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323A - 압전발음기 - Google Patents

압전발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323A
KR19990083323A KR1019990013925A KR19990013925A KR19990083323A KR 19990083323 A KR19990083323 A KR 19990083323A KR 1019990013925 A KR1019990013925 A KR 1019990013925A KR 19990013925 A KR19990013925 A KR 19990013925A KR 19990083323 A KR19990083323 A KR 1999008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ylinder
piezoelectric
wall por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시타쯔요시
Original Assignee
노무라 마사나리
호쿠리쿠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72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086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72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08696A/ja
Application filed by 노무라 마사나리, 호쿠리쿠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무라 마사나리
Publication of KR1999008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통체에 측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측벽부가 크게 휘어지는 일이 없는 압전 발음기를 얻는다. 제1 케이스절반부(7)와 제2 케이스절반부(8)를 조합해서 수납 케이스(13)를 구성한다. 수납 케이스(13) 내부에 압전 진동자(9)를 수납한다. 제1 케이스절반부(7)의 측벽부(7c)에 전기실측 개구부(7e)와 연이어 통하는 통체(7b)를 일체적으로 설치한다. 통체(7b) 기부(7bl)의 일부(7b2)가 제1 케이스절반부(7)의 둘레벽부(7d)의 일부와 대향하도록 측벽부(7c)의 외주부근처의 위치에 통체(7b)를 배치한다. 측벽부(7c)를 향함에 따라 통체(7b)의 중심에서 외부를 향해 넓어지는 고리모양의 보강용 테이퍼부(7g)를 통체(7b)의 기부(7bl)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압전 발음기{PIEZOELECTRIC ACOUSTIC SOUND COMPONENT}
본 발명은, 압전 발음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압전 발음기는, 압전 진동자에 의해 수납 케이스의 내부를 전기실과 후기실로 구분하도록, 절연수지제의 수납 케이스내부에 압전 진동자가 수납되어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다기능화가 요구되어지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표면 또는 조작면측에 다기능화에 이용하는 부품을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전기실측에 위치해서 압전 진동자와 마주 향하는 케이스의 측벽부에 전기실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를 내부에 구비하는 통체를 설치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통체를 설치하면, 케이스의 전기실측 측벽부와 전자기기의 하우징과의 사이에는, 통체의 길이에 따른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자기기의 조작면의 면적을 크게하는 일없이 조작면의 부품설치공간을 넓힐 수 있다. 특히, 통체를 측벽부의 외주부 근처의 위치에 배치해서 측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시키면, 통체의 존재가 실질적으로 거추장스럽지 않고 케이스의 전기실측의 측벽부와 전자기기 하우징과의 사이의 간극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압전 발음기에서는, 후기실과 케이스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후기실측 개구부(누설구멍)가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고, 이 누설구멍을 막도록 제동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전 발음기를 배치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는, 통체의 통로와 전자기기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방음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구멍으로부터 전기실내에 물이나 먼지가 들어 가면, 압전 발음기의 수명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전자기기의 하우징내면에는, 방음구멍을 막도록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는 천(布)이 점착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 또는 방진용 천을 설치해도, 조립의 오차나 실수, 또는 천의 불량에 의해, 물이나 먼지가 전기실내부로 들어 가는 일이 있으며, 전자기기 케이스의 방음구멍으로부터 전기실내부로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없다. 또한, 전기실내부로 물이 들어 가면 압전 진동자를 케이스에 지지하는 접착제나 점착제의 열화(劣化)의 원인이 되어, 압전 발음기의 수명이 짧아진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종래에서는 후기실측 개구부측에 배치하고 있던 제동포(制動布)를 전기실측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하고, 용제를 사용하여 제동포를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에 접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제동포를 전기실측 개구부측에 배치하면, 전자기기 하우징의 방음구멍을 막는 방수 또는 방진용 천을 통과한 물이나 먼지가 전기실로 침입하는 것을 제동포에 의해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제동포를 용제를 사용해서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접합을 행한다. 먼저, 통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전기실측 개구부에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에 제동포를 얹어 놓고, 제동포는 녹이지 않지만 합성 수지재료는 녹이는 용제를 제동포의 위에 도포 한다. 이것에 의해,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의 합성수지재료는 용제에 의해서 녹아서 제동포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 부착한 합성수지재료를 접합제로서 제동포를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에 접합한다.
