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416A -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416A
KR19990084416A KR1019980016143A KR19980016143A KR19990084416A KR 19990084416 A KR19990084416 A KR 19990084416A KR 1019980016143 A KR1019980016143 A KR 1019980016143A KR 19980016143 A KR19980016143 A KR 19980016143A KR 19990084416 A KR19990084416 A KR 1999008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home network
protocol
client devic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112B1 (ko
Inventor
나일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6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112B1/ko
Priority to DE1999637473 priority patent/DE69937473T2/de
Priority to EP19990303439 priority patent/EP0955774B1/en
Priority to JP12642999A priority patent/JP3202205B2/ja
Priority to US09/306,403 priority patent/US6993785B1/en
Publication of KR1999008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112B1/ko
Priority to US11/124,110 priority patent/US764443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5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browsers or web-pages for accessing managemen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을 개시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은,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요구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면 소정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수수과정을 거쳐 해당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가져오고,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이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정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처리단계 및 웹 브라우저에서 어드레스들을 배열하여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본 발명은 홈 네크워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지탈 TV(DTV),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DVC:Digital Video Camera),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DVDP:Digital Versatile Disk Player), 디지탈 셋탑 박스등 각종 디지탈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홈 네크워크 구축을 위해 디지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IEEE 위원회에 의해 승인된 IEEE1394 규격이 주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가전 기기들은 자신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들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이 조작 버튼과 리모콘을 이용한 방법이다.
IEEE1394 규격을 만족하는 디바이스에서는 디바이스간의 제어를 위해서 제어 명령(Control Command)을 사용한다. 가장 대표적인 제어 명령으로서 AV/C CTS(A/V Control Command and Transaction Set)가 있다. 이 방식은 디바이스의 기능마다 16진수의 코드를 정의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VCR에 대한 플레이 명령은 16진수로 "OxC8"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현재 IEEE1394 TA에서는 각 디바이스군(예컨대, VCR군, 디스크군, 카메라군 등)별로 모든 제어 명령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IEEE1394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탈화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제어행위를 하는 주체가 되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 디바이스로, 제어대상이 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목적 디바이스로 구성하여 디바이스간의 제어가 이뤄질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홈 네크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번째, 제어 디바이스가 되는 하나의 디바이스는 각 목적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 세트를 모두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상당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인 부담을 가져온다. 두번재, 제어 디바이스는 제품 출시 당시에 구비된 명령 이외의 명령을 알지못하므로, 새로운 목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방법을 갖지 못한다. 세번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가 쉽지 않다. 즉,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통일된 GUI형태는 본질적으로 정의하기 어려우며 제품군별로 정의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EEE1394를 채용한 디바이스들에 웹 서버를 채용함으로써 각종 디바이스를 조작하는데 있어서의 공간적 제약을 없애고 각종 정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때, DTV나 PC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IEEE1394 디바이스는 웹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면 웹 서버를 내장한 IEEE1394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보다 용이할 것이다. 이 경우에, 인터넷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 또는 IP만 지원하며 홈 네트워크 제작자에 의해 정의된 특정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을 경우에 그 처리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러한 디바이스를 식별가능케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홈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웹서버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스택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에 따라 보여진 디바이스 페이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은,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요구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면 소정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수수과정을 거쳐 해당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가져오고,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이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정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처리단계 및 웹 브라우저에서 어드레스들을 배열하여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IEEE1394 기기들로 구성된 디지탈화된 홈 네트워크 환경 및 웹 서버를 내장하는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도 1은 홈 네트워크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1394 버스를 통해 DTV(102), DVCR(104), DVDP(106), DVC(108) 및 캠코더(110) 등이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DTV(102)(또는 PC등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 다른 디바이스)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내장하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lient Device)로서 동작하고, DVCR(104), DVDP(106) 및 DVC(108)는 웹 서버(Web Server)를 내장하며 서버 디바이스(Server Device)로 동작한다.
