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224A -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224A
KR19990085224A KR1019980017504A KR19980017504A KR19990085224A KR 19990085224 A KR19990085224 A KR 19990085224A KR 1019980017504 A KR1019980017504 A KR 1019980017504A KR 19980017504 A KR19980017504 A KR 19980017504A KR 19990085224 A KR19990085224 A KR 1999008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multiplier
switching element
sawtooth wav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6047B1 (ko
Inventor
최낙춘
Original Assignee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8001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047B1/ko
Priority to JP13491399A priority patent/JP3398619B2/ja
Priority to US09/313,505 priority patent/US6178104B1/en
Publication of KR1999008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률 보정회로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부스트 컨버터를 가진다. 스위칭 소자에는 저항과 커패시터가 연결되며, 이 저항과 커패시터는 전류 감지부로서 부스트 컨버터의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은 분배 저항에 의해 분배되고, 이 분배된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차는 에러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다.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압과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역톱니파는 곱셈기에 입력되어 소정 이득으로 곱해지고, 곱셈기의 출력전압과 전류 감지부는 스위칭 구동부에 입력된다 스위칭 구동부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과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본 발명은 고역률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톱니파와 전류 기울기 제어를 이용한 역률 보정(Power Factor Correction; 이하 'PFC' 라 함)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역률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 연속 전류 모드(Continuous Current Mode; CCM) 제어 방식이 알려져 있다.
CCM 제어방식을 이용한 역률 개선방식으로는 피크전류 제어방식, 가변 히스테리시스 제어방식, 평균전류 제어방식 등이 있으며, 이들 개개의 방식들은 높은 역률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식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피크전류 검출 제어 방식은 외부 인덕터 전류의 왜곡, 사각 왜곡(dead angle distortion), 최대 듀티를 50%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 등의 단점들 때문에 정확한 보정을 할 수 없었으며, 가변 히스테리시스 제어방식은 인덕터 전류 감지에 따른 가변 주파수 방식으로 입력 전압이 낮아지는 경우 인덕터 전류제어를 위해 주파수가 무한히 증가하기 때문에 주파수 제어의 한계가 있었으며, 평균 전류 제어방식은 단위 역률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방식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CCM PFC방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톱니파를 이용한 간단한 역률 보정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높은 역률을 제공하고, 또한 듀티비의 제한이 거의 없는 역률 보정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정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서 스위칭 모스 FET의 온, 오프 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에서 출력 전압의 변동에 따른 듀티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정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4에서 스위칭 모스 FET의 온, 오프 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4에서 부하가 증가하여 출력 전압이 감소되는 경우의 듀티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4에서 부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의 듀티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률 보정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도8에서 스위칭 모스 FET의 온, 오프 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8에서 부하가 증가하여 출력 전압이 감소되는 경우의 듀티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도8에서 부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경우의 듀티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역률 보정 회로는
컨버터부, 전류 감지부, 에러 증폭부, 비교 파형 생성부와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한다.
컨버터부는 입력 전압에 연결되는 인덕터와,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 다이오드 및 제1 커패시터를 가진다.
전류 감지부는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제2 커패시터를 가지며, 스위칭 소자가 온 되었을 때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에러 증폭부는 컨버터부의 출력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제3 저항과, 제2 및 제3 저항사이의 접점의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기 위한 에러 증폭기를 가진다.
비교 파형 생성부는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에러증폭기의 출력 전압과 역톱니파를 소정 이득으로 곱하는 곱셈기를 가진다.
스위칭 구동부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과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한다.
여기서, 컨버터는 부스터 컨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위칭 구동부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과 곱셈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비교기의 출력 전압을 리셋입력으로 하고, 발진기의 기준 클록신호를 세트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과,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과 발진기의 기준클록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노어 게이트와, 노어 게이트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로 하는 스위칭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역률 보정회로의 컨버터부, 전류 감지부, 에러 증폭부는 상기한 역률 보정회로와 동일하며,
비교파형 생성부는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에러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제2 기준전압으로 감산하기 위한 제1 감산기와, 제3 기준전압을 제1 감산기의 출력전압으로 감산하기 위한 제2 감산기와, 역톱니파와 제1 감산기의 출력 전압을 제1 이득으로 곱하는 제1 곱셈기와, 제2 감산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을 제2 이득으로 곱하는 제2 곱셈기를 가진다.
