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586A -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586A
KR19990082586A KR1019980706324A KR19980706324A KR19990082586A KR 19990082586 A KR19990082586 A KR 19990082586A KR 1019980706324 A KR1019980706324 A KR 1019980706324A KR 19980706324 A KR19980706324 A KR 19980706324A KR 19990082586 A KR19990082586 A KR 1999008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sleeve
position switch
base
form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라식크 브라디미르
카라식크 보리스
Original Assignee
로이드 디. 도이간
리어 오토모티브 디어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이드 디. 도이간, 리어 오토모티브 디어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이드 디. 도이간
Publication of KR1999008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8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the movement in one direction being intentionally by hand, e.g. for setting automatically cancelled traff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다위치 다방향 스위치 메카니즘은 서로 마주하는 디텐트 메카니즘(32 및 42)을 이용하면서 다중 방향으로의 스위치 작동을 제공한다. 다위치 다방향 스위치 메카니즘은 베이스(12) 안에서 피봇하는 슬리이브(30) 및 슬리이브(30) 안에서 피봇하는 오퍼레이터(70)를 가진다. 각 피봇 부재(30 및 70)는 피봇 부재(30 및 70)를 선택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디텐트 메카니즘(32 및 42)의 스프링 장전식 디텐트(36 및 46)는 서로 직선적으로 마주하고 있다. 최종적인 다위치 다방향 스위치 메카니즘은 단지 몇 개의 부품들로서 양호한 기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
본 발명은 전기 스위치 액튜에이터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향된 디텐트 메카니즘(detent mechainism)을 이용하여 액튜에이터를 선택된 위치로 유지하도록 하는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액튜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전기 스위치 액튜에이터 어셈블리는 특히 자동차산업에서는 비교적 흔한 것이다. 그 일반적인 예가 전형적으로 차량의 스테어링 컬럼을 따라 설치된 헤드램프 및 턴 시그널 레버 스위치이다. 이들 레버 스위치들은 서로 떨어져 2개의 직선 방향으로 90°피봇할 수 있는 액튜에이터 어셈블리에 합체된다. 이런 방도의 레버의 움직임은 4개 이상의 상이한 기능의 동작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이런 능력을 가지는 전형적인 액튜에이터 어셈블리가 피봇형 핸들/액튜에이터이다. 액튜에이터는 케이싱 안에서 피봇될 수 있고 그리고 반원형을 이루는 1쌍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아암을 가진다. 스프링 장전식 디텐트 핑거(spring loaded detent finger)는 액튜에이터의 각 아암의 외향단에 부착되어 어셈블리의 외부케이싱 안에 형성된 서로 인접한 쌍의 디텐트 형성부와 결합하게 된다. 핸들은 액튜에이터 안에 2개의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피봇하고 그리고 내향단에 근접하며 액튜에이터의 몸체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디텐트 형성부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장전식 디텐트 핑거를 가진다.
이들 종래 기술의 스위치들이 갖는 문제점은 액튜에이터 어셈블리 안에 있는 무수한 부품들이 특정 제조공차 이내로 제조되고 그리고 각종 부품들의 상호 접속이 특정 틈새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들 종래기술의 액튜에이터 어셈블리에서의 다수의 공차 및 틈새의 결합효과는 과도한 유격과 저감된 정밀도를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이들 액튜에이터 어셈블리의 전체 사이즈도 이들 부품들의 수량 및 배열을 수용하기 위해서 아주 클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 수많은 부품들의 존재는 신뢰도를 떨어짐은 물론 쓸데없는 조립 작업을 요구한다.
