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648A - 간단한 심볼검출기를 구비한 전송장치 및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간단한 심볼검출기를 구비한 전송장치 및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648A
KR19990082648A KR1019980706390A KR19980706390A KR19990082648A KR 19990082648 A KR19990082648 A KR 19990082648A KR 1019980706390 A KR1019980706390 A KR 1019980706390A KR 19980706390 A KR19980706390 A KR 19980706390A KR 19990082648 A KR19990082648 A KR 19990082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ignal
quality
error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덴 안덴 지예스베르트 요제프 반
Original Assignee
엠. 제이. 엠. 반 캄
코닌클리야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제이. 엠. 반 캄, 코닌클리야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엠. 제이. 엠. 반 캄
Publication of KR1999008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jitte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전송장치 또는 기록장치 내부에,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품질척도를 사용하는 검출기(16, 30)가 사용된다. 종래의 장치와 달리, 상기 품질척도는 복수의 천이점의 공칭위치로부터 입력신호 내부의 상기 천이점의 위치에 대한 편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품질척도를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을 판정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클록복구를 위해 필요한 PLL(34) 내부에 이미 존재한다는데 있다.

Description

간단한 심볼검출기를 구비한 전송장치 및 기록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전송채널을 거쳐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되, 상기 수신기가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는 입력신호의 품질척도(quality measure)를 판정하는 품질척도 판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신호 및 품질척도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 기록장치, 검출기 및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전송장치는 공개된 국제특허출원 WO 96/13905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송장치의 용도로는, 예를 들어, 공중전화망을 통해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전송하는 것과, 전화 교환국 사이에 복수의 다중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이동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기록장치는, 자기 테이프 또는 하드디스크 및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기록 및 재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장치는, CD, CD-ROM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소스심볼을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하거나, 소스심볼을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해서, 종종 이들 소스심볼을 코드화된 심볼로 변환한다. 이러한 코딩의 목적 중 한가지는, 특정한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 코드화된 복수의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표시하는 심볼을 얻기 위한 것이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다수의 전송채널 또는 기록매체는 DC 성분을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요구조건 중 한가지는 예를 들어 DC 성분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코딩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전송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기 위한 것이다.
공지된 전송장치에 있어서는, 심볼마다 심볼값에 대한 판정을 하는 검출기가 사용된다. 검출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검출기는 전송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검출기는 검출된 심볼과 관련된 품질척도에 근거하여 가장 신뢰할 수 없는 심볼(들)의 값을 정정하는 오류정정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송장치에 있어서, 이와 같은 품질척도는 그 심볼값에 대한 판정이 취해지는 순간에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도출된다. 그러나, 품질척도를 판정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한 아날로그 신호값을 판정하고 기억하기 위한 부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부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서두에 규정한 형태의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장치는, 상기 품질 판정수단이 상기 전송채널로부터 수신한 신호 내부에 있는 복수의 천이점 위치로부터 품질척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섭신호는 판정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신호의 아날로그 값의 변화를 일으킬 뿐 아니라, 이 신호 내부의 천이점의 위치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착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천이점의 위치에 대한 측청값은, 이와 같은 전송장치 내부에 항상 존재해야 하는 클록복구회로에 있는 위상검출기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입력신호 내부의 심볼 각각에 대해 품질척도를 판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품질척도는 천이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판정된다. 매 심볼에 대해 복수의 천이점을 갖는 코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심볼에 대해 품질 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비터비 검출기(Viterbi detector)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코드는 예를 들어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상기 품질판정수단이, 공칭위치(nominal position)보다 늦은 위치를 갖는 가장 최근의 천이점을 저장하고 상기 공칭위치보다 빠른 위치를 갖는 가장 최근의 천이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지 가장 최근의 천이점에 대응하는 위상오류의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오류정정 확률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전송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송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기록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송장치 또는 도 2에 따른 기록장치에 사용되는 검출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d=1 오류의 경우에, 실제 입력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오류신호에 대한 그래프이며,
도 5는 k=11 오류의 경우에, 실제 입력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오류신호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검출기 내부에 사용되는 위상검출기(34)의 구체예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오류신호 연산기(44)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대한 프로그램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검사부(38)와 정정부(4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대한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따른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송하려는 디지탈 신호가 송신기(2) 내부의 인코더(4)에 인가된다. 인코더(4)의 출력은 변조기(6)의 입력에 접속된다. 이때, 변조기(6)의 출력은 송신기(2)의 출력을 구성한다. 상기 송신기(2)의 출력은 전송매체를 거쳐 수신기(10)의 입력에 접속된다. 수신된 신호는 복조기(12)의 입력에 인가된다. 또한, 복조기의 출력은 등화기(14)의 입력에 인가된다. 등화기(14)의 출력은 검출기(16)의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검출기(16)의 출력에서, 검출된 심볼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인코더(4) 내부에서, 전송될 복수의 디지탈 심볼이 오류정정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이때, 이러한 코드로는 길쌈코드(convolutional code) 또는 리드-솔로몬 코드(Reed-Solomon code)와 같은 블록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위 연결 코딩(concatenated coding)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4)의 출력 심볼은 변조기(6)에 의해 캐리어 상에서 변조된다. 이때, 사용가능한 변조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QPSK, QAM 또는 QFDM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조된 신호는 전송매체(8)를 거쳐 수신기(10)로 전송된다. 수신기(10) 내부에서는, 수신된 신호가 복조기(12)에 의해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등화기에 의해 필터링되어, 전송매체의 제한된 대역폭에 의해 발생된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제거한다. 상기 검출기(16)는 등화기(14)의 출력에서 등화된 신호로부터 출력 심볼을 도출한다. 이에 따라, 검출기(16)의 출력에서는, 수신기(10)의 출력 심볼을 얻을 수 있다.