스위칭 구동부는 제1 곱셈기와 상기 제2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역률 보정회로의 비교파형 생성부는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제1 이득을 에러증폭기의 출력 전압으로 나누기 위한 나눗셈기와, 역톱니파와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제2 이득으로 곱하기 위한 제1 곱셈기와, 나눗셈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을 제3 이득으로 곱하는 제2 곱셈기를 가지며,
스위칭 구동부는 제1 곱셈기와 제2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부스트 컨버터부(10), 에러 증폭부(20), 전류 감지부(30), 비교 파형 생성부(40), 스위칭 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부스트 컨버터부(10)는 교류 전원(AC)을 정류하여 평활화시킨 후, 스위칭 게이트의 동작에 따라 2차측 부하로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도1에서 부스트 컨버터부(10)는 교류 전원을 1차로 정류하는 1차 정류기(11) 및 커패시터(C1), 입력 전류에 의해 코일에 에너지를 저장하여 2차측에 전류를 유기시키는 인덕터(L), 인턱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0)로 이루어진다.
에러 증폭부(20)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을 소정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이 비교값을 증폭하기 위한 것이며, 출력 전압 Vo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저항(R1, R2)과 분배 저항 사이의 접점의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1)의 차를 증폭하는 에러 증폭기(21)로 이루어진다.
전류 감지부(30)는 스위칭 모스 FET(12)가 온 되었을 때 인턱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Rcs)과 커패시터(Cf)로 이루어진다.
비교 파형 생성부(40)는 상기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 Vcs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Vsw)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41)와, 상기 역톱니파(Vsw)와 상기 에러 증폭부의 출력전압(Ve)을 이득 K로 곱하는 곱셈기(42)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구동부(50)는 스위칭 모스 FET의 온,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과 상기 곱셈기(42)의 출력값(Vmo)을 비교하는 비교기(51)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리셋 신호로 하고 상기 역톱니파에 동기된 기준 클록신호를 세트신호로 하는 플립플롭(52)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 )과 상기 기준 클록 신호를 부정 논리합하는 노어 게이트(53)와, 상기 노어 게이트(53)의 출력으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54)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의 부스트 컨버터(10)에서 입력 전압 Vin과 출력 전압 Vout과의 관계식은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T는 한 주기를 나타내며, ton은 한 주기 동안 스위칭 모스 FFT(12)가 온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D는 듀티비로서, 한 주기(T) 동안 스위칭 모스 FET(12)가 온되는 시간의 비를 나타낸다.
수학식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출력 전압(Vout)은 입력 전압(Vin)과 듀티비(D)에 의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스위칭 온 시간(ton)을 조절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스위칭 온, 오프 시점은 스위칭 구동부(5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의 온 시점은 플립플롭(52)의 세트 신호에 입력되는 발진기(41)의 기준 클록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즉, 발진기의 기준 클록 신호가 예컨대 상승 에지인 경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 )은 로우 상태의 출력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 로우 상태의 출력값과 발진기의 기준 클록신호는 노어 게이트(55)에 입력되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가 온이 되도록 한다.
한편,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오프 시점은 비교기(51)에 각각 입력되는 신호인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신호(Vcs)와 곱셈기(42)의 출력 신호(Vmo)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신호(Vcs)와 곱셈기(42)의 출력 신호(Vmo)가 같게 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51)는 하이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 신호는 플립플롭(52)을 리셋시켜,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Q)이 하이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플립플롭(52)으로부터의 신호는 노어 게이트(43)와 구동 회로(44)를 거쳐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를 오프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에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턴 온 구간을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서, 곱셈기(42)의 출력 전압 Vmo은 수학식 2와 같이, 에러 증폭부의 출력 전압 (Ve)과 역톱니파 신호(Vsw)에 이득 K가 곱해진 값이 된다.
