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702B1 -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및이것을구비한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및이것을구비한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702B1
KR100271702B1 KR1019980019630A KR19980019630A KR100271702B1 KR 100271702 B1 KR100271702 B1 KR 100271702B1 KR 1019980019630 A KR1019980019630 A KR 1019980019630A KR 19980019630 A KR19980019630 A KR 19980019630A KR 100271702 B1 KR100271702 B1 KR 10027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inlet
suction
vacuum clean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히코 우루시하라
다케시 호시노
마사루 오다
마사오 스나가와
아츠시 야마구치
데츠오 이시카와
스스무 사토
유키지 이와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137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85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199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58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232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5672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702B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각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흡입구부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 핸들을 비트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본체를 바닥면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흡입구부재는 흡입구본체와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갖고,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되고, 또 제1 연결부는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를 바닥면에 대해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 핸들을 비트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부를 바닥면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조작성과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포장상자를 작게 할 수 있고, 차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청소기{SUCTION NOZZLE OFF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handle)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각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흡입구부재(suction nozzle)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청소기에 사용되고 있는 흡입구부재는 회전솔을 수용한 솔부(brush port)와 청소기본체로 부터의 연장관을 접속하는 유니버셜관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유니버셜관 연결부는 회전솔의 회전축과 평행한 솔측 회전운동축 및 이것과 직각이고 또한 연장관축과 동축인 연장관측 회전운동축의 2축구성이었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핸들을 연장관의 관축(긴쪽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시킬 수 있고 흡입구부재와 연장관의 각도관계를 변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24507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는 흡입구부재 자체의 구조를 견고하고 강하게 할 수 있지만, 흡입구부재의 동작범위에 제약이 있고 또 동작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손잡이 핸들에서의 조작성에 과제를 남기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핸들을 비트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본체를 바닥면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부품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평면배치구성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측면배치구성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측면배치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의 전방부 위덮개의 착탈기구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미끄럼부재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출몰차륜의 기구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미끄럼부재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제1 회전축의 잠금기구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제1 회전축의 다른 응용예의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제2 회전축의 잠금기구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수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수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동작원리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구부재의 동작원리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205)의 상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A-A단면도,
도 22는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덮개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도,
도 23은 도 20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의 배면도,
도 24는 흡입구부재의 상면도,
도 25는 흡입구부재의 하면도,
도 26은 흡입구부재의 앞면도,
도 27은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덮개(107)의 이면도,
도 28은 도 22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의 C-C단면도,
도 29는 도 22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의 C-C단면도,
도 30은 흡입구연결부의 분해단면도,
도 31은 케이싱의 분해도,
도 32는 도 28에 있어서의 C-C단면도,
도 33은 충격흡수범퍼의 단면도,
도 34는 충격흡수범퍼의 단면도,
도 35는 흡입구연결부 본체의 하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포장상태의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포장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의 포장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의 포장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소음측정결과를 도시한 특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제1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전기청소기 본체,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 손잡이 핸들, 연장관 및 흡입구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흡입구부재는 회전솔을 구비하고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부 및 상기 흡입구부를 상기 접속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흡입구부의 먼지통로와 상기 접속관을 연통하는 자재관(自在管) 연결부로 구성하고, 상기 자재관 연결부는 회전솔의 회전축과 평행한 솔측 회전운동축과 이 솔측 회전운동축 및 연장관축의 양쪽에 대해 직각인 연장관측 회전운동축의 2축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흡입구부재는 상기 흡입구부재를 바닥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X방향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흡입구부재와 손잡이 핸들을 구비한 상기 접속관의 각도를 변경하는 Y축방향의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손잡이 핸들을 비트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부를 바닥면에 대해서 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을 비트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부를 바닥면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흡입구부재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과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가구, 벽 등의 수직면을 따라서 흡입구부재를 솔의 회전축방향(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작을 현저히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의 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제2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부 및 이 흡입구부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자재관 연결부를 갖고, 상기 흡입구부의 아래쪽에는 상기 자재관 연결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흡입구부의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차륜을 배치한 점에 있다.
