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078A -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078A
KR19990080078A KR1019980013071A KR19980013071A KR19990080078A KR 19990080078 A KR19990080078 A KR 19990080078A KR 1019980013071 A KR1019980013071 A KR 1019980013071A KR 19980013071 A KR19980013071 A KR 19980013071A KR 19990080078 A KR19990080078 A KR 1999008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ocket
unit
decod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설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8001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0078A/ko
Publication of KR1999008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078A/ko

Links

Landscapes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보드(main board) 상의 각 소켓(socket)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동일한 메모리 뱅크(memory bank)에 용량이 다른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모듈을 혼용해서 장착할 수 없는 등 소정의 규칙에 의해서만 메모리를 해당 소켓에 장착해야 하므로 메모리 확장이 그 만큼 제약될 수밖에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로세서(processor)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main board) 상의 각 메모리 뱅크의 각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메모리 확장이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본 발명은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 보드(main board) 상의 각 소켓(socket)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모듈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 모듈로서 그 구성과 용량이 다양하다. 특히 현재 많이 사용되는 16Mbyte의 DRAM 모듈은 일반적인 PC(Personal Computer)뿐만아니라 특수 용도로 설계되어진 프로세서(processor)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외, 32Mbyte 및 64Mbyte의 DRAM 모듈도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DRAM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메모리 소켓을 두어 각 소켓에 그 DRAM 모듈을 다양한 조합에 의해 장착하여 원하는 메모리 용량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DRAM 모듈의 장착을 보면, 각 메모리 뱅크(memory bank)에 각각 마련된 소켓에 순서대로 즉, 메모리 뱅크 단위로 DRAM 모듈을 장착하여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메모리 뱅크의 두 소켓에 16Mbyte의 DRAM 모듈을 각각 장착하고 두 번째 메모리 뱅크의 두 소켓에 32Mbyte의 DRAM 모듈을 각각 장착하여 96Mbyte로 확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동일한 메모리 뱅크에 용량이 다른 DRAM 모듈을 혼용해서 장착할 수 없는 등 소정의 규칙에 의해서만 메모리를 해당 소켓에 장착해야 하므로 메모리 확장이 그 만큼 제약될 수밖에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프로세서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 상의 각 메모리 뱅크의 각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소켓으로 이루어져 각 소켓에 다수의 메모리 모듈을 각각 실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각 소켓을 감시하여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메모리 검출부와, 상기 메모리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해서 시스템에서 그 검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디코더와, 어드레스(address) 신호를 디코딩하여 시스템이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리드(read) 또는 라이트(write)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디코더와, 상기 제1,제2 디코더의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의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메모리 판단부와, 상기 메모리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참조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리드 또는 라이트하도록 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제2 디코더에 인가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상기 제1,제2 디코더의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장착된 각 메모리에 있어서 시스템이 원하는 해당 어드레스에 따른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부 12 : 메모리 검출부
14,16 : 제1,제2 디코더 18 : 메모리 판단부
20 : 중앙처리장치 22 : 메모리 제어부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메모리부(10)는 프로세서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 상에 설치되어서 뱅크 단위마다 다수의 소켓으로 이루어져 각 소켓에 다수의 메모리 모듈(이하, 메모리 모듈은 DRAM 메모리 모듈인 것으로 함)을 용량에 상관 없이 각각 실장한다. 이때 각 소켓에 메모리 모듈을 특정 조합에 상관없이 각각 실장하므로 특별히 뱅크 단위는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다음, 메모리 검출부(12)는 메모리부(10)의 각 소켓을 감시 즉, 메모리 모듈의 각 핀(pin)을 감시하여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이때 각 메모리 모듈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핀을 통해 자신의 용량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메모리 검출부(12)는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어느 소켓이 비어있는지 여부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코더(14)는 메모리 검출부(12)의 검출 신호를 디코딩해서 시스템에서 그 검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메모리 판단부(18) 및 메모리 제어부(22)로 출력하고, 제2 디코더(16)는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시스템이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리드 또는 라이트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메모리 판단부(18) 및 메모리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이때, 제2 디코더(16)의 디코딩을 위한 연산을 보면, 입력되는 병렬 어드레스 신호를 두 개씩 논리곱 연산시켜 출력한다.
따라서 메모리 판단부(18)는 제1,제2 디코더(14,16)의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메모리부(10)의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에 알려준다.
이때, 메모리 판단부(18)의 논리 연산을 보면, 제1,제2 디코더(14,16)의 각 병렬 신호를 각각 하나씩 취해 논리합 연산시켜 이 결과를 모두 논리곱 연산시킨다.
다음, 중앙처리장치(20)는 메모리 판단부(18)의 판단 결과를 참조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리드 또는 라이트하도록 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제2 디코더(16)에 인가하고, 메모리 제어부(22)는 제1,제2 디코더(14,16)의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메모리부(10)에 장착된 각 메모리에 있어서 시스템이 원하는 해당 어드레스에 따른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 상의 각 메모리 뱅크의 각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확장이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소켓으로 이루어져 각 소켓에 다수의 메모리 모듈을 각각 실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의 각 소켓을 감시하여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메모리 검출부;
    상기 메모리 검출부의 검출 신호를 디코딩해서 시스템에서 그 검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디코더;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시스템이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리드 또는 라이트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디코더;
    상기 제1,제2 디코더의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의 어느 소켓에 어느 정도 크기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메모리 판단부;
    상기 메모리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참조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리드 또는 라이트하도록 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제2 디코더에 인가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제1,제2 디코더의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장착된 각 메모리에 있어서 시스템이 원하는 해당 어드레스에 따른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KR1019980013071A 1998-04-13 1998-04-13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KR19990080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71A KR19990080078A (ko) 1998-04-13 1998-04-13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071A KR19990080078A (ko) 1998-04-13 1998-04-13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078A true KR19990080078A (ko) 1999-11-05

