패킹으로 기하학적인 비율을 제시하기위하여 개별부분을 명시보완;
도10 동시에 도3과 비교가능한 도의 하나로 여기에서 보강은 평면부위에 하나의 홈이 있어서 그의 단부위는 패킹면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축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의 패킹을 창안하기 위한 과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 링피스톤에 경직된 결합을 피한다
- 구조길이의 축방향에 따른 감축은 링피스톤의 동시 최적화된 가이드길이를 가능하게 한다.
- 패킹마찰이 경감된다.
-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며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본 과제내용은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 및 2에 제시된 제특징에 의한 유압작동식 크러치릴리스장치에 대한 것이다.
청구항1에 명시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패킹은 링피스톤에 끼워맞춤으로 보강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때 끼워맞춤은 제한적인 축 및 반경방향에 따른 운동을 허용한다.이러한 발명에 따르는 조치로 링피스톤에 대한 패킹의 원하는 자유도를 가능하게 함으로 패킹이 불리한 응력을 받을 경우에 링피스톤에 따르는 조정운동을 행할 수 있다. 현재까지 공지되어 있는 패킹배열에 의하면 이것이 반경방향에 따르는 전위(傳位)에 의하여 일정한 요동운동을 조정하기 때문에 크러치릴리스베아링의 입출결합과정중에 패킹에 불리한 응력이 발생할 수가 있다. 발명에 따르는 링피스톤의 패킹에 대한 운동 결합에 의하여 균일한 패킹립의 외향굽힘이 가능함으로 패킹립마모가 경감됨으로서 패킹의 누설에 대한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링피스톤에 대한 패킹의 제한된 축방향 운동으로 인하여 이밖에도 유압장치의 진공조성시에 후흡입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발명에 따르는 패킹결합은 이밖에도 내연기관의 크랑크축에서 발생하는 축방향진동의 유압장치에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보상 또는 완충시켜 준다. 패킹의 제한된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운동으로 인하여 진폭이 작은 고주파발진축진동은 다만 크러치릴리스베아링과 이에 따라 결합되어 있는 링피스톤에 작용하지만 패킹의 축방향에 따른 탄성에 의하여 패킹과 그와 결합되어 있는 유압장치에 불리한 압력충격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링피스톤의 반경방향에 따른 테두리영역에 있는 끼워맞춤 패킹은 유리하게도 링피스톤의 동시 확대되는 가이드길이에서 패킹의 축방향에 따른 구조길이가 감소가 되어서 크러치릴리스장치의 성능과 수명의 개선을 위하여 포괄적으로 링피스톤의 최적의 기구로 된다. 이에 따른 링피스톤의 패킹에서 감안되어 있는 끼워맞춤은 또한 크러치릴리스장치의 대단위에 소요되는 자동지향적인 조립을 가능토록 한다.
청구항2의 보호하에 제시된 발명은 패킹재로 제작되어 있는 레그(leg=다리)와 결합되어 있는 패킹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레그는 유격이 있게 마련인데 즉 축방향과 반경방향에 대한 유격을 가지고 끼워맞춤으로 링피스톤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상으로 최적화되어 있는 패킹형상은 일체형구조로 더욱 비용측면에서 유리하다. 청구항1과 관련되어 있는 모든 여타 장점들은 동시에 청구항2에 따르는 발명에 전용이 된다.
청구항1 및 2에서 언급되어 있는 발명의 한가지 유리한 형태에서 비대칭으로 상호 배열되어 있는 패킹립을 가진 단면형상의 패킹이 감안되어 있다. 이러한 조치로 패킹립에 일치하는 대칭적인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데 이는 패킹의 개선된 마찰상태를 유지한다. 발명에 따르는 패킹형상으로 반경방향에 따르는 내측 패킹립과 반경방향에 따르는 외측 패킹립 사이의 직경차이에 따라서 패킹립-응력의 일치를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는 패킹립의 상이한 벽두께에 의하여 상호 차이지는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데 특히 반경방향에 따르는 외측 패킹립을 보강함으로서 반경방향에 따른 내측 패킹립에 비하여 압축충격이 보다 크다. 유리한 방법으로 패킹립의 벽두께차이 및 /또는 상이한 패킹립길이가 링피스톤패킹의 반경방향에 따라 떨어져 배열되어 있는 패킹립의 적절하고 동일한 축팽창 및 /또는 신장을 가능토록 한다. 발명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패킹은 패킹에 불리한 뒤틀림 또는 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또는 동시에 패킹의 제작비와 조립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패킹의 내성 또는 수명에 효과가 있다.
발명의 우선적인 실시예는 보강을 위하여 또는 일부 레그로 된 패킹을 위하여 감안되어 있으며 그 레그는 압축실측으로 링피스톤을 반경방향에 따라서 제한을 가하면서 카바하고 있다.