그러나, 압전 발음기의 통체의 선단부를 하우징 또는 방음구멍을 막는 천에 접촉시키면 통체에는 수납 케이스의 측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힘이 커지거나, 또는 측벽부의 강도가 낮으면, 측벽부가 휘고, 수납 케이스의 전기실의 용적이 변화하여, 압전 발음기의 특성이 변화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측벽부의 두께를 두껍게 해서, 측벽부에 기계적 강도를 갖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측벽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압전 발음기의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압전 발음기의 소형화의 요구에 역행하는 것이 된다.
전기실측 개구부의 중심이 측벽부의 외주부 근처에 위치하는 통체의 중심에 대응하도록 전기실측 개구부를 형성하면, 전기실측 개구부와, 상기 전기실측 개구부에 가장 가까운 측벽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결과로서 제동포의 치수(실질 지름)가 작아진다. 제동포의 실질 지름이 작아지면, 용제가 제동포전체로 퍼져 용융한 합성수지가 전기실측 개구부내로 들어 온다. 그 결과, 전기실측 개구부의 개구율이 작아져서 주파수 특성에 변동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체가 측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측벽부가 크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전 발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파수 특성의 변동이 적은 압전 발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개량의 대상이 되는 압전 발음기는, 압전 세라믹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진동자와, 합성수지제의 제1 케이스절반부와 제2 케이스절반부가 조합되어져서 구성되고, 내부에 압전 진동자를 수납하는 두 개로 분할된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의 케이스절반부는, 전기실측 개구부가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주위에서 세워지는 둘레벽부를 갖고 있다. 제1 케이스절반부는, 압전 진동자와의 사이에 전기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절반부의 측벽부에는, 측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해서, 전기실측 개구부를 통해서 전기실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를 내부에 구비하는 통체의 기부가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체 기부의 일부를 제1 케이스절반부의 둘레벽부의 일부와 마주 향하도록 통체를 측벽부의 외주부근처의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통체 기부의 일부와 둘레벽부의 일부가, 통체가 연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늘어서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압전 발음기에서는, 통체에 측벽부를 향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그 힘의 일부는, 제1 케이스절반부의 둘레벽부의 일부에서 적극적으로 분담된다(받게된다). 그 때문에, 힘이 극단적으로 크지 않으면, 측벽부가 크게 휘어지는 일은 없고, 전기실의 용적이 크게 변화하는 일은 없다.
또, 통체의 기부에는, 측벽부를 향함에 따라 통체의 중심에서 외부를 향해서 넓어지는 보강용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강용 테이퍼부를 설치하면, 통체에 가해지는 힘을 받는 면적(분담 면적)이 늘어난다. 그 때문에, 통체에 가해지는 힘이 다소 커진 경우라도, 통체의 기부에서 측벽부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의 힘을 작게 할 수가 있고, 측벽부의 휘어짐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용 테이퍼부는 부분적으로 설치해도 되지만, 통체 기부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듯이 고리모양으로 하면, 분담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보강용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강용 테이퍼부 일부를 둘레벽부의 일부와 마주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후기실측 개구부측에 배치했던 제동포를 전기실측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하면, 전자기기 하우징의 방음구멍을 막는 방수 또는 방진용 천을 통과한 물이나 먼지가 전기실에 침입하는 것을 제동포에 의해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동포를 전기실측 개구부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측벽부가 휘어지면, 제동포와 압전진동자와의 거리가 짧아지고, 압전 발음기의 주파수의 특성의 변화가 매우 커진다. 그 때문에, 전기실측 개구부가 제동포에 의해 막혀져 있는 압전 발음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는 매우 큰 것이 된다.