즉, 접속관의 움직임에 의해 흡입구부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차륜을 배치했으므로 청소도중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돌출하는 차륜의 회전방향을 흡입구부재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전기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구부재의 포장부재 및 포장방법의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의하면,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부 및 이 흡입구부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자재관 연결부를 갖고, 상기 자재관 연결부를 상기 흡입구부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운동시켜서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부재의 자재관 연결부를 흡입구부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운동시켜 포장할 수 있으므로, 포장상태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의 체적을 작게 억제하여 포장상자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부의 하면에 배치한 솔부재를 차륜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부 하면에 부착한 차륜의 마모를 억제하여 차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이 실시예의 개요를 전기청소기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로 총괄적으로 나타낸 것은 전기청소기이고,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100),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호스(200), 상기 플렉시블호스(200)의 다른쪽끝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300),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부착되어 상기 플렉시블호스(200)과 연통하는 연장관(400) 및 상기 연장관(400)에 부착되어 이 연장관(400)과 연통하는 흡입구부재(5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은 내부에 쓰레기먼지 수집용 주머니를 구비한 집진실을 구비하고, 1쌍의 대차륜(101)과 1개의 자재(universal) 차륜(102)에 의해 상기 호스(200)을 거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이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운전제어는 이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상면에 마련된 운전표시부 내의 적외선 수광부(103)에 의해 손잡이 핸들(300)에서 발진되는 조작신호를 받아서 조작된다.
상기 호스(200)은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통로로서의 기능과 전기청소기본체(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끌어당김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호스(200)과 상기 연장관(400)을 연통시키는 기능,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운전제어와 이동시키는 기능 및 흡입구부재(550)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호스(200)에 고정부착되어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400)과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호스(200)과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켜서 먼지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연장관(400)의 긴쪽방향 즉 상기 연장관(400)의 중심축B2의 연장선상의 상단에 상기 중심축B2와 100도 전후의 각도를 갖고 그의 긴쪽방향이 호스(200)과 상기 연장관(400)의 접속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핸들부(30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핸들부(301)에 의해 상기 호스(200)을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을 이동시킬 수 있고 또 흡입구부재(550)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이 핸들부(301)에 의하면, 비틀기(twist)동작 즉 중심축B2를 중심으로 한 회전P1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핸들부(301)을 상부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아래쪽에 마련한 호스(200)이 상기 비틀기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핸들부(301) 근방에는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운전을 조작하는 조작부(30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부(302)에는 적외선 발신부(30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장관(400)은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흡입구부재(550)을 연통시키고, 또 이 손잡이 핸들(300)과 흡입구부재(550)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손잡이 핸들(300)의 움직임(이동이나 회전)을 흡입구부재(550)의 움직임(이동이나 회전)으로 하도록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크기가 다른 2개의 관부재(401), (402)를 조합해서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게 구성하고, 한쪽에 손잡이 핸들(300)을 부착하고 다른쪽에 흡입구부재(550)을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흡입구부재(550)은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1010)(도 3 참조)을 밑면(底面)에 구비한 흡입구본체(흡입구부)(1000)과 상기 흡입구본체(1000)을 상기 연장관(400)에 연결하고 상기 연장관(400)을 거쳐서 전달되는 손잡이 핸들(300)의 움직임에 대해서 항상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을 바닥면과 접하도록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서 빨아들인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가 상기 연장관(400)으로 보내지도록 연통하는 자재관 연결부(coupling)(1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본체(1000)은 바닥면의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회전솔(1011)(도 2참조)을 구비한 흡입구(1010)(도 3 참조)을 밑면에 구비하고 있다. 자재관 연결부(1530)은 이 흡입구 부재(550)을 중심으로 해서 손잡이 핸들(300)의 고저방향 Y와 좌우방향 X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 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로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재관 연결부(1530)은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저방향Y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아래쪽암부(下腕部)(1531)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연장관(400)에 부착되고 그의 다른쪽끝이 상기 아래쪽암부(1531)과 좌우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되는 위쪽암부(上腕部)(153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를 바닥면에서 약 90도, 좌우방향X에 대해서는 약 360도의 범위로 동작가능하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수납성을 고려해서 바닥면에서 약 90도 이상이어도 좋다. 또, 좌우방향X는 약 180도 정도 있으면 청소성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흡입구부재(550)은 흡입구본체(1000)의 주위에 미끄럼(sliding)부재(1100)을 구비한 범퍼부(1033)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벽 가장자리의 청소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밑면에 흡입구본체(1000)의 긴쪽방향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차륜(1200)을 마련하고 있다. 이후, 설명의 사정상 흡입구본체(1000)의 긴쪽방향을 따른 이동방향을 좌우방향V1, 이 좌우방향과 직각인 방향이고 또한 흡입구본체(1000)의 짧은쪽방향을 따른 이동방향을 V2로서 설명한다.
