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582A - 사다리 소방차 - Google Patents

사다리 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582A
KR19990084582A KR1019980016461A KR19980016461A KR19990084582A KR 19990084582 A KR19990084582 A KR 19990084582A KR 1019980016461 A KR1019980016461 A KR 1019980016461A KR 19980016461 A KR19980016461 A KR 19980016461A KR 19990084582 A KR19990084582 A KR 1999008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carriage
base frame
rai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432B1 (ko
Inventor
채관병
Original Assignee
이순주
주식회사 우리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주, 주식회사 우리특장 filed Critical 이순주
Priority to KR101998001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4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32B1/ko

Links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 후미측 샤시에 장착된 턴테이블(6)과, 다단으로 된 사다리부분(9)들이 메인 사다리부분(8)에 망원경식으로 신축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메인 사다리부분(8)에는 턴테이블에서 붐실린더(11)에 의해 기복가능하게 장착된 사다리장치(4), 상기 사다리부분(9)들을 신축시키도록 메인사다리부분(9)에 제공된 승강수단(23), 상기 사다리부분(9)들이 신장된 상태의 사다리장치에서 윈치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소화장비, 소방작업자 또는 구조인명등의 수송을 위한 캐리지수단(12), 및 소방펌프와 같은 소화장비와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수단(12)은 기부프레임(15)에 장착되는 기부(15')와 그 외측의 가드레일(16) 및 상기 기부프레임(15')과 가드레일(16)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 적어도 2개의 지주(17,17')를 구비하여 미사용시에는 지주(17,17')들이 기부프레임에 접혀져 절첩된 상태로 보지되고, 사용할 때에는 직립으로 세워져 고정되어 측면 가드레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다리 소방차
본 발명은 사다리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밀집지역에서도 원활한 소방 및 인명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다리 소방차를 소형화하고 사다리를 건물 또는 창가에 거치하거나 및 사다리로 사람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사다리를 통하여 인명구조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를 구비한 소형화된 사다리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급속한 산업을 발달과 더불어 도시화로 인한 인구의 집중현상에 따라 주거지역이 밀집화되고, 특히 많은 차량의 주거지역내 도로에의 주차로 생활공간과 도로가 매우 협소화되고 건물의 고층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에 소방 및 인명구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금까지 고층빌딩 및 높은 건물 화재발생시에 인명구조 장비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대부분 수입된 사다리 소방차를 사용하여 왔으며, 10 - 12m의 전장과 2.5m의 폭을 가진 대형트럭에 용접트러스트 구조물의 사다리장치와 5m 이상의 아웃트리거를 구비한 것으로 도로가 넓고 보다 고층의 건물환경의 외국의 환경에 적합한 사양에 따라 제작된 것이어서 국내의 도로사정과 주거환경 및 건물높이 등에 맞지 않게 대형화되어 있고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국내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재난사고 및 화재발생시에 인명구조 등에 적절하게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사다리 소방차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밀집된 도시공간 및 좁은 골목길에도 주행 및 회전이 가능하고, 차량의 크기에 비하여 고층까지 사다리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 작아 밀집된 곳에서의 화재시 인명구조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재난을 당한 사람들의 접근 및 구난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다리장치를 구비한 사다리 소방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난용 케이지의 절첩된 상태의 확대 측면도.
도 3는 도 3 케이지의 기부프레임에 구비된 브레이크장치와 이탈방지수단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도 1의 사다리 선단에 제공된 거치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다리 소방차는 후미측 샤시에 장착된 턴테이블과, 다단으로 된 사다리부분들이 메인 사다리에 망원경식으로 신축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메인 사다리는 턴테이블에서 붐실린더에 의해 기복가능하게 장착된 사다리장치, 상기 사다리부분들을 신축시키도록 메인사다리에 제공된 승강수단, 상기 사다리부분들이 신장된 상태의 사다리장치에서 윈치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캐리지수단, 및 소방펌프와 같은 소화장비와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수단은 기부프레임과 외측의 가드레일 및 상기 기부프레임에 고정된 기부와 가드레일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 적어도 2개의 지주를 구비하여 미사용시에는 절첩되도록 이루어지고, 신장된 사다리장치에서 구름이동하도록 된 롤러장치들이 프레임 기부에 제공되며, 캐리지를 견인하는 와이어로프 이상이 있을 때에 캐리지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브레이크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캐리지의 기부프레임에 제공된 하측 롤러들은 캐리지가 사다리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사다리장치의 최선단의 사다리부분의 자유단부에는 건물 또는 창가에의 안착을 안전하게 하도록 거치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의 측면도로서, 사다리 소방차(1)는 중소형 트럭에 소방펌프를 비롯한 소화장치(2)와 물탱크(3) 및 후미측 사다리장치(4) 및 샤시(5)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턴테이블(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에는 조작자용 조종석(6')과 조종반(6")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 장치(4)는 메인 사다리부분(8)에 복수개의 사다리부분(9)들이 망원경식으로 신장되거나 수축가능하게 끼워져 구성되며, 상기 메인 사다리부분(8)은 그 하단부가 상기 턴테이블에 힌지(10)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붐실린더(11)에 의해 사다리부분들(9)과 함께 메인 사다리부분(8)을 기복되게 한다.
