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370A -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370A
KR19990078370A KR1019990010860A KR19990010860A KR19990078370A KR 19990078370 A KR19990078370 A KR 19990078370A KR 1019990010860 A KR1019990010860 A KR 1019990010860A KR 19990010860 A KR19990010860 A KR 19990010860A KR 19990078370 A KR19990078370 A KR 19990078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inlet
suction
casing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432B1 (ko
Inventor
야마구찌아쯔시
우루시하라아쯔히꼬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1999007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Abstract

사용자의 손목의 비틀림에 의해 좌우로 90 °회전 가능한 종래의 흡입구 부재로는 흡입구 부재의 하면에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나무 바닥 등을 닦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에는 상기 접속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차륜 및 브러시를 설치함으로써 나무 바닥 등을 닦는 기능을 갖게 하는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SUCTION MEMBER OF AN ELECTRIC VACUUM}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 사용되고 있는 흡입구 부재에는 일단부를 흡입구 부재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타단부를 상방을 향해 대략 L자형으로 구부린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접속되고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흡입구 커플링을 구비한 접속관이 설치되고, 손잡이 조작부의 비틀림 동작에 의해 흡입구가 각각 좌우로 약 90°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흡입구 부재에서는 대략 L자형으로 구부러진 케이싱의 타단부가 상방을 향해 구부러지고, 이 부분에 흡입구 커플링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흡입구 부재의 높이 방향 치수가 커지게 되어 침대 밑이나 소파 밑 등의 장소에 흡입구 부재를 넣을 수가 없었고, 조작성이 좋지 않았다.
또, 대략 L자형으로 구부러진 케이싱의 일부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립성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흡입구 부재의 하면에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나무 바닥 등을 닦을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조작부의 비틀림 동작으로 흡입구가 회전하는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흡입구 부재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하고, 또한 조작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에 상기 접속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차륜 및 브러시를 설치한 데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예에 관한 흡입구 본체의 저면도.
도2는 흡입구 본체의 평면도.
도3은 흡입구 본체의 전방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도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6은 자재 커플링부의 저면도.
도7은 도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8은 도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9는 케이싱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10은 커플링 커버의 단면도와 저면도.
도11은 커플링 고정 부재의 저면도와 단면도.
도12는 도1에 있어서의 E-E 단면도.
도13은 도1에 있어서의 E-E 단면도.
도14는 전방 차륜의 단면도.
도15는 흡입구 부재를 흡입구 커플링을 사용하여 매달아 내린 상태의 측면도.
도16은 도1에 있어서의 F-F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흡입구 본체
102 : 하부 케이스
103 : 범퍼
104 : 흡입구 커플링
105 : 커플링 커버
106 : 전방 차륜
107 : 후방 차륜
108 : 가로 이동용 차륜
109, 117 : 세척 브러시
110 : 차륜 베이스
112 : 흡입 유로
113 : 바람 유도구
114 : 바람 유도홈
115 : 흡입 개구
116 : 흡입구
118 : 자재 커플링부
201 : 상부 케이스
202 : 흡기구
203 : 케이싱
401 : 흡기 유로
402 : 수평 회전축
501 : 커플링 고정 부재
502 : 케이싱 플랜지부
503 : 케이싱 통부
504 : 커플링 플랜지부
505 : 커플링 통부
506 : 커플링 고정부
701, 702 : 회전 베어링부
801 : 회전 규제 돌기
904 : 회전 규제 리브
1001 : 고정 오목부
1101 : 나사 보스 받침부
1201 : 차폐 리브
1202 : 차폐판
1401 : 타이어부
1402 : 베어링부
1501 : 청소기 본체
1502 : 호스
1503 : 호스 손잡이부
1504 : 연장관
1505 : 흡입구 부재
1506 : 스위치 조작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면 부호 1501은 제어 회로와 전동 송풍기 등이 내장된 청소기 본체, 1502는 청소기 본체(1501)의 흡입구부에 접속된 호스, 1503은 사용자가 잡는 부분인 동시에 일단부측에 호스를 접속하는 호스 손잡이부, 1504는 호스 손잡이부(1503)의 타단부측에 접속된 연장관, 1505는 연장관(1504)에 접속된 흡입구 부재, 1506은 호스 손잡이부(1503)에 형성된 스위치 조작부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청소기의 사용자가 호스 손잡이부(1503)에 형성된 스위치 조작부(1506)를 조작하면 청소기 본체(15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회로를 거쳐서 청소기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구 부재(1505)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6)를 구비한 흡입구 본체(101)와, 흡입구 본체(101)를 연장관(1504)에 연결하고, 연장관(1504)을 거쳐서 전달되는 호스 손잡이부(1503)의 이동에 대하여 항상 흡입구 본체(101)의 저면이 바닥면에 접하도록 동작하는 동시에, 흡입구 본체(101)로부터 흡입한 먼지를 함유한 공기류가 연장관(1504)으로 유도되도록 연통하는 자재 커플링부(118)로 구성된다.