또, 상기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에 마련한 흡입구(1010)의 전방부(선단부와의 사이)에 먼지의 안내수단(1300)(도 7참조)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거하기 어려운 벽 가장자리의 청소시에 먼지를 효율좋게 빨아들일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의하면 조작신호를 적외선신호를 거쳐서 전달하고 있으므로 호스(200)에 배선할 필요가 없어 호스(200)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 핸들(300)의 부담이 경감되고 전기청소기본체(100)의 끌어당김주행이나 흡입구부재(55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의 큰 특징으로 하는 점은 손잡이 핸들(300)을 거친 흡입구부재(550)의 동작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부재(550)의 회전P2로 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300)에 의해 실행하는 동작을 흡입구부재(550)의 움직임으로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손잡이 핸들(300)을 90도(회전P1) 비트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을 도 1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회전(회전P2)시키고, 또 손잡이 핸들(300)을 통상의 전후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벽면을 따라 흡입구본체(1000)을 전후방향V1의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면서 벽 가장자리의 바닥면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미끄럼부재(1100)과 차륜(1200)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을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벽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고, 또 이 제거하기 어려운 벽 가장자리의 먼지를 상기 안내수단(1300)에 의해 효율좋게 빨아들일 수 있다.
이하, 도 2에 따라 도 3∼도 5를 참조해서 상기 흡입구부재(550)의 개략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흡입구부재(550)의 부품구성도, 도 3은 흡입구부재(550)의 평면배치구성의 단면도, 도 4, 도 5는 측면배치구성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 2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구부재(550)은 흡입구본체(1000)과 자재관 연결부(1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본체(1000)은 흡입구본체(1000)의 골격을 이루는 하부케이스(1001), 흡입구본체(1000)의 전방(前方)을 덮는 전방부 위덮개(1002) 및 흡입구본체(1000)의 후방(後方)을 덮는 후방부 위덮개(100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1)에는 약간 뒤쪽으로 흡입구본체(1000)을 전후로 분할하는 칸막이벽(1004)가 마련되고, 전방부를 흡인실(1005)로 하고 후방부 중앙을 상기 자재관 연결부(1530)의 부착부(1006)으로 하고 이 부착부(1006)의 양측을 후술하는 터빈(1012)를 구동하기 위한 통풍로(1007)로 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1004)의 중앙에는 흡인실(1005)의 먼지를 자재관 연결부(1530)로 유도하기 위한 잘라냄부(10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잘라냄부(1030)은 흡인실(1005)측에 나팔모양으로 뚫린 벨마우스(bell mouth)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가 원활하게 자재관 연결부(1530)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있다.
후방부 위덮개(1003)은 상기 자재관 연결부(1530)의 부착부(1006)의 상부를 덮고 상기 자재관 연결부(1530)을 상기 하부케이스(100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부착된다. 또, 후방부 위덮개(1003)의 전방부 양측에는 전방부 위덮개(1002)를 고정시키는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의 배면측(도면상 안쪽)에는 개폐레버(1022)(도 8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의 배면측은 흡입구본체(1000)의 뒤쪽으로 노출되고 앞쪽은 상기 통풍로(1007)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부착된다.
전방부 위덮개(1002)는 상기 흡인실(1005)과 통풍로(1007)의 상부를 덮고 하부케이스(1001)과 함께 흡인실(1005) 및 통풍로(1007)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방부 위덮개(1002)의 전방부 양측에 마련한 도시하지 않은 리브(rib)를 하부케이스(1001)에 걸고 후방부 양측에 마련한 도시하지 않은 부착리브(1037)(도 8 참조)를 상기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의 개폐레버(1022)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흡인실(1005)의 아래쪽 하부케이스(1001)에는 흡입구(1010)이 형성되고, 이 흡입구(1010)상의 흡인실(1005)내에 먼지의 쓸어모음 등을 실행하는 회전솔(1011)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솔(1011)에는 먼지의 쓸어모음효과가 높은 가요성을 갖는 블레이드(blade)와 나일론 등의 닦기 효과가 높은 솔을 회전코어의 외주축선방향에 마련한 홈부에 마련해서 성형되고, 그 양끝에 터빈(101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솔(1011) 및 터빈(1012)는 이 터빈(1012)의 양끝부에 마련한 회전축(1013)을 상기 흡인실(1005)내의 양끝부에 형성한 축받이부(1014)에 삽입하고 전방부 위덮개(1002)의 내측에 마련한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부에 의해 눌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회전솔(1011) 및 터빈(1012)를 흡인실(1005)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한다.