제동포는, 제동포는 녹이지 않지만 전술한 합성수지재료는 녹이는 용제에 의해 녹여진 전기실측 개구부 주위의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의 합성수지재료를 접합제로서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에 접합된다. 그리고, 전기실측 개구부는, 그 중심이 통체의 중심에서 측벽부의 중심측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통체가 원통형이고, 전기실측 개구부가 원형인 개구부이면, 원통 내주에 원형 개구부를 내접시킨 상태가 가장 제동포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전기실측 개구부를, 그 중심이 통체의 중심에서 측벽부의 중심측에 가깝도록 형성하면 전기실측 개구부의 중심과 측벽부 내측 표면부의 외주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것은, 제동포가 완전한 원형이라고 한다면, 제동포의 지름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동포가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해도 그 실질 지름은 커진다. 제동포의 실질 지름이 커지면, 제동포위에 도포한 용제가 제동포의 외측을 향해서 퍼지듯이 침투한다. 이와 같이 용제가 퍼지면, 용융한 합성수지재료도 용제와 같이 외측으로 이동하고, 전기실측 개구부에 거의 들어가는 일이 없어져 전기실측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동포의 다공율 또는 개구율이 대폭 작아지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주파수 특성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효과를 확실히 얻기 위해서는, 제동포의 크기는, 용제에 의해 녹여진 합성 수지가 전기실측 개구부에 침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해야된다. 다른 방법으로 하면, 제동포의 외주영역에 용제가 침투하지 않는 부분이 남는 정도의 크기를 제동포가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합성수지재료는, 휘발성의 용제에 의해 쉽게 녹고 또한 용제가 휘발하면 빠르게 다시 경화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을 사용하면, 녹은 합성수지재료로부터 용제가 단시간에 휘발해서, 제동포와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를 단시간에 접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예의 압전 발음기(또는 압전 스피커)를 내부에 배치한 휴대전화의 수화기의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예의 압전 발음기의 표면측 케이스(7)의 압전변환기(2)의 외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B)는, 표면측 케이스(7)의 이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예의 압전 발음기의 압전 진동자의 개략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하우징 2…압전변환기
7…표면측 케이스(제1 케이스절반부) 7a…표면측 케이스 본체
7b…통체 7bl…기부
7c…측벽부 7d…둘레벽부
7e…전기실측 개구부 7j…통로
7f…돌기 7g…보강용 테이퍼부
8…이면측 케이스(제2 케이스절반부) 9…압전 진동자
9a…금속제 진동판 9b…압전 세라믹 소자
10…제동포(制動布) 11…방수·방진용 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예의 압전 발음기(또는 압전 스피커)를 내부에 배치한 휴대전화의 수화기의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수화기의 하우징이고, (2)는 이 하우징(1)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압전 발음기이다. 하우징(1)은 하우징 본체(3)의 내벽부에 원통형상을 갖는 압전 변환기 부착용 통모양의 끼워 맞춤부(4)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3)는, 액정의 표시부품(5) 등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조작면부(3a)를 갖고 있다. 통모양의 끼워 맞춤부(4)에 대응하는 하우징 본체(3)의 벽부에는 방음구멍(3b)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내부에는, 송수신회로, 액정구동회로 등의 회로가 구성된 프린트기판(6)이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기판(6)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홀더 등의 부착도구를 사용하여 압전 발음기(2)가 부착되어 있다.
