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607A - 안내 멈춤 장치를 갖춘 에너지 가이드 체인 - Google Patents

안내 멈춤 장치를 갖춘 에너지 가이드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607A
KR19990082607A KR1019980706346A KR19980706346A KR19990082607A KR 19990082607 A KR19990082607 A KR 19990082607A KR 1019980706346 A KR1019980706346 A KR 1019980706346A KR 19980706346 A KR19980706346 A KR 19980706346A KR 19990082607 A KR19990082607 A KR 1999008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uide
energy
link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251B1 (ko
Inventor
귄터 블라제
Original Assignee
귄터 블라제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귄터 블라제,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귄터 블라제
Publication of KR1999008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Saw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그와 유사한 것을 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 (1) 에 관계되며, 체인링크 (2) 가 대향하는 측벽 (4) 과 상,하의 횡단 웨브(web) (5) 혹은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링크와 관절로 이어져 있으며, 에너지 가이드 체인은 거의 직선부 (하반부 6) 인 하측을 형성하고, 상기 하측 직선부는 180。 이상의 전환영역 (7) 을 거쳐서 상측의 느슨한 영역 (상반부 8) 과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상측 느슨한 영역의 하측은 하반부 (6) 의 상측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끄러지며, 일부 체인링크 (2) 는 안내 멈춤 장치 (9) 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멈춤 장치 (9) 는 대향하는 체인의 측방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내 멈춤 장치 (9) 는 체인의 종방향으로 신장하는 웨브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체인의 일 반부 (6 혹은 8) 의 체인링크 (2) 상에서 안내 멈춤 장치 (9) 일 이상이 대향 반부 (각각,8 혹은 6)의 체인링크 (2) 상의 두 안내 멈춤 장치 (9) 사이에 맞물리며, 따라서 맞물린 체인링크 (2) 는 상호간에 상대적인 횡적 변위에 대하여 고정된다.

Description

안내 멈춤 장치를 갖춘 에너지 가이드 체인
본 발명은 케이블등을 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에 관계한 것으로서, 상기 체인의 체인링크는 대향하는 측벽과 상,하의 횡단 웨브(web) 혹은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링크와 관절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에너지 가이드 체인은 거의 직선부 (하반부) 인 하측을 형성하고, 상기 하측 직선부는 180。 이상의 전환영역을 거쳐서 상측의 느슨한 영역 (상반부) 과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상측 느슨한 영역의 하측은 하반부의 상측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끄러지며, 일부 체인링크는 안내 멈춤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멈춤 장치는 체인의 대향반부(對向半部)의 측방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이 의미하는 체인링크는, 측벽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횡단 웨브를 가지는 경우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된 횡단 웨브를 가지는 두가지 경우의 체인링크로 이해하여야 한다. 횡단 웨브는 체인의 종방향으로 더 큰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내측 공간은 거의 완벽하게 둘러싸인다.
또한, 연속적이고 유연한 성형체, 예를 들면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진 에너지 가이드 체인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인링크는, 예를 들자면, 성형체의 측벽과 외벽이 요부(凹部)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성형체 벽은 전환영역에서 내측상에 있으며, 실제 연속 벨트와 같은 형상이 된다. 체인링크를 다른 체인링크에 관절 연결하는 것은 실제 필름이나 피대(皮帶) 힌지의 형태이며, 이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재질의 탄력있는 변형성에 기인한다.
만약에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비교적 긴 행정(行程)을 갖고, 체인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놓여지는 안내통로(guide channel)가 사용되지 않으면, 체인링크의 상호간 상대적인 축방향 작용력에 의하여 체인의 직선구간으로부터 측방 벗어남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서 체인의 상반부 측벽의 슬라이딩 단부가 하측 횡단 웨브 혹은 횡단 벽의 외측상에 미끄러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얇은 이들 요소들은 닳을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부서질 수도 있다. 더욱이, 만약에 직선 코스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이 벗어난 경우, 체인은 기울어질 수도 있고, 측면을 벗어날 수도 있다. 만약, 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벗어나면, 체인링크의 힌지 연결이 또한 과도한 응력하에 놓이게 된다.