자재 커플링부(118)는 흡입구 부재(1505)를 중심으로 해서 호스 손잡이부(1503)의 고저 방향(Y)과 좌우 방향(X)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호스 손잡이부(1503)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 본체(101)의 회전(P2)으로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재 커플링부(118)를 흡입구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저 방향(Y)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싱(203)과, 일단부가 연장관(1504)에 부착되고, 타단부를 케이싱(203)과 좌우 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되는 흡입구 커플링(104)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호스 손잡이부(1503)의 조작에 의해 흡입구 부재(1505)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호스 손잡이부(1503)를 90도(회전 P1) 돌림으로써 흡입구 부재(1505)를 도17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회전 P2)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전후 방향의 조작을 행하면 흡입구 본체(101)의 짧은 쪽 방향의 폭의 간극까지 청소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흡입구 본체(101)의 전방 모서리를 벽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호스 손잡이부(1503)를 통상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행하면, 흡입구 본체(101)는 벽면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벽 가장자리의 바닥면 청소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흡입구 부재(1505)의 구조에 대하여 도1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 본체(101)의 저면도, 도2는 흡입구 본체(101)의 평면도, 도3은 흡입구 본체(101)의 전방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1)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도1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6은 자재 커플링부(118)의 저면도, 도7 및 도8은 도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9의 (a) 및 (b)는 케이싱(203)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10의 (a) 및 (b)는 커플링 커버(105)의 단면도와 저면도, 도11의 (a), (b), (c)는 커플링 고정 부재(501)의 저면도와 단면도, 도12 및 도13은 도1에 있어서의 E-E 단면도, 도14는 전방 차륜(106)의 단면도, 도15는 흡입구 부재(1505)를 흡입구 커플링(104)을 사용하여 매달아 내린 상태의 측면도, 도16은 도1에 있어서의 F-F 단면도이다.
흡입구 본체(101)는 그 대략 중앙 높이 위치에서 상하로 이분할되어 있고,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2)와, 이 하부 케이스(10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20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02)와 상부 케이스(201)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가구 등에의 흠집을 방지하는 범퍼(10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범퍼(103)는 수첨(水添)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폴리프로필렌의 알로이를 기초재로 하며 불소 수지 파우더와 실리콘 오일을 첨가한 고미끄럼 이동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벽 가장자리 청소 등으로 충격 흡수 범퍼가 벽면과 접촉했을 때의 고미끄럼 이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소 수지 파우더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5 %, 실리콘 오일을 5 % 기초재에 첨가하고 있지만, 필요한 미끄럼 이동 성능에 따라 불소 수지 파우더를 2 내지 20 %, 실리콘 오일을 2 내지 20 % 사이에서 조정해도 된다.
또, 불소 수지 파우더로서 퍼플루오로알콕시,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 에테르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성을 얻기 위한 첨가재로서 타르크, 티탄산 칼슘, 흑연, 이황화 몰리브덴 등의 무기 골재나, 왁스, 유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아미드 등의 유기 골재를 기초재에 첨가해도 된다.