압전 발음기(2)는, 제1 케이스절반부를 구성하는 표면측 케이스(7)에 제2 케이스절반부를 구성하는 이면측 케이스(8)가 끼워 맞춰져 구성되는 두 개로 분할된수납 케이스(13)를 갖고 있고, 이 수납 케이스(13)의 내부에는,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압전 진동자(9)가 수납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측 케이스(7)와 이면측 케이스(8)의 끼워 맞춤부를 녹여서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표면측 케이스(7)는, 도 2(A) 및 (B)에 나타내듯이, 표면측 케이스본체(7a)와, 통체(7b)와, 돌기(7f)와, 돌출부(7h)로 구성되어 있고, 유리가 함유된 PPO(폴리페닐렌 옥시드)로 이루어진 절연수지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도 2(A)은, 표면측 케이스(7)를 통체(7b)측에서 본 표면측 케이스(7)의 정면도이고, 도 2(B)은, 표면측 케이스(7)를 통체(7b)의 반대측(통체(7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본 표면측 케이스(7)의 이면도이다. 표면측 케이스 본체(7a)는, 원판형상의 측벽부(7c)와, 이 측벽부(7c)의 내측 표면부(7c1)의 주위를 대략 둘러싸는 둘레벽부(7d)를 갖고 있다. 둘레벽부(7d)는, 통체(7b)가 연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돌출부(7h)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결부(7dl)를 갖고 있다. 측벽부(7c)의 외측 표면부(7c2)에는, 통체(7b)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스페이서 또는 위치결정에 사용할 수 있는 돌기(7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7c)에는, 원통형의 통체(7b)에 의해 둘러싸여진 부분에 원형의 전기실측 개구부(7e)가 측벽부(7c)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7c)의 내측 표면부(7cl)상에는, 전기실측 개구부(7e)를 막도록 통풍성을 갖는 원형의 제동포(10)가 접합되어 있다. 또, 도 2(B)에서는, 제동포(10)의 윤곽만을 도시하고 있다. 전기실측 개구부(7e)는, 그 중심(C0)이 통체(7b)의 중심(Cl)에서 측벽부(7c)의 중심(C2) 측에 가깝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중심(C0)과 중심(C1)과 중심(C2)는 대략 일직선상으로 늘어서듯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예에서는, 전기실측 개구부(7e)와 통체(7b)의 내주와의 사이에는 간격이 벌려져 있다. 그러나, 원형의 제동포(10)의 지름 또는 반경(r)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중심(C0)과 중심(Cl)과 중심(C2)을 직선상으로 늘어놓고 또한 원형의 전기실측 개구부(7e)를 통체(7b)의 내주와 내접시키도록 전기실측 개구부(7e)를 형성해야 한다. 참고를 위해, 도 2(B)에는, 통체(7b)의 중심(Cl)과 전기실측 개구부(7e)의 중심(C0)을 일치시킨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제동포(10')의 윤곽형상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동포(10)와 제동포(10')를 비교하면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포(10)를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압전 진동자(9)의 지름이 15㎜이라고 한 경우에, 전기실측 개구부(7e)의 중심(C0)과 통체(7b)의 중심(C1)을 일치시켰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제동포(10')의 지름은 약3.5㎜이지만, 전기실측 개구부(7e)를 통체(7b)의 내주에 내접시켰을 때의 경우의 제동포(10)의 지름은 약 6㎜이다. 제동포의 지름(또는 반경)이 커질수록, 후술하는 용제가 제동포(10)의 외주부측을 향해서 침투율이 높아진다. 