레그의 자유단에는 이 때 링피스톤방향에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고정장치가 감안되어 있는 데 링피스톤의 대응 홈 특히 피스톤홈의 패킹조립위치에서 고정된다. 패킹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 따른 운동을 하기위하여 홈은 고정장치의 축방향 폭을 능가하는 종방향으로 연장이 되어 있다. 이밖에도 링피스톤에 이르는 레그형상과 링피스톤 홈사이의 반경방향유격이 발생한다.
보강의 다른 형태로서 감안되어 있는 것으로는 이것이 링피스톤을 단부에서 압축실측으로 단부쪽으로 일부 둘러싸고 있어서 반경방향의 외측 레그에 보강이 감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택 유형은 보강에 의하여 패킹링뒤를 확동적으로 감싸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장치의 패킹고정은 현재까지의 일반적인 가황처리 또는 접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보강과 패킹간의 유리될 수 없는 결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들은 반경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평면을 형성하여 링피스톤의 측면으로 지지되고 양 단부에서 축방향에 따르는 테를 넘어 서 있음으로서 피스톤의 가이드면이 커진다. 평면에 접해 있는 축방향에 따라 튀어나와 있는 레그는 이밖에도 패킹재의 밀림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링피스톤 즉 가이드스리브 또는 압축실내의 종방향구멍의 가이드면의 하나에 부가물에 이르기까지 패킹링의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큰 반경방향의 굽힘에 있어서 효과적인 보호로서는 발명에 따라서 최소한 보강의 최소 축방향에 따르는 레그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패킹재의 외측으로 압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얇은 두께로 입혀지는 탄성중합체코팅은 보강부위에서 패킹이 반경방향으로 변위할 경우에 기능장애 특히 누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링피스톤- 및 패킹스라이드부위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작방법을 간이화하기위하여 본 발명이 감안한 바는 우선적으로 레그의 효과적인 외측압출에 따라 고정코를 소성가공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치로 보강은 패킹의 압출과정시에 보다 양호하게 유지될 수가 있다.
패킹의 압출시에 압력의 평형을 위하여 보강은 반경방향 즉 평면부위에 홈을 두고 있다. 이러한 조치로 압출과정중에 보강의 변형이 방지됨으로 제작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특히 홈의 변두리영역은 축방향의 패킹후측후향에 따라 편위되어 배열되어 있는 단차부위나 또는 패킹재 U자굽힘으로 하여 패킹재에 의하여 압출되어 고정결합이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조에서는 링피스톤의 패킹을 효과적으로 고정시켜주기위한 방안으로서 레그가 링피스톤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주위의 링벌브를 감안한 것이다. 동시에 대안으로서 링피스톤에 부착성형된 캠을 감안한 것으로 테두리의 해당 홈 또는 구멍 내에서 조립상태로 고정된다.
패킹립의 기밀작용을 개선하기위하여 본 발명에서 감안한 바로는 압축실측으로 배열되어 있는 V-형홈영역에는 스테이스프링(stay spring)을 삽입하는 것이다. 패킹립의 이러한 이형스프링부착으로 크러치릴리스장치의 다양한 접촉매체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에 따르는 일체형 패킹소재로서는 PTFE가 감안되어 있는 바 충분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유리한 마찰계수로 인하여 출중하다.
보강을 위한 재료로 얇은 강판이 감안되어 있는 데 이로서 보강재는 소성가공으로 딥드로잉(인발)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링피스톤의 최대가이드길이를 얻기위하여 당해 보강재는 평면영역에서 최소벽두께가 0.3mm이다.
발명의 착안은 보강재강도를 개선코자 보강재의 반경방향에 따르는 평면을 패킹면폭의 90%의 최대벽두께에 이르도록 보강하는 데 있다. 따라서 부여된 패킹폭의 유지하에 보강재가 이에 따라 보강이 되고 이렇게된 보강재는 소성가공대신에 자동선삭부품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링피스톤 패킹의 유격을 가진 끼워맞춤 결합의 치수결정을 위하여 축의 유격 "X"는 <2mm로 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명이 되었다. 반경방향의 유격 "Y"는 이에 대하여 <1,5mm로 되어 있다.
상호 비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면서 서로 다른 패킹길이를 가진 패킹의 유리한 형태에서는 반경방향에 따라 벌려 있는 패킹립들 사이에 V-형 홈이 배열되어 있음으로 그의 중앙은 가이드스라이드방향에 따라서 압축실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에 따른 편위되어 있다. 이러한 조치로 각각의 패킹립에 대한 벽두께를 얻을 수 있는 데 이런 패킹립은 자유단으로부터 패킹면에서의 이의 병합에 이르기까지 거의 일정하다. 시험연구에 의하여 최적의 벽두께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때 반경방향에 따른 외측패킹립의 벽두께는 대략 10%이상의 값만큼 더 큰 값을 가진다.
