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367A -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367A
KR19990086367A KR1019980019313A KR19980019313A KR19990086367A KR 19990086367 A KR19990086367 A KR 19990086367A KR 1019980019313 A KR1019980019313 A KR 1019980019313A KR 19980019313 A KR19980019313 A KR 19980019313A KR 19990086367 A KR19990086367 A KR 1999008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ing
route
control unit
failure
ar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6367A/ko
Publication of KR1999008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367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호를 위한 루팅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안정된 상태로 운영하도록 할 수 있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출중계호에 따른 루팅 요구가 있을 때 루팅 요구된 루트에 대해 출중계선 점유를 시도하는 과정과, 출중계선 점유가 실패할 경우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 경우 루팅 실패한 루트를 일정시간동안 폭주상태로 처리하여 루팅을 제한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교환기의 루팅 제어부에 이용한다.

Description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중계호를 위한 루팅(routing)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국설교환기, 이동국 교환기인 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에서 최번시와 같은 경우에는 루트 폭주(route congestion)상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출중계호에 대한 루팅을 처리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발생되어 왔었다.
이러한 교환기의 예로서 통상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템 구성을 보이면, 도 1의 블록구성도와 같다. 도 1의 교환기는 스위치 네트워크 서브시스템(Switch Network Subsystem)인 연결망 제어 서브시스템(Inter Network System: 이하 "INS"라 함)(100)과, 다수의 액세스 스위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 Subsystem: 이하 "ASS"라 함)(102∼106)과, 운용 및 보전 서브 시스템인 공통부 서브 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이하 "CCS"라 함)(108)로 구성된다.
상기 INS(100)는 다수의 중앙 데이터 링크(Central Data Link: 이하 "CDL"이라 함)(110∼114)와,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 이하 "SSW"라 함)(116)와,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는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118)와, 번호번역 프로세서(Number Translation Processor: 이하 "NTP"라 함)(120) 및 통화로계 제어프로세서(Inter Network Processor: 이하 "INP"라 함)(122)를 포함한 다수의 제어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이들 제어프로세서들 중에 NTP(120)는 번호번역 및 루팅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이고, INP(122)는 통화로계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ASS들(102∼106)은 그 용도에 따라 가입자 서브 시스템, 중계선 서브 시스템의 형태로 구분된다. 이들 각각의 ASS는 각각 해당하는 ASS를 총괄 제어하는 ASP(Access Switch Processor)와, TSL(Time Switch & Local Data Link)과, 이 TSL을 제어하는 타임 스위치 제어 프로세서(Time Switch Processor)를 공통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ASS들(102∼106)중에 가입자 ASS(102)는 ASP(124)와, TSL(126)과, 가입자 모듈인 ASI(Analog Subscriber Interface)(128,130)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 및 각종 가청신호를 처리하는 로컬 서비스 유니트인 LSI(Local Service Interface)(132)와 IPC(134)를 구비한다. 또한 중계선 ASS(104)는 ASP(136)와, T1 중계선 유니트인 DTI(Digital T1 Interface)와 E1 중계선 유니트인 DCI(Digital CEPT Interface)를 포함하는 중계선 모듈(138)과, R2신호를 처리하는 로컬 서비스 유니트인 LSI(140)와, TSL(142)과, VMH/CMX(Voice Message Handling Block/Conference Mixer)(144)와, IPC(146)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계선 ASS(106)는 ASP(148)와, TSL(150)과, ASP(152)와, DTI와 DCI를 포함하는 중계선 모듈(154)과, LSI(156)와, IPC(158)로 구성된다.
상기 CCS(108)는 운용 및 보전을 총괄하는 프로세서인 OMP(Operating and Maintenance Processor)(160)와, MMC(Man-Machine Communication)처리를 담당하는 MMC 프로세서인 MMP(Man Machine Processor)(166)와, CCS(108)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174)와, 각종 주변장치들로 구성된다. 주변장치들로는 디스크 장치(162)와, 자기 테이프 유니트(164)와, 데이터 링크(168)와, 프린터(172)와, CRT(Cathode Ray Tube)(170)와, 알람 패널(alarm panel)(176)로 구성된다.