Vmo=K×Ve×Vsw
따라서, 곱셈기(42)의 출력 전압 Vmo는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 Ve에 의해 변하게 된다.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가 온으로 되는 시점 즉, 발진기(21)의 기준 클록 신호가 상승 에지로 변한 시점에서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 Vcs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 Vcs와 곱셈기의 출력 전압 Vmo가 결국 같아지게 되고, 이 시점에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는 오프로 된다. 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는 발진기(41)의 기준 클록 신호가 상승 에지로 변하는 시점에서 다시 온으로 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과 곱셈기의 출력 전압 Vmo이 같아지는 점에서의 Vcs와 Vmo의 관계식은 수학식 3과 같다.
여기서, Va는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이 온으로 되는 시점에서의 역톱니파의 전압을 나타내며, T는 역톱니파의 주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1을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수학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 Vcs는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Vcs=iL×Rcs
여기서, iL은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수학식4와 5로부터 전류 iL은 수학식 6으로 구할 수 있다.
수학식 6으로부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은 입력 전압(Vin)과 일정한 게인 Gm ( )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는 비례관계에 있으며, 입력 전압과 위상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의 파형은 입력 전압의 파형과 일치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높은 역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출력 전압 Vout이 변동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의 동작을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하의 변동에 의해 출력 전압이 Vout에서 Vout'으로 감소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분배 저항(R1, R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Vfb)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은 Ve에서 Ve'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곱셈기(42)의 출력 전압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mo에서 Vmo'으로 기울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은 출력 전압(Vout)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기 때문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ton에서 ton'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듀티비는 증가하게 되므로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출력 전압 Vout은 증가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출력 전압 Vout이 부하의 변동에 의해 증가하게 된 경우에는, 듀티비는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출력 전압 Vout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최대 듀티비를 갖는 데 한계가 있다.
예컨대, 출력 전압 Vout이 감소하게 되어, 곱셈기의 출력 전압 Vmo의 기울기가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이 기울기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출력 전압 Vout이 감소하더라도 에러 증폭기의 출력값(Ve)의 최대값은 제한되며, 이에 따라 곱셈기의 출력 전압 Vmo의 기울기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의 기울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실제 최대 듀티비 값은 일정한 한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중부하시 듀티 온 타임이 제한받게 되어 출력 전압 Vout의 제어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부스트 컨버터부(10), 에러 증폭부(20), 전류 감지부(30), 비교 파형 생성부(60), 스위칭 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도4에서, 부스트 컨버터부(10), 에러 증폭부(20), 전류 감지부(30), 스위칭 구동부(50)는 도1에 도시한 PFC 회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교 파형 생성부(60)는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비교파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감기(61, 62), 곱셈기(63, 64)로 이루어진다.
가감기(62)는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Ve)에서 비교 전압 Vref3를 감산하여 Vm2(Vm2 = Ve - Vref3)를 출력하며, 가감기(61)는 비교 전압 Vref2로부터 가감기(62)의 출력 전압(Vm2)을 감산하여 Vm1 (Vm1 = Vref2 - Vm2 =Verf2 + Verf3 -Ve)를 출력한다.
곱셈기(63)는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과 가감기(61)의 출력 전압(Vm1)에 이득 K1을 곱하여 Vmo1을 출력하고, 곱셈기(64)는 역톱니파(Vsw)와 가감기(62)의 출력 전압(Vm2)에 이득 K2를 곱하여 Vmo2를 출력한다.
즉, 곱셈기(63, 64)의 출력 전압(Vmo1, Vmo2)은 각각 수학식 7, 8과 같다.