즉 반경방향에 따른 외측패킹립에 비하여 반경방향에 따른 내부패킹립사이의 길이 차이 "X"의 축방향 돌기부에 대한 치수로서는 ≤4mm 범위의 치수가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발명에 따르는 패킹을 설계할 경우에 있어서 기밀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서는 다음의 기하학적 비율이 정하여 졌다. 총패킹폭은 조립상태에서 즉 양 패킹립 접촉면의 반경방향에 따른 거리치수에 대하여 설정된 비율로 그 값이 0.5 내지 1로 정하여 졌다. 총 패킹폭에 대한 축방향에 따른 최적비율로서는 그의 값이 0.4내지 0.8로 정할수 있었다.
압력구배 "dp/dl" 즉 패킹립의 유체측과 이와 반대방향의 패킹측으로 향한 축간의 패킹상대길이 "l"에 대한 압력구배의 적절한 영향을 주기위하여 발명에 따르는 패킹립은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로 되어 있다. 패킹립 자유단의 원통형부분과 패킹면 방향에 따른 경사진 패킹모서리로부터 나와 있는 부분사이의 전환영역에서는 반경이 ≥30°로 되어 있어서 절선의 교차점에서 일직선 부분으로 넘어 간다. 이러한 절선의 교점은 또 다른 절선교점과 거리가 떨어져 있거나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패킹면과 부위사이의 전환영역에 놓여 있다.
패킹외관의 최적화를 위한 계산방법에 의하여 패킹면으로부터 패킹모서리에 이르는 패킹배면 반경치수 대 패킹배면으로부터 절선교점에 이르는 반경치수의 비율이 ≥0.5 치수로 할 수 있었다.
양 절선교점들 사이의 일직선의 경사배열된 부위에 대해서는 ≥0의 치수결정이 가능 하였다. 이러한 패킹링형상으로 인하여 유체측으로 보아 우선적으로 원하는 급경사의 압력구배 즉 기밀모서리에 이르기 까지의 계속 증가하는 압력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상대길이 "l"에 걸친 패킹립의 접촉압력 "p"를 가능하게 한다. 기밀모서리부터 패킹저면방향에 따라서는 평탄하게 변화하는 압력구배에 이어 즉 계속 떨어지는 압력프로파일이 연이어 진다. 상호차이가 나는 압력구배변화는 이것이 하등의 불리한 높은 최종압력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패킹립의 마모현상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 발명에 따르는 패킹립윤곽은 또한 패킹의 기밀작용과 기밀의 총효율에 유리하다.
패킹립의 유체측과 반대측에서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압력프로파일은 원하는 일정윤활유격에 유리함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윤활막두께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패킹립마모를 증가시키는 혼합마찰을 저지하여 준다.
도1에서 발명에 따르는 릴리스장치(1)의 1/2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릴리스장치(1)는 변속기입력축(3)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변속기하우싱(4)의 전면으로 풀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는 압축하우싱(2)을 포함하고 있다. 변속기입력축(3)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압축하우싱(2)에도 반경방향에 따라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스리브(5)가 압축실(2)에 따라서 변속기 입력축에 동심으로 큰 축방향폭에 걸쳐서 뻗어 있다.
가이드스리브(5)의 측면(6)상에는 링피스톤(7)이 축방향에 따라 스라이딩이 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패킹(8a)에 의하여 압실(9)을 축방향으로 제한하여 준다. 압실(9)과 반대측의 링피스톤(7)에는 릴리스베아링(10)이 고정되어 있어서 조립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마찰크러치의 릴리스단에 마찰접촉으로 접하여 있다. 유입채널(12)을 거쳐서 압축하우싱(2)의 압력조인트부에 삽입되어 압력을 받을 수 있는 압실(9)은 일체형으로 가이드스리브(5)와 연결되어 있는 링프렌지(13)에 의하여 변속기측으로 축방향에 따라서 제한을 받는다. 릴리스장치(1)는 공지된 장치와는 차이가 없음으로 릴리스장치의 개별부품들이나 또는 작동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약한다.