또, 상기 터빈(1012)의 후방으로 되는 상기 칸막이벽(1004)의 양측에는 잘라냄부(1032)가 형성되고 또 상기 통풍로(1007)을 덮는 전방부 위덮개(1002)의 양측의 후방에는 통기구멍(1016)이 형성되고 이 통기구멍(1016)에서 흡기된 공기가 상기 통풍로(1007)을 거쳐서 상기 잘라냄부(1032)에서 상기 터빈(1012)로 송풍되고 이 터빈(1012)에 부착된 회전솔(1011)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구부재(550)은 통기구멍(1016)에 의해 터빈(1012)와 회전솔(1011)을 회전시키고 또 흡입구(1010)내에서 발생하는 선회류의 상승효과에 의해 청소면의 먼지를 말아올리면서 흡진할 수 있으므로 집진성능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솔(1011)의 위쪽에 위치하는 전방부 위덮개(1002)의 전방부 중앙에는 관측창(1017)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측창(1017)은 투명한 수지재료, 예를 들면 손상에 강한 아크릴수지를 사용한다. 양호한 것으로서는 관측창(1017)의 흡인실(1005)의 내표면에 회전솔(1011)에 의해 방출되는 먼지에 의한 손상을 경감하기 위해 코팅 예를 들면 UV도장을 실시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내부를 확대해서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볼록렌즈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회전솔(1011)의 더러움을 밖에서 알 수 있다. 또, 이 관측창(1017)을 거쳐서 회전솔(1011)의 동작상황을 관측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운전음이나 이상음 등을 잘 듣지 못하는 청각장해자가 전기청소기(1)의 동작상황 또는 운전중에 있어서의 이물혼입에 따른 회전솔(1011)의 정지 등의 문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배선이 필요한 전기적 표시가 없어도 동작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자재관 연결부(1530)은 통형상의 아래쪽암부(1531)과 위쪽암부(1532)로 구성된다. 상기 아래쪽암부(1531)과 위쪽암부(153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방향에서 보아 아래쪽암부(1531)의 관축B1과 위쪽암부(1532)의 관축B2를 평행하게 해서 위쪽암부(1532)가 위쪽 위치로 되고 아래쪽암부(1531)이 아래쪽 위치로 되며, 양암부(1531), (1532)의 한쪽끝이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이 중첩하는 위치에 제1 회전축부(153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축부(1533)은 통형상의 양암부(1531), (1532)를 연통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좌우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래쪽암부(1531)의 한쪽끝의 상측에 관형상으로 돌출한 회전축부(1533a)를 마련하고, 상기 위쪽암부(1532)의 한쪽끝의 하측에 관형상이고 오목형상인 회전축받이부(1533b)를 마련하고, 이 회전축받이부(1533b)와 회전축부(1533a)를 공기누출이 없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부(1533)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제1 회전축부(1533)내에 잠금링(lock ring)(153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제1 회전축부(1533)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아래쪽암부(1531)의 다른쪽끝에는 고저방향Y(도면상의 상하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축(15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1535)는 통형상의 아래쪽암부(1531)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축(1503), 상기 하부케이스(1001)의 부착부(1006)에 형성한 축받이부(1018) 및 후방부 위덮개(1003)에 형성한 축받이부(1019)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1503)은 상기 축받이부(1018)과 상기 축받이부(1019) 사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자재관 연결부(1530)을 흡입구본체(10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 한편, 통형상의 위쪽암부(1532)의 다른쪽끝에는 상기 연장관(4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507)이 형성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위쪽암부(1532)의 상면을 다른 부재인 덮개(1536)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지성형품은 두께를 불균일하게 하면 싱크마크(shrink mark) 등의 의장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암부(1531)과 위쪽암부(1532)의 공기류가 흐르는 통로를 오목볼록없이 완만한 곡선으로 연속시키는 것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를 저항없이 흐르게 하고 있지만 이 통로를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면 그 외관은 제2 회전축(1533) 등에 의해 오목볼록형상으로 되어 의장상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외관상 가장 눈에 띄는 위쪽암부(1532)의 상부를 다른 부재인 위덮개(1536)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용착이나 싱크마크를 눈에 띄지 않게 하고 있다.