또, 기초재로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나일론 12 탄성 중합체, 폴리우레탄 탄성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탄성 중합체, 폴리올레핀 탄성 중합체, 폴리스티렌 탄성 중합체, 연질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나일론 12 탄성 중합체는 단독으로도 미끄럼 이동성이 있으므로 첨가재를 가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범퍼(103)는 고미끄럼 이동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벽 가장자리에서의 청소시 등 충격 흡수 범퍼(103)를 벽에 접촉시키면서 흡입구 부재(1505)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입구 본체(101)의 후방에는 자재 커플링부(118)가 배치되어 있다.
자재 커플링부(118)는 대략 통 형상의 케이싱(203)과 흡입구 커플링(104) 및 커플링 커버(105), 커플링 고정 부재(501)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03)에는 케이싱 플랜지부(502)와 케이싱 통부(503)가 형성되고, 흡입구 커플링(104)에는 커플링 플랜지부(504)와 커플링 통부(50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커버(105)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커플링 고정부(506)와 고정 오목부(10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고정 부재(501)에는 커플링 가압부(507)와 나사 보스 받침부(11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203)의 케이싱 통부(503)에 흡입구 커플링(104)의 커플링 통부(505)를 삽입하고, 케이싱(203)의 케이싱 플랜지부(502)와 흡입구 커플링(104)의 커플링 플랜지부(504)를 커플링 커버(105)의 커플링 고정부(506)에 삽입하면서 도5의 A방향으로 커플링 커버(105)를 끼워 넣는다.
그 후, 커플링 고정 부재(501)를, 그 나사 보스 받침부(1101)를 커플링 커버(105)의 고정 오목부(1001)에 끼워 넣으면서 케이싱(203)의 나사 보스(901)에 끼워 넣고, 케이싱(203)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케이싱(203)과 흡입구 커플링(104)이 도5의 B 및 C방향에 대하여 고정되고, D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커플링 커버(105)가 케이싱(20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케이싱 통부(503), 커플링 통부(505)에 의해 양호한 회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케이싱 플랜지부(502), 커플링 플랜지부(504)의 대략 전체 주위를 커플링 고정부(506)와 커플링 가압부(507)에 의해 끼워 넣고 있으므로 고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나사(601)를 분리함으로써 흡입구 커플링부(118)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만에 하나 유로내에 먼지가 막히더라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 커플링(104)을 케이싱(203)의 하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흡입구 부재(1505)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침대나 소파 밑 등을 청소할 수 있다.
케이싱(203)의 흡입구 본체(101)측 부분에는 도4에 도시한 수평 회전축(402) 주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회전 통부(90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201) 및 하부 케이스(102)에 각각 회전 베어링부(701, 702)를 형성하고, 회전 통부(902)를 회전 베어링부(701, 702)에 끼워 넣음으로써 케이싱(203)을 흡입구 본체(101)에 대하여 수평 회전축(40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수평 회전축(402)은 흡입구 부재의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인 동시에 흡입구 부재의 길이 방향의 후방측 단부(102a) 보다도 전방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흡입구 부재의 균형이 양호해져서 흡입구 부재를 청소면으로부터 들어올렸을 때 부주위하게 흡입구 부재가 수평 회전축(402) 주위로 회전하지 않으며, 들어올렸을 때의 흡입구 부재와 접속관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하부 케이스(102)에는 흡입구 본체(10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흡입구 본체(101)의 하면과 청소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전방 차륜(106)과 후방 차륜(107)이 배치되어 있다.