따라서, 소형으로 가능하고, 부품수도 작고, 경제적으로 생산·조립에 가능하면서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다위치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이 제공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다위치 스위치 메카니즘은 대향하는 디텐트 메카니즘들과 다중적으로 독립하여 직선 방향으로의 다수의 정지 위치로의 이동을 가지는 액튜에이터를 제공한다. 이 디텐트 메카니즘은 액튜에이터의 독립적인 위치 이동과 관련되어 있다. 액튜에이터는 액튜에이터의 다른 어떠한 한정된 방향으로의 위치에 관계없이 한정된 직선 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액튜에이터 어셈블리는 전형적으로 전기 스위치에 고정되어 액튜에이터 어셈블리의 위치 이동과 일치하는 다중 스위치 포인트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스위치는 어느 선택된 스위치 포인트가 다른 어느 방향으로 작동하는 동일시기에 제 1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액튜에이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액튜에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2 의 4-4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5 는 도 2 의 5-5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전기 스위치의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전기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8 은 도 6 의 스위치의 슬리이브 부분상에 회전신호 해제 메카니즘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은 다음의 설명에 언급하고 도면에 예시한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배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구현예도 가능하고 다양한 방도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귀 및 용어는 단지 설명 목적을 위한 것으로 꼭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디텐트 메카니즘은 디텐트 형성부, 디텐트 및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디텐트 메카니즘의 기능은 디텐트와 그것에 부착된 부재를 디텐트 형성부에 대해 선택된 위치로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디텐트 형성부는 디텐트의 일부분을 수용 및 지지 할 수 있는 한정된 영역, 전형적으로 오목면을 가지는 표면이다. 디텐트 형성부는 예컨대 평면, 적어도 하나의 한정된 영역을 가지는 직선 또는 원추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디텐트 형성부는 디텐트의 이동을 한정하는 지점으로부터 적절히 정해진 거리로 배열된 노치들이 형상으로된 다수의 한정된 영역을 가진다. 가급적, 디텐트 형성부는 평면의 에지를 따라 정렬된 일련의 노치들을 포함한다.
완충부재는 스프링, 쿠션, 가요성 시트등과 같은 메카니즘의 1 또는 2부재에 충분한 탄성을 제공하는데 적절한 요소일 수 있다. 완충부재는 이들 요소들의 하나 또는 양측을 타측에 대해 자극하는 힘을 제공한다. 가급적, 완충부재는 디텐트 형성부의 진동면에 대해 디텐트를 자극하고 그리고 디텐트를 선택된 한정 영역과의 결합을 강요하여 디텐트가 선택된 위치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다.
디텐트는 디텐트 형성부상에 한정된 영역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적절한 임의의 요소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디텐트는 핑거(finger), 프렁(prong), 도그(dog), 폴(pawl) 등의 요소이다. 가급적, 디텐트는 디텐트 형성부의 진동면을 따라 미끄럼 운동 및/또는 구름 운동하는 스프링 장전식 핑거이다.
디텐트 형성부, 디텐트 및 완충부재상에 한정된 영역은 선택된 미리 한정된 위치로 수동적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선택된 한정 핀 영역에 해제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는 디텐트 메카니즘을 협동적으로 형성하게끔 선택되어져야 한다. 이 디텐트 메카니즘은 디텐트나 디텐트 형성부상에 충분한 힘을 가함으로써 선택된 한정된 영역으로부터 쉽게 해제되어서 디텐트를 유지된 위치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대표적인 디텐트 메카니즘에 있어, 디텐트는 디텐트 형성부의 진동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그것이 진동면에 대해 이동할 때 디텐트 형성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 장전식 핑거이다.
도 1-2 는 전기 스위치(도시하지 않았음)의 일부로서 설계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액튜에이터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액튜에이터는 물론, 다양한 전기 스위치와 스위치 구성요소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액튜에이터(10)는 베이스(12), 슬리이브(30), 오퍼레이터(70), 및 2개의 대향하는 디텐트 메카니즘(32 및 42)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베이스의 상부면(12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지지물(14)을 가진다. 지지물로부터 베이스의 중심을 향하여 내부로 연장하는 것은 베이스 위로 평행한 방향으로 있는 디텐트 형성부(34)이다. 또한, 베이스(12)는 베이스(12)의 상부면(12a)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 돌기 포스트(16)를 가진다. 베이스의 측면에 근접하여, 베이스의 상부면(12a)으로부터 연장하는 돌기 포스트의 어느 일측부에 설치된 1쌍의 홈진 돌기 부재(18a 및 18b)가 있다.
