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869A -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869A
KR19990085869A KR1019980018548A KR19980018548A KR19990085869A KR 19990085869 A KR19990085869 A KR 19990085869A KR 1019980018548 A KR1019980018548 A KR 1019980018548A KR 19980018548 A KR19980018548 A KR 19980018548A KR 19990085869 A KR19990085869 A KR 1999008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hock absorber
damping
sensitive shock
cylind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상균
이영춘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8001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869A/ko
Publication of KR1999008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869A/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변위량에 따라 감쇠력이 가변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작동실을 형성하며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리저버 튜브, 및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며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저감쇠 영역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이패스 홀과, 상기 바이패스 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밴드 튜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홀은 설정치만큼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의하면, 피스톤에 의해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의 개수가 피스톤의 스트로크 양에 따라 변화되므로, 저감쇠 영역 내에서 감쇠력이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어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간의 영역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본 발명은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변위량에 따라 감쇠력이 가변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주행중 현가장치가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키므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쇽업소버가 현가장치와 차체 사이에 필수적으로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피스톤의 상하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작동 방법에 따라 신장시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단동식 쇽업소버와, 압축 및 신장시의 두가지 경우 모두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 쇽업소버로 구분되며, 복동식 쇽업소버로는 자동차의 부하(적재) 상태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자동차의 변위량에 따라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가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서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 튜브(1,11)의 내측에는 실린더 튜브(2,12)가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12)의 내측에는 오리피스(3',13')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3,13)이 스트로크 센터(stroke center :SC), 즉 작동 피스톤의 평형 위치(공차 및 정차 상태에서의 작동 피스톤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4,14)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스트로크 센터(SC)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일정 거리만큼의 실린더 튜브(2,12)에는 저감쇠 영영(low damping area :LDA)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실린더 튜브(2)의 내측벽면에 홈(5)을 직접 가공하거나,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실린더 튜브(12)를 포밍(forming)하여 홈(15)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는 작동실(O)과 저장실(R)이 형성되며, 작동실(O)은 한 개의 저감쇠 영역(low damping area :LDA)과 두 개의 고감쇠 영역(high damping area :HDA)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변위량이 적은 경우, 즉 작동 피스톤(3,13)이 저감쇠 영역(LDA)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유로(5,15)가 작동 피스톤(3,13)에 의해 차단되지 않으므로,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3,13)에 구비된 오리피스(3',13')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 유로(5,15)를 통해서도 흐르게 되어 감쇠력은 감소되고 승차감은 향상된다.
이와는 반대로 자동차의 변위량이 큰 경우, 즉 작동 피스톤(3,13)이 저감쇠 영역(LDA)을 벗어나 고감쇠 영역(HDA)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하향 이동시)에는 바이패스 유로(5,15)가 작동 피스톤(3,1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3,13)에 구비된 오리피스(3',13')를 통해서만 흐르게 되어 감쇠력은 최대가 되고 조종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저감쇠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가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 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간의 영역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리저버 튜브 22 : 실린더 튜브
23 : 피스톤 23' : 오리피스
24 : 피스톤 로드 25a∼25d : 바이패스 홀
26 : 밴드 튜브 27 : 오일 씨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작동실을 형성하며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리저버 튜브, 및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며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저감쇠 영역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이패스 홀과, 상기 바이패스 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밴드 튜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홀은 설정치만큼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리저버 튜브(21)의 내측에는 실린더 튜브(22)가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2)의 내측에는 오리피스(23')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23)이 스트로크 센터(SC)에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2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튜브(22)에는 스트로크 센터(SC)의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설정치만큼의 높이차를 두고 4개씩의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이 실린더 튜브(22)의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2)의 외측 벽면에는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을 통해 작동실(O)과 저장실(R)간에 