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159B1 -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159B1
KR100326159B1 KR1019990021741A KR19990021741A KR100326159B1 KR 100326159 B1 KR100326159 B1 KR 100326159B1 KR 1019990021741 A KR1019990021741 A KR 1019990021741A KR 19990021741 A KR19990021741 A KR 19990021741A KR 100326159 B1 KR100326159 B1 KR 10032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signal processing
message
signal
is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107A (ko
Inventor
김권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1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91Congestion or overloa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congestion - inc. ove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No.7 신호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으로, MTP 레벨 3의 메시지 조절부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TRC로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SCCP와 ISUP와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TRC는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 수신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에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AM 메시지를 소정의 양만큼 폐기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상기 IAM 메시지를 폐기할 경우 폐기에 따른 메시지 조절 상태 보고 신호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로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상태를 검사한 결과 과부하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TRC로 과부하 해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No.7 신호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VERLOAD IN No.7 SIGNA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신호처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특히 넘버.7(No.7) 신호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 시스템은 가입자간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교환 시스템에서는 교환 시스템간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각종 시그널링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신호처리 방법에는 R2 신호처리 방법과 No.7 신호 처리방법이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 방법중 ISDN호의 처리 또는 지능망 등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No.7 신호처리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지능망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No.7 신호 처리방법이 더욱 많이 사용될 것이며 이로 인해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No.7 신호처리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교환 시스템에는 No.7 신호처리를 위한 장치들을 구비하는 랙(Rack)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No.7 신호처리 랙에서 부하를 처리하는 신호의 흐름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교환 시스템에 구비된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시 신호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신호처리 장치에 실장된 메시지 조절부(Massage Handling unit)는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6초 간격으로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를 검사한다. 즉, A1단계에서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를 검사하며, 과부하가 검사되지 않을 경우 상기한 소정의 시간 즉, 6초 이후에 다시 과부하를 검사한다. 이러한 과부하를 검사하는 중 A2단계에서 과부하가 검사되면 (100)단계에서 가입자 랙의 주 제어부에 위치한 트래픽 자원 제어기(Traffic Resource Controller:이하 TRC라 칭함)로 과부하 보고신호를 No.7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TRC는 과부하 보고신호를 수신하면 (110)단계에서 교환 시스템에 운용자 컴퓨터와 접속되어 교환 시스템과 운용자간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인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Man Machine Processor)로 과부하 상태 알람을 출력한다. 따라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는 이를 수신하여 운용자 컴퓨터로 알람 표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운용자 컴퓨터는 이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이를 단순히 운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는 아무런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운용자가 잠시 자리를 떠나 과부하 메시지를 보지 못하거나 또는 운용자가 과부하에 따른 처리가 늦어지는 경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고 No.7 신호처리 장치가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는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으로 인해 과부하 상태가 되어도 가입자 측으로부터 또는 망관리 측으로부터 계속적으로 메시지의 전달을 요구하게 되므로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또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전원을 리셋(Reset)해야만 했다. 이와 같이 전원을 리셋하는 경우 호를 리셋에 의해 No.7 신호처리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까지 시도되는 모든 호를 처리할 수 없으며, 또한 수행중인 호가 종료되는 비효율적이며 불안정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를 제어할 수 없음으로 인해 매우 불안정하며, 비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과부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교환 시스템에 구비된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시 신호 흐름도,
도 2는 No.7 신호처리 장치를 구비한 교환 시스템의 주요 블록 구성도,
도 3은 OSI 7 계층에 따라 No.7 신호처리 시그널링 시스템의 계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각 블록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시 ISUP에서 메시지를 폐기할 경우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조절부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으로, MTP 레벨 3의 메시지 조절부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TRC로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를 출력하고 SCCP와 ISUP와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TRC는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 수신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에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AM 메시지를 소정의 양만큼 폐기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상기 IAM 메시지를 폐기할 경우 폐기에 따른 메시지 조절 상태 보고 신호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로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상태를 검사한 결과 과부하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TRC로 과부하 해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부분은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No.7 신호처리 장치를 구비한 교환 시스템의 주요 블록 구성도이다.