도2에서는 발명에 따르는 패킹(8a)을 명시하기위하여 도1에 의한 상세 "Z"가 확대도로 제시되어 있다. 패킹(8a)의 형상은 비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패킹립(14,15)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반경방향에 따라 내부의 가이드스리브(5)에 접해 있는 패킹립(14)은 반경방향에 따른 외측패킹립(15)보다도 작은 벽두께를 가지고 있다. 압실측으로 벌려져 배열되어 있는 패킹립(14,15)은 V-형 홈(16)을 형성하고 있으며 가이드스리브(5)방향에서 압실(9)의 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에 따른 편위가 "Y"로 되어 있다. 이밖에도 패킹립(14,15)들 사이에는 길이차이 "X" 즉 보다 얇은 벽두께를 가진 패킹립(14)이 보다 두꺼운 반경방향에 따르는 외측패킹립(15)보다도 "X"치수만큼 길다. 패킹(8a)은 풀을 수 없게 되어 있는 데 예컨대 첨황처리에 의하여 패킹면(17a)에 접한 보강재(18a)와 결합되어 있다. 거의 U-자형상을 한 보강재(18a)는 단부측에서 링피스톤(7)을 잡고 있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 2개의 레그(다리들)(19, 20)가 들어 있다.
레그들(19,20)사이에서 보강재(18a)는 평면(21)을 형성하며 이에 의하여 패킹(8a)이 전면에서 링피스톤(7)에 지지되어 있다. 링피스톤(7)에 대하여 패킹(18a)의 임의 반경 및 축방향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링피스톤은 홈들(recess)(22, 23)을 가지고 있음으로 레그들(19,20)사이에서 반경방향에 따르는 거리치수보다 작은 링피스톤(7)의 벽두께가 이루어 진다. 이로인하여 반경방향의 유격 "r" 및 패킹(8a)의 자유도가 축방향에 따라 발생한다. 축방향 유격 "a"는 피스톤 홈(24)에 의하여 얻어지며 그의 축방향 폭과 위치는 레그(20)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에 따라 내부로 돌출한 고정코(25)가 패킹(8a)의 조립상태에서 축유격을 가지고 자리를 잡는다. 압축실(2) 또는 가이드스리브(5)에서 보강재(8a) 레그(19,20)의 불리한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레그들(19,20)은 패킹재의 전 길이에 걸쳐서 외부측으로 벌려 있다.
도3에서 패킹(8a)은 일부 상세를 도시하기위하여 단품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 도는 명확히 패킹(14,15)의 두께차이를 제시하고 있는 데 즉 패킹립(14)의 벽두께("d")는 패킹립(15)의 벽두께( "D")보다 작다. 그 밖에 본 도3에 도시되어 있는 점은 패킹립(14,15)의 벽두께 "d"와 "D"가 전 길이에 걸쳐서 단부측에서 원통형의 외관을 형성하기위하여 외측의 모서리부 이외에는 일정하다는 것이다.
조립이 안된 상태에서 패킹(8a)의 표현은 이밖에도 패킹립(14,15)영역에서 패킹(8a)의 외관을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압실측으로 우선 밀폐모서리(26,27)에 이르기 까지 원통형 부위를 가진다.
도4는 패킹(8b)을 도시하고 있는데 그의 보강재(18b)는 패킹배면(17b)부위를 일부 끼워마춤으로 잡아주고 있다. 패킹립(14,15)의 배열과 구성은 이 때 도3에 의한 패킹(8a)의 것과 일치한다. 보강재(18b)는 패킹몸체의 해체가되도록 고정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이 가황처리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도3에 따르는 보강재(18a)의 패킹몸체 결합에 대한 한가지 대안을 명시하고 있다.
도5에 도시되어 있는 패킹(18c)은 패킹몸체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레그(28)에 의한 부품의 최적화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의 자유단에는 고정코(29)가 감안되어 있어서 조립상태에서 피스톤홈(24)에 자리잡게 된다. 패킹(8c)은 링피스톤(7)의 전면에서 패킹배면(17c)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다.
도 2와 비교하면 레그(28)와 고정코(29)는 단부측 링피스톤형상과 결합하여 이러한 부품들사이에 축방향유격 "a"와 반경방향유격 "r"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PTFE로 제조된 패킹(8c)의 패킹립(14,15)은 동시에 벽두께가 다른 "D" 와 "d"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다른 패캥립 길이를 도시하고 있는 데 길이차이 "X"로 표시되어 있다.패킹(8c)의 패킹립(14,15)은 패킹(8a, 8b)의 패킹립(14,15)과는 달리 다른 값의 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스리브(5)의 패킹립(14) 또는 압축실(2)의 패킹립(15)의 끼워마춤하중을 보충하기위하여 팽창스트립(31)이 홈속(30)안에 고정 삽입이 되어 있다.
패킹(8a)의 압력구배변화 "dp/dl"을 설명하기위하여 도6과 7이 사용된다. 압력구배변화는 X 좌표의 상대길이 "l"에 대하여 y좌표상에 기록한 하중압력 "p"를 설명한다. 곡선의 진로는 압실측으로부터 패킹모서리(26)에 이르기까지의 압력구배가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압력프로파일정점으로부터 계속 떨어지는 압력구배로 되는데 그의 최저값은 대략 패킹배면(17a)의 폭 1/2영역에서 나타난다.