작동유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밴드 튜브(26)가 오일 씨일(27)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은 실린더 튜브(22)의 작동실(O)에 저감쇠 영역(LDA)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간의 높이차는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동시에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이 최대 3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의 높이차를 설정하면, 작동 피스톤(23)이 저감쇠 영역(LDA)으로부터 고감쇠 영역(HDA)으로 이동할 때(예를 들어 피스톤의 하향 운동시)에는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의 개수가 1(25a)→2(25a와 25b)→3(25a와 25b 및 25c)→3(25b와 25c 및 25d)→2(25c 및 25d)→1(25d)과 같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순차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의 개수가 순차적으로 증가될 때에는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바이패스 홀 및 작동 피스톤(23)의 오리피스(23')를 통하여 작동유가 흐르게 되므로, 감쇠력이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그러나,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의 개수가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경우에는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바이패스 홀이 모두 작동 피스톤(2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23)의 오리피스만(23')을 통하여 흐르게 되어 감쇠력의 변화는 없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작동 피스톤(23)이 고감쇠 영역(HDA)으로부터 저감쇠 영역(LDA)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25a 내지 25d)의 개수가 3(25a와 25b 및 25c)→2(25a와 25b)→1(25a)과 같이 순차적으로 감소될 때 작동 피스톤(25)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바이패스 홀이 모두 작동 피스톤(23)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 피스톤(23)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바이패스 홀 및 작동 피스톤(23)의 오리피스(23')를 통하여 작동유가 흐르게 되어 감쇠력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의하면, 피스톤에 의해 폐쇄되는 바이패스 홀의 개수가 피스톤의 스트로크 양에 따라 변화되므로, 저감쇠 영역 내에서 감쇠력이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어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간의 영역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작동실을 형성하며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리저버 튜브, 및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며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저감쇠 영역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바이패스 홀과, 상기 바이패스 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밴드 튜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홀은 설정치만큼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홀은 상기 작동 피스톤의 스트로크 센터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4개씩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홀간의 높이차는 상기 작동 피스톤에 의해 3개의 바이패스 홀이 동시에 폐쇄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튜브의 양단부와 상기 실린더 튜브 사이에는 오일 씨일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KR1019980018548A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KR19990085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48A KR19990085869A (ko)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48A KR19990085869A (ko)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869A true KR19990085869A (ko) 1999-12-15

Family

ID=6589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548A KR19990085869A (ko)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8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83B1 (ko) * 2001-12-19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1255168B1 (ko) * 2011-03-16 2013-04-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마찰 댐퍼
KR101375870B1 (ko) * 2012-10-12 2014-03-17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댐핑능력을 향상시킨 스틸튜브형 에어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83B1 (ko) * 2001-12-19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1255168B1 (ko) * 2011-03-16 2013-04-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마찰 댐퍼
KR101375870B1 (ko) * 2012-10-12 2014-03-17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댐핑능력을 향상시킨 스틸튜브형 에어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0725B2 (ja) 筒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8640835B2 (en) Suspension unit
JP551950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1847691A (zh) 衰减力调整式液压缓冲器
WO2008097183A1 (en)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flow ducts
JP448719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用の制御可能なピストン・バルブおよび/またはボトム・バルブ
JP2918293B2 (ja) 減衰力可変型緩衝器
KR19990085869A (ko)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JPH04160242A (ja) 油圧緩衝器
US5647461A (en) Adjustable piston valve damper
KR100361297B1 (ko) 차량의 쇽업소버
KR19990085870A (ko)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JP4318071B2 (ja) 油圧緩衝器
WO2022201671A1 (ja) 緩衝器
GB2092707A (en) Telescopic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rebound stop
KR0156411B1 (ko) 일정 충격흡수용 쇽 업소바
JPH0681885A (ja) 周波数感応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0618637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구조
KR100392343B1 (ko) 쇽압쇼바의보디밸브
JP2003254374A (ja) 油圧緩衝器
KR100445990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RU2262454C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рессо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390750B1 (ko) 고속감응형쇽업소버
JP3034413B2 (ja) 油圧緩衝器
SU1060834A1 (ru) Двухрежимный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