참조부호(10)는 스위칭 및 라우팅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이며, 참조부호(20)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이고, 참조부호(30)는 트렁크 서브 시스템이며, 참조부호(40)는 No.7 신호처리 서브 시스템이며, 참조부호(50)는 유지보수 서브 시스템이다. 그러면 각 서브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망동기장치(11)는 교환 시스템의 각 장치로 동기를 맞추기 위한 클럭을 제공한다. 다수의 데이터 링크(12)는 각 서브 시스템과 공간 스위치(Space Switch)(13)를 연결하며, 공간 스위치(13)는 호의 연결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스위칭을 수행한다. 데이터 링크 프로세서(14)는 다수의 데이터 링크(12)들을 제어하며, 스위치 프로세서(15)는 호의 연결을 위한 공간 스위치(1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망동기 프로세서(16)는 망동기 장치(11)의 상태를 관리하며, 망동기 장치(11)에서 정확한 클럭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번호번역 프로세서(17)는 타국 교환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출중계 호의 번호를 번역하여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하는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19)로 출력한다. 라우팅 프로세서(18)는 번호번역 프로세서(17)에서 번역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호가 진행할 타국의 교환 시스템을 결정한다. 그리고IPC(19)는 각 프로세서들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에 도시된 블록 구성을 설명한다. 제어 프로세서(Main Processor)(22)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버스(26)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에 연결된 각종 프로세서들간 데이터의 송수신 통로가 된다. 가입자부 프로세서(21)는 가입자부(24)를 제어하며 스위치 프로세서(24)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20)과 내부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1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타임 스위치(25)는 스위치 프로세서(23)의 제어에 의해 호의 연결 및 각 프로세서간 통신시 데이터의 연결을 수행한다. 가입자부(24)는 실제 가입자와 연결되거나 자국의 전송 시스템을 통해 가입자와 연결되며, 가입자부 프로세서(21)의 제어에 의해 각 가입자로부터 후크 온/오프에 따른 이벤트 등을 검출하며 디티엠에프 톤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트렁크 서브 시스템(30)의 제어 프로세서(32)는 트렁크 서브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버스(36)를 통해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한다. 스위치 프로세서(33)와 타임스위치(37)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트렁크 프로세서(31)는 트렁크부(34)를 제어하여 자국 교환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의 출중계 호 또는 타국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신호를 처리한다.
No.7 신호처리 서브 시스템(40)의 제어 프로세서(42)는 No.7 신호처리 서브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스위치 프로세서(43)와 타임 스위치(47)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10)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타임 스위치(47)에 연결된 제1신호처리 장치(46a)와 제2신호처리 장치(46b)와 제3신호처리 장치(46c)는 No.7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며,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링크(4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은 신호처리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교환 시스템의 크기에 따라 각 신호처리 장치의 숫자는 달리 구현된다.
유지보수 서브 시스템(50)의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는 다수의 운용자 컴퓨터인 CRT(56a, 56b, …, 56n)와 연결되어 운용자와 교환 시스템간 통신을 수행하며, 유지관리 프로세서(52)는 교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각종 운용관리 및 과금에 따른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55) 또는 디스크(54)에 저장한다. 그리고 입출력 프로세서(51)는 내부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프로세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버스(57)는 각 프로세서간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OSI 7 계층에 따라 No.7 신호처리 시그널링 시스템의 계층 구성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OSI 7계층과 대비하여 No.7 신호처리 장치의 시그널링 시스템의 계층을 상세히 설명한다.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MTP(Massage Transfer Part) 레벨 1(210A)은 OSI 7계층의 물리계층(200A)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물리적, 전기적인 데이터를 처리한다.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MTP 레벨 2(200B)는 OSI 7계층의 데이터 링크 계층(200B)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메시지의 구분, 흐름제어, 순번확인, 오류 검사 및 오류시 재전송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MTP 레벨 3(210C)는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210C)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목적지 판별, 라우팅 및 메시지의 분배 등을 수행한다.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210D)는 OSI 7계층의 전송계층(200D)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망의 특수설비 사이의 회선 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상위 계층의 연결형, 비연결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ISUP(ISDN User Part)(210E)은 OSI 7계층의 전송계층(200D)부터 응용계층(200G)의 부분과 대응되며,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트렁크 회선의 설정, 관리, 복구 절차와 프로토콜 관련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TUP(Telephone User Part)(210F)는 상기 ISUP(200E)와 동일하게 OSI 7계층의 전송 계층(200D)부터 응용계층(200G)에 대응되며, 교환기간 전화호에 필요한 신호의 기능을 담당한다.