도 2는 상기한 도 1과 같은 통상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루팅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발신호 제어부(200)와 국번호 번역부(202)와 루팅 제어부(204)와 출중계호 제어부(206)간에 이루어지는 루팅 처리과정을 보인 것이다. 발신호 제어부(200)는 도 1의 ASP(124)에 구비되고, 국번호 번역부(202)는 NTP(120)의 NTR(Number Translation) 블록에 해당하며, 루팅 제어부(204)는 NTP(120)의 RCO(Routing Control) 블록에 해당하며, 출중계 제어부(206)는 ASP(136)에 구비되는 TCR/TC7(Trunk Control for R2 signalling / ISUP for No.7) 블록에 해당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통상적인 루팅 처리과정을 살펴본다. 루팅은 루팅 제어부(204)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발신호 제어부(200)로부터 국번호 번역 요구에 따라 국번호 번역부(202)에서 번호 번역한 결과 출중계호로 판명이 되면, 루팅 제어부(204)는 국번호 번역부(202)로부터 루팅 정보를 받아 루팅 경로를 지정한다. 이때 루팅 제어부(204)는 국번호 번역부(202)로부터 루팅 정보와 함께 출중계호 통보, 즉 루팅 요구를 수신하면 중계선 관리를 담당하는 출중계호 제어부(206)로 출중계선 점유 요구를 한다.
이때 만일 지정된 직접 루트(direct route)의 루팅 경로에 이용 가능한 중계선(idle trunk)이 없으면, 즉 폭주상태이면 우회 루트(alternate route)를 지정하여 다시 그 우회 루트로 출중계선 점유를 요구한다. 우회 루트는 예를들어 최대 8개까지 지정이 가능하다. 만일 해당 우회 루트에서 이용 가능한 중계선이 있으면 그 중계선으로 루팅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모든 우회 루트로 중계선 점유를 실패한 경우에는 호 실패(call fail) 통보를 발신호 제어부(200)로 보내주고 호 실패 처리한다.
그런데 망관리 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루트는 최번시에 중계선 자원의 부족이나 망의 비정상 상태에 따른 루팅 실패의 반복 수행으로 루팅 처리부에 비정상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짐으로써 관련 프로세서, 즉 도 1의 ASP(124) 및 NTP(120)의 과부하 상태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시스템내 루팅 제어부(204)에서 루팅상태의 진단 및 제어 처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운용시의 망관리의 운용 여부 판단, 망차원의 회선 효율 제고 및 회선 확장 등과 관련한 제반 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안정된 상태로 운영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 운용자가 시스템의 루트 및 중계선의 상태를 파악하여 망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템 블록구성도,
도 2는 통상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루팅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루팅 폭주 제어를 포함한 루팅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중계호에 따른 루팅 요구가 있을 때 루팅 요구된 루트에 대해 출중계선 점유를 시도하는 과정과, 출중계선 점유가 실패할 경우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 경우 루팅 실패한 루트를 일정시간동안 폭주상태로 처리하여 루팅을 제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테이블 구성이나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 1의 NTP(120)의 RCO와 같은 루팅 제어부에 자동 루팅 폭주 제어, 즉 ARCC(Automatic Routing Congestion Control)기능을 적용하여 현재 폭주상태인 루트를 판별하여 폭주상태인 루트로 계속해서 루팅을 요구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루팅 제어부에서 중계선 점유 실패 통보를 받는 횟수를 줄여 프로세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이 과부하상태로 가거나, 과부하상태로 오래 머무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ARCC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루팅 제어부에서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ARCC 관련 테이블을 관리하여야 한다. 하기 표 1은 ARCC 정보 테이블을 보인 것이고, 하기 표 2는 루트별 ARCC 등록 상태 테이블을 보인 것이다.
연속 루팅 실패 횟수 ARCC 기능 갭 시간 ARCC 구동상태
0 ∼ 99999999 0 ∼ 99999999 T 또는 F
루트 번호 루트별 ARCC 구동상태
0 arcc_reg/arcc_canc
1 arcc_reg/arcc_canc
··· ···
N arcc_reg/arcc_canc
상기 표 1 및 표 2의 테이블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 1에 보인 ARCC 정보 테이블의 "연속 루팅 실패 횟수"는 0부터 99999999까지의 값을 가지며, ARCC 기능이 등록된 루트에 대해서 그 루트로 중계선 점유를 요구했을 때 연속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 횟수만큼 중계선 점유 실패 통보를 받으면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를 셋트하고 현재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동안 해당 루트로 루팅을 금지시킨다. 그리고 "ARCC 기능 갭 시간"은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가 셋트되면 일정 시간동안 해당 루트로 루팅을 금지시키는데, 그 시간 간격을 여기에서 정의한다. "ARCC 구동상태"는 현재 교환기에서 ARCC 기능을 활성화시킨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를 여기에서 참(true) T, 거짓(false) F로 나타낸다. "루트별 ARCC 구동상태"는 각 루트별로 ARCC 구동 여부를 참 T, 거짓 F로 나타낸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루팅 폭주 제어를 포함한 루팅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CC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은 전술한 도 2와 마찬가지로 발신호 제어부(200)와 국번호 번역부(202)와 루팅 제어부(204)와 출중계 제어부(206)간에 이루어지는 루팅 처리과정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발신호 제어부(200)는 도 1의 ASP(124)에 구비되고, 국번호 번역부(202)는 NTP(120)의 NTR 블록에 해당하며, 루팅 제어부(204)는 NTP(120)의 RCO 블록에 해당하며, 출중계 제어부(206)는 ASP(136)에 구비되는 TCR/TC7 블록에 해당한다.