도 2에 따른 기록장치(20)에 있어서는, 광 디스크(22)가 판독부(26)에 의해 판독된다. 이때,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는 콤팩트 디스크 표준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8-14 EFM 코딩 구성에 따라 코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DVD(Digital Versatile Disk) 표준에서 채택된 것과 같은 8-16 EFM+ 코딩 구성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EFM 코드는 3의 최소 런길이(runlength)(반대 값을 갖는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에 의해 분리된 동일한 값을 갖는 연속적인 비트 사이의 거리)와 11의 최대 런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EFM+ 코드의 3의 최소 런길이와 11의 최대 런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검출기를 재구성할 필요없이 EFM 신호와 EFM+ 신호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EFM+를 사용하는 DVD 표준에 따른 디스크 뿐만 아니라 EFM을 사용하는 다양한 CD 표준에 따른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어야 하는 DVD 플레이어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으면, EFM+와 EFM에 대한 별개의 검출기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판독부(26)의 출력은 등화기(28)에 의해 필터링되어 원치않는 심볼간 간섭을 제거한다. 등화기(28)의 출력신호는 검출된 복수의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얻기 위해 검출기(30)에 의해 사용된다. 검출기(3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에 따른 검출기(3)에 있어서는, 입력신호가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2)에 접속된다.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2)의 출력은 디지탈 위상동기루프(34)의 입력에 접속된다. (아직 정정되지 않은)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갖는 디지탈 위상동기루프의 제 1 출력은 지연부(36)의 입력과 오류 검출기(38)의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위상동기루프(34)의 입력신호의 제로 교차점(zero crossing)의 위치에 대한 측정값을 갖는 PLL(34)의 제 2 출력은, 본 발명에서는 오류 연산기(44)인 신뢰성 척도를 판정하는 수단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오류 검출기(38)의 출력은 오류정정수단(40)의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오류 연산기(44)의 출력은 상기 오류정정수단(40)의 제 2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지연부(36)의 출력은 오류정정수단(40)의 제 3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오류정정수단(40)의 출력에서는, (정정되고)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32)는, 등화기(28)의 출력에서 3T/2의 샘플링 주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샘플링하는데, 이때, T는 검출하려는 신호의 비트 간격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한 샘플링 클록은 비트클록에 동기될 필요가 없으며 그것은 자주발진기(free running oscillator)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위상동기루프(34)는 입력신호로부터 비트간격과 동일한 주기를 갖는 디지탈 클록신호를 도출한다. 또한, 상기 위상동기루프는, 입력신호에 존재하는 심볼의 (예비) 재구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구성된 복수의 비트는 미분 포맷으로 존재하는데, 즉, "0"은 위상검출기의 입력에 존재하는 신호의 일정한 레벨을 나타내고, "1"은 위상검출기의 입력에 존재하는 신호의 변화하는 레벨을 나타낸다. 상기 위상검출기의 제 2 입력에는, 입력신호의 천이점의 예측 위치로부터 이 입력신호의 실제 천이점(제로 교차점)의 위치에 대한 편차를 나타내는 신호가 존재한다. 이러한 편차는 본 발명에 따라 신뢰성 척도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2개의 오류신호와 그것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사용되는 오류신호는 제로 교차점과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때, 산출되어 기억되는 오류신호는 2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제 1 오류신호 LeftError는,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을 갖는 제로 교차점이 그것의 좌측에서 발생하는 경우(검출순간이 제로 교차점보다 빠른 경우)에 산출된다. 이때, 상기한 신호 LeftError의 값은 상기한 제로 교차점과 상기한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사이의 거리와 같다. 또한, 제 2 오류신호 RightError는,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을 갖는 제로 교차점이 그것의 좌측에서 발생하는 경우(검출순간이 제로 교차점보다 늦는 경우)에 산출된다. 이때, 상기한 신호 RightError의 값은 상기한 제로 교차점과 상기한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사이의 거리와 같다.