도 4, 도 5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축(1535)의 고저방향Y의 각도를 90도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도 4에 도시한 고저방향Y의 각도가 0도일 때 또는 도 5에 도시한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일 때 모두 상기 잘라냄부(1030)과 아래쪽암부(1531)의 통풍로가 충분한 개구면적으로 연통하도록 셔터기구(1537)를 채용하고 있다. 이 셔터기구(1537)은 제2 회전축(1535)의 주위에 아래쪽암부(1531)의 이동에 따라서 아래쪽암부(1531)의 상하를 막도록 이동하는 2개의 셔터(1538a), (1538b)를 그들 사이에 아래쪽암부(1531)이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저방향Y의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상부의 셔터(1538a)가 흡입구본체(1000)(후방부 위덮개(1003)에서 위쪽암부(1532)의 끝부에 마련한 리브와 상부의 셔터(1538a)의 끝부에 마련한 리브가 걸려 인출되고 아래쪽암부(1531)과 흡입구본체(1000)의 틈을 막고 하부의 셔터(1538b)는 흡입구본체(1000)(하부케이스(1001))에 수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아래쪽암부(1531)이 고저방향Y의 각도를 크게 해 가는 경우 소정의 각도까지 아래쪽암부(1531)이 회전하면, 상부의 셔터(1538a)는 아래쪽암부(1531)에 눌려 흡입구본체(1000)에 수납되고 반대로 하부의 셔터(1538b)는 아래쪽암부(1531)의 끝부에 마련한 리브와 하부의 셔터(1538b)의 끝부에 마련한 리브가 걸려 하부의 셔터(1538b)가 인출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와는 반대로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인 상태에서는 하부의 셔터(1538b)가 인출되어 상부의 셔터(1538a)가 수납된 상태로 된다.
이 셔터기구(1537)에 의해 아래쪽암부(1531)을 90도 회전시켜도 공기류의 누출을 방지하고 충분한 개구면적을 유지하면서 상기 잘라냄부(1030)과 아래쪽암부(1531)의 통풍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잘라냄부(1030)과 아래쪽암부(1531)의 개구부를 전체적으로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큰 먼지통과를 용이하게 해서 통로막힘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1쌍의 셔터(1538)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견고하고 강한 구조로 했지만, 여러개의 셔터를 채용해도 좋다. 또, 셔터(1538) 대신에 신축가능한 연질재나 벨로즈(bellows)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잘라냄부(1030)과 아래쪽암부(1531)의 개구부를 횡방향으로 넓게 하는 것에 의해 개구면적을 확대하고,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터기구(1537)을 채용하지 않아도 통풍로의 개구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셔터(1538)을 채용하지 않으므로 부재간에 혼입하는 먼지를 경감해서 회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자재관 연결부(1530)에 의하면 상기 2개의 회전축구조 특히 제1 회전축(1533)을 간단한 회전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구조도 용이함과 동시에 외관상으로도 오목볼록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대책이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하부케이스(1001)의 상부에는 다른 부품인 고무나 연질수지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범퍼부(1033)이 마련되어 있다. 이 범퍼부(1033)은 하부케이스(1001)과 전방부 위덮개(1002)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흡인실(1005)의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본체(1000)의 주위로 연장해서 마련되어 가구 등으로의 손상을 경감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범퍼부(1033)의 주위 특히 흡입구부재(550)의 전방부로 되는 자재관 연결부(1530)이 부착되는 부착부(1006)과 대향하는 긴변측에 나일론 등의 솔을 심은 미끄럼부재(1100)을 삽입성형해서 마련하고 있는 것에 의해 가구 등으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하면서 벽면 등에 흡입구부재(550)을 누른 상태에서 벽면 등을 따라서 가볍게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범퍼부(1033)을 채용하고 있지만, 하부케이스(1001)의 상부주위에 다른 둘레측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후막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전체의 강성을 높이고, 이 후막부에 상기 미끄럼부재(1100)을 구비하도록 해서 부품점수를 경감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은 전기청소기본체(100)에 마련한 송풍기의 흡입기류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1012)를 구동원으로 해서 회전솔(1011)을 회전시키므로, 흡입구부재(550)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 흡인실(1005)의 후방중앙에 자재관 연결부(1530)의 부착부(1006), 이 부착부(1006)의 양측에 통풍로(1007)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본체(1000)의 전체높이를 낮게 하여 