상기 사다리장치(7)의 상면에는, 도 2에 절첩된 상태로 도시된 바와같은 캐리지(12)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12)는 사다리장치(7)의 레일(13)에서 구름운동하도록 된 상하측의 롤러장치(14,14')가 고정된 기부프레임(15)에 기부(15')가 고정되고 그 양측부에서 균등하게 이격된 3개소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가드레일(16)에 힌지연결된 지주(17,17')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최하측의 지주(17')에는 발판이 제공되어 사람 또는 장비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캐리지(12)는 미사용시에는 지주(17,17')들이 기부(15')에 위로 접혀져 절첩된 상태로 보지되고, 사용할 때에는 상기 지주들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부프레임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워져 사람 또는 소화장비등이 실려 승강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12)의 기부프레임(1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들어 캐리지를 견인하는 와이어로프가 끊어지는 등의 이상으로 더 이상 캐리지를 견인 및 지지하지 못하게 될 때에 캐리지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브레이크수단과 캐리지가 레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캐리지의 하강 브레이크수단은 장방형의 기부프레임(15)에 회동가능하게 양단부가 장착된 바(18)의 양단에 스토퍼(19)가 제공되고 그의 라운드진 외측면에 형성된 톱니가 형성된 한편, 기부프레임 내측의 바부분의 양측 상면에 각각 스프링(20)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를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작용하게 되고 타단은 기부프레임의 측면부재(21)의 내측면에 브라켓(2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부프레임(15)에는 메인 사다리부분(8)에 장착된 와이어로프 권치수단(23)에 의해(도 1) 권취되는 와이어로프(24)의 단부가 기부프레임의 하측 가로부재(25)에 고정된 도르레(26)를 통하여 상기 바(18)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권취수단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스프링(2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작용하므로 스프링(20)에 의해 바(18)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와이어로프(24)가 끊어지는 경우에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바(18)에 작용하는 힘이 없게 되는 한편, 스프링(20)들의 탄성력에 의해 바(18)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바(18)의 양단에 제공된 스토퍼(19)들이 회전하여 사다리부분의 레일 상면에 쐐기식으로 맞물리게 되어 브레이크작용을 하여 캐리지가 낙하하지 않고 정지되도록 하여 캐리지를 안전하게 한다.
또한, 캐리지의 기부프레임(15)의 상하 가로부재의 양단에 제공되어 사다리부분의 레일에서 구름운동하여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롤러장치(14)는 레일 상면에 구름접촉하도록 된 상단롤러(27)와 그로부터 이격되어 레일 저면에 구름접촉하며 캐리지를 지지하도록 지지부재(28)에 장착된 2개의 하단롤러(29)를 구비하고, 하부 롤러장치(14')는 레일(13)의 상면에 구름접촉하며 지지하는 2개의 상단롤러(30)와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레일의 저면에서 구름접촉하는 하단롤러(31)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레일(13)의 상면과 저면에 상하단롤러들이 맞물린 상태로 구름운동하면서 사다리부분들에서 캐리지의 승하강시 하부롤러장치를 중심으로 캐리지가 뒤집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모멘트를 지지하게 되어 캐리지의 이탈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캐리지가 사다리장치에서 승하강이동할 때 레일에서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기부프레임(15)의 상측(전방쪽) 롤러장치(14) 앞과 하측(후방쪽) 롤러장치(14')의 뒤로 각각 연장된 지지부재(32)에 보조롤러(33)가 장착되며, 상기 보조롤러는 레일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접촉하여 기부프레임을 측방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가이드한다.