가장 최근의 갱신 순간에 대한 이들 2가지 오류신호의 상대위치 Dl 및 Dr 또한 기억된다. 이들 오류신호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가장 유망한 오류신호를 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류신호는 위상동기루프(34)에 의해 주어진 위상오류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오류 검출기(38)는 위상동기루프의 출력에 존재하는 비트의 런길이가 허용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EFM(또는 EFM+)인 경우에 런길이가 3보다 작으면 오류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은, 위상검출기의 출력에 있는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 내부에서 문자열 "11" 또는 "101"이 검출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또한, 상기 런길이가 11일 때에도 오류가 검출된다. 이러한 상황은, 위상검출기의 출력에 존재하는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 내부에서 문자열 "1000000000001"이 검출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상기 오류검출기(38)는 오류정정수단(40)으로 검출된 오류의 형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검출된 오류의 형태와 오류 연산기(44)에 의해 판정된 복수의 오류신호로부터, 가장 신뢰할 수 없는 심볼 또는 심볼들이 판정된 후 정정된다.
위상검출기(34)의 출력에 있는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가 문자열 "11"을 포함하는 경우(d=1 오류)에는, 양 비트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일, 상기 오류신호가 동일한 검출순간 근처에 2개의 제로 교차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로 교차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문자열 "11"을 반전하여 정정된 비트를 얻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Dl 및 Dr의 값은 제로이다.
상기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더 큰 경우에는, "1"들 중에서 한 개는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하고, 나머지 "1"은 좌측으로 자리이동하여 런길이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문자열 "1001"을 얻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값 Dl 및 Dr 중에서 최소한 한 개는 0이 아니다.
상기 위상 검출기(34)의 출력에 있는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가 문자열 "101"을 포함하는 경우(d=2 오류)에는, 상기한 "1"들 중에서 한 개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가장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4가지 경우를 식별해야 한다. 이들 경우는 제로 교차점의 위치가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이전 또는 이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서로 차이가 난다. 하기 표 1에, 대응하는 오류 측정값과 함께 이들 상황을 나타내었다.
제 1제로점 x 제 2제로점 x Dl Dr 정정 후의 심볼값
이전 이전 >3 0 01001
이전 이후 1 2 if (LeftError<RightError) 10010 else 01001
이후 이전 3 0 if (LeftError<RightError) 10010 else 01001
이후 이후 1 >3 10010
모든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에,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두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것을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이것을 도 4에 그래프 31로 나타내었는데, 이 그래프에는 2가지 가능한 이상적인 입력신호 a 및 b(점선)와 실제 입력신호(실선)가 도시되어 있다. 이 그래프 31로부터,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신호 a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P가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신호 b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Q보다 항상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교란신호로 인해, 신호 b의 제 2 교차점이 입력신호의 실제 제로 교차점의 위치로 자리이동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 결과, 신호 b는 검출된 시퀀스의 이상적인 표시로 간주되어, 정정이 이루어진 이후의 심볼값은 01001이 된다.
한편, 모든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첫 번째 검출된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것을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이것을 도 4애 그래프 33으로 나타내었는데, 이 그래프에는 마찬가지로 2개의 가능한 이상적인 입력신호 a 및 b(점선)와 실제 입력신호(실선)가 도시되어 있다. 이 그래프 33으로부터,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신호 a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P가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신호 b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Q보다 항상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교란신호로 인해, 신호 a의 제 1 교차점이 입력신호의 실제 제로 교차점의 위치로 자리이동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 결과, 신호 a는 검출된 시퀀스의 이상적인 표시로 간주되어, 정정이 이루어진 이후의 심볼값은 10010이 된다.
제 1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전에 존재하고 제 2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출된 복수의 심볼로 이루어진 양 시퀀스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들 간의 판정은 신호 LeftError와 RightError의 값에 근거를 둔다. LeftError가 RightError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첫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 "1"은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두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것이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이것을 도 4의 곡선 35에 도시하였다. 그래프 35에서, 오류신호 LeftError를 L로 표시하였으며, 오류신호 Right Error를 R로 표시하였다. 그래프 35로부터, LeftError(L)가 RightError(R)보다 크면, 신호 a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P가 신호 b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Q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신호 b가 복수의 심볼 01001로 이루어진 정확한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제 1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후에 존재하고 제 2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출된 복수의 심볼로 이루어진 양 시퀀스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들 간의 판정은 신호 LeftError와 RightError의 값에 근거를 둔다. LeftError가 RightError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첫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 "1"은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두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것이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이것을 도 4의 곡선 37에 도시하였다. 그래프 37에서, 오류신호 LeftError를 L로 표시하였으며, 오류신호 Right Error를 R로 표시하였다. 그래프 35로부터, LeftError(L)가 RightError(R)보다 크면, 신호 a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P가 신호 b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Q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신호 b가 복수의 심볼 01001로 이루어진 정확한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위상 검출기(34)의 출력에 존재하는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가 문자열 "010000000000010"을 포함하는 경우(k=12 오류)에는, "1"들 중에서 한 개가 잘못된 위치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12개의 검출순간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제로 교차점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4가지 경우를 구별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는, 제로 교차점의 위치가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서로 차이가 난다. 하기 표 2에 이러한 상황을 대응하는 오류 측정값과 함께 나타내었다.