도 2는 웹 서버를 내장하는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스택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1394 기기는 빗금으로 표시된 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측으로 빗금이 표시된 부분은 IEEE1394 기기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며, 양측으로 빗금이 표시된 부분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IEEE1394 기기가 인터넷상의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IEEE1394 위에 IP over 1394층이, 그 위에 IP and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층이, 그 위에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층이 올라간다. 그리고, 모든 기기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 즉 웹 서버로서 동작하며 자신이 가진 기능을 묘사한 HTML 문서 계층(hiearchy)을 갖는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서버가 내장된 디바이스들로부터 각각의 홈 페이지를 불러와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인 DTV(102)는 파워온을 포함한 버스 리셋 등에 의한 상태 변화가 있을때마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서버 디바이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디바이스 페이지(device page)를 생성한다. 각 서버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자신을 대표하는 고유한 비트맵(bitmap) 파일 또는 아이콘 파일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파일은 웹 브라우저를 내장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현재 IEEE1394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일목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디바이스 페이지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지는 각 아이콘들은 각 서버 디바이스의 최상위 레벨 HTML 페이지에 연결된다.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한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가져오고, 결국 그 어드레스에서 각 디바이스의 고유한 아이콘 파일을 읽어오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각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아이콘 파일을 가져올 수 있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서버 디바이스가 모두 인터넷 프로토콜 및 홈 네트워크 제작자에 의해 정의된 특정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해야 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IP 및 HTTP를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예컨대, 도 1에서 IEEE1394 버스를 통해 홈 네트워트에 연결된 캠코더(110)가 단지 IEEE1394 규격을 만족하는 디바이스일뿐 웹 서버를 내장하지 않는 디바이스라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할 시에 캠코더(110)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기가 곤란할 것이다. 또한, 캠코더(110)가 웹 서버를 내장하는 디바이스이더라도 홈 네트워크 제작자에 의해 정의된 특정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마찬가지로 캠코더(110)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기가 곤란할 것이다.
이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디바이스 페이지는 버스 리셋시에 생성되므로, 먼저, 버스 리셋인가를 판단한다(제302단계). 버스 리셋시에 웹 브라우저를 내장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도 1을 참조하면 DTV(102))는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할 단계로 들어간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가져오기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한다(제304단계). 통상적으로, 디바이스 페이지는 서버 디바이스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소정의 IP 어드레스 수수과정을 거쳐 가져오고, 웹 브라우저에서 IP 어드레스로부터 아이콘 파일 예컨대, icon.gif를 읽어옴으로써 사용자에게 아이콘을 보여주게 된다. 그러나, IP 및 HTTP를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304단계 후에,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를 액세스하여 각각이 IP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한다(제306단계). 액세스된 서버 디바이스가 IP over 1394 규격을 준수하는가의 여부는 네트워크 채널 레지스터(NCR:Network Channel Register)를 읽어봄으로써 즉, 비동기 독출 트랜잭션을 수행해보면 알 수 있다. 다음에 제306단계가 만족되면, 액세스된 서버 디바이스가 HTTP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한다(제308단계). 여기서, HTTP를 지원하는가의 여부는 예컨대, 홈 네트워트 제작자가 원하는 프로토콜을 만족시키는 디바이스를 구별하기 위해 제이 및 상태 레지스터(CSR:Control and Status Register) 영역에 미리 정의해둔 소정의 레지스터를 읽어봄으로써 알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서버 디바이스에 HTTP를 통해 특정 파일(예컨대, attribute file)을 요구한 다음, 그에 대한 응답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다.
제308단계가 만족되면, 액세스된 서버 디바이스는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므로, 소정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수수과정을 거쳐 해당 IP 어드레스를 가져온다(제310단계). 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는 액세스된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가져올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미리 할당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새로운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도 있다. 한편, IP를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 및 HTTP를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가져온다(제312단계). 즉,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정한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제310단계 또는 제312단계 후에, 가져온 어드레스들을 배열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한다(제314단계).
생성된 디바이스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를 프로그래밍한 프로그래머가 설정된 소정의 조건 시간이 되면 웹 브라우저에서 보여준다(제316단계). 이때, 고유한 IP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 디바이스는 해당 어드레스로부터 가져온 고유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그렇지못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디폴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에 따라 보여진 디바이스 페이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DTV의 디스플레이 화면(402)상에 웹 브라우저 화면(404)이 도시되어 있고, 디바이스 페이지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의 아이콘들(406,408,4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캠코더(110)가 IP를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미리 내장된 디폴트 아이콘(414)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이것은 알려지지않은 디바이스(unknown device)로 취급된다.