베이스는 2개의 마주한 수직 레그(24a 및 24 b)사이를 연장하는 수평 부재(22)를 포함하는 U형 커버(20)를 가진다. 이 수평부재는 수평부재(22)의 내부면의 중앙으로부터 수직 레그와 같은 방향으로 하향하여 연장하는 돌기 포스트(26)를 가진다. U형 커버는 레그(24 a 및 24b)에 삽입함으로써 베이스상에 설치된다. 이 홈진 부재와 레그들은 커버가 홈진 부재들에 스냅결합하여 베이스에 상호고정되도록 부착되어지고 돌기 포스트(16 및 26)는 동축 정렬상태로 서로를 향할 것이다.
슬리이브(30)는 슬리이브를 통해 연장하는 것으로 1쌍의 디텐트 로울러(36 및 46)와 스프링(38)을 수용하여 감싸는 오프닝(52)을 가진다. 슬리이브의 형상 및 치수는 특정 적용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도 1-2에 예시한 대표적인 구현예에 있어, 슬리이브는 4각 횡단면을 가지며 그리고 그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오프닝을 가진다. 슬리이브의 내부에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54 및 56)의 형태로된 2쌍의 수직으로 배열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로는 모두 동일단(54a 및 56a)이 개방되어 있고 타단(54b 및 56b)은 폐쇄되어 있다. 각 수로(raceway)(54 및 56)는 디텐트 로울러를 수용하게끔 설계되어 있다. 디텐트 로울러는 슬리이브(3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수로(54 및 56)안을 자유롭게 미끄러지게끔 설계된다. 이들 수로는 경우에 따라 치수가 다를수도 있지만 가급적 동일한 치수의 디텐트 로울러를 수용하기 위해 동일 치수로 되어 있다.
디텐트 로울러(36 및 46)는 개방단으로부터 수로(54 및 56)에 삽입되어 폐쇄단에 의해 수로안에 유지된다. 수로의 폐쇄단은 슬리이브(30)의 제 1 단(30a)과 근접하여 있다.
스프링(38)은 슬리이브(30)의 오프닝(52)안에 쉽게 맞추어지는 치수로 되어 있다. 스프링은 특정 적용예의 디텐트 메카니즘의 요구 사항에 따라 종방향으로 일정하거나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스프링(38)은 수로(56)의 폐쇄단에 반하여 위치한 제 1 디텐트 로울러(36)에 의해 제 1 단(30a)에서 슬리이브(30)안에 유지된다(아래 설명 참조). 스프링(38)은 슬리이브에 위치한 제 2 디텐트 로울러(46)에 의해 타단에 접하여 있다.
슬리이브930)의 외부에는 1쌍의 마주하여 배열된 양각부(embossment)(28a 및 28b)가 있다. 이들 양각부(28a 및 28b)는 베이스 상에 있는 돌기 포스트(16 및 26) 및 U형 커버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슬리이브(30)와 베이스(12)간의 피봇 접촉부를 형성시킨다. 이 피봇 접속부는 슬리이브 단부들이 이동하는 평면을 한정하는 특히, 슬리이브의 단부는 피봇 접속부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내에서 호형경로로 이동한다.
슬리이브 단부의 평면 움직임과 정렬된 것으로 슬리이브의 제 1 단(30a)을 가로지르는 슬롯(58)이 있는데 이것은 슬리이브의 일부분을 따라 내향하여 연장한다. 이 슬롯(58)은 베이스(12)에 부착된 디텐트 형성부(34)가 슬리이브 속으로 미끄러지도록 그리고 디텐트 로울러(36)와 접촉하게 되는 치수로 되어 있다. 가급적, 슬롯(58)과 디텐트 형성부(34)는 슬리이브(30)가 한정된 예정된 영역을 통해 상대적으로 쉽게 피봇되면서 디텐트 형성부(34)와 디텐트 로울러(36) 사이에 접촉인 유지되는 치수 및 구성을 갖는다.