Vmo1=K1×(Verf2+Verf3-Ve)×Vcs
Vmo2=K2×(Ve-Vref3)×Vsw
다음은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의 온 시점은 플립플롭(52)의 세트신호에 입력되는 발진기(41)의 기준 클록신호에 의해 결정되며,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오프 시점은 비교기(51)에 각각 입력되는 신호인 곱셈기(63, 64)의 출력 신호 Vmo1, Vmo2에 의해 결정된다.
도5에서, 곱셈기(64)의 출력 전압 Vmo2는 수학식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역톱니파(Vsw)에 일정한 게인( G=K2×(Ve-Verf3) )을 곱한 값이므로 도5와 같은 파형이 된다.
곱셈기(63)의 출력 전압 Vmo1은 수학식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에 비례한 값이 되므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가 온으로 되는 시점 즉, 발진기(21)의 기준 클록 신호가 상승 에지로 변한 시점에서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곱셈기(63)의 출력 전압 Vmo1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압 Vmo1은 곱셈기(64)의 출력 전압 Vmo2와 결국 같게 되고, 이 시점에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는 오프로 된다. 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는 발진기(41)의 기준 클록 신호가 상승 에지로 변하는 시점에서 다시 온으로 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곱셈기(63, 64)의 출력 전압 (Vmo1, Vmo2)이 같아지는 점에서의 Vmo1과 Vmo2의 관계식은 수학식 9와 같다.
여기서, Va는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이 온으로 되는 시점에서의 역톱니파의 전압을 나타내며, T는 역톱니파의 주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1과 수학식 5를 수학식9에 대입하면 수학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0으로부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은 입력 전압(Vin)과 일정한 게인 Gm1 ( )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는 비례관계에 있으며, 입력 전압과 위상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의 파형은 입력 전압의 파형과 일치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고역률 보정이 가능하다.
다음은, 출력 전압 Vout이 변동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의 동작을 도4,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부하가 증가하여 출력 전압 Vout이 감소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7은 부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 Vout이 증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하가 증가하여 부스트 컨버터(10)의 출력이 Vout에서 Vout'으로 감소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분배 저항(R1, R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은 Ve에서 Ve'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곱셈기(64)의 출력 전압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Vmo2에서 Vmo2'로 기울기가 증가하게 되며, 곱셈기(63)의 출력 전압은 Vmo1에서 Vmo1'으로 기울기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ton에서 ton'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출력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출력 전압 Vout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부하가 감소하여 부스트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이 Vout에서 Vout"로 증가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분배 저항(R1, R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Vfb)은 증가하게 되어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은 Ve에서 Ve"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곱셈기(64)의 출력 전압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Vmo2에서 Vmo2"로 기울기가 감소하게 되며, 곱셈기(63)의 출력 전압은 Vmo1에서 Vmo1"으로 기울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ton에서 ton"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출력 전류가 감소하여 결국 출력 전압 Vout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류 제어 즉, 듀티비에 있어 거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컨대, 출력 전압 Vout이 감소하여 에러 증폭기(21)의 출력값(Ve)이 Vref2 + Vref3와 거의 같게 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수학식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곱셈기(63)의 출력 전압 Vmo1의 기울기가 감소하여 거의 0으로 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증가하게 되어 듀티비가 거의 1로 된다.
한편, 출력 전압 Vout이 증가하여 에러 증폭기(21)의 출력값(Ve)이 Vref3과 거의 같게 되었다고 하면, 수학식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곱셈기(64)의 출력 전압 Vmo2의 기울기가 감소하여 거의 0으로 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감소하여 듀티비가 거의 0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듀티비를 거의 0에서 1까지 제어할 수 있으므로, 넓은 범위의 부하 변동이나 입력 전압의 변동에도 듀티비의 변동을 최대, 최소로 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부스트 컨버터부(10), 에러 증폭부(20), 전류 감지부(30), 비교파형 생성부(70), 스위칭 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도8에서, 부스트 컨버터부(10), 에러 증폭부(20), 전류 감지부(30), 스위칭 구동부(50)는 도1에 도시한 PFC 회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교파형 생성부(70)는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오프 시점을 결정하는 비교파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곱셈기(71, 72)와 나눗셈기(73)로 이루어진다.