이미,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독일 특허공보 제 4,433,678 A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체인은 일 측벽 이상의 외측부에 안내 멈춤 장치를 가지며, 이 안내 멈춤 장치는, 예를들면, 미끄럼판 형상의 안내 멈춤 장치, 별모양의 손잡이 혹은 1 개나 2 개의 레버처럼 만들어지며, 이 안내 멈춤 장치는, 체인링크 측벽의 외측부의 평면상에서, 혹은 거기에 평행한 평면에서 제한된 양만큼 움직일 수 있다. 상반부가 하반부상을 미끄러지는 체인영역에서, 대향 반부의 측벽은 겹쳐져서 안내 멈춤 장치에 의해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안내되며, 따라서 적어도 그 영역에서는 측방 벗어남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만약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이동중 체인의 상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가 하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와 협력하여, 상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가 돌아서, 상방으로 선회하거나 상방으로 이동하면,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이동속도는 그들에 의해 제한된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 안내 멈춤 장치의 지지부가 과다한 부하에 노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속으로 이동시 안내 멈춤 장치의 협력은 상당한 소음생성을 야기한다. 이것은, 특히, 연결점에서 시작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양방향으로 완전히 신장한 경우이며, 이동중, 체인의 상반부의 각 안내 멈춤 장치가 이동되고, 따라서 소음 방사에 기여하게 된다. 게다가, 안내 멈춤 장치가 측벽의 측부상에 배치될 때에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측부가 추가로 확대되고, 외측 윤곽이 불규칙하게 됨으로써 측부 돌출부가 상호 쉽게 걸려 버리게 되어, 고장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의 단점들이 제거되고, 특히, 측부 돌출부가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제작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안내 멈춤 장치가 웨브의 형상이고, 체인의 종방향으로 신장하며, 체인의 일 반부의 체인링크상의 일 이상의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의 대향 반부의 체인링크상의 두 개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 맞물려서, 이 맞물린 체인링크가 상호간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가 없도록 고정하는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안내 멈춤 장치는 체인의 하반부 체인링크의 상측 바깥영역 혹은, 체인의 상반부 체인링크의 하측 바깥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안내작용이 체인의 바깥영역에서 유리하게 행해진다. 안내 멈춤 장치는 체인의 하반부 체인링크의 상측의 다른영역 혹은, 체인의 상반부 체인링크의 하측의 다른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안내 멈춤 장치는, U자 단면형상의 이중 웨브처럼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간공간은 웨브를 상호보완한다. 이에 관련하여, "상호보완" 이라는 것은 웨브와 웨브 사이의 중간공간이 서로 협력하여, 체인링크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의도한다. 물론, 중간공간은 웨브의 폭보다 다소간 클 수도 있으며, 따라서 약간의 횡방향 이동이 허용되나, 이 이동은 실제 다른 체인링크 위에 놓여지는 체인링크의 직선 안내에 손상을 가하지는 않는다.
다수의 안내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링크의 폭에 걸쳐서 신장하는 빗구조(comb structure)를 형성하며, 체인의 일 반부의 체인링크의 웨브형상 안내 멈춤 장치가, 대향 반부의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의 U자 형상의 상호보완의 중간공간에 맞물리는 실시예는 특히 바람직하다.
체인의 하반부가 상반부로 전환될 때, 접촉하는 체인링크의 웨브는, 사이에 공간을 두고서, 다른 웨브 상에 먼저 위치한다.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더 이동하면서, 체인의 상, 하반부의 상호 접촉하는 체인링크는 상대편상에 자리잡는다. 체인링크 축에 대해 횡방향의 관절작용에 의하여, 다른 체인링크상에 놓이는 체인링크의 측방 치우침이,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며, 따라서, 그들의 웨브는, 빗과 같이, 대향하는 체인링크의 U자 형상의 중간공간에 맞물리며, 그 결과 각 체인링크의 일 돌출부는, 대향하는 체인링크의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안내되며, 또한, 대향하는 체인링크의 측방 이동이 방지된다.