제 1 단에 마주한 슬리이브의 제 2 단(30b)은 오퍼레이터를 위한 피봇 조인트(60)를 가진다. 이 피봇 조인트(60)는 슬리이브 피봇 접속부의 축선에 수직한 축선을 갖는다. 오퍼레이터 피봇 조인트(60)는 슬리이브를 통해 횡방향으로 삽입된 피봇핀(62)을 포함한다. 가급적, 피봇핀(62)은 슬리이브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오퍼레이터(70)는 일단에 핸들(72)을 그리고 타단에 디텐트 형성부(44)를 가진다. 오퍼레이터(70)는 디텐트 형성부(44)와 핸들(72) 사이에 중간 조인트 및 피봇된(62)에 결합되는 오프닝(64)을 가진다. 오퍼레이터(70)는 가급적 슬리이브의 일측에 있는 구멍(66a), 오퍼레이터의 오프닝(64) 및 슬리이브(30)의 타측에 있는 구멍(666)을 통해 피봇핀을 삽입시킴으로써 슬리이브(30)에 결합되어 피봇 조인트(60)를 형성하게 된다. 이 피봇 조인트(60)는 오퍼레이터(70)의 단부에 있는 디텐트 형성부(44)가 움직이는 평면을 한정한다.
슬리이브를 위한 피봇 접속부와 오퍼레이터를 위한 피봇 조인트는 슬리이브를 따라 독립적으로 위치하여서 특정 적용의 설계 변수와 일치하도록 한다. 도 3 에 있어 오퍼레이터(70)를 위한 피봇 조인트(60)와 슬리이브(30)를 위한 피봇 접속부는 슬리이브상에 위치하여서 이들 피봇 조인트들의 축선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 하도록 한다.
제 1 단(30a)과 유사하게, 슬리이브의 제 2 단(30b)은 오퍼레이터의 평면 운동과 관련하여 슬리이브의 일부분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의 단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슬롯(68)을 가진다. 이 슬롯(68)은 오퍼레이터(70)의 부분들이 오퍼레이터의 피봇 운동중 슬리이브의 내부보다 더 이동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슬리이브(30), 스프링(38), 디텐트 로울러(36 및 46), 오퍼레이터(70) 및 피봇 핀(62)은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이 서브-어셈블리는 제 1 디텐트 로울러(36)을 슬리이브의 제 2 단(30b)에서 수로(56)의 개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즉 슬리이브 피봇 접속부의 축선에 평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38)은 그다음 제 1 디텐트 로울러(36)와 접촉상태로 제 1 단과 더불어 삽입된다. 제 2 디텐트 로울러(46)는 스프링의 노출된 제 2 단에 반하여 그리고 슬리이브 수로(54)안에 오퍼레이터 피봇 조인트(60)의 축선과 평행하게 있게 된다. 오퍼레이터(70)의 디텐터 형성단은 디텐트 형성부가 제 2 디텐트 로울러(46)에 횡방향으로 결합하고 그리고 오퍼레이터의 오프닝(640이 슬리이브의 구멍(66a 및 66b)과 정렬되는 방도로 슬리이브의 제 2 단(30b)에 삽입된다. 오퍼레이터(70)의 디텐트 형성 단부는 제 2 디텐트 로울러(46)에 반하여 밀려져서 순차적으로 슬리이브(30) 속으로 더욱더 삽입됨에 따라 스프링(38)을 압축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의 오프닝(64)이 슬리이브의 구멍(66a 및 66b)와 정렬된 포인트로 삽입된다. 피봇 핀(62)은 구멍속으로 삽입되어 오퍼레이터(70)를 슬리이브(30)에 피봇상태로 결합시키고 그리고 서브-어셈블리를 함께 고정시킨다. 어셈블리는 제 1 및 제 2 디텐트 로울러르 그들 사이에 고정된 압축 스프링에 의해 최종 상태의 양 로울러상에 직선 외향력이 발휘되면서 슬리이브안에 로울러를 고정시킨다.