제 1제로점 x 제 2제로점 x Dl Dr 검출된 심볼
이전 이전 >11 0 01000000000001
이전 이후 1 11 if (LeftError<RightError) 10000000000010else01000000000001
이후 이전 12 0 if (LeftError<RightError) 10000000000010else01000000000001
이후 이후 1 >11 10000000000010
모든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이전에 존재하는 경우에,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첫 번째 "1"에 오류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이것을 그래프 39에 나타내었는데, 이 그래프에서는 실제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신호 b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P가 실제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신호 a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Q보다 항상 작다. 따라서, 가장 유망한 상황은 신호 b의 제 1 제로 교차점을 그것의 (오류를 갖는) 실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 결과, 제 1 제로 교차점이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모든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검출순간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에,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두 번째 "1"에 오류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이것을 그래프 41에 나타내었는데, 이 그래프에서는 실제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신호 b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P가 실제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신호 a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 Q보다 항상 크다. 따라서, 가장 유망한 상황은 신호 a의 제 2 제로 교차점을 그것의 (오류를 갖는) 실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 결과, 제 2 제로 교차점이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한편, 제 1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후에 존재하고 제 2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출된 복수의 심볼로 이루어진 양 시퀀스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들 간의 판정은 신호 LeftError 및 RightError의 값에 근거를 둔다. LeftError가 RightError보다 작은 경우에, 가장 유망한 상황은 두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 "1"을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첫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것을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도 5의 그래프 43에서, 오류신호 LeftError를 L로 표시하였으며, 오류신호 RightError를 R로 표시하였다. 그래프 43으로부터, LeftError(L)가 RightError(R)보다 큰 경우에, 신호 b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신호 a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심볼 b가 복수의 심볼 01000000000001로 이루어진 정확한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제 1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전에 존재하고 제 2 제로 교차점이 가장 근접한 제로 교차점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출된 복수의 심볼로 이루어진 양 시퀀스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들 간의 판정은 신호 LeftError 및 RightError의 값에 근거를 둔다. LeftError가 RightError보다 작은 경우에, 가장 유망한 상황은 두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 "1"을 좌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유망한 상황은 검출된 첫 번째 "1"에 오류가 있는 것이므로, 이것을 우측으로 자리이동해야 한다. 도 5의 그래프 45에서, 오류신호 LeftError를 L로 표시하였으며, 오류신호 RightError를 R로 표시하였다. 그래프 45로부터, LeftError(L)가 RightError(R)보다 큰 경우에, 신호 b의 제 1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1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신호 a의 제 2 제로 교차점과 실제 입력신호의 제 2 제로 교차점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심볼 b가 복수의 심볼 10000000000010으로 이루어진 정확한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한 정정수단(40) 내부에서, 위상 검출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시퀀스가 전술한 것과 같이 정정된다. 이러한 정정과정은 정정 시퀀스를 사용하여 E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에 따른 위상동기루프(34)에 있어서는, 위상동기루프의 입력이 지연부(50)의 제 1 입력, 신호보간기(interpolator)(52)의 제 1 입력과 비트 검출기(62)의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지연부(50)의 출력은 신호보간기(52)의 제 2 입력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신호보간기(52)의 제 1 출력은 승산기(54)의 제 1 입력에 접속되고, 출력신호 CROSS를 갖는 신호보간기(52)의 제 2 출력은 비트 검출기(62)의 제 2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승산기(54)의 출력은 가산기(55)의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신호 PHASE를 갖는 상기 가산기(55)의 출력은 비트 검출기(62)의 제 3 입력과, 위상 검출기(34)의 출력과 필터(60)의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필터(60)의 출력은 승산기(54)의 제 2 입력과 가산기(56)의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가산기(56)의 출력은 가산기(55)의 제 2 입력과 지연소자(58)의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신호 DTO를 갖는 지연부(58)의 출력신호는 비트 검출기(62)의 제 4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디지탈 위상동기루프(34)는 가산기(56)와 지연부(58)를 구비한 디지탈 오실레이터를 사용한다. 이때, 가산기(56)의 입력에 있는 신호는 디지탈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매 샘플링 순간마다. 상기 디지탈 오실레이터의 위상이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는 값을 갖고 진행한다. 이때. 상기 주파수의 값은, 실제 제로 교차점과 상기 제로 교차점의 공칭위치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위상 오류로부터 필터(60)에 의해 도출된다. 이때, 필터(60)는 비례 경로와 적분 경로의 조합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필터(60)의 전달함수 H(z)는 z/(z-1)이다. 또한, 상기 위상 검출기는 지연부(50)와 신호보간기(52)의 조합을 구비한다.