간소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 강성과 기밀성이 필요한 자재관 연결부(1530)의 부착을 후방부 위덮개(1003)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해결하고 있으므로 부품점수를 감소해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후방부 위덮개(1003) 이외의 부분을 전방부 위덮개(1002)를 통해 떼어내는 것만으로 개방할 수 있고 또 회전솔(1011)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분해성과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솔(1011)을 간단하게 장착해서 전방부 위덮개(1002)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조립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흡입구부재(550)의 상세구조를 도 6∼도 16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외관사시도, 도 7은 저면도, 도 8은 개폐레버의 설명도, 도 9는 미끄럼부재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미끄럼부재의 다른 응용설명도, 도 11은 차륜의 승강기구의 설명도, 도 12는 제1 회전축의 단면도, 도 13은 제1 회전축의 다른 응용설명도, 도 14는 제1 회전축의 잠금기구도, 도 15, 도 16은 수납상태도이다.
우선, 도 6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흡입구부재(550)은 그의 외관을 박형으로 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1000)의 전방부를 양측으로 연장시키고 후방부 중앙에 배치한 상기 자재관 연결부(1530)의 부착부(1006)을 뒤쪽으로 연장시킨(대략 T자형)의 평면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상면전체를 R형상을 주체로 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 각부를 R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가구 등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본체(1000)의 선단은 측면형상을 상면이 볼록원호형상인 대략 쐐기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회전솔(1011)의 회전영역을 확보하면서 흡인실(1005)를 공기류가 벨마우스형상의 잘라냄부(1030)으로 도입되기 쉬운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전체를 간소한 형태로 하고 있다.
또,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이 실시예에서는 범퍼부(1033)을 흡입구부재(550)이 가구 등에 접촉하기 쉬운 부분 즉 흡입구본체(1000)의 양측으로 연장한 4개의 각부를 포함한 긴쪽방향의 양측과 전방부 및 이면의 일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띠형상이고 또한 볼록형상의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범퍼부(1033)에 미끄럼부재(1100)을 연속해서 마련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부재(1100)은 나일론재료의 털이 짧은 솔(1101)을 솔대(brush stand)(1102)에 심고, 이 범퍼부(1033)에 형성한 홈부(1021)에 솔대(1102)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솔(1101)을 범퍼부(1033)에 고정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솔대(1102)는 범퍼부(1033)과 동일한 길이의 것을 상기 홈부(1021)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지만, 분할해서 부착하는 것에 의해 성형을 용이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솔대(1102)는 범퍼부(1033)에 일체성형해서 조립성을 향상시켜도 좋지만, 접착이나 수지재료의 탄성 등을 이용한 압입에 의한 끼워맞춤으로 설비 비용을 저감해도 좋다.
또, 이 미끄럼부재(1100)을 채용하는 목적은 흡입구부재(550)의 전방부를 벽면 등을 따라서 좌우방향V1(도 1 참조)로 이동하기 쉽게 하는 점에 있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부재(1100)은 미끄럼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퍼부에 여러개의 돌기(1034)나 또는 흡입구부재(550)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돌기형상의 여러개의 띠부라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1034)를 범퍼부(1033)과 일체성형하고 있으므로 재질을 경도가 높은 수지재료로 하고, 손상이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범퍼부(1033)의 내측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공간(103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돌기(1034)만을 예를 들면 미세한 비즈(beads)나 선재 등과 같은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하고 매우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경도가 낮은 재질의 범퍼부(1033)의 소정의 위치에 매립해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이동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충격에 강한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돌기(1034)를 범퍼부(1033)에 성형할 때 매립해도 또는 상기 도 9a와 같이 대(臺座)를 거쳐서 부착해도 좋다.