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의 TCAP(Transaction Capabilities Application Part)(210G)와 ASE(Application Service Entity)(210H)와 OMAP(Operations,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Part)(210I)는 OSI 7계층의 응용계층(200G)에 대응되는 계층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No.7 시그널링 시스템 계층에서 MTP 레벨 1(210A) 내지 MTP 레벨 3(210C)는 상기 도 2의 각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에 위치하며, 또한 MTP 레벨 3(210C)에 해당하는 메시지 조절부와 시그널 루트 제어기(Signalling Route Control:이하 SRC라 함)도 각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입자 호의 처리에 따른 ISUP(210E)와 TUP(210F)는 도 2의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의 제어 프로세서(22)와 트렁크 서브 시스템(30)의 제어 프로세서(32)에 각각 실장된다. 또한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의 제어 프로세서(22)와 트렁크 서브 시스템(30)의 제어 프로세서(32)에는 TRC가 존재한다. 그리고SCCP(210D)는 내부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10)의 번호번역 프로세서(17)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한 각 계층들은 하나의 장치에만 실장되는 것이 아니며, 다수의 장치에 각각 실장되어 계층을 구성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에 따른 교환 시스템에서 No.7 신호처리 장치에 과부하시 각 블록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각 블록간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MTP 레벨 3에 해당하므로 상기 도 2의 제1 내지 제3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에 위치하며, 메시지를 판별하여 SCCP(210D)와, ISUP(210E)와, TUP(210F)로 분배한다. 그리고 MTP 레벨 2(210B)를 소정의 시간 단위로 예를 들면 6초의 주기로 신호처리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한다. 그리고 과부하가 검사되는 경우 TRC(240)으로 과부하 정보 보고(PpOvldInfoRPT)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TRC(240)는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의 제어 프로세서(22)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면 TRC(240)는 No.7 신호처리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한 것에 따른 시스템 과부하 메시지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종래기술과 같이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에서 운용자 컴퓨터들인 CRT(56a, 56b, …, 56n)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메시지 조절부(220)에서 과부하의 등급을 검사하여 과부하 등급에 따른 정보와 함께 ISUP(210E)과 SRC(230)로 출력한다. SRC(230)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의 MTP 레벨 3(210C)에 구비된다. SRC(230)는 과부하 신호와 함께 과부하의 등급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TUP(210F)로 출력한다. 그러면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의 등급과 ISUP에서 과부하시 처리 방법을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하(Load) 등급 부하율(%) 수행 위치 처리 방법
제1등급 85% ∼ 87% ISUP IAM 10% 폐기
제2등급 88% ∼ 90% ISUP IAM 50% 폐기
제3등급 91% ∼ 92% ISUP IAM 모두 폐기
제4등급 93% 이상 메시지 조절부 망관리 메시지를 제외한모든 메시지 폐기
상기 표 1의 부하 등급은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율에 따른 부하 등급과, 부하 등급에 따라 폐기할 메시지의 종류 및 폐기를 수행하는 위치를 예시하였다. 이를 제1신호처리 장치(46a)에 제1등급의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신호처리 장치(46a)에 85%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 메시지 조절부(220)는 ISUP(210E)로 신호처리 장치 과부하 정보 보고(SPHCOvldInfoRPT)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ISUP(210E)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메시지 10%를 폐기한다. 이러한 IAM은 호가 형성될 경우 발신국과 중계국 및 착신국간 호를 이루기 위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이다. 즉, 발신 및 착신에 따른 호의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입자 서브 시스템(20)에 위치한 제어 프로세서(22)에 위치한 ISUP(210E) 즉, 상위에서 발신되는 과부하의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메시지를 억제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제1 내지 제3신호처리 장치(46a, 46b, 46c)로 수신되는 메시지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조절하는 상태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출력하여 운용자에게 이를 알린다. 또한 상기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SCCP(210D)로도 출력한다. 그러면 SCCP(210D)는 번호번역 프로세서(17)에 위치하므로 중계호에 대해서 IAM을 10% 폐기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메시지 조절 상태보고 신호를 출력하여 운용자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이와 같이 시작되는 호의 숫자가 적어지며, 또한 이러한 호의 처리가 상위 계층인 ISUP(210E)와 SCCP(20D)에서 처리됨으로써 제1 내지 제3신호처리 장치(46a, 46b, 46c)로 수신되는 메시지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각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부하를 처리함으로써 각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의 과부하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메시지 조절부(220)는 주기적인 검사과정에서 검출하여 TRC(240)로 과부하 해제 정보를 출력하며, ISUP(210E)와 SCCP(210D)로 과부하 해제 보고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TRC(240)는 시스템 과부하 해제 메시지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출력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과부하 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TRC(240)에서 시스템 과부하 해제 메시지를 운용자 컴퓨터 측으로 출력하였으므로 ISUP(210E)와 SCCP(210D)는 과부하 해제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그러면 신호처리 장치들(46a, 46b, 46c)에 과부하가 93% 이상인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 조절부(220)는 소정의 시간 주기로 과부하 상태를 점검하며, 과부하가 발생하면 이에 따른 부하율을 검사한다. 