상기 기부프레임(15)의 상측에 제공된 상단 롤러(27)들은 각각 에어실린더(34)에 의해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사다리부분(9)들이 삽입되어 레일들이 중첩됨에 따라 가장 내측 레일의 저면에 하단 롤러(29)들이 접촉하도록 사다리부분들이 끼워져 레일들이 중첩되거나, 사다리부분들의 신장시 레일들이 중첩된 상태에서 배출됨에 따른 하단 롤러(29)와 상단 롤러(27)사이의 간격 변화를 탄성적으로 수용하여 자동적으로 적합하게 레일면에 접촉되도록 피보트된다. 하측 롤러장치(14')에서는 상기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대신에 스프링(35)들을 사용하며 그 일단이 하단 롤러(31)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측의 가로부재(25)에 고정된다. 이때, 상단 롤러(30)에 대하여 하단 롤러(31)가 상술한 바와같이 탄성적으로 간격변화를 수용하도록 롤러(31)의 굴대가 지지부재(36)에 형성된 슬로트(37)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사다리장치(7)의 최선단측 사다리부분(9)의 자유단부에는 본 발명에 따라 거치대(40)가 제공되어 소방 또는 인명구조 작업시에 사다리를 건물벽의 상단턱 또는 창가에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람들이 그것을 잡고 캐리지(12)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인명구조 작업을 한다. 상기 거치대(40)는 최선단측 사다리부분(9)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고정되는 브라켓(41)에 지지부재(42)들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양측 난간부분(43)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선단의 사다리부분(9)의 단부에 통상 제공되는 와이어로프용 롤러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거치대(40)의 후단측에 롤러 장착용 브라켓(44)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다리장치에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 레일(50)이 제공되어 캐리지(12)의 하강시 지면까지 닿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할 수 있는 탑승자의 안전한 착지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보조 레일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메인 사다리부분(8)의 하단측 레일에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보지되는 한편, 사다리장치의 사용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수단을 제거한 상태로 사다리장치의 승강시 그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하단이 지면에 닿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소방차는, 중소형의 트럭 차체의 샤시 후미측에 가볍고 강한 알미늄합금재질의 사다리장치를 탑재하여 종래의 사다리 소방차에서 보다 차체 폭이 좁고 아웃트리거의 폭도 좁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길에서도 소방 또는 구난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케이지가 절첩식으로 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절첩된 상태로 보지되고 사용할 때에만 확개되어 안전하게 인명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상단의 사다리부분에 거치대를 장착하여 어떠한 각도에서도 안정되게 건물 또는 창틀에 사다리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사람들이 거치대를 잡고 안전하고 신속히 캐리지에 탑승할 수 있으므로 재난시 인명구조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후미측 샤시에 장착된 턴테이블(6)과, 다단으로 된 사다리부분(9)들이 메인 사다리부분(8)에 망원경식으로 신축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메인 사다리부분(8)에는 턴테이블에서 붐실린더(11)에 의해 기복가능하게 장착된 사다리장치(4), 상기 사다리부분(9)들을 신축시키도록 메인사다리부분(8)에 제공된 승강수단(23), 상기 사다리부분(9)들이 신장된 상태의 사다리장치에서 윈치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소화장비, 소방작업자 또는 구조인명등의 수송을 위한 캐리지수단(12), 및 소방펌프와 같은 소화장비와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수단(12)은 기부프레임(15)에 장착되는 기부(15')와 그 외측의 가드레일(16) 및 상기 기부프레임(15')과 가드레일(16)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 적어도 2개의 지주(17,17')를 구비하여 미사용시에는 지주(17,17')들이 기부프레임에 접혀져 절첩된 상태로 보지되고, 사용할 때에는 직립으로 세워져 고정되어 측면 가드레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다리 소방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장치(4)의 최선단의 사다리부분(9)의 자유단부에는 건물 또는 창가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거치대(40)가 제공되며, 상기 거치대는 최선단측 사다리부분(9)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고정되는 브라켓(41)에 지지부재(42)들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양측 난간부분(43)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거치대(40)의 지지부재(42)에 롤러 장착용 브라켓(4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2)는 신장된 사다리장치에서 구름이동하도록 된 상하측의 롤러장치(14,14')들이 기부프레임(15)에 제공되며, 캐리지(12)를 견인하는 와이어로프 이상이 있을 때에 캐리지(12)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브레이크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캐리지(12)의 기부프레임(15)에 제공된 롤러장치(14,14')들은 캐리지가 사다리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사다리장치(7)의 레일(13)에서 구름운동하도록 된 롤러장치(14,14')가 장착된 기부프레임(15)에 고정되는 기부(15')와 그 양측부에서 균등하게 이격된 적어도 2개소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가드레일(16)에 힌지연결된 지주(17,17')들을 포함하며, 최하측의 지주(17)에는 발판이 제공되고, 상기 캐리지는 미사용시에는 지주(17,17')들이 기부(15')에 위로 접혀져 절첩된 상태로 