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151A - 충격 완충용 튜브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151A
KR19990084151A KR1019990040313A KR19990040313A KR19990084151A KR 19990084151 A KR19990084151 A KR 19990084151A KR 1019990040313 A KR1019990040313 A KR 1019990040313A KR 19990040313 A KR19990040313 A KR 19990040313A KR 19990084151 A KR19990084151 A KR 1999008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ock
present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주식회사 테크노.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주식회사 테크노.티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9004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4151A/ko
Publication of KR1999008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151A/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완충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방지용 튜브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튜브 내부의 공기가 일시적으로 빠져 나오며 초과되는 충격을 흡수 완화시킨 후 다시 튜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튜브에 일정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져도 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완화시켜 재산상의 손실은 물론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를 수용하는 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보강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충격 완충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측에 상기 튜브와 일체로 되는 실린더 몸체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 몸체의 내부에 기밀 유지용 O-링이 설치된 피스톤과 스프링을 형성하여서 된 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충격 완충용 튜브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한 충격이 가해질 때 튜브가 터지지 않고, 충격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흡수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가항력적인 사고 또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곳에 설치 사용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충격 완충용 튜브 {Tube for sock-absorbing}
본 발명은 충격 완충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범퍼 또는 가드레일 등에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 완충하는 튜브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보다 더 큰 충격에도 터지지 아니하고 신속히 충격을 흡수 완충시키는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추돌이나 충돌과 같은 사고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범퍼가 구비되어 있고,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는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사고 발생 시 그 피해가 최소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범퍼나 가드레일은 경미한 충격이 발생했을 때, 그 충격을 완충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보다 더 큰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무용지물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튜브를 형성하여 자동차용 범퍼와 가드레일에 설치하는 기술을 발명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155332호 및 98-155333호로 제안한 바 있다.
즉, 내부에 보강대를 형성한 튜브를 구비하고, 이 튜브를 범퍼 또는 가드레일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추돌 또는 충돌 등으로 인해 자동차 또는 가드레일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 충격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 층에 흡수되며 완화되어 자동차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서도 극심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튜브가 터지면서 파손되어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통상적인 규정속도로 주행하다 발생되는 사고에 의한 충격은 상기 충격 완충용 튜브가 이겨낼 수 있을 정도이어서 그 충격을 흡수 완화할 수 있으나, 자동차를 주행하다 보면 본의 아니게 상기 규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와 같은 속도에서 추돌 또는 충돌이 있으면 그 충격은 엄청난 것이어서 상기 튜브가 이겨낼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속도에서 추돌 또는 충돌이 있으면 범퍼 또는 가드레일에 설치된 충격 완충용 튜브가 추돌 또는 충돌시의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터지게 되어 자동차와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하여 재산상의 손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될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완충용 튜브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튜브 내부의 공기가 일시적으로 빠져 나오며 초과되는 충격을 흡수 완화시킨 후 다시 튜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튜브에 일정범위 이상의 충격이 가해져도 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완화시켜 재산상의 손실은 물론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충격 완충용 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를 수용하는 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보강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충격 완충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측에 상기 튜브와 일체로 되는 실린더 몸체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 몸체의 내부에 기밀 유지용 O-링이 설치된 피스톤과 스프링을 형성하여서 된 실린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의 실시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의 다른 실시상태 단면도
* 도면의 부호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충격 완충용 튜브 11 : 튜브 12 : 보강대
14 : 실린더 15 : 실린더 몸체 16 : 피스톤
17 : O-링 18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13)가 수용되는 내부에 보강대(12)를 형성한 튜브(11)를 구비하고 이 튜브(11)의 일측에 실린더(14)를 구비하되, 이 실린더(14)는 상기 튜브(11)와 일체로 되며 하단에 구멍(19)을 형성한 실린더 몸체(15)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기밀유지용 O-링(17)이 설치된 피스톤(16)과 이 피스톤(16)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8)을 형성하여 충격 완충용 튜브(10)를 구비하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를 자동차의 범퍼에 설치한 실시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를 가드레일에 설치한 실시상태 단면도이며, 미 설명 부호 20은 자동차용 범퍼, 21은 가드레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튜브(11)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 충격이 튜브(11)를 압축하게 되며 튜브(11)가 압축됨에 따라 튜브(11) 내부에 있는 공기(13)도 압축되는데, 이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 소멸되고 튜브(11)는 내부에 있는 공기(13)의 반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하게 된다.
그러나 튜브(11)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한 충격이 상기 튜브(11)에 가해질 경우, 상기 충격에 의해 튜브(11)와 그 내부에 있는 공기(13)가 압축되나, 튜브(11)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면 압축된 공기(13)의 일부가 실린더(14)내부로 유입되어 튜브(11)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며 충격을 흡수 소멸시킨다.
즉, 첨부한 도면 도 2에서와 같이 튜브(11)에 충격이 가해지면 튜브(11)와 공기(13)가 압축되고, 그 힘이 튜브(11)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점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13)의 일부가 실린더 몸체(15)의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16)을 압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16)이 압박을 받게 되면 이 피스톤(16)은 후단에 있는 스프링(18)을 압박하며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16) 전방에 생긴 공간에는 튜브(11) 내부에 있던 공기(13)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11)는 터질 위험에서 벗어나게 되며 동시에 충격을 흡수 소멸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피스톤(16)이 스프링(18)을 압박하며 후방으로 밀릴 때, 상기 피스톤(16)의 후방에 있는 공기는 실린더 몸체(15)에 형성된 구멍(19)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피스톤(16)이 밀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충격을 흡수 소멸시키면 스프링(18)의 반발력에 의해 피스톤(16)이 전방으로 밀려가고, 이에 따라 실린더 몸체(15) 내부로 유입되었던 공기(13)는 튜브(11) 내부로 유입되어 충격에 의해 일부분이 밀려들었던 튜브(1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때, 피스톤(16) 후방의 공간부는 피스톤(16)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부압이 발생되어 피스톤(16)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되는 것을 방해할 우려가 있으나, 실린더 몸체(15)에 구멍(19)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구멍(19)을 통해 실린더 몸체(15) 외부의 공기가 실린더 몸체(15)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16) 후방의 공간부에 채워지므로, 피스톤(16)이 원위치 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완충용 튜브(10)를 사용하는 실시예로서, 도 3은 자동차의 범퍼(20)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로의 중앙이나 가장자리에 설치한 가드레일(21)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충격을 흡수 소멸시키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여기서는 범퍼(20)와 가드레일(21)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도 충격이 빈번히 발생할 우려가 있고, 그로 인해 인명과 재산에 피해가 우려되는 곳이면 어느 곳이라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격 완충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용 튜브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한 충격이 가해질 때 튜브가 터지지 않고, 충격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흡수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가항력적인 사고 또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곳에 설치 사용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Claims (1)