나눗셈기(73)는 이득 K5를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 Ve으로 나누어 Vy( )를 출력하며, 곱셈기(71)는 나눗셈기(73)의 출력 전압(Vy)과 전류 감지부(30)의 출력전압(Vcs)을 이득 K3로 곱하여 전압 Vmo3를 출력하며, 곱셈기(72)는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Ve)과 역톱니파(Vsw)를 이득 K4로 곱하여 Vmo4를 출력한다.
즉, 곱셈기(71, 72)의 출력 전압(Vmo3, Vmo4)은 각각 수학식 11, 12와 같다.
Vmo4=K4×Ve×Vsw
다음은 도8과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8에서, 곱셈기(72)의 출력 전압 Vmo4는 수학식1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역톱니파(Vsw)에 일정한 게인( G=K4×Ve )을 곱한 값이므로 도9와 같은 파형이 된다.
곱셈기(71)의 출력 전압 Vmo3은 수학식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류 감지부(30)의 출력 전압(Vcs)에 비례한 값이 되므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가 온으로 되는 시점 즉, 발진기(21)의 기준 클록 신호가 하강 에지로 변한 시점에서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곱셈기(71)의 출력 전압 Vmo3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압 Vmo3은 곱셈기(72)의 출력 전압 Vmo4와 결국 같게 되고, 이 시점에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는 오프로 된다. 이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는 발진기(41)의 기준 클록 신호가 하강 에지로 변하는 시점에서 다시 온으로 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곱셈기(71, 72)의 출력 전압 (Vmo3, Vmo4)이 같아지는 점에서의 Vmo3과 Vmo4의 관계식은 수학식 13과 같다.
여기서, Va는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이 온으로 되는 시점에서의 역톱니파의 전압을 나타내며, T는 역톱니파의 주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1과 수학식 5를 수학식13에 대입하면 수학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4로부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은 입력 전압(Vin)과 일정한 게인 Gm2 ( )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는 비례관계에 있으며, 입력 전압과 위상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iL의 파형은 입력 전압의 파형과 일치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고역률 보정이 가능하다.
다음은, 출력 전압 Vout이 변동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의 동작을 도8,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부하가 증가하여 출력 전압 Vout이 감소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1은 부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 Vout이 증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하가 증가하여 Vout에서 Vout'으로 감소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분배 저항(R1, R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Vfb)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은 Ve에서 Ve'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곱셈기(72)의 출력 전압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Vmo4에서 Vmo4'로 기울기가 증가하게 되며, 곱셈기(71)의 출력 전압은 Vmo3에서 Vmo3'으로 기울기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ton에서 ton'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출력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출력 전압 Vout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부하가 감소하여 출력 전압이 Vout에서 Vout"로 증가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분배 저항(R1, R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Vfb)은 증가하게 되어 에러 증폭기(21)의 출력 전압은 Ve에서 Ve"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곱셈기(72)의 출력 전압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Vmo4에서 Vmo4"로 기울기가 감소하게 되며, 곱셈기(71)의 출력 전압은 Vmo3에서 Vmo3"으로 기울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12)의 온 시간은 ton에서 ton"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출력 전류가 감소하여 결국 출력 전압 Vout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에 비해 더 넓은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10과 도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출력 전압 Vout이 변동하여 곱셈기(72)의 출력 전압 Vmo4의 기울기가 변동하는 경우, 동시에 곱셈기(71)의 출력 전압 Vmo3의 기울기가 상기 Vmo4의 기울기의 변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PFC 회로에 비해 더 넓은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FC 회로는 상기한 실시예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버터로서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하였으나, 부스트 컨버터 이외의 컨버터(예컨대, 벅(Buck)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스위칭 소자로서 스위칭 모스 트랜지스터 외에 다른 스위칭 소자(예컨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FC 회로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간단한 역률 보정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높은 역률을 제공하고, 또한 듀티비의 제한이 거의 없는 역률 보정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입력 전압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 다이오드 및 제1 커패시터를 가지는 컨버터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제2 커패시터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 되었을 때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제3 저항과, 상기 제2 및 제3 저항사이의 접점의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기 위한 에러 증폭기를 가지는 에러증폭부와;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에러증폭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역톱니파를 소정 이득으로 곱하는 곱셈기를 가지는 비교파형 생성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하는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하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2. 제1항에서,