상기 발명에 따르는 압력구배변화를 얻기위하여 도8은 1/2단면확대도에서 패킹(2)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기술하는 외부윤곽의 변화는 발명에 따라서 양 패킹립(14,15)에 대하여 감안된 것이다.
압실(9)에 대하여 패킹립(14)은 우선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고 패킹모서리(26)에 이르며 거거서부터 반경 "R1"이 연속되다가 절선교점 "T1"에서 부위 "t"로 전환된다. 부위 "t"로 절선교점 "T2"에서 반경 "R2"가 접속되며 패킹배면(17a)으로 전환된다. 도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경 "R2"는 반경 "R1"보다 확실이 크다. "t"부위는 이 때 패킹립(14)의 원통형외곽에 대하여 각도 "α"가 ≥30°로 되어 있다. 패킹립(14)의 상기 외곽을 정하기위하여 반경치수비가 정해져 있는데 반경방향치수 "p"를 반경방향치수 "o"로 나눈 값으로서 ≤0.5인 값이다.
발명에 따르는 패킹프로형상 또는 그의 설계에 대한 치수 결정 또는 제한을 위하여 도9가 사용되며 패킹(8a)의 여러부위에 표시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문자 "E"로는 반경방향에 따르는 거리로서 패킹(8a)의 조립상태에서 패킹립(14,15)의 접촉면들사이에서 나타나는 치수이다.
패킹보강재(18a)를 포함하는 전체패킹폭은 문자 "F"로 표시한다. 패킹배면(17a)의 폭은 "G"로 표시한다. 반경방향에 따른 내측패킹립(14)의 축방향 길이는 문자 "H"로 표시한다.
도10에는 한가지 대안의 형태로서 보강재(18a)가 도시되어 있는데 평면(21)영역에 하나의 홈(32)을 가지고 있다. 보강재(18a) 및 패킹(18a)의 구조에서 기타는 도3과 일치한다. 홈(32)은 패킹(8a)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압력균형의 역할을 함으로서 보강재(18a)의 불리한 변형을 방지한다.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패킹배면(17a)방향에 따라서 축방향에 이르는 보강재(18a)의 단차는 홈(32)의 영역에서 보강재(18a)에 패킹재의 끼워맞춤 결합을 보장한다.
수동변속기의 차량용 마찰크러치의 유압작동식릴리스장치로서 종전의 선행기술에 비하여 경량이면서도 패킹의 마찰 감소등의 성능향상으로 수명연장은 물론이고 저렴한 제작비와 간단한 조립등 향후 차량용 마찰크러치릴리스 장치로서 유망시된다.

Claims (27)

  1. 본 릴리스장치는 치차변속기와 함께 내연기관에 연결되어 있느 변속기축(3)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압축하우싱(2)과 더불어 수용실린더를 가지고 있으며 이 때 압축하우싱(2)의 종방향구멍내에 환형압실(9)을 조성하기위하여 가이드스리브(5)가 반경방향에 따라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압실(9)에는 링피스톤(7)이 축방향에 따라서 스라이딩이 되도록 들어 있으며 압실측으로 보강패킹(8a, 8b)이 감안이 되어 있고 그의 기밀립(14,15)은 V-형으로 반경에 따라서 벌려 있는 수동변속치차교합식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의 마찰크러치에 대한 유압작동식 릴리스장치에 있어서,
    보강재(18a, 18b)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자유도를 가지고 링피스톤(7)에 끼워마춤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작동식 릴리스 장치.