먼저 발신호 제어부(200)로부터 국번호 번역 요구에 따라 국번호 번역부(202)에서 번호 번역한 결과 출중계호로 판명이 되어 루팅 제어부(204)로 루팅 요구를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한다. 그리고 루팅 제어부(204)는 루팅 요구를 수신하면, 즉 출중계선 점유 요구시 루트별로 시리얼(seiral)하게 증가하는 트래픽(traffic) 시리얼번호를 부여한다. 이때 출중계선 점유가 실패된 경우, 루팅 제어부(204)는 해당 트래픽 시리얼 번호를 최종 실패 번호 Lastest_Fail_No로 저장한다. 여기서 ASP 분산 수용인 경우라면 출중계선 점유 실패는 ASP간 중계선 점유 시도를 모두 수행한 후에 해당한다.
그리고 루팅 제어부(204)는 루팅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 도 3의 (300)단계에서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의 셋트 여부를 확인함과 아울러 루팅 요구된 호의 발신시각(gettime)이 루팅 제한시각 rstr_gettime을 지났는가 여부를 확인한다.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는 후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일정한 제한 임계치만큼 연속 루팅 실패가 발생할 경우 셋트되는데,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가 셋트되어 있는 상태는 해당 루트가 폭주상태로 처리된 것임을 나타낸다. 루팅 제한시각 rstr_gettime은 이와 같이 폭주상태로 처리되는 경우 해당 루트로의 루팅을 제한하기 위해 정하는 시간으로,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가 셋트된 시각과 상기 표 1의 ARCC 기능 갭 시간을 더한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가 셋트된 시각은 곧 현재 시각이며, 루팅 요구된 호의 발신시각은 곧 루팅 요구된 시각이다.
상기 (300)단계에서 만일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가 셋트되어 있다면 상기 표 2의 루트별 ARCC 구동상태가 참 T으로 마킹(marking)된 루트로 루팅 요구되는 호에 대해서 발신시각이 루팅 제한시각 rstr_gettime을 지났는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루팅 요구된 호의 발신시각이 아직 루팅 제한시각 rstr_gettime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루팅 제어부(204)는 해당 호를 중계선 점유 요구를 하지 않고 바로 발신호 제어부(200)로 루팅 실패 통보하여 폭주 처리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루팅 요구된 호의 발신시각이 루팅 제한시각 rstr_gettime을 초과하였다면 루팅 제어부(24)는 출중계호 제어부(206)로 해당 루트로 출중계선 점유 요구를 시도한다.
이때 출중계호 제어부(206)로부터 출중계선 점유 실패가 통보되는 경우, 루팅 제어부(204)는 (302)단계에서 연속 루팅 실패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다음 점유 실패된 트래픽 시리얼 번호가 최종 실패 번호 Lastest_Fail_No보다 1증가한 값인 경우 연속으로 출중계선 점유 실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치 않으면 연속실패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연속 실패가 아니면, 루팅 제어부(204)는 (310)단계에서 연속 루팅 실패 횟수를 0으로 클리어(clear)한다.
상기 (302)단계에서 연속 루팅 실패로 판명되면, 루팅 제어부(204)는 (304)단계에서 연속 루팅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한 임계치(restriction threshold)에 도달 여부를 검사한다. 제한 임계치는 운용자가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만일 제한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루팅 제어부(204)는 (306)단계에서 연속 루팅 실패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이와 달리 제한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 루팅 제어부(204)는 (308)단계에서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를 셋트하고, 발신 제한시각 rstr_gettime을 구하여 셋트한다. 여기서 자동 루팅 제어 식별자 flag_rstr가 셋트된다는 것은 상기 표 2에서 해당 루트번호에 대한 ARCC 구동상태를 참 T으로 셋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306)∼(310)단계 이후 루팅 제어부(204)는 발신호 제어부(200)로 루팅 실패 통보를 한다.
따라서 ARCC 기능을 통해 루팅 제어부(204)가 출중계호 제어부(206)로 중계선 점유 요구를 할 때 현재 폭주상태인 루트를 미리 파악하여, 폭주상태로 확신이 가는 루트로는 아예 일정 시간동안 중계선 점유 요구를 하지 않고, 바로 루팅 실패 통보를 하거나 우회 루트로 돌린다. 즉, 폭주되는 루트로의 중계선 점유를 제한함에 있어서 해당 루트가 중계선 폭주상태임을 판별한 이후 일정 시간동안 그 루트로의 중계선 점유를 제한한다. 그리고 폭주되는 루트를 관리함에 있어서 해당 루트로의 중계선 점유를 요구하는 것을 제어하는 망관리 기능에 연속 루팅 실패 횟수를 기본 데이터로 삼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첫 번째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고, 두 번째로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로 가거나 또는 과부하상태로 오래 머무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된 상태로 운용할 수 있게 하며, 시스템 운용자가 시스템의 루트 및 중계선의 상태를 파악하여 망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적으로 우회 루팅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정상적인 경우 통상적인 예를 보이면 하기 표 3과 같다.