    상기 컨버터는 부스터 컨버터인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3. 제2항에서,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전류 검지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곱셈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 전압을 리셋입력으로 하고, 상기 발진기의 기준 클록신호를 세트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과 상기 발진기의 기준클록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노어 게이트와;
    상기 노어 게이트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로 하는 스위칭 구동회로 포함하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4. 제3항에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모스 FET인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5. 입력 전압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 다이오드 및 제1 커패시터를 가지는 컨버터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제2 커패시터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 되었을 때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제3 저항과, 상기 제2 및 제3 저항사이의 접점의 전압과 제1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기 위한 에러 증폭기를 가지는 에러증폭부와;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에러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제2 기준전압으로 감산하기 위한 제1 감산기와, 제3 기준전압을 상기 제1 감산기의 출력전압으로 감산하기 위한 제2 감산기와, 상기 역톱니파와 상기 제1 감산기의 출력 전압을 제1 이득으로 곱하는 제1 곱셈기와, 상기 제2 감산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을 제2 이득으로 곱하는 제2 곱셈기를 가지는 비교파형 생성부와;
    상기 제1 곱셈기와 상기 제2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하는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하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6. 제5항에서,
    상기 컨버터는 부스트 컨버터인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7. 제6항에서,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제1 곱셈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곱셈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 전압을 리셋입력으로 하고, 상기 발진기의 기준 클록신호를 세트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과 상기 발진기의 기준클록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노어 게이트와;
    상기 노어 게이트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로 하는 스위칭 구동회로 포함하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8. 제6항에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모스 FET인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9. 입력 전압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인덕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로 공급하는 다이오드 및 제1 커패시터를 가지는 컨버터부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제2 커패시터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 되었을 때 상기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제2, 제3 저항과, 상기 제2 및 제3 저항사이의 접점의 전압과 제1 기준 전압과의 차를 증폭하기 위한 에러 증폭기를 가지는 에러증폭부와;
    동일한 주파수의 역톱니파와 기준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제1 이득을 상기 에러증폭기의 출력 전압으로 나누기 위한 나눗셈기와, 상기 역톱니파와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제2 이득으로 곱하기 위한 제1 곱셈기와, 상기 나눗셈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을 제3 이득으로 곱하는 제2 곱셈기를 가지는 비교파형 생성부와;
    상기 제1 곱셈기와 상기 제2 곱셈기의 출력 전압이 같게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오프로 하며,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상태가 천이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하는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하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10. 제9항에서,
    상기 컨버터는 부스터 컨버터인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11. 제9항에서,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제1 곱셈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곱셈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 전압을 리셋입력으로 하고, 상기 발진기의 기준 클록신호를 세트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과 상기 발진기의 기준클록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노어 게이트와;
    상기 노어 게이트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로 하는 스위칭 구동회로 포함하는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12. 제10항에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모스 FET인 역톱니파를 이용한 고역률 보정회로.