또, 다른 미끄럼부재(1100)으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1103)을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범퍼부(1033)에 부착해도 좋지만, 하부케이스(1001)에 직접 부착해도 좋다. 보다 양호한 것은 로울러(1103)의 주위에 예를 들면 고무나 벨벳 등의 탄성재료를 구비하거나 타이어로 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이동성을 좋게 해서 범퍼기능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로울러(1103)의 부착위치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흡입구부재(550)의 전방부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해서 마련하면 좋다. 더욱 양호한 것은 흡입구부재(550)의 전방부 양측의 모서리부(角部)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부재(550)의 전방부 양측의 모서리부에 부가해서, 전방부 중앙에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벽면의 오목볼록을 쉽게 흡수할 수 있다. 보다 양호한 것은 흡입구본체(1000)의 양측으로 연장한 4개의 모서리부와 전방부 중앙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미끄럼부재(1100)의 배치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배치로 해도 좋다.
또,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미끄럼부재(1100)으로서 솔(1101)을 채용했지만, 벨벳이나 섬유재료를 접착하는 것 등에 의해 부착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해도 좋다. 이들 미끄럼부재(1100)은 약간 두꺼운 것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범퍼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부재인 상기 범퍼부(1033)의 다른 응용예로서 하부케이스(1001)의 상단 주위에 후막부를 형성하고 이 후막부에 미끄럼부재(1100)을 직접 또는 일체성형해서 마련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1000)의 강성을 높이고 가구 등으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하면서 미끄럼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다른 부품인 고무나 연질수지 등의 탄성재료의 범퍼부(1033)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이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부재(550)의 크기를 자재관 연결부(1530)을 연장시킨 상태에서 깊이D를 250㎜, 흡입구본체의 깊이D1, 양측으로 연장한 근원부분의 깊이D2, 양측끝부의 깊이D3을 각각 137㎜, 96㎜, 87㎜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507)의 길이D4를 50㎜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연장관(400)에 부착되었을 때의 깊이를 254㎜로 설정하고 있다. 또, 도 6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본체(1000)의 높이H를 61㎜, 횡폭W를 280㎜, 흡입구(1010)의 횡폭W1을 216㎜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은 상면을 구성하는 전방부 위덮개(1002)를 간단하게 떼어내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전방부 위덮개(1002)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조시의 싱크마크나 용착 등이 잘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은 자재관 연결부(1530)의 부착부(1006) 이외의 흡입구부재(550)의 상면을 전방부 위덮개(1002)로 덮고, 이 전방부 위덮개(1002)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개폐레버(1022)를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에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 구조를 도 8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부 위덮개(1002)를 고정시키는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을 후방부 위덮개(1003)의 양측에 마련하고, 이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에 마련되어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는 1쌍의 개폐레버(1022)를 거쳐서 전방부 위덮개(1002)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전방부 위덮개(1002)에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레버(1022)와 대응하는 부분에 잘라냄부(1036)이 형성되고, 이 잘라냄부(1036)의 내측에 하단부(1037a)가 L형으로 형성된 부착리브(103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폐레버(1022)는 L형의 하단부(1037a)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상기 전방부 위덮개 부착부(1031)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폐레버(1022)가 부착리브(1037)과 중첩하는 위치에서는 개폐레버(1022)를 고정시키고,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전방부 위덮개(1002)를 분리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면, 개폐레버(1022)를 전방부 위덮개(1002)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폐레버(1022)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리브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위덮개(1002)의 상면 후방의 양측에는 통기구멍(10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멍(1016)은 흡입구부재(550)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여러개로 분할된 슬릿부(1016a)가 구성되고, 이 슬릿부(1016a)는 주위보다 약간 낮아지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형상내에 펀칭형상의 개구부가 전방부 위덮개(1002)와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통기구멍(1016)의 