상기 위상동기루프(34)의 입력신호는 4/(3T)의 주파수를 갖는 자주 클록신호를 사용하여 샘플링되는데, 이때, T는 비트주기를 나타낸다. 상기 신호보간기(52)는, 입력신호의 2개의 연속적인 샘플의 부호를 비교함으로써 입력신호 내부에 제로 교차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제로 교차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보간기(52)가 신호 CROSS를 비트 검출기(62)로 보낸다. 또한, 신호보간기(52)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제로 교차점의 위치에 대한 측정값 ZERO를 결정한다: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S1은 제로 교차점 이전에 있는 입력 샘플의 값을 나타내고, S2는 제로 교차점 이후에 있는 입력 샘플의 값을 나타낸다. 이때, 신호 ZERO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신호 ZERO는 주파수로 곱하여 정규화한다. 이러한 승산과정은 승산기(54)에 의해 수행된다. 그후, 가산기(56)의 츌력신호가 승산기(54)의 출력신호에 가산되어, 제로 교차점의 공칭값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측정값인 위상 오류신호 PHASE가 얻어진다. 이때, 이와 같은 위상 오류신호 PHASE는 2의 보수 포맷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위상 오류신호는 디지탈 오실레이터에 대한 제어신호를 도출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디지탈 제어되는 오실레이터는, 상기 위상오류가 입력신호의 제로 교차점의 평균위치에서 0이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주파수는, 디지탈 오실레이터가 평균적으로 비트주기 당 한 번 오버플로(overflow)하도록 하는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가상적인) 오버플로는 판정순간에 발생한다. 상기 오버플로는 샘플을 항상 판정순간에 정확하게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가상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비트 검출기(62)는, 현재 샘플의 값과, 제로 교차점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 CROSS와, 위상 오류신호 PHASE와, 가산기(56)와 메모리 소자(58)를 구비한 디지탈 오실레이터의 실제 출력신호 DTO로부터 현재 비트의 값을 판정한다. 또한, 상기 비트 검출기(62)는, (가상적인) 판정순간에 입력신호의 부호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2개의 샘플 사이에 판정순간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설정된다. 이것은, 2개의 샘플 사이에 신호 DTO의 최상위 비트(the Most Significant Bit)가 "0"으로부터 "1"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4/(3T)의 샘플링 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한 MSB가 "1"로부터 "0"으로 변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이 경우에 해당한다. 그 결과, 오래된 MSB 값이 "1"이고 새로운 MSB 값이 "0"인 경우에만 상기 비트 검출기(62)의 출력신호가 봉쇄된다. 이때, 제로 교차점이 (가상적인) 검출순간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 출력으로 주어지는 비트 값은 입력신호의 부호와 동일하며, 제로 교차점이 (가상적인) 검출순간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출력으로 주어지는 비트 값은 입력신호의 부호의 반전된 값이 된다. 이것은 제로 교차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상 오류신호 PHASE로부터 용이하게 판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의 보수를 갖는) 상기 신호 PHASE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제로 교차점이 검출순간 이전에 발생하며, 이 신호 PHASE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제로 교차점이 검출순간 이후에 발생한다. 디지탈 오실레이터의 (가상적인) 오버플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판정결과는 디지탈 오실레이터(DTO)의 MSB의 현재 값과 이전 값에 의존한다.
상기 DTO의 MSB의 이전 값이 "0"이고 이 DTO의 MSB의 현재 값이 "1"인 경우에는, 어떠한 과부하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것과 같이 제로 교차점의 위치를 신호 PHASE 만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또한, DTO의 MSB의 이전 값이 "1"이고 이 DTO의 MSB의 현재 값이 "1"인 경우에는, 과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신호 PHASE가 제로값보다 작거나 신호 PHASE가 이전의 DTO 값보다 큰 경우에, 검출순간 이전에 제로 교차점이 발생한다.
한편, DTO의 MSB의 이전 값이 "1"이고 이 DTO의 MSB의 현재 값이 "0"인 경우에는, 과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어떠한 검출순간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위상을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DTO의 MSB의 이전 값이 "0"이고 이 DTO의 MSB의 현재 값이 "0"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과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신호 PHASE가 제로값보다 작고 신호 PHASE가 이전의 DTO 값보다 큰 경우에, 검출순간 이전에 제로 교차점이 발생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 검출기(62)에 있어서는, 상기 신호 PHASE의 표시가 DTO의 오버플로가 샘플링 순간 사이에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 비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신호 PHASE 내부의 보조 비트는, 제로 교차점이 DTO의 오버플로 순간 이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0" 값을 갖고, 제로 교차점이 오버플로 순간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1" 값을 갖는다. 이러한 비트는, 상기 메모리부(58)의 크기를 1 비트 만큼 증가시키고 새로운 MSB를 오버플로 비트로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제로 교차점이 검출순간 이전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 결과, 비트 값이 반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 INV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MSBDTO는 DTO의 새로운 MSB 값을 나타내고, EBPHASE는 신호 PHASE의 보조 비트를 나타내며, MSBPHASE는 신호 PHASE의 MSB를 나타낸다.