KR1019980017504A 1998-05-15 1998-05-15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KR10028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04A KR100286047B1 (ko) 1998-05-15 1998-05-15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JP13491399A JP3398619B2 (ja) 1998-05-15 1999-05-14 逆のこぎり波を利用した力率補正回路
US09/313,505 US6178104B1 (en) 1998-05-15 1999-05-17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ing reverse sawtooth 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504A KR100286047B1 (ko) 1998-05-15 1998-05-15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24A true KR19990085224A (ko) 1999-12-06
KR100286047B1 KR100286047B1 (ko) 2001-04-16

Family

ID=1953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04A KR100286047B1 (ko) 1998-05-15 1998-05-15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78104B1 (ko)
JP (1) JP3398619B2 (ko)
KR (1) KR100286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52B1 (ko) * 2004-06-07 2008-11-10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낮은 스위칭 주파수 역률 보정 회로
KR101532423B1 (ko) * 2008-10-31 2015-07-0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및 역률 보상 회로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9482B1 (en) * 2000-06-30 2002-10-22 Intel Corporation Inductive charge pump circuit for providing voltages useful for flash memory and other applications
US6448744B1 (en) * 2000-10-30 2002-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JP3718830B2 (ja) * 2001-02-26 2005-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US6469917B1 (en) * 2001-08-16 2002-10-22 Green Power Technologies Ltd. PFC apparatus for a converter operating in the borderline conduction mode
US6448745B1 (en) 2002-01-08 2002-09-10 Dialog Semiconductor Gmbh Converter with inductor and digital controlled timing
CN100337171C (zh) * 2002-05-16 2007-09-12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双频脉波宽度调制稳压装置
WO2003103122A1 (en) * 2002-06-04 2003-1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converter
US6998732B2 (en) * 2002-07-23 2006-02-14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system for supplying stable power
EP1540801A1 (en) * 2002-09-20 2005-06-15 STMicroelectronics S.r.l. Power factor correction device for switching power supplies
KR100956339B1 (ko) 2003-02-25 201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규소 결정화 시스템 및 규소 결정화 방법
AU2003903787A0 (en) * 2003-07-22 2003-08-07 Sergio Adolfo Maiocchi A system for operating a dc motor
US7057440B2 (en) * 2003-11-03 2006-06-06 System General Corp. Multiplier-divider circuit for a PFC controller
JP4352886B2 (ja) * 2003-12-11 2009-10-28 株式会社デンソー 昇圧回路
HUP0400421A2 (hu) * 2004-02-16 2005-12-28 András Fazakas Kapcsolási elrendezés egy legalább 500 mikroFarad kapacitású elektrolitikus kondenzátornak egy energiát tároló másik elektrolitikus kondenzátorral való vezérelt párhuzamos kapcsolására
TWI318038B (en) * 2004-03-05 2009-12-01 Wistron Corp Booster
CN1938932B (zh) * 2004-04-16 2010-09-29 崇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节能调制器的不连续模式功率因数校正控制器和其操作方法
US20060022648A1 (en) * 2004-08-02 2006-02-02 Green Power Technologies Ltd. Method and control circuitry for improved-performance switch-mode converters
US7141940B2 (en) * 2005-04-19 2006-11-28 Raytheon Company Method and control circuitry for providing average current mode control in a power converter and an active power filter
US7656141B1 (en) * 2006-08-09 2010-02-0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witched mode current source for pulsed loads
US7554473B2 (en) * 2007-05-02 2009-06-30 Cirrus Logic, Inc. Control system using a nonlinear delta-sigma modulator with nonlinear process modeling
TW200847593A (en) * 2007-05-18 2008-12-01 Richtek Techohnology Corp Digital voltage transform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1145222B1 (ko) 2007-07-27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CN101911457B (zh) * 2007-11-07 2014-01-08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具有与占空比无关的电流限制的电源调节器系统及其调节方法
US7990127B2 (en) * 2008-03-14 2011-08-02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 to DC power conversion with reduced harmonic current
US8279630B2 (en) * 2008-10-14 2012-10-0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tinuous conduction mod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reduced sensing requirements
KR20100066603A (ko) *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0068223A1 (en) * 2008-12-13 2010-06-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scaling a signal in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8723498B2 (en) 2008-12-19 2014-05-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of increasing power measurement accuracy for power factor correction
US8098506B2 (en) 2009-06-02 2012-01-17 Power Integrations, Inc. Single-stage power supply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nd constant current output
US8395361B2 (en) * 2010-03-04 2013-03-12 Juniper Networks, Inc. Active voice band filter
JP5556399B2 (ja) * 2010-06-09 2014-07-23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流モード制御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
ES2353179B1 (es) * 2010-08-25 2012-01-03 Universitat Rovira I Virgili Convertidor elevador y foco provisto de éste.