전방 차륜(106)은 그 회전축이 흡입구 본체(10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 30°의 각도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입구 부재(1505)가 길이 방향과 짧은 방향 중 어떤 방향으로 조작되더라도 전방 차륜(106)은 항상 회전하고 있으므로, 전방 차륜(106)의 외주가 편마모되지 않고 똑같이 마모되어 가기 때문에 조작시의 덜걱거리는 소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방 차륜(106)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부(1401)와 베어링부(1402)로 구성되어 있고, 타이어부(1401)는 고미끄럼 이동 및 고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떠한 청소면에 있어서도 양호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리고 전방 차륜(106)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청소면에 대한 흠집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평 회전축(402)은 전방 차륜(106)과 가로 이동용 차륜(108) 사이가 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이것은 흡입구 부재를 횡방향(흡입구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접속관에 전해지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방 차륜(106)과 가로 이동용 차륜(108)에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흡입구 부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 차륜(106)과 가로 이동용 차륜(108)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POM으로 베어링부(1402)를 성형하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형성된 튜브를 베어링부(1402)에 압입함으로써 전방 차륜(106)을 형성하고 있지만, 베어링부(1402)의 주위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의 재료로 이차 성형에 의해 타이어부(1401)를 형성해도 되고, 또 타이어부(1401)와 베어링부(1402)를 일체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의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 하부 케이스(102)에는 자재 커플링부(118)의 양측에 후방 차륜(107)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피봇되어 있는 가로 이동용 차륜(108)과 세척 브러시(109)를 구비한 한 쌍의 차륜 베이스(110)가 출몰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차륜 베이스(110)는 스프링(1601)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고, 흡입구 부재(1505)가 짧은 쪽 방향으로 조작되고 있을 때, 즉 도5에 있어서 각도(α)가 약 25°내지 80°사이에 있을 때는 차륜 베이스(110)에 형성된 회전 규제 돌기(801)가 케이싱(203)에 형성된 회전 규제 리브(904)에 걸림 고정되어 차륜 베이스(110)의 회전 범위가 규제되고, 나무 바닥상에 있어서 가로 이동용 차륜(108)이 약 1.5㎜ 부상되어 있는 상태를 최하 위치로 해서 차륜 베이스(110)가 출몰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흡입구 부재(1505)가 길이 방향으로 조작되고 있을 때, 즉 도5에 있어서 각도(α)가 약 90°일 때는 차륜 베이스(110)에 형성된 회전 규제 돌기(801)와 케이싱(203)에 형성된 회전 규제 리브(904)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고, 케이싱(203)에 형성된 차륜 출몰 돌기(903)가 차륜 베이스(110)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차륜 베이스(110)가 하부 케이스의 하면으로 돌출하고, 각도(α)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 후방 차륜(107)이 약 2㎜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흡입구 부재(1505)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는 케이싱(203)은 대략 최상부까지 회전되어 있는, 즉 각도(α)가 최대가 되므로 후방 차륜(107)이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대신에 후방 차륜(107)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피봇되어 있는 가로 이동용 차륜(108)이 접지되므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도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흡입구 부재(1505)가 짧은 쪽 방향으로 조작되고 있을 때는 가로 이동용 차륜(108)은 바닥면과 약 1.5㎜ 이상의 간격을 갖고 부상되어 있으므로, 조작시의 저항이 되지 않으며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하부 케이스(102)의 대략 중앙에는 흡입구(1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에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단면을 지닌 흡입 유로(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02)의 측면에는 흡입 개구(115)를 구비하고, 또 양측 근방에는 흡입 유로(112)에 연통하는 바람 유도홈(114)과 바람 유도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유로(112)의 전방에는 압력 제어판(111)이 배치되고, 흡입 유로(112)의 후방에는 세척 브러시(117)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1)에는 흡기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본체(101)의 내부에는 바람 유도구(113)와 흡기구(202)를 연통시키는 흡기 유로(401)가 형성되고, 흡기 유로(401)의 중간에는 차폐 리브(12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차폐 리브(1201)에 대향하여 차륜 베이스(110)와 일체로 차폐판(120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흡입구 부재의 집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나무 바닥상에 있어서는 도13과 같이 세척 브러시(109 및 117)가 나무 바닥면에 접촉하고, 흡입구 본체(10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나무 바닥 위를 닦을 수 있다. 이 세척 브러시(109 및 117)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구 부재의 조작 방향(진행 방향)에 대하여 세척 브러시(117)가 전방측에, 그리고 세척 브러시(109)가 후방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 부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세척 브러시(109 및 117)에 의해 폭넓게 나무 바닥 위를 닦을 수 있다.