폭에 걸쳐서 신장하는 빗구조는, 폭전체에 걸쳐서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접촉하는, 웨브와 U자 형상의 중간공간의 특히 큰 받침 면을 허용한다는 것과, 이것에 의해서 안내 멈춤 장치상에 특히 낮은 정도의 연마 마모를 발생시킨다는 장점도 역시 가진다. 특히, 웨브의 끝단과 U자 형상의 중간공간의 바닥이 평탄한 미끄럼면의 형상일 경우, 체인링크의 폭전체가 받침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미끄럼면으로서, 체인의 상반부의 주어진 무게에 있어서, 상대에 대하여 요소들의 경미한 면압만이 존재하며,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특히 낮은 정도의 마모가 발생한다.
체인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신장되어 배열되어 있을 때, 안내 멈춤 장치의 길이가, 체인의 대향 반부의 연속적인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공간의 길이를 초과하도록 하면 역시 유리하다. 체인의 하반부가 전환영역을 거쳐서 체인의 상반부로 천이될 때, 하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 체인의 상반부의 단지 제 1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만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따르는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는 이미 그들이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체인의 대향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 쉽게 배열된다. 이러한 안내 멈춤 장치의 안내에 의하여, 특히 저소음이고, 특히 부드럽고 고장없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이동을 얻을 수 있으며, 빠른 이동이 가능해진다. 특히, 체인의 대향하는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각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를 별도로 위치선정 해야할 필요가 없으며, 이것은, 체인링크의 측벽 외측에 배열되면서, 외측의 평면상에서, 체인의 대향하는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의 작용하에서 움직이고, 원하는 위치로 옮겨지는 안내 멈춤 장치의 경우와는 다르다.
반면에, 부드러운 동작을 상실하지만, 안내 멈춤 장치의 길이를 체인의 대향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의 중간공간의 길이보다 작게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특히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안내 멈춤 장치가 인접한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의 중간공간을 통하여 지나갈 때, 일반적으로 체인링크의 측방향 치우침이, 안내 멈춤 장치가 그들의 경로(track)를 빠져나올 정도로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이다.
안내 멈춤 장치의 길이는, 인접하는 체인링크가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구부러져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또 다른 체인링크와 관계있는, 인접한 체인링크의 상호간의 상대적인 선회작용이, 이를 제한하기 위해 구비한 멈춤장치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인접한 체인링크가, 전환영역에서, 구부러져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안내 멈춤 장치는, 측부의 중앙면으로부터 체인링크의 관절의 일방향으로 치우쳐야 한다. 상기 중앙면은, 체인링크의 관절영역 사이의 중앙에,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면이다.