US8482942B2 (en) * 2010-08-26 2013-07-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eless power factor correction
JP5842366B2 (ja) * 2011-04-04 2016-01-13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回路
CN103166446B (zh) * 2011-12-13 2015-05-13 万国半导体(开曼)股份有限公司 功率因素校正装置及其校正方法
US8716985B2 (en) * 2012-02-29 2014-05-06 Alpha & Omega Semiconductor, Inc. Power factor correction device and correcting method thereof
CN102624209B (zh) * 2012-03-23 2015-02-18 电子科技大学 一种降压式变换器控制装置
CN103595239B (zh) * 2012-08-15 2015-12-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电路及其控制方法
US8937447B2 (en) * 2012-11-28 2015-01-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boost converter
CN105099236B (zh) * 2015-06-26 2017-11-17 天长市富安电子有限公司 一种vcc辅助电源供电电路
CN106059281A (zh) * 2016-07-01 2016-10-26 安徽亮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功率led的功率因数矫正电路
CN109088536B (zh) * 2017-06-13 2021-02-12 华润微集成电路(无锡)有限公司 改善谐波的有源功率因数校正电路、方法及驱动系统
US20230344335A1 (en) * 2022-04-25 2023-10-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factor corr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331A (en) * 1970-01-22 1972-07-18 Gte Laboratories Inc Sawtooth current generator
GB8817684D0 (en) * 1988-07-25 1988-09-01 Astec Int Ltd Power factor improvement
US5003454A (en) * 1990-01-09 1991-03-26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Power supply with improved power factor correction
KR0154776B1 (ko) * 1995-12-28 1998-12-15 김광호 역률 보상 회로
GB9608832D0 (en) * 1996-04-30 1996-07-03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5804950A (en) * 1996-06-20 1998-09-08 Micro Linear Corporation Input current modulation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52B1 (ko) * 2004-06-07 2008-11-10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낮은 스위칭 주파수 역률 보정 회로
KR101532423B1 (ko) * 2008-10-31 2015-07-0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역률 보상 회로 및 역률 보상 회로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8104B1 (en) 2001-01-23
JP2000165210A (ja) 2000-06-16
KR100286047B1 (ko) 2001-04-16
JP3398619B2 (ja)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047B1 (ko) 역톱니파를 이용한 역률 보정 회로
KR100280639B1 (ko) 역률보상회로
US7560917B2 (en) Current feed-through adaptive voltage position control for a voltage regulator
US5949229A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having an error signal multiplied by a current signal
US6100675A (en) Switching regulator capable of increasing regulator efficiency under light load
US6275397B1 (en) Power factor correction control circuit for regulating the current waveshape in a switching power supply
JP3994953B2 (ja) 力率改善回路
US4942509A (en) Control arrangement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US7132820B2 (en) Synthetic ripple regulator
KR100599239B1 (ko) 스위칭 전원 장치
JP2005528875A (ja) Dc−dcコンバータ
KR20010002302A (ko) 역률보상 제어기
KR19990012879A (ko) 전원공급장치의 역률개선회로
US119967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oltage compensation based on load conditions in power converters
US697783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4466089B2 (ja) 力率改善回路
US6972974B2 (en) Compensator to achieve constant bandwidth in a switching regulator
CN113726159A (zh) 降压转换器和电子装置
US4644254A (en) Switch controller having a regulating path and an auxiliary regulating path parallel thereto
KR100415187B1 (ko) 고역률보상회로
KR100415188B1 (ko) 역률보상회로
KR100524883B1 (ko) 역률 보정 회로
KR100415186B1 (ko) 역톱니파를이용한역률보상회로
JP289386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出力電圧可変方式
JP2568599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