이때, PLL(34)의 출력비트의 값은 미분 포맷으로 주어진다. "1"은 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0"은 수신된 비트의 일정한 값을 나타낸다.
도 7에 따른 흐름도에서, 복수의 블록은 다음 표에 따른 의미를 갖는다:
도 7에 따른 프로그램은, 도 3에 도시된 오류신호 연산기(44)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된 변수의 초기화는 명령 70에서 일어난다. 이 프로그램은, 위상동기루프(34)에 존재하는 신호 CROSS, PHASE 및 DTO를 사용한다. 명령 71에서는, 도 3에 도시된 A/D 변환기(32)에 의해 취해지는 다음 샘플을 기다린다. 명령 72에서는, 입력신호의 현재 샘플과 이전 샘플 사이에 존재하는 제로 교차점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것은 PLL(34) 내부에서 신호 CROSS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로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샘플과 현존하는 샘플 사이에 존재하는 판정순간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경우는 신호 DTO의 MSB가 "1"인 경우에 해당한다. 복수의 샘플 사이에 어떠한 판정순간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이 명령 71로 진행한다. 판정순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명령 75에서 좌측 및 우측 제로 교차점의 상태위치가 증분된 다음, 프로그램이 명령 71로 진행한다.
명령 72를 실행한 결과 현재와 이전 샘플 사이에 제로 교차점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지면, 명령 74에서 신호 PHASE가 제로값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쟤로값보다 큰 경우에는, 명령 76에서, 다음 식에 따라 신호 PHASE로부터 신호 RightError가 산출된다:
RightError = MaxPhase - PHASE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MaxPhase는 신호 PHASE가 취할 수 있는 최대값을 나타낸다.
명령 80에서, 입력신호의 현재 샘플과 이전 샘플 사이에 존재하는 판정순간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검출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령 84에서 가장 최근의 우측 제로 교차점의 위치 Dr이 0으로 설정되고, 프로그램이 명령 71로 진행한다. 입력신호의 현재 샘플과 이전 샘플 사이에 검출순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명령 86에서 위치 Dr이 1로 설정되고, 명령 92에서 가장 최근의 좌측 제로 교차점의 위치에 대한 값 Dl이 증분된다. 그후, 프로그램이 명령 71로 진행한다.
명령 74에서, PHASE가 제로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명령 78에서 다음 식에 따라 오류신호 LeftError의 값이 산출된다:
LeftError = MaxPhase + PHASE
명령 82에서, 입력신호의 현재 샘플과 이전 샘플 사이에 존재하는 판정순간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검출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령 88에서 가장 최근의 좌측 제로 교차점의 위치 Dl이 0으로 설정되고, 프로그램이 명령 71로 진행한다. 입력신호의 현재 샘플과 이전 샘플 사이에 검출순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명령 90에서 위치 Dl이 1로 설정되고, 명령 94에서 가장 최근의 우측 제로 교차점의 위치에 대한 값 Dr이 증분된다. 그후, 프로그램이 명령 71로 진행한다.
도 8은 오류 검출기(38)와 오류 정정기(40)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대한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라 번호가 부여된 명령은 다음 표에 따른 의미를 갖는다.
도 8에 따른 흐름도에 있어서는, 명령 100에서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명령 102에서는, 프로그램이 PLL(34)로부터 다음의 새로운 비트를 대기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비트의 존재에 대한 신호는 PLL(34)의 출력에서 신호 NEW에 의해 발생된다. 이때, 신호 NEW는 PLL(34) 내부의 신호 DTO의 MSB에 해당한다. 명령 104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오류에 대한 정정 플래그(correction flag) C0…C6이 산출된다. 이때, 오류 플래그 C0는 d=1 오류에 대응한다. d=1 오류의 경우에, 비트 시퀀스 "110"을 "0"으로 변화해야 할 때 이 플래그가 설정된다. 또한, 플래그 C1, C2 및 C3는 d=2 오류에 대응한다. 이들 플래그는 비트 시퀀스 "1010"이 "10010"으로 변화하는 것을 표시한다. 이들 플래그는 표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조건 하에서 설정된다. 한편, 플래그 C4, C5 및 C6는 k=12 오류에 대응한다. 이들 플래그는 비트 시퀀스 "1000000000001"이 "1000000000010"으로 변화하는 것을 표시한다. 이들 시퀀스는 표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조건 하에서 설정된다.