상기한 검사결과 부하율이 93% 이상인 경우 메시지 조절부(220)는 TRC(240)로 과부하에 따른 등급과 함께 신호처리 장치 과부하 정보 보고(SPHCOvldInfoRPT)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과부하정보 보고 신호를 수신한 TRC(240)는 이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출력하여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화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메시지 조절부(220)는 수신되는 모든 시그널링 메시지 중 망관리를 위한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메시지를 폐기한다. 이와 같이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No.7 신호처리 장치가 과부하시에 시스템을 다운시키지 않고 또는 리셋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서는 ISUP(210E)에서 처리되는 과정만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TUP(210F)에서 처리되는 과정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한 부하율은 신호처리 장치의 성능에 따라 달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운용자가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율을 모니터링 하면서 운용자 명령을 통해 제1등급 내지 제4등급에 따라 메시지를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운용자의 모니터링에 의해 부하율을 제어할 경우 신호를 도 4에서는 괘선으로 도시된 부분을 통해 각 블록으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에 따른 동작은 상술한 과부하 제어에 따른 메시지의 폐기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시 ISUP에서 메시지를 폐기할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등급 내지 제3등급의 경우 ISUP(210E)에서 메시지를 폐기하는 과정에 따른 신호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A1단계 내지 A3단계에서 MTP 레벨 2(210B)를 통해 신호처리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결과 A2단계에서 과부하가 검사되면, (300)단계에서 부하율을 검사하여 부하율에 따른 정보와 함께 과부하 정보 보고(PpOvldInfoRPT) 신호를 TRC(240)로 출력한다. 그러면 TRC(240)는 (310)단계에서 시스템 과부하 메시지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상태를 CRT로 출력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메시지 조절부(240)는 (320)단계에서 신호처리 장치 과부하 정보 보고(SPHCOvldInfoRPT) 신호를 ISUP(210E)으로 출력하여 제1등급 내지 제3등급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부하율이 85% ∼ 87%인 경우 즉, 제1등급인 경우 IAM의 10%를 폐기하며, 88% ∼ 90%인 경우 즉, 제2등급인 경우 IAM의 50%를 폐기하며, 91% ∼ 92%인 경우 즉, 제3등급인 경우 IAM을 모두 폐기한다. 그리고 ISUP(210E)은 (330)단계에서 이러한 폐기에 따른 상태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운용자는 CRT에서 No.7 신호처리 장치의 메시지 폐기를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조절부(240)는 또한 (340)단계에서 SCCP(210D)로 신호처리 장치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SCCP(210D) 또한 ISUP(210E)와 동일한 폐기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SCCP(210D)는 (350)단계에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메시지 조절 상태보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운용자는 CRT에서 ISUP(210E)과 SCCP(210D)에서 메시지가 폐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를 폐기함으로써,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율이 낮아지면 메시지 조절부(220)는 주기적인 검사과정에서 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도 5의 A3단계에서 부하율이 저하되면 메시지 조절부(220)는 (360)단계에서 TRC(240)로 과부하 해제 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면 TRC(240)는 이를 수신하여 (370)단계에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53)로 시스템 과부하 해제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과부하에 따른 메시지 폐기를 중지시키기 위해 (380)단계에서 ISUP(210E)으로 신호처리 장치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출력하며, (390)단계에서 SCCP(210D)로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ISUP(210E)과 SCCP(210D)는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수신하면 IAM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조절부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메시지 조절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400)단계에서 메시지 처리모드를 수행한다. 메시지 처리모드란, 메시지 조절부(220)가 MTP 레벨 3(210C)에 포함되므로 MTP 레벨 2(210B)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의 목적지를 판별하고, 라우팅을 수행하며, SCCP(210D)와 ISUP(210E)와 TUP(210F) 별로 메시지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말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400)단계에서 메시지 처리모드를 수행하며 (402)단계로 진행하면, 메시지 조절부(220)가 탑재된 신호처리 장치(46a, 46b, 46c)에 과부하 검사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검사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402)단계의 검사결과 과부하 검사시간이 경과한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며, 과부하 검사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400)단계의 메시지 처리모드를 수행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404)단계로 진행하면,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율을 검사한다. 즉, MTP 레벨 2(210B)를 검사하여 현재 신호처리 장치가 가동되는 부하율을 검사한다. 그리고 부하율이 설정된 값 이상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표 1의 예시에서와 같이 과부하로 검사될 경우 (408)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416)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과부하로 검사되는 경우 즉, (408)단계로 진행하면, 메시지 조절부(220)는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제4등급의 과부하인가를 검사한다. 