Family

ID=6589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071A KR19990080078A (ko) 1998-04-13 1998-04-13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00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653B1 (ko) * 1998-09-30 2002-09-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메모리 모듈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0451799B1 (ko) * 1999-11-22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653B1 (ko) * 1998-09-30 2002-09-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메모리 모듈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0451799B1 (ko) * 1999-11-22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용 메모리부의 메모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260B1 (ko) 데이타 처리 시스템
US5446860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omputer memory configuration of memory modules using presence detect bits shifted serially into a configuration register
US7185166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on in a multi-channel mode
KR970049498A (ko) 논 캐셔블 반복 연산 명령을 갖는 중앙 처리 장치
US5163145A (en) Circuit for determining between a first or second type CPU at reset by examining upper M bits of initial memory reference
KR19990080078A (ko) 메모리 자동 검출 장치
KR100619202B1 (ko) 자동 프리챠지 인코딩 장치 및 방법
US5500831A (en) RAS encoded generator for a memory bank
KR880011664A (ko)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
KR19990080079A (ko) 컴퓨터 시스템의 어드레스 오류 검출 장치
KR900016872A (ko) 메모리 용량이 확장 가능한 데이타 처리 장치
KR910017284A (ko) 메모리 칩용 패리티 검사 방법 및 장치
JPH04336347A (ja) メモリ装置
US5586129A (en) Parity bit memory simulator
KR100274200B1 (ko) 두얼포트램의데이터액세스장치
JPH07211066A (ja) バックアップ機能付き記憶システム
KR0150057B1 (ko) 메모리장치 엑세스 및 유효기억영역 설정방법
JPH10133945A (ja) データ処理装置
KR960001999A (ko) 메모리 뱅크 선택회로
KR950015104A (ko) 버스 감시기를 이용한 불가분 싸이클 지원방법
JPH01309159A (ja) マルチポートメモリ
US6473722B1 (en) Compact fault detect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fault without omission
KR100708826B1 (ko) 복수 개의 메모리 모듈들에 적합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8824B1 (ko) Ddr 싱크로너스 디램의 테스트보드
JPH0683697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