사용자가 DVCR 아이콘(406)을 선택하게 되면,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를 내장한 DVCR의 최상위 레벨 HTML 페이지에 연결되어 그 내용을 읽어오지만, 사용자가 디폴트 아이콘(414)을 선택하게 되면, 웹 브라우저는 자신이 미리 내장하고 있는 디폴트 페이지 즉, 웹 페이지에 연결하여 그 내용을 표시한다. 즉, 알려지지않은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페이지상의 표시 정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다. 만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그 표시 정보를 가지고 있지않다면, 사용자에게 디폴트 아이콘을 갖는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없음을 메시지로 알릴 것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미리 가지고 있는 표시 정보에 의해 인식가능한 디바이스인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그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기존의 AV/C CTS 등의 제어 명령을 수행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디폴트 페이지에 리모콘등에 의한 제어 명령 사용방법등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매체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탈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롬, 플로피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CD-ROM, DV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인터넷을 통해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요구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면 소정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수수과정을 거쳐 해당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가져오고,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이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정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처리단계 및 웹 브라우저에서 어드레스들을 배열하여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판단단계로서, 액세스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채널 레지스터를 읽어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하고,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면, 미리 정의된 특정 레지스터를 읽어 홈 네트워크 제작자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더 판단하도록 코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은,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러한 디바이스를 식별가능케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복수개의 서버 디바이스가 연결된 홈 네트워크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액세스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요구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면 소정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수수과정을 거쳐 해당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가져오고,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이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정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처리단계; 및
    웹 브라우저에서 상기 어드레스들을 배열하여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디바이스 페이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액세스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채널 레지스터를 읽어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이면, 미리 정의된 특정 레지스터를 읽어 상기 홈 네트워크 제작자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인가를 더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두개의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생성된 디바이스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보여줄 경우에,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갖는 디바이스는 고유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디폴트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폴트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미리 갖고 있는 상기 원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내부적으로 제어 명령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KR1019980016143A 1998-05-06 1998-05-06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KR10026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43A KR100261112B1 (ko) 1998-05-06 1998-05-06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DE1999637473 DE69937473T2 (de) 1998-05-06 1999-04-30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Geräteseite beim Verbinden eines Gerätes mit einem Hausnetzwerk, das ein vorgegebenes Protokoll nicht unterstützt
EP19990303439 EP0955774B1 (en) 1998-05-06 1999-04-30 Method of creating a device page upon connecting a device which does not support a predetermined protocol to home network
JP12642999A JP3202205B2 (ja) 1998-05-06 1999-05-06 所定のプロトコールを支援しないディバイス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連結時のディバイスページの生成方法
US09/306,403 US6993785B1 (en) 1998-05-06 1999-05-06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reating a device page for a device which does not support a predetermined protocol on a home network
US11/124,110 US7644430B2 (en) 1998-05-06 2005-05-09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reating a device page for a device which does not support a predetermined protocol on a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43A KR100261112B1 (ko) 1998-05-06 1998-05-06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416A true KR19990084416A (ko) 1999-12-06
KR100261112B1 KR100261112B1 (ko) 2000-07-01

Family

ID=1953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143A KR100261112B1 (ko) 1998-05-06 1998-05-06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993785B1 (ko)
EP (1) EP0955774B1 (ko)
JP (1) JP3202205B2 (ko)
KR (1) KR100261112B1 (ko)
DE (1) DE69937473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75B1 (ko) * 1999-10-19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웍 시스템에서의 웹서버를 내장하지 않은 디지털기기의 제어방법
KR100946408B1 (ko) * 2002-04-08 2010-03-08 노키아 코포레이션 적응성 웹 브라우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9792C (zh) * 1999-05-21 2006-06-14 株式会社帝慈汀·美仁美 一种服务提供系统和方法及其中使用的移动终端
EP1175677B1 (en) * 1999-11-19 200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a home network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with regional support
US6901557B1 (en) * 2000-02-25 2005-05-31 Intel Corporation State/activity indication using icons on an LCD
KR20010092525A (ko) * 2000-03-22 2001-10-26 윤종용 인터넷 프로토콜 근간 네트워크 기기로서 비 인터넷프로토콜 근간 네트워크 기기의 제어를 이루는 인터넷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CN100469023C (zh) * 2000-05-12 2009-03-11 汤姆森特许公司 数字电视装置和用于在数字总线中建立通信信道的方法
KR100656150B1 (ko) * 2000-06-09 2006-12-12 안종선 커뮤니티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7620703B1 (en) * 2000-08-10 2009-1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pical service provides context information for a home network
KR100667742B1 (ko) * 2000-08-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기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 제어 방법