시간당 호 발생수 NTP 부하상태(%)
50만호 37∼38
70만호 52∼53
80만호 60∼61
90만호 68
100만호 75
110만호 83
120만호 90
이에 대해 우회 루팅을 1회씩하는 경우에 ARCC 기능을 비가동할때와 가동할때를 실험한 결과를 비교하여 보이면 하기 표 4와 같다.
시간당 호 발생수 NTP 부하 상태(%)
ARCC 비가동 ARCC 가동
70만호 85∼86 56∼57
80만호 97 64
90만호 100 72
100만호 100 80
110만호 100 85∼86
120만호 100 9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교환기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출중계호를 위한 루팅을 제어하는 경우라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루팅 처리부에 ARCC 기능을 적용하여 현재 폭주상태인 루트로 계속해서 루팅을 요구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루팅 제어부에서 중계선 점유 실패 통보를 받는 횟수를 줄여 프로세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이 과부하상태로 가거나, 과부하상태로 오래 머무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교환기에서 루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중계호 발생에 따른 루팅 요구가 있을 때 루팅 요구된 루트에 대해 출중계선 점유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출중계선 점유가 실패할 경우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 경우 상기 루팅 실패한 루트를 일정시간동안 폭주상태로 처리하여 루팅을 제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이, 상기 루팅 요구된 호의 발신 시각부터 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3. 교환기에서 루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중계호 발생에 따른 루팅 요구가 있을 때 루팅 요구된 루트에 대해 중계선 폭주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루팅 요구된 루트가 상기 중계선 폭주상태로 처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루팅 요구측으로 루팅 실패를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루팅 요구된 루트가 상기 중계선 폭주상태가 아닌 경우 출중계선 점유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출중계선 점유가 실패할 경우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속적인 루팅 실패인 경우 상기 루팅 실패한 루트를 일정시간동안 상기 폭주상태로 처리하여 루팅을 제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이, 상기 루팅 요구된 호의 발신 시각부터 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KR1019980019313A 1998-05-27 1998-05-27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KR19990086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313A KR19990086367A (ko) 1998-05-27 1998-05-27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313A KR19990086367A (ko) 1998-05-27 1998-05-27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367A true KR19990086367A (ko) 1999-12-15

Family

ID=6589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313A KR19990086367A (ko) 1998-05-27 1998-05-27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6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40B1 (ko) * 2002-09-2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 기본 호 상태 모델 개념을 이용한 출중계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940B1 (ko) * 2002-09-27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 기본 호 상태 모델 개념을 이용한 출중계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4358C2 (ru) Мобильная 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станциями и центр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KR910011077A (ko) 무교환 자동호 분배 시스템
JPH04154331A (ja) Isdn網発着信時の呼衝突防止方式
JP294052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9990086367A (ko) 교환기에서 자동 루팅 폭주 제어방법
KR10072369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데이터 경로의 장애를 방지하는 방법
KR100208941B1 (ko) 전전자교환기의 자동루팅 진단 및 자동루팅 제어방법
KR101250746B1 (ko) 교환기간 중계선 폭주시의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26159B1 (ko)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KR19990039266A (ko) 이동교환기에서의데이터서비스제어방법
RU2177210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елеф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0270679B1 (ko) 교환기간 연계에 의한 트래픽 제어방법
KR1003261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방향 전환 방법
JPH10336321A (ja) 異常輻輳時の基地局着信規制方式
JP3696557B2 (ja) 輻輳制御方法
EP1241899B1 (en) Method for preventing circular routing in a switched telephone network
KR100309444B1 (ko) 방문 가입자 위치 등록기의 일부 프로세서 장애시 호 착신방법
KR19980041314A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발신 불능 안내 방송 방법
KR960015363B1 (ko)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상태 관리 및 착신가입자 호출방법
KR100914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관리 방법
KR0132940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종합 정보 통신망 비 (isdnb) 채널 패킷호 처리 방법
JPS63240250A (ja) 局間中継線の交換接続制御方式
JPH10136088A (ja) 通信システム
KR20000046556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교환기간 트래픽 제어 방법
KR950014953B1 (ko) 전전자 교환기 isdn 시스템에서 가상회선 b-채널 패킷 통신을 위한 b-채널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