서브 어셈블리는 디텐트 형성부(34)를 슬리이브의 제 1 단에 있는 슬롯에 그리고 돌기 포스트(16)를 슬리이브(30)의 외부에 있는 양갹부(28a)에 삽입함으로써 베이스(12)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된다. U형 커버(20)상에 있는 돌기포스트(26)는 슬리이브 상에 노출된 양각부(28b)에배치되고 커버의 레그(24a 및 24b)는 베이스상의 돌출슬롯(18a 및 18b)에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신축핸들(76)이 오퍼레이터의 핸들(72)에 부착된다.
동작중, 스프링은 베이스 장착 디텐트 형성부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디텐트 로울러 및 오퍼레이터의 단부상에 있는 디텐트 형성부를 각기 자극한다. 핸들이 슬리이브 피봇 접속부를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할 때, 제 1 디텐트 로울러는 베이스 장착 디텐트 형성부를 가로질러 통과함에 따라 안, 밖으로 움직인다. 유사하게, 핸들이 오퍼레이터 피봇 조인트를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2 디텐트 로울러는 수로 안에서 아래 위로 움직여서 핸들 장착 디텐트 형성부의 진동면을 적절히 수용시킨다.
이런 다중 위치 다방향 액튜에이터의 전형적인 사용은 차량의 턴 시그널 및 헤드라이트 비임 선택용 전기 스위치에서 사용된다. 액튜에이터의 디자인이 어떤 특정 적용에 적절하도록 변형될 수 있지만, 액튜에이터는 턴시그널의 동작을 위해, 좌측, 중립 및 우측 위치를 한정하는 3노치들을 갖는 디텐트 형성부를 가짐으로써 이들 기능을 수용하는 디자인은 용이해진다. 오퍼레이터의 피봇 운동과 관련된 다른 디텐트 형성부는 가급적 헤드라이트의 동작을 위한 고, 저비임 위치를 한정하는 2개의 노치를 가진다.
액튜에이터는 수많은 기술 중 어느 한 것에 의해 전기 컨택터를 갖출수 있다. 이 컨택터는 액튜에이터의 독립된 양 방향 움직임에 반응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 은 상기한 도 1 의 액튜에이터에 전기 컨택터를 설비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도 6 및 도 7 에 있어, 액튜에이터(10)는 2세트의 컨택터를 갖추고 있다. 제 1 세트의 컨택터(102)는 슬리이브의 제 1 단(30a)에 근접하여 베이스(12)쪽을 향한 측부를 따라 슬리이브(30)에 부착된다. 제 2 세트의 컨택트(104)는 슬리이브(30)와 베이스(12)의 상부면(12a) 사이에서 오퍼레이터(70) 상의 디텐트 형성부(44)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베이스(12)의 상부면(12a)은 제 1 및 제 2 세트의 컨택터(102 및 104)와 협동하는 구리 접촉 스트립 또는 트레이스 어레이(106)를 갖추고 있다.
제 1 세트의 컨택트(102)는 슬리이브의 제 1 단(30a)의 피봇 운동에 의해 작동된다. 제 2 세트의 컨택트(104)는 피봇 조인트(60)를 중심으로 오퍼레이터(70)의 피봇 운동에 감응된다. 제 2 세트의 컨택터(104)는 컨택터로부터 연장하는 핑거(108)에 의해 오퍼레이터(7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적용에 따라, 전기 컨택터들은 서로 다른 디자인으로 될 수 있지만 가급적 스위치 어셈블리의 상이한 구성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동일한 것이 좋다.
도 8 은 임의적인 턴 시그널 해제 메카니즘(120)을 갖춘 액튜에이터의 슬리이브(30)를 보여준다. 이 턴 시그널 해제 메카니즘(120)은 베이스 부재(122), 가동형 캠(124), 및 해제 폴(canc디 pawl)(126)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22)는 슬리이브(3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가동형 캠(124)은 슬리이브(30)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된다. 해제 폴(126), 베이스부재(122), 및 가동형 캠(124)은 서로 협동하여 스테어링 컬럼의 귀환 움직임으로부터 충분한 힘을 전달하여서 선택된 턴 시그널 위치로부터 액튜에이터를 해제시킨다.