제4등급의 과부하인 경우 즉, 신호처리 장치가 포화상태인 경우 메시지 조절부(220)는 (410)단계로 진행하고, 제4등급의 과부하가 아닌 경우 즉, 신호처리 장치가 포화상태가 아닌 경우 (414)단계로 진행한다. 메시지 조절부(220)는 (410)단계로 진행하면, TRC(240)로 부하 메시지를 출력하며, 수신되는 시그널링 중 망관리 메시지만을 처리하도록 한다. 즉, 망관리 시스템과 연결된 신호만을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최소한의 유지만을 수행하며, 모든 호의 시작 및 진행을 억제한다. 그리고 메시지 조절부(220)는 (4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02)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404)단계로 진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을 경우 (410)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메시지 조절부(220)는 (408)단계에서 (414)단계로 진행하면 TRC(240)와 SRC(230)와 ISUP(210E)과 SCCP(210D)로 상기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부하 등급 및 부하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ISUP(210E)와 SCCP(210D)에서는 부하 등급에 따라 메시지를 폐기하며, SRC(230)는 TUP(210F)로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부하 등급과 부하 메시지를 출력하여 메시지의 폐기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의 시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현재 서비스 중인 호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406)단계에서 (416)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414)단계와 같이 제1등급 내지 제3등급의 설정된 과부하가 해제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과부하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400)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며, 과부하가 해제된 경우 TRC(240)와 SRC(230)와 ISUP(210E)과 SCCP(210D)로 부하 해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SCCP(210D)와 ISUP(210E)와 TUP(210F)에서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o.7 신호처리 장치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상위 계층에서 이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하위 계층인 신호처리 장치로 유입되는 메시지의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호처리에서도 상위 레벨에서 이를 검출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호처리에 이상이 없도록 제어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 측면에서도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모든 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9)

  1.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에 있어서,
    MTP 레벨 3의 메시지 조절부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TRC로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SCCP와 ISUP와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TRC는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 수신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에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AM 메시지를 소정의 양만큼 폐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상기 IAM 메시지를 폐기할 경우 폐기에 따른 메시지 조절 상태 보고 신호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로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상태를 검사한 결과 과부하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TRC로 과부하 해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4.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에 있어서,
    MTP 레벨 3의 메시지 조절부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상태를 검사하는 과부하 검사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상기 No.7 신호처리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부하율이 소정의 값 이상인가를 검사하는 부하율 검사단계와,
    상기 부하율 검사결과 과부하 상태의 부하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TRC로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SCCP와 ISUP와 TUP로 부하율에 따른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TRC는 과부하 상태 정보 신호 수신시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에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정보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AM 메시지를 소정의 양만큼 폐기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율 검사결과 과부하 상태의 부하율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수신되는 시그널 메시지 중 망관리 메시지만을 처리하며 상기 과부하 검사 시간이 경과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과부하 검사시간이 경과하면 과부하 검사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상기 IAM 메시지를 폐기할 경우 폐기에 따른 메시지 조절 상태 보고 신호를 운용자 접속 프로세서를 통해 운용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로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상태를 검사한 결과 과부하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TRC로 과부하 해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부하율에 따른 과부하 상태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IAM 메시지를 폐기 비율을 달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조절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로 No.7 신호처리 장치의 부하상태를 검사한 결과 과부하 상태가 해제될 경우 TRC로 과부하 해제 정보 신호를 츨력하고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로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SCCP와 상기 ISUP와 상기 TUP는 신호처리 과부하 해제 보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의 폐기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부하율에 따른 과부하 상태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IAM 메시지를 폐기 비율을 달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No.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KR1019990021741A 1999-06-11 1999-06-11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KR10032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741A KR100326159B1 (ko) 1999-06-11 1999-06-11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741A KR100326159B1 (ko) 1999-06-11 1999-06-11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7A KR20010002107A (ko) 2001-01-05