  2. 수동전환치차교합식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용 마찰크러치의 유압작동식릴리스장치에 있어서,
    본 릴리스장치는 치차변속기와 함께 내연기관에 연결되어 있는 변속기축(3)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압축하우싱(2)과 더불어 수용실린더를 가지고 있으며 이 때 압축하우싱(2)의 종방향구멍내에 환형압실(9)을 조성하기 위하여 가이드스리브(5)가 반경방향에 따라서 떨어져 배열되어 있으며 압실(9)에는 링피스톤(7)이 축방향으로 스라이딩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그의 패킹립(14,15)은 V-형으로 반경방향에 따라서 펼쳐 있는 바 패킹(8c)은 레그(28)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 따르는 유격을 가지고 링피스톤에 끼워마춤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전환치차교합식 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용 마찰크러치의 유압작동식 릴리스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킹(8a, 8b, 8c)은 상호 비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패킹립(14,15)으로 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킹(8a, 8b, 8c)의 패킹립(14, 15)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레그로된 보강재(18a, 18b)는 링피스톤(7)을 반경방향으로 카버하며 이때 레그(20)의 자유단에는 링피스톤(7)에 반경방향에 따라 보이는 고정코(25)가 있어서 조립상태에서 피스톤홈(24)내에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레그(28)는 링피스톤(7)을 반경방향에 따라서 카버하며 이때 레그(28)의 자유단에는 링피스톤(7)에 반경방향에 따라 보이는 고정코(29)가 있어서 조립상태에서 피스톤홈(24)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보강재(18a, 18b)는 2개의 레그(19,20)를 가진 링피스톤(7)을 한 쪽으로 잡아주고 있으며 이 때 반경방향의 외측레그(20)에는 고정코(25)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보강재(18b)는 패킹(8b)의 패킹배면(17b)을 끼워마춤으로 잡아주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9. 전항들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최소한 보강재(18a)의 레그(19)는 외측으로 최소한 패킹소재에 의하여 일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고정코(25)는 선회하는 반경방향에 따른 내향환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1. 제 9항 및 제 11항에 있어서,
    고정코(25)는 레그(19)의 사출에 의한 소성가공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2.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강재(18a)는 평면(21)부위에서 최소한 하나의 홈(32)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패킹립(14,15)에 대한 내하중의 보강을 위하여 홈(30)내의 압실측에 따라서 팽창스프링(31)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PTFE로 제조되어 있는 패킹(8c)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5.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강판으로 성형되어 있는 보강재(18a, 18b)가 사용되며 그의 벽두께는 특히 평면부위에서 최소 0.3mm의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6.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강재(18a)의 강판두께는 패킹배면(17a) 폭 "G"의 90%의 벽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링피스톤에 패킹의 유격을 가진 끼워마춤결합은 축의 유격 "a"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링피스톤(7)에서 패킹(8a, 8b, 8c)의 유격을 가진 끼워마춤결합은 반경방향에 따른 유격 "r"이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19. 반경방향에 따른 외측패킹립(15)은 반경방향에 따른 내측패킹립(14)에 비하여 보다 두꺼운 벽두께를 가지며 내측패킹립(14)의 축방향에 따른 길이는 외측패킹립(15)의 길이를 능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0. 전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패킹립들(14,15)사이에는 V-형 홈이 있어서 그의 중심은 압실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에 따른 편위 "Y"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킹립들(14,15)은 각각 자유단에서 출발 패킹배면(17a, 17b, 17c)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 동일한 벽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패킹립들(14,15)사이의 벽두께차이는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3. 제 9항에 있어서,
    길이 차이 "X"로 인하여 다른 패킹립(15)에 대하여 한 패킹립(14)의 축방향에 따른 돌출부가 생겨나고 이에 대한 치수는 ≤4mm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킹(8a, 8b, 8c)의 한 패킹형상은 그의 반경방향에 따르는 내측패킹립(14)이 다른 패킹(8a, 8b, 8c)부위와 다음의 치수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패킹폭 "F"/공간 "E" = 0.5 내지 1
    패킹배면의 폭 "G"/패킹폭 "F" = 0.4 내지 0.8
  2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킹(8a, 8b, 8c)은 패킹립들(14,15)의 영역내에서 외부윤곽을 가지며 이때 패킹립(14,15)의 자유단원통부위와 패킹모서리(26,27)영역에서 패킹배면(17a, 17b, 17c)의 방향에 따라서 경사져 있는 부위 "t"사이의 한 전환역에서 반경 "R"이 ≥30°로 되어 있어서 절선교점 "T1"으로부터 부위 "t"로 전환되며 이 때 절선교점 "T1"은 반경 "R2"의 절선교점 "T2"와 일치하거나 이에 대하여 떨어져 있으며 패킹배면(17a, 17b, 17c)과 부위 "T"사이의 전환영역에 감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패킹립(14,15)의 외곽의 진로는 반경치수비 "p"나누기 "o"가 ≥0.5이며 이 때 패킹배면(17a, 17b, 17c)과 패킹모서리(26,27)사이의 반경치수 "o" 및 패킹배면(17a, 17b, 17c)과 절선교점 "T2"사이에서의 값 "p"로 부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부분 "t"에 대해서는 치수범위가 ≥0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스장치.