이상적으로는, 제동포(10)의 외주영역에 용제가 침투하지 못할 정도로 제동포(10)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면, 외측을 향해서 용제의 침투압으로 용융한 합성수지재료가 제동포(10)의 외주측으로 당겨져, 전기실측 개구부(7e)안에 용융한 합성수지재료가 들어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제동포(10)는, 폴리에스테르 직포(織布)에 의해 지름 약 6㎜, 두께 약 0.08㎜로 형성되어 있고, 용제를 사용해서 측벽부(7c)의 내측 표면부(7cl)위에 접합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제동포(10)를 접합하였다. 용제로서는, 제동포(10)(폴리에스테르)는 녹이지 않지만, 표면측 케이스(7)의 합성수지재료(PP0)는 녹이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먼저, 도 2(B)에 나타내듯이, 제동포(10)의 외주부가 테이퍼부(7i)와 내접하고, 제동포(10)의 중심과 전기실측 개구부(7e)의 중심(C0)이 가능한한 가깝도록 제동포(10)를 측벽부(7c)의 내측 표면부(7cl)위에 배치한다. 다음에, 제동포(10)위에 용제를 함침시킨 면봉을 접촉시켜 용제를 제동포(10)에 침투시킨다. 측벽부(7c)의 내측 표면부(7cl)는 용제에 의해서 녹고, 녹은 합성수지(PP0)는 제동포(10)에 부착한다. 이것을 실온속에서 방치하면 제동포(10)속의 용제가 휘발하여 제동포(10)에, 녹아서 부착된 합성수지재료가 경화해서 측벽부(7c)의 내측 표면부(7c1)에 제동포(10)가 접합한다. 본 예에서는, 전기실측 개구부(7e)를, 그 중심이 통체(7b)의 중심에서 측벽부(7c)의 중심측에 가깝도록 형성하므로, 전술한 대로, 녹은 합성수지재료가 전기실측 개구부(7e)내로 들어 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통체(7b)는, 측벽부(7c)와 교차하는 방향(이 예에서는 측벽부(7c)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측벽부(7c)의 전기실측 개구부(7e)를 통해 케이스 본체(7a)와 압전 진동자(9)로 둘러 싸여진 전기실(K1)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7j)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통체(7b)는, 통체(7b)의 기부(7bl)의 일부(7b2)가 표면측 케이스(7)의 둘레벽부(7d)의 일부와 마주 향하도록 (통체(7b)의 기부(7b1)의 일부(7b2)가 둘레벽부(7d)가 연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늘어서도록), 측벽부(7c)의 외주부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통체(7b)의 기부(7bl)에는, 측벽부(7c)를 향함에 따라 통체(7b)의 중심에서 외부를 향해 넓어지는 보강용 테이퍼부(7g)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용 테이퍼부(7g)는 통체(7b)의 외주를 따라서 고리모양을 하고 있고, 이 예에서는, 보강용 테이퍼부(7g)의 일부가, 표면측 케이스(7)의 둘레벽부(7d)의 일부와 마주 향하고 있다. 통체(7b)의 기부(7b1)의 일부(보강용 테이퍼부(7g)의 일부)(7b2)는, 측벽부(7c)의 중심 (C2)을 중심으로 해서 계산한 원호의 각도가 20∼25°의 범위에 들어 갈 정도로, 둘레벽부(7d)의 일부와 겹쳐져 있다.이렇게 통체(7b)의 기부(7bl)의 일부(보강용 테이퍼부(7g)의 일부)(7b2)를 둘레벽부(7d)의 일부와 마주 향하도록(통체(7b)가 연장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겹치도록) 통체(7b)를 배치하면, 통체(7b)의 선단부를 하우징(1)의 끼워 맞춤부(4)에 끼워 맞춰서 하우징(1) 내부에 조합해 넣은 후에, 하우징(1)측에서 측벽부(7c)를 향하는 방향의 힘이 통체(7b)에 가해진 경우라도, 그 힘의 일부를 둘레벽부(7d)에 의해 분담할 수 있다. 또한, 보강용 테이퍼부(7g)를 설치하면, 상기한 힘을 보다 넓은 면적을 매개로 해서 측벽부(7c)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바꿔 말하면, 통체(7b)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측벽부(7c)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하우징(1)에 압전 발음기(2)를 조합해 넣은 후에 측벽부(7c)가 크게 변형해서, 주파수 특성에 큰 영향(주파수 특성이 변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체(7b)의 선단부와 하우징 본체(3)의 벽부와의 사이에는, 방음구멍(3b)을 막도록 방수 또는 방진용의 통기성을 갖는 천(11)이 배치되어 있다. 