명령 106에서, d=1 오류가 PLL(34)로부터 발생한 비트 시퀀스 내부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비트 시퀀스 "11"을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은 d=1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명령 108에서 플래그 C0 값을 사용하여 정정 마스크를 결정한다. 그후, 프로그램은 명령 120을 진행한다.
d=1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령 110에서 d=2 오류가 PLL(34)로부터 발생한 비트 시퀀스 내부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비트 시퀀스 "101"을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d=2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명령 112에서 플래그 C1, C2 및 C3의 값을 사용하여 정정 플래그를 결정한다. 그후, 프로그램은 명령 120으로 진행한다.
d=2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형 114에서 k=12 오류가 PLL(34)로부터 발생한 비트 시퀀스 내부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비트 시퀀스 "1000000000001"를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k=12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명령 116에서 C4, C5 및 C6의 값을 사용하여 정정 마스크를 결정한다. 그후, 프로그램은 명령 120으로 진행한다.
k=12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령 118에서 정정 마스크는 어떠한 정정도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로값으로 이루어진 시퀀스로 설정된다. 그후, 프로그램은 명령 120으로 진행한다.
명령 120에서는, 정정된 비트 시퀀스를 얻기 위해, 프로그램의 이전 부분에서 결정된 정정 마스크를 PLL(34)로부터 발생한 비트 시퀀스와 EXOR 연산한다. 그후, 프로그램은 명령 102로 진행하여, PLL(34)로부터 발생된 다음 비트를 신호처리하게 된다.

Claims (11)

  1.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전송채널을 거쳐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되, 상기 수신기가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는 입력신호의 품질척도를 판정하는 품질척도 판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신호 및 품질척도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품질 판정수단이 상기 전송채널로부터 수신한 신호 내부에 있는 복수의 천이점 위치로부터 상기 품질척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수단과, 가장 낮은 품질척도를 갖는 상기 입력신호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정정하는 오류 정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판정수단은, 공칭위치보다 늦은 위치를 갖는 가장 최근의 천이점을 저장하고 상기 공칭위치보다 빠른 위치를 갖는 가장 최근의 천이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4. 전송채널로부터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수신하며, 검출기를 구비하되, 상기 검출기는 입력신호의 품질척도를 판정하는 품질척도 판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신호 및 품질척도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품질 판정수단이 상기 전송채널로부터 수신한 신호 내부에 있는 복수의 천이점 위치로부터 상기 품질척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수단과, 가장 낮은 품질척도를 갖는 상기 입력신호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정정하는 오류 정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기록매체 상에 저장된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재생하며, 상기 기록매체 상에 저장된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도출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고, 검출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검출기는 입력신호의 품질척도를 판정하는 품질척도 판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신호 및 품질척도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품질 판정수단이 상기 전송채널로부터 수신한 신호 내부에 있는 복수의 천이점 위치로부터 상기 품질척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수단과, 가장 낮은 품질척도를 갖는 상기 입력신호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정정하는 오류 정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기록매체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나타내는 신호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디지탈 심볼을 도출하며, 입력신호의 품질척도를 판정하는 품질척도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신호 및 품질척도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품질 판정수단이 상기 전송채널로부터 수신한 신호 내부에 있는 복수의 천이점 위치로부터 상기 품질척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수단과, 가장 낮은 품질척도를 갖는 상기 입력신호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정정하는 오류 정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10. 입력신호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재생하며, 상기 복수의 디지탈 심볼을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의 품질척도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신호 및 품질척도로부터 복수의 재구성된 심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채널로부터 수신한 신호 내부에 있는 복수의 천이점 위치로부터 상기 품질척도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가장 낮은 품질을 갖는 상기 입력신호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재구성된 복수의 심볼을 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6390A 1996-12-18 1997-12-08 간단한 심볼검출기를 구비한 전송장치 및 기록장치 KR19990082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3602.6 1996-12-18
EP96203602 1996-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48A true KR19990082648A (ko) 1999-11-25

Family

ID=822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90A KR19990082648A (ko) 1996-12-18 1997-12-08 간단한 심볼검출기를 구비한 전송장치 및 기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79045A (ko)
EP (1) EP0885499B1 (ko)
KR (1) KR19990082648A (ko)
CN (1) CN1211361A (ko)
DE (1) DE69729551T2 (ko)
WO (1) WO19980276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5164B (en) * 1999-10-07 2004-06-09 Oak Technology Inc Demodulator circuit
US7106810B2 (en) 1999-10-07 2006-09-12 Matthew James Collins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modulator circuit
TW483038B (en) 2000-05-26 2002-04-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JP2001357633A (ja) * 2000-06-12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KR100694039B1 (ko) * 2000-07-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터 검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상 동기 루프