KR10-1998-0706911A 1996-03-04 1996-12-13 유압제어식디스커넥터시스템의링피스톤실 KR100471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9472A DE19609472A1 (de) 1996-03-04 1996-03-04 Ringkolbendichtung für ein hydraulisch betätigbares Ausrücksystem
DE19609472.0 1996-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83A true KR19990087483A (ko) 1999-12-27
KR100471609B1 KR100471609B1 (ko) 2005-07-11

Family

ID=778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911A KR100471609B1 (ko) 1996-03-04 1996-12-13 유압제어식디스커넥터시스템의링피스톤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76645A (ko)
KR (1) KR100471609B1 (ko)
BR (1) BR9612539A (ko)
DE (2) DE19609472A1 (ko)
WO (1) WO19970330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4171A (zh) * 2018-02-05 2020-09-18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设计用于减小磨损的带活塞的从动缸;操作装置;以及离合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0532B1 (fr) * 1995-02-09 1997-04-04 Valeo Butee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pour embrayage a diaphragm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manchon de guidage
DE19627617C2 (de) * 1996-07-09 2001-02-08 Mannesmann Sachs Ag Nehmerzylinder zur hydraulischen Betätigung einer Kraftfahrzeugkupplung
DE19646852A1 (de) * 1996-11-13 1998-05-14 Schaeffler Waelzlager Ohg Dichtung für eine hydraulische Ausrückvorrichtung einer Fahrzeugkupplung
US6050572A (en) * 1998-03-09 2000-04-18 Bal Seal Engineering Company, Inc. Rotary cartridge seals with retainer
FR2780465B1 (fr) * 1998-06-30 2000-09-22 Valeo Recepteur hydraulique, notamment d'embrayage, a tete de piston segmentee
WO2000006921A1 (de) * 1998-07-24 2000-02-1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Dichtung für ein hydraulisch betätigtes ausrücksystem
GB2344393B (en) 1998-10-15 2003-07-09 Luk Lamellen & Kupplungsbau Hydraulic release system
DE19952142A1 (de) * 1998-11-05 2000-05-11 Luk Lamellen & Kupplungsbau Haltering zur Befestigung eines Ausrücklagers in einem Ausrücksystem
US6777245B2 (en) 2000-06-09 2004-08-17 Advalytix Ag Process for manipulation of small quantities of matter
DE10107877A1 (de) * 2001-02-20 2002-08-22 Daimler Chrysler Ag Hydraulische Ausrückvorrichtung für eine Kupplung
US6626438B2 (en) 2001-06-04 2003-09-30 Hps, Inc. Seal assembly for telescopic hydraulic cylinder
DE10228051B4 (de) * 2001-06-28 2013-12-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 betätigbares Ausrücksystem für Kraftfahrzeug-Reibungskupplung
DE10253788A1 (de) * 2001-12-10 2003-06-18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Zufuhr von Saugluft oder Blasluft in einer bogenverarbeitenden Maschine
CA2419213C (en) * 2002-03-07 2011-06-21 Bayer Healthcare Llc Improved electrical sensor
US20050242517A1 (en) * 2004-03-19 2005-11-03 Interpump Engineering S.R.L. Dynamic o-ring assembly
FR2873182B1 (fr) * 2004-07-16 2007-12-28 Freudenberg Soc Par Actions Si Piece d'etancheite a moyens de liaison integres et ensemble mecanique mettant en oeuvre une telle piece d'etancheite
WO2007011883A2 (en) * 2005-07-18 2007-01-25 Kalsi Engineering, Inc. Filled hydrodynamic seal with contact pressure control, anti-rotation and filler retention
WO2007041990A1 (de) 2005-10-11 2007-04-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Nehmerzylinder mit axial spielbehaftetem ringkolben
US7993512B2 (en) 2006-07-11 2011-08-09 Bayer Healthcare, Llc Electrochemical test sensor
JP4894397B2 (ja) * 2006-07-28 2012-03-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油圧式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用シール
ATE512315T1 (de) 2007-03-12 2011-06-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Nehmerzylinder
JP5211999B2 (ja) 2008-10-01 2013-06-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カップシール
US10247307B2 (en) * 2009-03-23 2019-04-02 Bal Seal Engineering, Inc. Interlocking composite seals
US8091809B2 (en) * 2009-03-24 2012-01-10 Fellowes, Inc. Shredder with jam proof system
SG10201408227PA (en) * 2009-12-11 2015-02-27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pring-energized dynamic sealing assembly
CN102803772B (zh) * 2010-03-15 2015-08-1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从动缸
US9476463B2 (en) * 2012-07-17 2016-10-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iston-cylinder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a clutch actuation system in a motor vehicle
DE102014214558A1 (de) 2013-08-16 2015-02-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 Kolben-Zylinder-Anordnung
DE102014000465A1 (de) * 2014-01-16 2015-07-16 Mtu Friedrichshafen Gmbh Ladeluftleitung
JP6314487B2 (ja) * 2014-01-16 2018-04-25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CA2895849C (en) * 2014-07-09 2019-10-1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Polymer seal assembly
DE102015205823A1 (de) 2015-03-31 2016-10-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e Kolben-Zylinder-Anordnung
CN105090275A (zh) * 2015-09-02 2015-11-25 温州天纳福汽车轴承股份有限公司 新型液压分离轴承总成
CN106439034A (zh) * 2016-12-09 2017-02-22 无锡银联齿轮传动机械有限公司 Y型密封圈
JP2018179241A (ja) * 2017-04-19 2018-11-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DE102017127661A1 (de) * 2017-11-23 2019-05-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mit Taumelausgleich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044281U (de) * 1971-04-01 Skf Gmbh Hydraulische Betätigungseinrichtung, ins besondere fur Kupplungsausrucklager
DE713133C (de) * 1939-01-15 1941-11-01 Fried Krupp Grusonwerk Akt Ges Presse zum Ummanteln von Kabeln durch Auspressen von Metallbloecken
US2549818A (en) * 1945-08-23 1951-04-24 Joseph F Joy Sealing device
DE1187872B (de) * 1957-03-05 1965-02-25 Renault Dichtanordnung
DE1863841U (de) * 1962-09-29 1962-12-13 Praedifa Jaeger K G Praez S Di Dichtring aus elastischem material.