KR20030001362A (ko) * 2000-12-20 2003-01-0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와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US20030028903A1 (en) * 2001-07-31 2003-02-06 Klaus Hofrichter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processing data for display on a display device
US8515773B2 (en) 2001-08-01 2013-08-2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tribution and brokering of content information
KR100758791B1 (ko) * 2001-11-07 2007-09-14 주식회사 케이티 홈네트워크 장치 제어를 위한 프록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030106067A1 (en) * 2001-11-30 2003-06-05 Hoskins Steve J. Integrated internet protocol (IP) gateway services in an RF cable network
KR100467579B1 (ko) * 2001-12-24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HAVi 네트워크 시스템의 피제어 장치를non-IEEE1394망을 통해 제어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US7827607B2 (en) * 2002-11-27 2010-11-02 Symantec Corporation Enhanced client compliancy using database of security sensor data
US8768844B2 (en) 2004-10-06 2014-07-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JP4519687B2 (ja) * 2005-03-18 2010-08-0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7805752B2 (en) * 2005-11-09 2010-09-28 Symantec Corporation Dynamic endpoint compliance policy configuration
US8239915B1 (en) 2006-06-30 2012-08-07 Symantec Corporation Endpoint management using trust rating data
WO2012177413A1 (en) 2011-06-24 2012-12-27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viewing data and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s at a set top box
US9788069B1 (en) 2011-06-24 2017-10-1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recommended content within a user device
US10055746B1 (en) 2011-06-24 2018-08-2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feedback for a content recommendation by various algorithms
US9032451B2 (en) 2011-09-01 2015-05-1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cond screen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set top box to enhance a user experience
DE102012101674A1 (de) * 2012-02-29 2013-08-29 Deutsche Telekom Ag Zugriff auf Ressourcen innerhalb eines lokalen Netzwerks
JP5615316B2 (ja) * 2012-04-13 2014-10-2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サーバ
US10003780B1 (en) 2013-03-14 2018-06-1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recommended content within a user device and indicating recording capacity
CN104202222B (zh) * 2014-08-20 2019-09-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家居控制器及其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5828C (zh) * 1993-07-30 2009-09-30 佳能株式会社 控制连接到网络的网络设备的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JPH09116819A (ja) 1995-10-24 1997-05-02 Sony Corp プラグ・アンド・プレイavシステム
WO1997018636A2 (en) * 1995-11-13 1997-05-22 Webtronics, Inc. Control of remote devices using http protocol
JP3911047B2 (ja) 1996-04-30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録画予約制御システム及び録画予約制御方法
JP3748127B2 (ja) 1996-05-21 2006-02-22 アンリツ株式会社 広域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遠隔制御システム
US5883621A (en) *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JPH10117393A (ja) 1996-10-11 1998-05-06 I S A:Kk 外部機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6324267B1 (en) * 1997-01-17 2001-11-27 Scientific-Atlanta, Inc. Two-tiered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for a cable data delivery system
US6219697B1 (en) * 1997-05-02 2001-04-17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internet protocol over a high-speed serial bus
US5926463A (en) * 1997-10-06 1999-07-20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and managing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network
US5862452A (en) * 1997-10-20 1999-01-19 Motorola, Inc. Method, access point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for low complexity dynamic persistence mode for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37049B1 (en) * 1998-01-06 2001-05-22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and discovering proxy functionality on a distributed audio video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75B1 (ko) * 1999-10-19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웍 시스템에서의 웹서버를 내장하지 않은 디지털기기의 제어방법
KR100946408B1 (ko) * 2002-04-08 2010-03-08 노키아 코포레이션 적응성 웹 브라우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5774A3 (en) 2004-01-02
US20050204392A1 (en) 2005-09-15
JP2000013445A (ja) 2000-01-14
EP0955774B1 (en) 2007-11-07
JP3202205B2 (ja) 2001-08-27
EP0955774A2 (en) 1999-11-10
US7644430B2 (en) 2010-01-05
KR100261112B1 (ko) 2000-07-01
DE69937473D1 (de) 2007-12-20
US6993785B1 (en) 2006-01-31
DE69937473T2 (de)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112B1 (ko)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JP4726397B2 (ja) インタフェース提供方法
JP5591673B2 (ja) 外部通信ネットワークからホームネットワーク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JP3735942B2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US20060031828A1 (en) Methodof apparatus for updating software of network device
JP2005135414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単純で動的な構成
US20090326684A1 (en) Home Network Device Information Architecture
KR100385967B1 (ko) 네트웍상에서의서버기기접속방법
JP2003507802A (ja) 外部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装置通信及び制御
KR100636784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JP4365401B2 (ja) 通信制御プログラ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装置
KR19990086325A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그룹핑 디스플레이 방법 및그룹핑 지원 가능한 디바이스
KR10026389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액세스 제한방법
KR100258963B1 (ko) 외부 네트워크의 홈 네트워크로의 액세스시에 도메인 네임 처리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50160B1 (ko) UPnP 상에서 디바이스의 기능을 예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65745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핫 링크 제공방법
JP485644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装置
KR20060064935A (ko) 홈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528473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周辺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34210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