ATE357044T1 (de) 2000-11-28 2007-04-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tektionseinheit, einrichtung zur reproduktion eines informationsträgers und detektierverfahren
JP3902763B2 (ja) * 2001-03-30 2007-04-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ータビットストリームをデコード及び変換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信号及びレコードキャリア
DE10122621B4 (de) * 2001-05-10 2006-07-2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Referenztaktphase aus bandbegrenzten digitalen Datenströmen
DE60300885T2 (de) * 2003-04-11 2005-10-06 Alcatel Störungsfreie Schutzschaltung für zwischen zwei REDUNDANTEN Pfade
US7447279B2 (en) * 2005-01-31 2008-11-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zero-crossings of a signal in the presence of noise
US7653117B2 (en) 2006-03-16 2010-01-26 Harris Corporation Method for decoding digital data in a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
CN103327402B (zh) * 2013-06-08 2016-06-15 海安华厚电子科技有限公司 Atsc电视节目实时播放故障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499A (en) * 1981-03-11 1983-07-12 Ford Aerospace & Communications Corporation Adaptive signal quality measurement circuit for PSK and FSK demodulators
GB2105500B (en) * 1981-06-16 1985-01-23 Motorola Ltd Data operated squelch
FR2615675B1 (fr) * 1987-05-21 1989-06-30 Alcatel Espace Procede de demodulation de signaux modules numeriquement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US4968985A (en) * 1988-06-06 1990-11-06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ata demodulation system
US5172395A (en) * 1989-08-22 1992-12-15 Cincinnati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riving an indication of noise content of data bits
US5090026A (en) * 1989-09-11 1992-02-18 Electrocom Automation, Inc. Gmsk narrowband modem
US5170396A (en) * 1990-06-14 1992-12-08 Introtek International, L.P. Data valid detector circuit for manchester encoded data
FR2667750A1 (fr) * 1990-10-05 1992-04-10 Philips Electro Grand Public Reseau cable et dispositif modulateur-demodulateur pour un tel reseau.
US5373513A (en) * 1991-08-16 1994-12-13 Eastman Kodak Company Shift correction code system for correcting additive errors and synchronization slips
US5623507A (en) * 1991-09-13 1997-04-22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Error pointers for enhanced error correction
US5333153A (en) * 1992-01-21 1994-07-26 Motorola, Inc. Signal qual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um audio muting
US5390195A (en) * 1992-04-03 1995-02-14 Ampex Corporation Miller-squared decoder with erasure flag output
US5461629A (en) * 1992-09-09 1995-10-24 Echelon Corporation Error correction in a spread spectrum transceiver
US5295128A (en) * 1992-10-28 1994-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ck controller employing a discrete time control loop method for clocking data in an asynchronous channel
DE69526644T2 (de) * 1994-10-31 2003-01-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es übertragungs- und aufzeichungsystem mit einfacher fehlerkorrektur
US5615223A (en) * 1995-04-19 1997-03-25 Eastman Kodak Company PPM decoder utilizing drop-out loc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9551D1 (de) 2004-07-22
CN1211361A (zh) 1999-03-17
DE69729551T2 (de) 2005-08-25
WO1998027681A3 (en) 1998-08-20
EP0885499B1 (en) 2004-06-16
US6079045A (en) 2000-06-20
EP0885499A3 (en) 1999-01-13
WO1998027681A2 (en) 1998-06-25
EP0885499A2 (en) 199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991B1 (ko) 주파수 및 위상 제어 장치와 최대 우도 디코더
US5938790A (en) Sequence error event detection and correction using fixed block digital sum codes
US7339872B2 (en) Optical disc device
US7529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odulating/demodulating data for an optical recording medium
JPH05159462A (ja) 情報伝送または記録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伝送装置
KR19990082648A (ko) 간단한 심볼검출기를 구비한 전송장치 및 기록장치
JP3923143B2 (ja) 17ビットのコードワードを16ビットのデータワードに復号化する16/17 endecおよび17ビットのコードワードを16ビットのデータワードに復号化する方法
JP2003506809A (ja) 検出装置
JP3892945B2 (ja) サンプリングされた振幅リードチャネルおよび2進データをリードする方法
US7136440B2 (en) Timing recovery for data sampling of a detector
EP1265241B1 (en) Run length limited coding method with DSV control
KR20070007927A (ko) 광학 기억 시스템을 위한 dc 제어된 엔코딩
US7974162B2 (en) Digital data modulator-demodulator
KR100398879B1 (ko) 입력신호의 영점교차 특성을 이용한 위상오차 검출장치
US20020021771A1 (en) Detector, reproduction system, receiver and method
JPH11513219A (ja) デジタル情報信号の送信、記録及び再生
JPH11177433A (ja) 復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2000507068A (ja) 簡単化したシンボル検出器を有する伝送系および記録系
JPH11203795A (ja) 光ディスクの復号装置
KR100565039B1 (ko) 광디스크 rll 변복조방법
JP4729500B2 (ja) 信号特性決定方法及びその装置
US70060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ata correction capability using error information obtained from demodulation procedures
US20090262614A1 (en) Demodulation of a Sampling Signal From a Storage Medium
KR100218018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
US7425906B2 (en) Method of code gener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 mod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