천(11)은 두께 0.08㎜의 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하우징 본체(3)의 끼워 맞춤부(4)에 둘러싸여진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통체(7b)는, 통로(7j)가 방음구멍(3b)을 통해서 하우징 본체(3)의 외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방수·방진용 천(11)과 접촉하고 있다. 이 압전 발음기(2)에서는, 통체(7b)의 길이만큼만, 표면측 케이스(7)를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과 표면측 케이스(7)의 측벽부(7c)와의 사이의 간극에 액정표시부품(5) 및 프린트기판(6)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케이스절반부를 구성하는 이면측 케이스(8)는, 원판형상의 바닥벽부(8a)와 이 바닥벽부(8a)의 가장자리부를 남기도록 바닥벽부(8a)에서 솟아 올라서 연장하는 둘레벽부(8b)를 갖고 있고, 표면측 케이스(7)와 마찬가지로 유리가 함유된 PPO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면측 케이스(8)가 표면측 케이스(7)와 조합된 상태로 이면측 케이스(8)와 압전 진동자(9)와의 사이에는 후기실(K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벽부(8a)의 중심부에는, 후기실측 개구부가 되는 누설구멍(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수납 케이스(13)는, 표면측 케이스(7) 및 이면측 케이스(8)의 각각의 둘레벽부(7d,8b)가 끼워 맞춰져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부(7d,8b)가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로, 수납 케이스(13)의 둘레벽의 내벽부에는 수납 케이스(13)의 내측으로(중심부를 향해서) 개구하고, 즉 중심부를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또한 수납 케이스(13)의 둘레벽을 따라 연장해서 압전 진동자(9)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수용하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V자형의 홈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압전 진동자(9)는, 도 3의 개략도에 나타내듯이 원판형상의 금속제 진동판(9a)과 이 금속제 진동판(9a)의 외주부(9al)에 둥근 고리모양의 공간을 남기도록 금속제 진동판(9a)위에 설치된 압전 세라믹 소자(9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전 진동자(9)는, 압전 세라믹 소자(9b)가 이면측 케이스(8)의 바닥벽부(8a)와 마주 향하도록 수납 케이스(13)안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은 각 부재의 두께를 다소 과장되게 그리고 있다. 압전 진동자(9)의 둘레가장자리부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해서 수납 케이스(13)의 V자형 홈부(14)에 고정되어 있다. 금속제 진동판(9a)은 철·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전 세라믹 소자(9b)는, 압전 세라믹(9c)과 이 압전 세라믹(9c) 양면에 각각 설치된 접합 전극층(9d) 및 비접합 전극층(9e)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합 전극층(9d)이 금속제 진동판(9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압전 세라믹 소자(9b)위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금속제 진동판(9a)의 외주부(9al)의 공간 및 비접합 전극층(9e)에는, 각각 리드선(12a,12b)의 일단이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들 리드선(12a,12b)은 표면측 케이스(7)에 설치한 절결부(7dl)를 통해서 수납 케이스(13)의 외측으로 꺼내어져 있다. 압전 진동자(9)는 금속제 진동판(9a)의 외주부(9a1) 및 비접합 전극층사이(9e)에 부여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한다.