체인의 일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가, 자리를 잡는 동안, 체인의 대향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 용이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는, 안내 멈춤 장치의 상측 혹은 하측의 외측부는 경사질 수도 있고, 안내 멈춤 장치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 혹은 그와 유사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체인의 일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가,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이동하는 동안, 체인의 대향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따라가게 하기 위해서는, 안내 멈춤 장치의 끝면 역시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의 대향 반부와 마주하는, 체인링크의 측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안내 멈춤 장치는, 예를 들면, 횡단 웨브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브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과 같이, 측벽에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안내 멈춤 장치는, 다른 요소, 예를 들면 체인링크 측부의 협소한 측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분리가능한 횡단 웨브를 구비한 경우, 안내 멈춤 장치는 상기 횡단 웨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안내 멈춤 장치는 횡단 웨브를 교체함으로써, 적절한 안내 멈춤 장치를 특히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반면,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링크에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경우의 실시예도 역시 가능하다. 안내 멈춤 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별도의 운반차(carrier)가 이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운반차는 체인링크에, 예를 들면 횡단 웨브 혹은 측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면, 걸거나 끼우는 수단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링크상에서 제한된 양만큼 움직일 수 있는 경우의 실시예도 포함한다. 체인의 종방향으로 신장하는 웨브는, 예를 든다면 슬롯안에서, 지지될 수도 있고, 평행하도록 변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슬롯은 체인링크에 횡방향으로 신장하며, 예를 들면, 횡단 웨브상에 설치된다. 슬롯의 길이는, 슬롯안에서의 변위에 의하거나, 끝면상에 배치된 이음용 경사면의 선택에 의해서, 또 다른 웨브와 인접하는 체인링크의 웨브가 상호간의 경로에서 벗어날 수 있고, 또 다른 것을 지나쳐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웨브의 이동은 슬롯의 단부에 의해 제한되며, 안내 멈춤 장치가 그들의 측부에서 또 다른 것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또 다른 체인링크의 상부에 놓이는 체인링크의 횡방향 이동을 막는다. 예를 들면, 체인링크가 체인의 상반부로부터 하반부로 통과하는 동안이나 그 반대의 동안에, 체인링크의 중간에 대하여 내측의 슬롯 단부로부터 바깥 단부까지의 안내 멈춤 장치의 자동 천이는, 체인링크가 횡방향을 따라서 기울어진 위치에서 슬롯이 기울어지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변위할 수 있는 안내 멈춤 장치는 중력에 의해 슬롯의 하단에 위치하며, 말하자면 체인의 하반부에서는, 예를 들면 슬롯의 바깥 단부에 위치하며, 체인의 상반부에서는 슬롯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다.
여기서부터,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그리고,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 은 에너지 가이드 체인을 보여주며, 상기 에너지 가이드 체인은 하반부, 전환영역, 그리고 상반부 이루어지며, 이들의 링크는 체인의 대향 반부와 마주하는 측에 안내 멈춤 장치를 가진다.
도 2 는 도 1 의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부분 절취도의 측면도 (상), 단면도 (중) 그리고 평면도 (하) 이며,
도 3 은 하반부상에 놓여진 체인의 상반부에 대해서, 도 1 의 A-A 단면상의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단면도이다.
도 1 에서 3 까지의 에너지 가이드 체인은 다수의 링크 (2) 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 (2)는, 관절 볼트 (3) 수단에 의해 제한된 양만큼 선회할 수 있도록 단부에서 상호연결되어 있다. 체인링크 (2) 는 치우친 측벽 (4) 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은 상,하의 횡단 웨브 (5) 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에너지 가이드 체인 (1) 은 전환영역 (7) 을 거쳐서 상반부 (8) 로 천이되는 하반부 (6) 로 구성된다. 체인의 상반부와 하반부의 체인링크는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안내 멈춤 장치 (9) 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안내 멈춤 장치 (9) 는 상반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반부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여러 사이즈의 체인링크에 대하여, 대략 높이가 5 ㎜ 이고 폭이 2-3 ㎜ 인 웨브 형상의 안내 멈춤 장치를 구비하면 충분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도 2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벽 (4) 은 오프셋 외측 영역 (10) 과 오프셋 내측 영역 (11) 을 구비하며, 안내 멈춤 장치 (9) 는 오프셋 내측 영역 (11) 에 걸쳐서, 그리고 오프셋 외측 영역 (10) 의 일부에 걸쳐서, 측벽 (4) 의 하단부 수준까지 신장한다 (도 2 의 상측 도면에 의하면). 