US3848880A (en) * 1972-06-09 1974-11-19 Tanner Eng Co Fluid seal
DE2610584C3 (de) * 1976-03-13 1978-12-14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Selbstarretierender Dichtring
DE7900776U1 (de) * 1978-01-13 1979-07-05 D.B.A. Bendix Lockheed Air Equipement S.A., Clichy, Hauts-De-Seine (Frankreich) Dichteinrichtung
DE3148183A1 (de) * 1980-11-22 1983-06-09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aulisch betaetigbares ausruecksystem mit einem kunststoffkolben
US4827834A (en) * 1987-06-05 1989-05-09 Automotive Products, Plc Four point seal
US4821627A (en) * 1987-06-05 1989-04-18 Leigh Monstevens Keith V Piston and cylinder assembly
US5113991A (en) * 1988-04-26 1992-05-19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Release device for a clutch
DE3990401T1 (de) * 1988-04-26 1990-06-07 Daikin Mfg Co Ltd Ausrueckmechanismus fuer eine kupplung
US4938332A (en) * 1988-08-30 1990-07-03 Federal-Mogul Corporation Hydraulically actuated clutch release mechanism
DE4129370C2 (de) * 1991-09-04 2001-11-22 Mannesmann Sachs Ag Hydraulisch betätigbarer Ausrücker mit Stützring und Stützschulter
JPH0628358U (ja) * 1992-09-18 1994-04-15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クラッチレリーズ用油圧シリンダ装置
DE4339652C2 (de) * 1992-12-17 2003-10-30 Zf Sachs Ag Hydraulisch betätigbare Ausrücker-Nehmerzylinder für eine Kraftfahrzeug-Reibungskupplung
FR2730534B1 (fr) * 1995-02-09 1997-04-04 Valeo Butee de debrayage a commande hydraulique pour un embrayage a diaphragme de vehicule automobile
DE19518833A1 (de) * 1995-05-23 1996-11-28 Schaeffler Waelzlager Kg Druckfeder für eine Ausrückeinheit von Fahrzeugkuppl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4171A (zh) * 2018-02-05 2020-09-18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设计用于减小磨损的带活塞的从动缸;操作装置;以及离合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81324C1 (de) 2001-06-13
BR9612539A (pt) 1999-07-20
US6076645A (en) 2000-06-20
DE19609472A1 (de) 1997-09-11
WO1997033097A1 (de) 1997-09-12
KR100471609B1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483A (ko) 유압작동크러치릴리스(clutchrelease)장치의링피스톤패킹(ringpistonpacking)
US20170343110A1 (en) Sealing device
US6702681B1 (en) Torsionally flexible coupling
US6244982B1 (en) Hydraulic chain tensioner with a piston having a plurality of sliding elements
US5329898A (en) Shaft seal and bore assembly
WO2017035515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having a hub with spokes acting as a second spring in series with an elastomeric member
KR20080043300A (ko) 내연 기관용 피스톤
US20170234419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KR20120091172A (ko) 밀봉 장치
US20170082177A1 (en) Self-aligning pulley
US10295015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having dual elastomeric members
KR20070059069A (ko) 밀봉장치
US20040150168A1 (en) Power end seal
US5746673A (en) Fastening eye for a tensioner
EP0840034B1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 damping device having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of fluid
EP0853191A1 (en) The piston compression ring assemblies being self-lubricated and self-adjusted
US9850989B2 (en) Compliant tensioner arm
CN108131216B (zh) 活塞环及发动机
KR20000076561A (ko) 로드가 없는 실린더
US6374724B1 (en) Concentrically mounted hydraulic clutch slave cylinder
US6543783B1 (en) Sealing ring with sloping support body
US7121552B2 (en) Piston ring
JPH08312781A (ja) 樹脂製ピストンリング
JP2022160041A (ja) オイルシール、クラッチピストン機構、およびオイルシールの製造方法
JP3548703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