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870A -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870A
KR19990085870A KR1019980018549A KR19980018549A KR19990085870A KR 19990085870 A KR19990085870 A KR 19990085870A KR 1019980018549 A KR1019980018549 A KR 1019980018549A KR 19980018549 A KR19980018549 A KR 19980018549A KR 19990085870 A KR19990085870 A KR 1999008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hock absorber
permanent magnet
damping
sensitiv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상균
이영춘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8001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870A/ko
Publication of KR1999008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870A/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변위량에 따라 감쇠력이 가변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작동실을 형성하며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리저버 튜브, 및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며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벽면 소정 부위에는 제1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횡방향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제1 영구자석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영구자석을 탄력 설치하며, 상기 작동 피스톤에는 상기 작동 피스톤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바이패스 홀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감쇠 영역의 변환시에 상기 바이패스 홀이 상기 제2 영구자석에 의해 점진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의하면, 작동 피스톤의 바이패스 홀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감쇠 영역의 변환시에 상기 바이패스 홀이 제2 영구자석에 의해 점진적으로 개폐되게 되어,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본 발명은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변위량에 따라 감쇠력이 가변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주행중 현가장치가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키므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쇽업소버가 현가장치와 차체 사이에 필수적으로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피스톤의 상하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작동 방법에 따라 신장시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단동식 쇽업소버와, 압축 및 신장시의 두가지 경우 모두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 쇽업소버로 구분되며, 복동식 쇽업소버로는 자동차의 부하(적재) 상태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자동차의 변위량에 따라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가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서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 튜브(1,11)의 내측에는 실린더 튜브(2,12)가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12)의 내측에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3,13)이 스트로크 센터(stroke center :SC), 즉 작동 피스톤의 평형 위치(공차 및 정차 상태에서의 작동 피스톤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4,14)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스트로크 센터(SC)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일정 거리만큼의 실린더 튜브(2,12)에는 저감쇠 영영(low damping area :LDA)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실린더 튜브(2)의 내측벽면에 홈(5)을 직접 가공하거나,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실린더 튜브(12)를 포밍(forming)하여 홈(15)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는 작동실(O)과 저장실(R)이 형성되며, 작동실(O)은 한 개의 저감쇠 영역(low damping area :LDA)과 두 개의 고감쇠 영역(high damping area :HDA)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변위량이 적은 경우, 즉 작동 피스톤(3,13)이 저감쇠 영역(LDA)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유로(5,15)가 작동 피스톤(3,13)에 의해 차단되지 않으므로,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3,13)에 구비된 오리피스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 유로(5,15)를 통해서도 흐르게 되어 감쇠력은 감소되고 승차감은 향상된다.
이와는 반대로 자동차의 변위량이 큰 경우, 즉 작동 피스톤(3,13)이 저감쇠 영역(LDA)을 벗어나 고감쇠 영역(HDA)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하향 이동시)에는 바이패스 유로(5,15)가 작동 피스톤(3,1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3,13)에 구비된 오리피스를 통해서만 흐르게 되어 감쇠력은 최대가 되고 조종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저감쇠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가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 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간의 영역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쇠 영역간의 변환시에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리저버 튜브 22 : 실린더 튜브
23 : 작동 피스톤 24 : 피스톤 로드
25 : 횡방향 홈 26 : 원통형 영구자석
27 : 코일 스프링 28 : 오리피스 홀
29 : 밴드형 영구자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는, 작동실을 형성하며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리저버 튜브, 및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며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벽면 소정 부위에는 제1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횡방향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제1 영구자석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영구자석을 탄력 설치하며, 상기 작동 피스톤에는 상기 작동 피스톤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바이패스 홀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감쇠 영역의 변환시에 상기 바이패스 홀이 상기 제2 영구자석에 의해 점진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리저버 튜브(21)의 내측에는 실린더 튜브(22)가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2)의 내측에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23)이 스트로크 센터(SC)에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2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작동 피스톤(23)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횡방향 홈(25)이 형성되어 있고, 홈(25)의 내부에는 홈(25)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원통형 영구자석(26)이 스프링(27)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 피스톤(23)에는 바이패스 홀(28)이 홈(25)에 연통되도록 작동 피스톤(23)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튜브(22)의 외벽면에는 원통형 영구자석(26)과 반대 극성을 갖는 밴드형 영구자석(29)이 스트로크 센터(SC)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바이패스 홀(28)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감쇠 영역(LDA와 HDA)간의 변환시에 원통형 영구자석(26)에 의해 바이패스 홀(28)이 점진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므로써,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동차의 변위량이 작은 경우. 즉 작동 피스톤(23)이 저감쇠 영역(LDA)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원통형의 영구자석(26)이 밴드형 영구자석(29)의 자력에 의해 스프링(27)의 힘을 이기고 도 3에서와 같이 후퇴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 홀(28)은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동실(O)내의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23)의 도시하지 않은 오리피스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 홀(28)을 통해서도 흐르게 되므로 감쇠력이 감소되어 승차감이 향상된다.