체인링크의 관절영역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 중앙면 (12) 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내 멈춤 장치 (9) 는 체인링크의 각 관절영역 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안내 멈춤 장치 (9) 의 체인의 종방향으로 길이는, 전환영역 (7)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구부러지는 반경(도 1 참조)을 고려하여, 인접한 체인링크가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구부러져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리고 체인링크의 선회성은 멈춤용으로 제공된 멈춤장치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영역 (7) 에서, 참조부호 (13) 으로 표시한 영역에서는 연속적인 체인링크의 안내 멈춤 장치 (9) 사이에 여전히 작은 간격이 존재한다. 안내 멈춤 장치는 나타낸 바와 같은 직사각형외의 형상을 또한 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종방향 단면이 사다리꼴일 수도 있으며, 형성된 사다리꼴의 경사진 면이 인접 안내 멈춤 장치에 대한 경사진 받침면으로 만들어 지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안내 멈춤 장치 (9) 는 평행평면인 바깥면을 가지는, 사각형 웨브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체인링크 (2) 의 상호 대향하는 횡단 웨브 (5) 상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안내 멈춤 장치 (9) 는 빗구조를 하며, 상기 빗구조는 다수의 U자형 단면 혹은 웨브, 안내 멈춤 장치 (9) 에 의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돌출부, 그리고 횡단 웨브 (5) 에 의해 형성된 U자형 단면의 바닥면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멈춤 장치 (9) 가 체인링크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며, 횡단 웨브 (5) 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내 멈춤 장치 (9) 에 의해 형성된, 체인의 상반부 (8) 체인링크의 빗구조는 체인의 하반부 (6) 의 체인링크의 빗구조의 중간공간에 맞물리며, 따라서, 상, 하반부의 체인링크의 타방에 대한 상대적인 측방이동은 방지된다. 안내 멈춤 장치 (9) 의 간격과 폭은, 대향부의 중간공간보다 단지 약간 작게하여,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의 대향 반부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서 안내되도록 한다.
만약 체인의 상반부 (8) 가 하반부 (6) 상에서 미끄러지도록 안내된다면, 안내 멈춤 장치의 끝면 (14) 은 대향 체인링크의 횡단 웨브 혹은 횡단벽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개략적으로 대부분의 전체폭이 받침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지금까지 알려진 에너지 가이드 체인과는 대조적으로, 측벽의 단지 좁은 측부 또는 거기에 설치된 버팀기둥 만 대향부 상에 지지되며, 특히 넓은 받침면과 반면에 작은 마모의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도 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돌아갈 때, 전환영역 (7) 이 끝나고 상반부 (8) 로 들어가는 영역의 체인링크는 체인의 하반부 (6) 의 체인링크 위를 통과한다. 체인링크 상호간에 상대적인 측방 치우침없이 상기 이동이 발생한다면, 체인의 상반부 (8) 안내 멈춤 장치 (9) 의 끝면 (14) 은 체인의 하반부 (6) 의 안내 멈춤 장치의 끝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체인링크의 축의 횡방향에 대하여 상존하는, 뒤의 체인링크에 대한 관절작용에 의하여, 안내 멈춤 장치 (9) 의 다른 안내 멈춤 장치상에서의 미끄럼운동은 이동경로의 작은 부분에 걸쳐서 발생한다. 체인의 상, 하반부에서 상호간에 상대적인 체인링크의 측방의 치우침을 가지는 안내 멈춤 장치 (9) 는, 하측의 체인링크의 빗구조의 중간공간으로 맞물리게 되고, 따라서 도 3 에 보인, 체인의 상, 하반부의 배열은 단면 A-A 의 수준에서 존재한다. 맞물려 들어가는 동작은, 안내 멈춤 장치 (9) 의 끝면 (14) 을 경사지게 하거나 둥글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만약, 도 3 에서 보이는, 체인의 상, 하반부의 상호간의 상대적인 배열이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일부분에 존재한다면, 뒤따르는 각 체인링크의 빗구조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쉽게 맞물리며, 체인의 종방향으로 안내 멈춤 장치 (9) 의 길이가 체인의 대향 반부에서 중간공간 (15)의 길이를 초과하기 때문에, 안내 멈춤 장치는, 한 번 빗구조가 맞물리면, 예를 든다면 이어지는 경사면 수단에 의하여, 상대방에 대하여 강제로 작용함 없이 혹은 그들이 고정되는 체인링크에 대하여 상대적인 그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없이, 각각의 경로에서 쉽게 안내되어진다. 대체로, 이것에 의해, 비록 빠른 이동에서도 아주 낮은 정도의 소음으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이동이 보장된다. 게다가, 만약 안내 멈춤 장치가 체인링크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면, 본 실시예는 또한 보수가 거의 필요없게 된다.