보지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지주들을 기부프레임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워져 가드레일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하강 브레이크수단은 장방형의 기부프레임(15) 중간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바(18)의 양단부에 제공되어 바의 회전시 캐리지를 정지시키도록 사다리부분의 레일(13) 상면에 대하여 맞물리는 스토퍼(19)가 고착되고, 기부프레임 내측의 바(18)의 양측 상면에 각각 스프링(20)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를 상기 스토퍼(19)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작용하게 되며, 타단은 기부프레임의 측면부재(21)의 내측면에 브라켓(22)에 고정되어 와이어로프(24)가 끊어지는 경우에 와이어로프에 의해 바(18)에 작용하는 지지력이 없게 되는 한편, 스프링(20)들의 탄성력에 의해 바(18)가 회전함에 따라 바(18)의 양단에 제공된 스토퍼(19)들이 회전하여 사다리부분의 레일(13) 상면에 맞물리게 되어 브레이크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이탈방지수단은 기부프레임(15)의 상하 가로부재의 양단에 제공된 상부 롤러장치(14)가 레일 상면에 구름접촉하도록 된 상단롤러(27)와 그로부터 이격되어 레일 저면에 구름접촉하며 캐리지를 지지하도록 지지부재(28)에 장착된 2개의 하단롤러(29)를 구비하고, 하부 롤러장치(14')는 레일(13)의 상면에 구름접촉하며 지지하는 2개의 상단롤러(30)와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레일(13)의 저면에서 구름접촉하는 하단롤러(31)를 포함하여, 사다리부분의 레일(13) 상면과 저면에 상하단롤러들이 맞물린 상태로 구름운동하면서 사다리부분들에서 캐리지의 승하강시 하부롤러장치를 중심으로 캐리지가 뒤집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모멘트를 지지하여 캐리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장치(4)의 메인 사다리부분(8)의 하단에는 그 레일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보지되며, 사다리장치의 사용할 때, 즉 승강시에는 메인 사다리부분(8)의 하단으로 부터 신장되어 지면에 닿도록 하는 보조 레일(5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소방차.
KR1019980016461A 1998-05-08 1998-05-08 사다리 소방차 KR10027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461A KR100277432B1 (ko) 1998-05-08 1998-05-08 사다리 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461A KR100277432B1 (ko) 1998-05-08 1998-05-08 사다리 소방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582A true KR19990084582A (ko) 1999-12-06
KR100277432B1 KR100277432B1 (ko) 2001-01-15

Family

ID=6589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461A KR100277432B1 (ko) 1998-05-08 1998-05-08 사다리 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4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164B1 (ko) * 2009-11-18 2012-01-0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호퍼 검사용 휴대사다리
CN110237466A (zh) * 2019-07-02 2019-09-17 北京中卓时代消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空专用消防救援车
CN114572915A (zh) * 2022-03-18 2022-06-03 徐工消防安全装备有限公司 升降滑车及云梯消防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77B1 (ko) 2013-03-13 2013-08-16 황여진 다단 접이식 사다리의 승강기 추락방지용 비상정지장치
KR101915391B1 (ko) * 2017-04-13 2018-11-08 양모 인명구조용 신축레일과 운반대를 포함하는 대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164B1 (ko) * 2009-11-18 2012-01-0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호퍼 검사용 휴대사다리
CN110237466A (zh) * 2019-07-02 2019-09-17 北京中卓时代消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空专用消防救援车
CN114572915A (zh) * 2022-03-18 2022-06-03 徐工消防安全装备有限公司 升降滑车及云梯消防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432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76B1 (ko)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101125513B1 (ko) 접이식 다리 구조가 구성된 인명구조용 탭 박스
US7204344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4601079A (en) Portable bridging apparatus
KR101262991B1 (ko) 사다리차용 승강기
US5394956A (en) Suspended tender box
KR100277432B1 (ko) 사다리 소방차
KR101374540B1 (ko) 고가 사다리차
WO2005025288A2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ement
US20050023082A1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GB2435641A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JPH04244173A (ja) 移動式クレーン車に取付け可能な踊り場
KR101230656B1 (ko) 고가 사다리차
JP2010261286A (ja) 分割可能伸縮昇降枠付可搬式高所作業台
RU2737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100666659B1 (ko) 소방차용 바스켓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KR102106627B1 (ko) 건축물 고정식 인명 구조 및 화재 진압용 고가 사다리 장치
KR200179946Y1 (ko) 고층건물의 화재용 인명 구조장치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102084127B1 (ko) 인명구조 사다리차용 확장형 접근계단
JPH08257153A (ja) 救助網装置
KR200209814Y1 (ko) 인명구조용 보조사다리 시스템이 구비된 고가사다리 소방차
US5749438A (en) Safety device for emergency ex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