  1. 공기(13)를 수용하는 튜브(11)의 내부에 보강대(1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충격 완충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튜브(11)의 일측에 상기 튜브(11)와 일체로 되는 실린더 몸체(14)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 몸체(14)의 내부에 기밀 유지용 O-링(17)이 설치된 피스톤(17)과 스프링(18)을 형성하여서 된 실린더(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용 튜브.
KR1019990040313A 1999-09-18 1999-09-18 충격 완충용 튜브 KR19990084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13A KR19990084151A (ko) 1999-09-18 1999-09-18 충격 완충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13A KR19990084151A (ko) 1999-09-18 1999-09-18 충격 완충용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151A true KR19990084151A (ko) 1999-12-06

Family

ID=5476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13A KR19990084151A (ko) 1999-09-18 1999-09-18 충격 완충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41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12B1 (ko) * 2001-06-12 2003-12-18 함의신 멀티 셀 튜브를 이용한 완충부재와 이 완충부재를 이용한자동차 범퍼용 에너지 압쇼버
KR2018007011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너지 업소버 복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업소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0833U (ko) * 1975-09-22 1976-06-04
KR870009955U (ko) * 1985-12-27 1987-07-09 이상춘 자동차 밤퍼 (Bumper) 의 충격방지장치
KR900006559U (ko) * 1988-09-16 1990-04-02 정태근 자동차용 안전범퍼
KR940003786A (ko) * 1992-08-26 1994-03-12 윤여환 자동차용 범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0833U (ko) * 1975-09-22 1976-06-04
KR870009955U (ko) * 1985-12-27 1987-07-09 이상춘 자동차 밤퍼 (Bumper) 의 충격방지장치
KR900006559U (ko) * 1988-09-16 1990-04-02 정태근 자동차용 안전범퍼
KR940003786A (ko) * 1992-08-26 1994-03-12 윤여환 자동차용 범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12B1 (ko) * 2001-06-12 2003-12-18 함의신 멀티 셀 튜브를 이용한 완충부재와 이 완충부재를 이용한자동차 범퍼용 에너지 압쇼버
KR2018007011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너지 업소버 복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업소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4151A (ko) 충격 완충용 튜브
RU2261187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автомобиля и пешехода при автомобильной аварии
JPH0826049A (ja) 自動車用衝突力緩衝装置
KR960005994B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00595969B1 (ko) 차량용 부분 충돌 안전 범퍼
KR200336645Y1 (ko) 완충 스프링이 내입된 자동차용 범퍼
KR100317877B1 (ko) 트럭의 후방 충격 완화 장치
KR0171345B1 (ko) 도어의 측면 충돌충격 흡수용 내부재
KR200284054Y1 (ko) 자동차범퍼의 충격완화장치
KR200149002Y1 (ko) 자동차 범퍼 구조
KR200344743Y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81014Y1 (ko) 차량용 충돌 방호장치
JP2017094961A (ja) 衝撃吸収式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
KR100392013B1 (ko) 보행자 보호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범퍼
KR19990004569U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 빔 구조
KR0118987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100369554B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2712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950010367Y1 (ko) 자동차용 충격방지 보조범버
KR2002278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19980052116U (ko) 유체 실린더를 지니는 완충범퍼
KR19980045734U (ko) 차량용 충격 흡수 범퍼 가아드
KR20030073798A (ko) 자동차용 범퍼 보강구조
KR19980044684U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KR19980029625A (ko) 차량용 범퍼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