이 때, 흡기 유로(401)는 차폐 리브(1201)와 차폐판(1202)에 의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폐쇄되어 있으므로, 바람 유도구(113)로부터 흡입 유로(112)에는 바람이 거의 통하지 않고, 흡입 유로(112) 내의 정압이 상승되어 적정한 집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세척 브러시(109 및 117)는 연속적으로 털이 짜 넣어져 있기 때문에 흡입 유로(112) 내의 정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세척 브러시(109 및 117)는 연속적으로 부드러운 털이 짜 넣어져 있는 브러시 재료로 했지만, 기모(起毛)천이나 종이 타올 등이라도 괜찮다.
다음에, 융단상에서의 집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융단상에서는 융단의 털에 전방 차륜(106) 및 후방 차륜(107)이 가라앉기 때문에 세척 브러시(109)가 도12의 위치까지 상승한다.
이 때, 차폐 리브(1201)와 차폐판(1202)의 관계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므로 흡기 유로(401)가 개방되고, 바람 유도구(113)로부터 흡입 유로(112)에 상방류(1203)가 유입되고, 동시에 바람 유도홈(114)으로부터 하방류(1204)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방류(1203)와 하방류(1204) 사이의 바람의 전단 작용에 의해 도1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의 선회류가 발생한다.
또, 바람 유도구(113)와 바람 유도홈(114)은 흡입구 본체(101)의 중심 방향으로 전후 방향에 대하여 0 °내지 60 °의 각도로 바람을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있는 흡입 개구(115)로부터의 기류에 의해 흡입 유로(112) 내에서는 좌우 방향의 기류가 저해받지 않고 나선상의 회오리 바람 선회류가 되어 흡입구(116)로 유입되어 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융단상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112) 내에 회오리 바람 선회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먼지를 쓸어 올리므로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또, 흡기 유로(401)가 개방되어 흡입 유로(112) 내의 정압이 하강하므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 브러시(109)는 스프링(1601)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으므로 먼지를 쓸어 모으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흡입구 부재(1505)를 회전시킬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7에 있어서, 호스 손잡이부(1503)를 파지하여 E축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관(1504)을 비틀면, 케이싱(203)은 흡입구 커플링(104)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흡입구 본체(101)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흡입구 본체(10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호스 손잡이부(1503)를 약 90°까지 비틀면 케이싱(203)은 흡입구 본체(101)에 대하여 대략 직립, 즉 도5에 있어서 α가 약 90°가 되고, 흡입구 본체(101)는 약 90°회전하여 흡입구 본체(101)의 길이 방향이 조작 방향과 거의 평행해진다.
이와 같이, 흡입구 본체(101)의 각도를 호스 손잡이부(1503)의 비틀림각에 의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 부재(1505)의 조작 방향에 대한 횡폭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테이블 밑이나 의자 밑 등 깊숙이 들어간 장소를 청소할 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입구 본체가 90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는 케이싱(203)이 흡입구 본체(101)에 대하여 대략 직립, 즉 도5에 있어서 α가 약 90°가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차륜 베이스(110)가 하부 케이스(102)로부터 돌출하고, 후방 차륜(107)이 부상하고 가로 이동용 차륜(108)이 접지되므로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흡입구 본체(101)의 전방 모서리를 벽면에 접촉시키고 전후로 조작하면 벽 가장자리의 청소를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싱(203)의 흡입구 본체(101)에 대한 회전 중심을 짧은 쪽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정했으므로, 흡입구 부재(1505)를 청소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01)의 하면이 거의 하방을 향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청소시에 흡입구 부재(1505)를 들어 올리더라도 항상 흡입구의 하면이 하방을 향하고 있어 그대로 두고 청소를 계속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구 부재(1505)의 높이 방향 치수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침대나 소파 밑 등의 청소를 행할 수 있고, 또 가로 이동용 차륜(108)이 적당하게 하부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므로 통상 방향의 조작성을 저해하지 않고 횡방향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세척 브러시에 의해 나무 바닥 위를 닦을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 본체의 하방에 접속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차륜 및 브러시를 설치했으므로, 나무 바닥 등을 닦을 수 있으며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에 상기 접속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차륜 및 브러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에 상기 흡입구 부재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차륜과, 상기 제1 차륜과 다른 제2 차륜을 배치하고, 상기 제2 차륜이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주위 방향에 대하여 회전하는 흡입구 커플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은 상기 케이싱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4.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 커플링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는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차륜 및 브러시를 구비한 차륜 다이와, 상기 차륜 다이를 상방향으로 압박하여 상기 차륜을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수납하는 압박 수단을 갖고,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이 상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차륜 다이와 접촉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가 상기 차륜 다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과 반대로 상기 차륜 다이에 배치된 상기 차륜을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5. 