참조 부호 리스트
1. 에너지 가이드 체인 2. 체인링크
3. 관절 볼트 4. 측벽
5. 횡단 웨브 6. 체인의 하반부
7. 전환영역 8. 체인의 상반부
9. 안내 멈춤 장치 10. 오프셋 외측 영역
11. 오프셋 내측 영역 12. 중앙면
13. 영역 14. 끝면
15. 중간공간

Claims (10)

  1. 체인링크는 대향하는 측벽과 상,하의 횡단 웨브(web) 혹은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링크와 관절로 이어져 있으며, 에너지 가이드 체인은 거의 직선부 (하반부)인 하측을 형성하고, 상기 하측 직선부는 180。 이상의 전환영역을 거쳐서 상측의 느슨한 영역 (상반부) 과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상측 느슨한 영역의 하측은 하반부의 상측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끄러지며, 일부 체인링크는 안내 멈춤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멈춤 장치는 대향하는 체인의 측방이동을 방지하는, 케이블이나 그와 유사한 것을 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멈춤 장치 (9) 는 체인의 종방향으로 신장하는 웨브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체인의 일 반부 (6 혹은 8) 의 체인링크 (2) 상에서 안내 멈춤 장치 (9) 일 이상이 대향 반부 (각각, 8 혹은 6)의 체인링크 (2) 상의 두개의 안내 멈춤 장치 (9) 사이에 맞물리며, 따라서 맞물린 체인링크 (2) 는 상호간의 상대적인 횡적 변위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멈춤 장치 (9) 가 체인의 하반부의 체인링크의 상측 바깥영역 혹은, 체인의 상반부의 체인링크의 하측 바깥영역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 멈춤 장치 (9) 가 U자 단면형상의 이중 웨브로 만들어지며, 상기 U자 단면 형상의 중간공간은 웨브를 상호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4.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안내 멈춤 장치 (9) 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멈춤 장치 (9) 는 체인링크 (2) 의 폭에 걸쳐서 신장하는 빗구조를 형성하며, 체인의 일반부의 체인링크 (2) 의 웨브 형상 안내 멈춤 장치 (9) 는 대향 반부의 체인링크 (2) 의 안내 멈춤 장치 (9) 사이의 U자형 상호보완의 중간공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5. 제 1 내지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인의 상반부 (8) 와 하반부 (6) 가 신장되어 배열되어 있을 때, 안내 멈춤 장치 (9) 의 길이가, 체인의 대향 반부의 연속하는 체인링크 (2) 의 안내 멈춤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공간 (15) 의 길이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6. 제 1 내지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멈춤 장치가, 측벽 (4) 의 중앙면 (12) 으로부터 체인링크 (2) 의 관절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7. 제 1 내지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멈춤 장치 (9) 의 상측 혹은 하측의 외측부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8. 제 1 내지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멈춤 장치 (9) 가 체인링크 (2) 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9. 제 1 내지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가능한 횡단 웨브를 가지며, 안내 멈춤 장치 (9) 가 횡단 웨브 (5) 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10. 제 1 내지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멈춤 장치 (9) 가 체인링크 (2) 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KR1019980706346A 1996-02-16 1997-02-10 안내 멈춤 장치를 갖춘 에너지 가이드 체인 KR100287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5775A DE19605775C1 (de) 1996-02-16 1996-02-16 Energieführungskette mit Führungsanschlag
DE19605775.2 1996-02-16
PCT/DE1997/000246 WO1997030299A1 (de) 1996-02-16 1997-02-10 Energieführungskette mit führungsanschl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607A true KR19990082607A (ko) 1999-11-25
KR100287251B1 KR100287251B1 (ko) 2001-06-01

Family

ID=778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46A KR100287251B1 (ko) 1996-02-16 1997-02-10 안내 멈춤 장치를 갖춘 에너지 가이드 체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156974A (ko)
EP (1) EP0879367B1 (ko)
JP (1) JP3284444B2 (ko)
KR (1) KR100287251B1 (ko)
AU (1) AU708011B2 (ko)
BR (1) BR9707538A (ko)
CA (1) CA2246451C (ko)
DE (2) DE19605775C1 (ko)
ES (1) ES2134063T3 (ko)
PL (1) PL182827B1 (ko)
SK (1) SK281013B6 (ko)
TW (1) TW351744B (ko)
WO (1) WO1997030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1706C1 (de) * 1997-01-21 1998-09-03 Igus Gmbh Energiezuführungskette