KR100326159B1 true KR100326159B1 (ko) 2002-02-27

Family

ID=1959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741A KR100326159B1 (ko) 1999-06-11 1999-06-11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81B1 (ko) * 2002-09-19 200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점간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125632B1 (ko) * 2005-07-15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서비스 선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01232439B (zh) 2007-01-22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过载控制方法、系统和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032A (ko) * 1992-08-07 1994-03-16 양승택 서비스교환기에서의 지능망 프로토콜 트래픽 측정방법
KR940005042A (ko) * 1992-08-07 1994-03-16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ISDN 사용자부의 사용자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구현 방법
KR970031574A (ko) * 1995-11-08 1997-06-26 양승택 엘비에프(LBF : Low Bandwidth First)를 이용한 호 제어 방법
KR19980019778A (ko) * 1996-09-03 1998-06-25 양승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호 통제방법
KR19980027086A (ko) * 1996-10-14 1998-07-15 김광호 망간의 자동폭주 제어 방법
KR19980049354A (ko) * 1996-12-19 1998-09-15 양승택 우산형 중첩셀구조하에서의 과부하 트래픽 제어방법
KR19990020631A (ko) * 1997-08-30 1999-03-25 유기범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제어기 부하 상태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032A (ko) * 1992-08-07 1994-03-16 양승택 서비스교환기에서의 지능망 프로토콜 트래픽 측정방법
KR940005042A (ko) * 1992-08-07 1994-03-16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ISDN 사용자부의 사용자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구현 방법
KR970031574A (ko) * 1995-11-08 1997-06-26 양승택 엘비에프(LBF : Low Bandwidth First)를 이용한 호 제어 방법
KR19980019778A (ko) * 1996-09-03 1998-06-25 양승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호 통제방법
KR19980027086A (ko) * 1996-10-14 1998-07-15 김광호 망간의 자동폭주 제어 방법
KR19980049354A (ko) * 1996-12-19 1998-09-15 양승택 우산형 중첩셀구조하에서의 과부하 트래픽 제어방법
KR19990020631A (ko) * 1997-08-30 1999-03-25 유기범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제어기 부하 상태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7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7649B1 (en) Mechanis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SUP stacks over multiple loosely coupled processors
JPH04119042A (ja) Isdnのdチャンネル輻輳制御方式
KR100326159B1 (ko) 넘버.7 신호처리 장치의 과부하 제어 방법
US72631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different SS7 network domains
KR100318965B1 (ko) 교환기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감시와 감청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438071B1 (ko) VoIP게이트웨이의 인터넷망 장애시 발신호 경로재설정방법
JP2637299B2 (ja) 通信システムの外部監視装置
Miller et al. Common channel interoffice signaling: Signaling network
CN101120595B (zh) 在交换系统的外围设备之间传送信令数据的方法和设备
KR97000273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No.7 신호방식 사용자부와 메시지 전달부간 정합 방법
KR95001315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선별적 통화량 폭주 제어 방법
EP0296832A2 (en) A call monitor arrangement
KR1003251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호처리 성능 테스트 방법
KR10026129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인터넷 가입자 루프백 시험방법
US66149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caleable virtual switch
KR101050937B1 (ko) 차세대 통신망의 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194597B1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본가입자위치등록기/인증센터 과부하 제어방법
KR100284009B1 (ko) 고도 지능망의 서비스 교환기에서의 복수 호 처리방법
KR100330965B1 (ko) 종합 정보 통신망 교환기의 불복구 호 처리 방법
KR9500114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부의 국간통화회선 관리 방법
KR970004861B1 (ko) 전전자 교환시스팀에서의 중계호 감시 방법
JPS63240250A (ja) 局間中継線の交換接続制御方式
KR100197404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번호 전송 방법
KR19980014076A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의 rasm구조(remote access switching module structure of full electroninc switching system)
KR20020054557A (ko) 넘버.7 신호 시스템의 프로세서 상태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