하면에 흡입구 및 이동용 제1 차륜을 갖는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 커플링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는 상기 제1 차륜과 다른 제2 차륜 및 브러시를 구비한 차륜 다이와, 상기 차륜 다이를 상방향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차륜을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수납하는 압박 수단을 갖고,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이 상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차륜 다이와 접촉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가 상기 차륜 다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과 반대로 상기 차륜 다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차륜 및 브러시를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KR1019990010860A 1998-03-30 1999-03-29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KR100302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83214 1998-03-30
JP08321498A JP3551011B2 (ja) 1998-03-30 1998-03-30 電気掃除機の吸口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370A true KR19990078370A (ko) 1999-10-25
KR100302432B1 KR100302432B1 (ko) 2001-09-22

Family

ID=1379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860A KR100302432B1 (ko) 1998-03-30 1999-03-29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51011B2 (ko)
KR (1) KR100302432B1 (ko)
CN (1) CN1233452A (ko)
TW (1) TW4226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5618D0 (en) 2002-11-02 2002-12-11 Grey Nicholas G Surface cleaning apparatus
ES2253717T3 (es) 2001-07-20 2006-06-01 Nicholas Gerald Grey Aparato limpiador de superficies.
US7013521B2 (en) 2001-07-20 2006-03-21 Nicholas Gerald Grey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117556B2 (en) 2003-05-08 2006-10-10 Nicholas Gerald Grey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0382737C (zh) * 2003-10-30 2008-04-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吸嘴结构
GB2468514B (en) 2009-03-12 2012-07-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treating head
EP3108786B1 (en) 2009-06-17 2019-09-18 Dyson Technology Limited A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2356D0 (en) 2009-07-16 2009-08-26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head
EP2453780B1 (en) 2009-07-16 2013-11-13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head
CN105011860A (zh) * 2015-07-08 2015-11-04 苏州艾利欧电器有限公司 一种三角地刷
CN106963285A (zh) * 2017-04-28 2017-07-21 苏州市海朋电子商务有限公司 吸尘器吸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373B2 (ja) * 1990-09-10 2001-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1011B2 (ja) 2004-08-04
JPH11276392A (ja) 1999-10-12
TW422687B (en) 2001-02-21
KR100302432B1 (ko) 2001-09-22
CN1233452A (zh)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432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KR20040038695A (ko) 바닥용 흡입구
RU2283612C1 (ru) Всасывающая щетк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0271702B1 (ko)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및이것을구비한전기청소기
EP0681807A2 (en) Vacuum cleaner rotating nozzle
JP46121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644239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536676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797461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821114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323999B2 (ja) 電気掃除機
US20190104901A1 (en) Vacuum cleaner
EP3571970A2 (en) Cleaner
CN220695164U (zh) 清洁设备及清洁系统
KR0133742B1 (ko) 진공청소기의 카펫 및 장판등의 밀착 방지용 흡입 브러쉬
KR19980070296A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KR100206368B1 (ko) 카펫위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진공청소기
JP3454131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970007002Y1 (ko) 청소기의 흡입구제
KR100207235B1 (ko) 진공청소기의 가변형 브러쉬 머리부
JPS60194931A (ja)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JPH0197428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H0779894A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JP3528689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0140121B1 (ko) 진공청소기의 카펫 및 장판등의 밀착 방지용 흡입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