JP3670964B2 (ja) * 1998-05-05 2005-07-13 イグス・シュプリッツスタイレ・フュア・ディー・インドウストリ・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DE19860948C2 (de) * 1998-12-31 2002-02-14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EP1242764B1 (de) * 1999-12-13 2004-11-10 Peter Kessler Biege- und haltehilfsmittel für rohre, kabel und leitungen
DE10030985B4 (de) * 2000-06-30 2004-02-19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DE20107003U1 (de) * 2001-04-23 2002-09-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S6609684B2 (en) 2001-07-20 2003-08-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Flexible snap-together cable trough
US6575654B2 (en) 2001-07-20 2003-06-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Flexible snap-together cable enclosure
US6603073B2 (en) 2001-09-12 2003-08-05 Adc Telecommunications, Inc. Snap together cable trough system
US7082720B2 (en) 2002-06-25 2006-08-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able guide and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vehicle slide door
US6653568B1 (en) * 2002-09-13 2003-11-25 Panduit Corp. Flexible harness wrap
AT501848B1 (de) * 2005-04-15 2007-04-15 Wien Kanal Abwassertech Gmbh Kabelkanal
JP4076550B2 (ja) * 2005-06-23 2008-04-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476187B2 (ja) * 2005-07-01 2010-06-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06006492U1 (de) 2006-04-20 2006-06-22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angeformtem Gleitschuh
DE202006006640U1 (de) * 2006-04-21 2006-07-06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S7677812B2 (en) * 2006-07-31 2010-03-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rain relief boot for cable connector
US7758364B1 (en) 2009-08-04 2010-07-20 Seagate Technology Llc Rotary positioning
JP5618933B2 (ja) * 2011-07-25 2014-11-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ITTO20110832A1 (it) 2011-09-16 2013-03-17 Soilmec Spa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per linee di alimentazione per dispositivi di scavo.
US9902289B2 (en) * 2013-02-15 2018-02-27 Murata Machinery, Ltd. Transport facility and automated warehouse
US10367339B2 (en) 2017-05-10 2019-07-30 The Boeing Company Snag mitigating cable track apparatus
US9972984B1 (en) * 2017-06-07 2018-05-15 Custom Plastics, Inc. Cable management assembly
US11707819B2 (en) 2018-10-15 2023-07-25 General Electric Company Selectively flexible extension tool
US11702955B2 (en) 2019-01-14 2023-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nent repair system and method
US11692650B2 (en) 2020-01-23 2023-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Selectively flexible extension tool
US11752622B2 (en) 2020-01-23 2023-09-12 General Electric Company Extension tool having a plurality of links
US11613003B2 (en) 2020-01-24 2023-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Line assembly for an extension tool having a plurality of links
DE202020100606U1 (de) 2020-02-04 2021-03-05 Igus Gmbh Leitungsführungssystem mit vereinfachter Führungsvorrichtung zur Querstabilisierung und Anbaumodul hierfür
US11371437B2 (en) 2020-03-10 2022-06-28 Oliver Crispin Robotics Limited Insertion tool
US11977217B2 (en) 2020-12-04 2024-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Insertion tool
US11654547B2 (en) 2021-03-31 2023-05-23 General Electric Company Extension too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0854A (en) * 1968-10-09 1971-07-06 Gemco Electric Co Rolling conductor support