Claims (2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미리 한정된 위치로 조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셀렉터수단, 이때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피봇 수단은 서로 협동하여 상기 피봇 수단을 상기 베이스에 관해 선택된 위치로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디텐트 수단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셀렉터 수단에 대해 미리 한정된 위치로 조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셀렉터 수단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셀렉터 수단, 이때 상기 제 2 셀렉터 수단과 제 1 셀렉터 수단은 서로 협동하여 상기 제 2 셀렉터 수단을 상기 제 1 셀렉터 수단에 관해 선택된 위치로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제 2 디텐트 수단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셀렉터 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 셀렉터에 부착된 오퍼레이터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수단은 서로 마주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수단이 직선 상태로 마주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수단이 서로에 대해 수직 상태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셀렉터 수단이 서로 상이한 방향은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셀렉터 수단이 상호 수직방향으로 피봇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수단이 공동의 완충 수단을 분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수단이 수동형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 수단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셀렉터 수단은 상기 제 1 셀렉터 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메카니즘.
  10. 제 1 디텐트 형성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제 1 및 제 2 디텐트를 포함하는 슬리이브;
    상기 슬리이브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이브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조정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디텐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오퍼레이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디텐트는 상기 제 1 디텐트 형성부와 그리고 상기 제 2 디텐트는 상기 제 2 디텐트 형성부와 공유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젠트 형성부는 상호 수직상태로 배향되어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가 서로 마주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가 동일 라인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가 공동의 완충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및 탄성부재가 상기 슬리이브 안에 둘러 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텐트 형성부가 상기 오퍼레이터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제 2 디텐트 형성부로부터 마주하여 연장하는 핸들을 아울러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디텐트 형성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및 완층부재를 슬리이브안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텐트가 상기 제 1 티텐트 형성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 2 디텐트는 상기 제 2 디텐트 형성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20. 제 1 디텐트 형성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디텐트 및 스프링을 둘러싸는 슬리이브;
    상기 슬리이브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이브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조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 2 디텐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오퍼레이터;
    상기 슬리이브에 동작가능하게 부착된 제 1 세트의 전기 컨택터;
    상기 오퍼레이터에 동작가능하게 부착된 제 2 세트의 전기 컨택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1 디텐트는 상기 제 1 디텐트 형성부에 그리고 상기 제 2 디텐트는 상기 제 2 디텐트 형성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 형성부는 상호 수직상태로 배향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디텐트는 동일 라인을 따라 서로 마주 향하여 왕복운동하고 그리고 공동의 스프링에 의해 외방으로 강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위치 스위치 액튜에이터.
KR1019980706324A 1996-12-16 1997-10-14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 KR19990082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66,961 US5708243A (en) 1996-12-16 1996-12-16 Multi-position, multi-directional electric switch mechanism
US8/766,961 1996-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586A true KR19990082586A (ko) 1999-11-25

Family

ID=2507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324A KR19990082586A (ko) 1996-12-16 1997-10-14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08243A (ko)
EP (1) EP0883884A4 (ko)
JP (1) JP2000507037A (ko)
KR (1) KR19990082586A (ko)
BR (1) BR9707545A (ko)
CA (1) CA2246435A1 (ko)
TW (1) TW380269B (ko)
WO (1) WO1998027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901A (ja) * 1997-03-21 1998-10-09 Alps Electric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DE19958507B4 (de) * 1999-12-04 2004-09-16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Lenkstockschalter
EP1387279B1 (en) * 2002-07-31 2008-05-14 Texas Instruments Inc. Cache coherency in a multi-processor system