또, 상기 예에서는, 통체(7b)의 기부(7b1)에 보강용 테이퍼부(7g)를 설치했지만, 이 보강용 테이퍼부는, 부분적이어도 좋고, 또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체에 측벽부를 향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그 힘의 일부는, 수납 케이스의 둘레벽부의 일부에서 적극적으로 분담되게 되므로, 힘이 극단적으로 크지 않으면, 측벽부가 크게 휘어지는 일이 없고, 전기실의 용적이 크게 변화해서 특성이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실측 개구부를, 그 중심이 통체의 중심에서 측벽부의 중심측에 가깝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전기실측 개구부의 중심과 측벽부의 내측 표면부의 외주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것은, 제동포가 완전한 원형이라고 하면, 제동포의 지름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동포가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해도, 그 실질지름은 커진다. 제동포의 실질지름이 커지면, 제동포위에 도포한 용제가 제동포의 외측을 향해서 퍼지듯이 침투한다. 이렇게 용제가 퍼지면 용융한 합성수지재료도 용제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고, 전기실측 개구부에 거의 들어 가는 일이 없어지고, 전기실측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동포의 다공율 또는 개구율이 대폭 작아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의 변동을 작게 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압전 세라믹 소자(9b)를 포함하는 압전 진동자(9)와, 합성수지제의 제1 케이스절반부(7)와 제2 케이스절반부(8)가 조합되어져서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압전 진동자(9)를 수납하는 두 개로 분할된 수납 케이스(1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스절반부(7)는, 상기 압전 진동자(9)와의 사이에 전기실(K1)을 형성하도록 상기 압전 진동자(9)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는 측벽부(7c)와 상기 측벽부(7c)의 외주부로부터 연장하는 둘레벽부(7d)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스절반부(7)의 상기 측벽부(7c)에는, 상기 측벽부(7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해서 상기 전기실측 개구부(7e)를 통해 상기 전기실(K1)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7j)를 내부에 구비하는 통체(7b)의 기부(7b1)가 일체화되어 있는 압전 발음기에 있어서, 상기 통체(7b)의 상기 기부(7b1)의 일부가 상기 제1 케이스절반부(7)의 상기 둘레벽부(7d)의 일부와 마주 향하도록 상기 통체(7b)가 상기 측벽부(7c)의 외주부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7b)의 상기 기부(7b1)에는, 상기 측벽부(7c)를 향함에 따라 상기 통체(7b)의 중심에서 외부를 향해서 넓어지는 보강용 테이퍼부(7g)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테이퍼부(7g)는 고리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보강용 테이퍼부(7g) 일부가 상기 둘레벽부(7d)의 일부와 마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측 개구부(7e)가 제동포(10)에 의해 막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5. 금속제 진동판(9a)에 압전 세라믹 소자(9b)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압전 진동자(9)가 합성수지재료제의 수납 케이스(13)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전 진동자(9)의 양측에 전기실(K1)과 후기실(K2)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실(K1)과 상기 수납 케이스(13)의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전기실측 개구부(7e)가 상기 수납 케이스(13)의 상기 전기실측(K1)에 위치해서 상기 압전 진동자(9)와 마주 향하는 측벽부(7c)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13)의 상기 측벽부(7c)에는, 상기 전기실측 개구부(7e)를 통해서 상기 전기실(K1)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7j)를 내부에 구비하는 통체(7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압전 발음기에 있어서, 상기 통체(7b)의 기부(7b1)의 일부가 상기 수납 케이스(13)의 둘레벽(7d)의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통체(7b)는 상기 측벽부(7c)의 외주부근처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통체(7b)는 상기 측벽부(7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벽부(7c)의 내면에는, 상기 개구부(7e)를 덮는 제동포(10)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7e)는, 그 중심(C0)이 상기 통체(7b)의 중심(C1)에서 상기 전방 측벽부(7c)의 중심(C2)측에 가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동포(10)는, 상기 제동포(10)는 녹지 않지만 상기 전방 측벽부(7c)를 형성하는 상기 합성수지를 녹이는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포(10)는, 상기 용제에 의해 녹여진 상기 개구부(7e)의 주위의 상기 합성수지를 접합제로서 상기 전방 측벽부(7c)의 상기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포(10)는, 상기 용제에 의해 녹여진 상기 합성수지가 상기 개구부(7e)에 침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7b)는 원통형이며, 상기 개구부(7e)는 원형의 개구부이고, 상기 제동포(10)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발음기.