US3779003A (en) * 1972-09-07 1973-12-18 Measurex Corp Cable carrier with removable plastic links
SE372078B (ko) * 1973-04-18 1974-12-09 K Boerjesson
US4462565A (en) * 1983-01-17 1984-07-31 Lockheed Corporation Erectable and retractable support for rolling conductor track
DE3928236C1 (ko) * 1989-08-26 1990-10-2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JPH0830520B2 (ja) * 1990-01-13 1996-03-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走行移動体のケーブルガイド装置
IT1239969B (it) * 1990-05-11 1993-11-27 Magitex Canalina per il supporto di una catena porta condutture e un apparato mobile per la pulizia di un impianto tessile
DE4140910C1 (ko) * 1991-12-12 1993-02-2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US5343989A (en) * 1992-12-16 1994-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ed wear cable carrier and pads
DE4307081C2 (de) * 1993-03-06 1995-02-09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4433678C2 (de) * 1994-09-21 1996-08-08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Führungsanschlag
US5649415A (en) * 1995-02-02 1997-07-22 Hubbell Incorporated Power supply chain and chain carriage system
DE19512088C2 (de) * 1995-04-03 1997-05-07 Igus Gmbh Energiekette
DE29607228U1 (de) * 1996-04-22 1996-06-13 Igus Gmbh Kanal für Energieführungske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281013B6 (sk) 2000-10-09
PL182827B1 (pl) 2002-03-29
KR100287251B1 (ko) 2001-06-01
WO1997030299A1 (de) 1997-08-21
DE19605775C1 (de) 1997-09-25
US6156974A (en) 2000-12-05
AU708011B2 (en) 1999-07-29
BR9707538A (pt) 1999-07-27
JPH11514071A (ja) 1999-11-30
JP3284444B2 (ja) 2002-05-20
AU2151197A (en) 1997-09-02
CA2246451A1 (en) 1997-08-21
EP0879367B1 (de) 1999-06-02
DE59700190D1 (de) 1999-07-08
PL328567A1 (en) 1999-02-01
TW351744B (en) 1999-02-01
EP0879367A1 (de) 1998-11-25
CA2246451C (en) 2003-01-07
ES2134063T3 (es) 1999-09-16
SK108398A3 (en) 199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607A (ko) 안내 멈춤 장치를 갖춘 에너지 가이드 체인
JP4028238B2 (ja)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US5411443A (en) Dragchain substitute
US5598916A (en) Changing headless pivot rods from edges of modular conveyor belts
JP4121029B2 (ja)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JP4074678B2 (ja) 潤滑用インサートを含む側方たわみコンベヤ
AU593939B2 (en) Conveying apparatus
KR100411359B1 (ko) 라인 가이드 장치
US4603776A (en) Conveyor belt
US4358010A (en) Conveyor
KR940011373B1 (ko) 활주편을 구비한 동력 공급 라인용 안내 체인
AU593494B2 (en) Flat wire conveyor with differential pitch
US20010025715A1 (en) Line guiding arrangement for supporting energy lines
US5156262A (en) Conveyor belt module drive surfaces for mating with sprocket drive surface in the hinging region
KR20010075712A (ko) 에너지 안내 체인
JP2013506610A (ja) モジュール式中間駆動ベルトを有するベルトコンベヤ
US5280833A (en) Turn conveyor with reduced friction feature
US7013630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4534183A (en) Continuous freezing apparatus
US6142295A (en) Curved path chain link conveyor modules and belts
RU2001105540A (ru) Направляющий рельс с выемками зацепления и расцеп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ем движ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с наклонными роликами
JP2022537510A (ja) クリーンルーム用途のためのサポートチェーンを有するラインガイド及びそのためのサポートチェーン
KR20230087506A (ko) 롤러 컨베이어 갭 차단기
EP0836578B1 (en) Conveyor belt
US20220106125A1 (en) Modular conveyor belt with hook hi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