DE102004031586A1 (de) * 2004-06-30 2006-02-0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pieloptimierte Aufnahme für Schaltstück
JP2006221933A (ja) * 2005-02-09 2006-08-24 Alps Electric Co Ltd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4167701B2 (ja) * 2006-06-02 2008-10-22 東洋電装株式会社 車両用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276A (en) * 1968-03-22 1971-05-25 Essex International Inc Vehicle light control and warning indicator system
GB1411784A (en) * 1972-02-29 1975-10-29 Lucas Electrical Co Ltd Electric switches
DE2649329C2 (de) * 1976-05-13 1984-04-26 Leopold Kostal GmbH & Co KG, 5880 Lüdenscheid Kraftfahrzeuglenkstockschalter
JPS6140043Y2 (ko) * 1979-03-10 1986-11-15
US4814563A (en) * 1984-10-02 1989-03-2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Contact mechanism for a switch
US4599501A (en) * 1984-10-02 1986-07-0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witch actuating mechanism having resilient means for displacement transmission
US4613733A (en) * 1984-10-02 1986-09-2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Delay wiper switch
US4769518A (en) * 1987-07-02 1988-09-06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Latching switch operated by sequential push motions
US4762967A (en) * 1987-07-02 1988-08-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odular push type latching and cross cancelling switches
US4885434A (en) * 1988-05-12 1989-12-0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Automotive headlight, push-pull, rotary switch system
US4900946A (en) * 1988-06-03 1990-02-13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Multi-function switch for automotive vehicles
US4891475A (en) * 1988-10-24 1990-01-0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Automotive beam selector switch system with flash-to-pass
DE3840655A1 (de) * 1988-12-02 1990-06-07 Swf Auto Electric Gmbh Lenkstockschalter fuer kraftfahrzeuge
JPH0621789Y2 (ja) * 1989-02-22 1994-06-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セルフキャンセル装置
DE3942925A1 (de) * 1989-12-23 1991-06-27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blinkerschalter fuer kraftfahrzeuge
DE4016773C2 (de) * 1990-05-25 1999-08-19 Teves Gmbh Alfred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zum Betreiben einer Scheibenwisch- und einer Scheibenwaschanlage eines Kraftfahrzeugs
US5264821A (en) * 1990-11-27 1993-11-2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Rotary, push-pull headlight switch with ceramic coated metal substrate rheostat and cam actuated dome light bypass switch
US5140111A (en) * 1990-11-27 1992-08-1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Cam actuated dome light bypass switch
JP2570837Y2 (ja) * 1992-07-23 1998-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US5385067A (en) * 1993-09-13 1995-01-3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US5491311A (en) * 1993-11-08 1996-02-1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ultifunction switch
US5389754A (en) * 1993-11-08 1995-02-14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guide system
JP3038639B2 (ja) * 1994-03-30 2000-05-08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の組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7563A1 (en) 1998-06-25
EP0883884A1 (en) 1998-12-16
JP2000507037A (ja) 2000-06-06
EP0883884A4 (en) 2004-12-08
US5708243A (en) 1998-01-13
TW380269B (en) 2000-01-21
CA2246435A1 (en) 1998-06-25
BR9707545A (pt) 2000-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85110A1 (en) Switch apparatus
JPH0276439U (ko)
KR19990082586A (ko) 다위치 다방향 전기 스위치 메카니즘
US6084189A (en) Electrical switch
US6046414A (en) Switch assembly
JP3066258B2 (ja) シーソスイッチ
KR200400694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장치
US6069327A (en) Switch device
KR20130040965A (ko) 스위치 장치
US7939992B2 (en) Electrical switch element, particularly a relay, with swivelling lever switch mechanism
KR100330849B1 (ko) 다방향 입력장치
KR100377018B1 (ko) 전자밸브집합체의 급전장치
US5735391A (en) Dual slide three-position switch
US4677260A (en) Cam operated switch
US4406933A (en) Neutral position limit switch lever head
US6600115B2 (en) Switching device
US6759606B2 (en) Membrane slide switch
EP0727795B1 (en) Sequence switch with forced disconnect mechanism
CN219015625U (zh) 一种用于驱动按摩机芯倾斜平移的设备
JPH0235141Y2 (ko)
JP2594619B2 (ja) 光スイッチ
KR0143521B1 (ko) 파워스위치
JPH046111Y2 (ko)
JPH0544984Y2 (ko)
US5278369A (en) Electrical operating device with contact-holding slider in two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