KR1019990013925A 1998-04-22 1999-04-20 압전발음기 KR19990083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2298A JPH11308697A (ja) 1998-04-22 1998-04-22 圧電発音器
JP98-111723 1998-04-22
JP98-111722 1998-04-22
JP11172398A JPH11308696A (ja) 1998-04-22 1998-04-22 圧電発音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323A true KR19990083323A (ko) 1999-11-25

Family

ID=2645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925A KR19990083323A (ko) 1998-04-22 1999-04-20 압전발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91181A (ko)
KR (1) KR19990083323A (ko)
TW (1) TW431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1503D0 (en) * 2002-09-17 2002-10-23 1 Ltd Loudspeaker
JP3907616B2 (ja) * 2003-10-03 2007-04-18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機器
JP4414773B2 (ja) * 2004-01-15 2010-02-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発音または集音部材の防水滴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
US20150139457A1 (en) * 2012-06-06 2015-05-21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879A (en) * 1971-12-29 1976-07-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iezoelectric acoustic device
US4122365A (en) * 1976-01-26 1978-10-24 Projects Unlimited, Inc. Piezoelectric buzzer device
US4183017A (en) * 1978-07-13 1980-01-08 Marine Resources, Inc. Alarm buzzer apparatus
JPS5911237B2 (ja) * 1979-08-16 1984-03-14 株式会社精工舎 圧電スピ−カ
JPS5644671A (en) * 1979-09-21 1981-04-23 Seiko Epson Corp Ink-jet head
DE3007834A1 (de) * 1980-02-29 1981-09-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akustischer wandler
US4430529A (en) * 1980-12-24 1984-02-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loudspeaker
JPH0538612A (ja) * 1991-07-29 1993-02-19 Hitachi Tool Eng Ltd 電着切削工具
JPH0690489A (ja) * 1992-09-08 1994-03-29 Hitachi Ltd 多元呼回線管理方法および多元呼交換機
DE69333058T2 (de) * 1992-10-27 2003-12-24 Tdk Corp., Tokio/Tokyo Piezoelektrischer Wandler
US5514927A (en) * 1994-02-28 1996-05-07 Motorola, Inc. Piezoelectric audio transducer
US5764131A (en) * 1994-11-14 1998-06-09 Beep-It Corporation Multi-function beeper and housing
JPH0946794A (ja) * 1995-07-31 1997-02-14 Taiyo Yuden Co Ltd 圧電音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1113B (en) 2001-04-21
US6091181A (en)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7746B2 (ja) 圧電発音器
JP4709282B2 (ja) マイクロホンの音響経路をプリント回路基板内に設けた無線通信装置
JP4158347B2 (ja) 電子部品取付構造
JP3538063B2 (ja) 携帯無線機器の音響部品実装構造
KR19990083323A (ko) 압전발음기
US20060199425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WO2011052194A1 (ja) スピーカ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ならびに携帯電話
JPH07222284A (ja) ホーン型圧電セラミックスピーカ
JPH11308697A (ja) 圧電発音器
JPH1042383A (ja) 携帯機器のスピーカ固定構造
JP3639110B2 (ja) 携帯電話機
JP2000023438A (ja) 音響・振動発生装置
JP4534032B2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回路基板実装構造
KR19980042396A (ko) 압전 발음기
KR20000005621A (ko) 압전발음기및그제조방법
JPH11308696A (ja) 圧電発音器
JP3970360B2 (ja) 圧電発音器
JP3865835B2 (ja) 圧電変換器
US6150924A (en) Surface-mounted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ing body
US20090003631A1 (en) Condenser Microphone
JP3126025U (ja) Ledレンズの取り付け構造
JP4116169B2 (ja) 電磁型発音体
JPH1094094A (ja) 圧電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4417Y1 (ko) 마그네틱 버저
JPH07203590A (ja) 圧電受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