이와는 반대로, 자동차의 변위량이 큰 경우, 즉 작동 피스톤(23)이 고감쇠 영역(HDA)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밴드형 영구자석(29)의 자력이 원통형 영구자석(26)에 미치지 못하므로 원통형 영구자석(26)은 스프링(27)의 힘에 의해 전진되고, 이로 인해 바이패스 홀(28)은 폐쇄된다.
따라서, 작동실내의 작동유는 작동 피스톤(23)의 오리피스만을 통해서 흐르게 되므로, 감쇠력이 최대가 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작동 피스톤(23)이 저감쇠 영역(LDA)에서 고감쇠 영역(HDA)으로 운동할 때, 즉 피스톤(23)의 하향 또는 상향 운동시에는 바이패스 홀(28)이 원통형 영구자석(26)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되게 되므로, 감쇠 영역간의 변화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의하면, 작동 피스톤의 바이패스 홀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감쇠 영역간의 변화시에 바이패스 홀이 원통형 영구자석에 의해 점진적으로 개폐되게 되어, 감쇠 영역간의 변화시에 감쇠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작동실을 형성하며 저감쇠 영역과 고감쇠 영역을 구비하는 실린더 튜브와,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리저버 튜브, 및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며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의 외벽면 소정 부위에는 제1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횡방향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의 내부에 상기 제1 영구자석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영구자석을 탄력 설치하며, 상기 작동 피스톤에는 상기 작동 피스톤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바이패스 홀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감쇠 영역의 변환시에 상기 바이패스 홀이 상기 제2 영구자석에 의해 점진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자석이 밴드형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KR1019980018549A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KR19990085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49A KR19990085870A (ko)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49A KR19990085870A (ko)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870A true KR19990085870A (ko) 1999-12-15

Family

ID=6589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549A KR19990085870A (ko) 1998-05-22 1998-05-22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295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소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295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쇽업소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4301A (en) Hydraulic rebound stop assembly for a shock absorber
US5649611A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KR940011814A (ko) 댐핑력 제어형 유압완충기
US6119831A (en) Controllable vibration damper for motor vehicles
US20070193839A1 (en) Variable attenuation power damper
KR970005581B1 (ko) 서스펜션 시스템
FI83814B (fi) Elektriskt reglerbar stoetdaempare.
JPS60260731A (ja) 調整可能な油圧式シヨツクアブソ−バ
KR19980702646A (ko) 유량 감응 및 가속 감응 쇽 업소버
US5551540A (en) Vibration damper and a vibration damper with a valve actuation device
KR100395325B1 (ko) 쇽업소버
JP4417823B2 (ja) 緩衝器
CN110439951B (zh) 应急救援车辆用集成式半主动悬挂液压作动器
KR19990085870A (ko)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JP2002295566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KR19990085869A (ko) 스트로크 감응형 쇽업소버
US5647461A (en) Adjustable piston valve damper
GB2092707A (en) Telescopic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rebound stop
JPH08170680A (ja) 減衰力可変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2168282A (ja) 油圧緩衝器
US11835104B2 (en) Dual-acting single-spring twin-tube shock absorber assembly
JP3009748B2 (ja) 電気粘性流体利用の緩衝器
KR0156411B1 (ko) 일정 충격흡수용 쇽 업소바
JPH0681885A (ja) 周波数感応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H1026165A (ja) 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