구조에 의하면, 강도적으로 약해지는 펀칭형상의 개구부를 주위보다 약간 낮게 형성하고 또 슬릿형상으로 여러개로 분할하고 있으므로, 전방부 위덮개(1002) 자체의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충격에 대한 펀칭형상의 개구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전방부 위덮개(1002)는 양측면에 상기 전방부 위덮개(1002)를 떼어내기 위한 손잡이용 오목부(1023)을 마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개폐레버(1022)를 전방부 위덮개(1002)와 분리한 것에 의해 전방부 위덮개(1002)를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브형성에 의한 싱크마크나 용착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이 단순한 형상에 의해 전방부 위덮개(1002)의 경량화, 청소성,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개폐레버(1022)는 충격을 거의 받지 않는 배면부에 마련함과 동시에, 가령 청소중에 가구 등과 접촉한 경우에 있어서도 외력에 의해 손상을 거의 받지 않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전방부 위덮개(1002)는 통기구멍(1016)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간단히 착탈할 수 있는 전방부 위덮개(1002)에 통기구멍(1016)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 전방부 위덮개(1002)를 떼어내어 더러워지기 쉬운 통기구멍(1016)을 표면 및 이면에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입구부재(550)(전방부 위덮개(1002))의 측면에 손잡이용 오목부(1023)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검지 또는 중지를 이 손잡이용 오목부(1023)에 삽입하고 엄지를 개폐레버(1022)에 걸고 개폐레버(1022)를 외측을 향해서 미끄럼이동시켜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엄지와 검지(중지)로 잡아서 전방부 위덮개(1002)를 흡입구부재(550)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더러움이 쌓이기 쉬운 상기 개폐레버(1022)와 손잡이용 오목부(1023)은 수직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더러움이 잘 쌓이지 않는다. 또, 전방부 위덮개(1002)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또 장착한 흡입구부재(550)의 상면은 전방부 위덮개(1002)와 후방부 위덮개(1003)이 연속한 둥그스름한 편평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더러움을 간단히 닦아낼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하부케이스(1001)에는 흡입구부재(550)전체를 전후방향V2 및 좌우방향V1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부재(550)의 밑면부와 청소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여러개의 차륜(1200)이 배치된다. 차륜(1200)에 대해서는 흡입구부재(550)의 밑면의 전방부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전차륜(前車輪)(1261), 그의 후방에 배치되는 1쌍의 후차륜(後車輪)(1262), 전기청소기(1)의 사용중에 있어서의 청소면에 대한 압력을 받기 위한 1쌍의 최후부차륜(1263) 및 좌우방향V1로 이동시킬 때 밑면에서 돌출해서 사용되는 출몰차륜(1264)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차륜(1261)과 후차륜(126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부케이스(1001)의 터빈(1012)의 직경방향의 연장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쌍의 전차륜(1261)과 1쌍의 후차륜(1262)가 위치하고, 터빈(1012)의 하부의 흡입구(1010)과 청소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손잡이 핸들(300)의 힘을 가장 많이 받는 자재관 연결부(1530)의 하부에 큰 최후부차륜(1263)을 마련하여 강성과 주행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손잡이 핸들(300)으로부터 힘을 받더라도 이 최후부차륜(1263)에 의해 받아서 청소바닥면과의 상기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V2의 움직임에 부가해서, 좌우방향V1로 이동시키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좌우방향V1의 움직임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쌍의 출몰차륜(1264)를 제2 회전축(1535)의 아래쪽에 마련하고 있다. 상기한 전차륜(1261), 후차륜(1262) 및 최후부차륜(1263)은 모두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부재(550)의 양측방향(도면상의 전후방향)에 차축을 구비하고 흡입구부재(550)의 전후방향V2(도면상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차륜으로 하고 있지만, 출몰차륜(1264)는 상기 3개의 차륜과는 90도 차축방향이 다르고 흡입구부재(550)의 좌우방향V1(도면상의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차륜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출몰차륜(1264)는 통상의 사용형태 즉 손잡이 핸들(300)을 90도까지 비틀지 않는 각도에서는 흡입구부재(550)의 내부에 수납되고, 손잡이 핸들을 90도 비틀어 흡입구부재(550)을 90도 선회시키고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도면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에서는 돌출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구조를 도 11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축(1535)의 회전축(1503)의 주위에 형성되는 1쌍의 미끄럼면(1539)에 각각 돌기부(1540)을 마련하고 있다. 이 돌기부(1540)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인 위치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1503)의 아래쪽의 하부케이스(1001)에는 개구부(1541)이 형성되고, 이 개구부(1541)에 출몰차륜(1264)가 부착되어 있다. 출몰차륜(1264)는 흡입구부재(550)의 전방 즉 후차륜(1262) 측을 회전축(1265)로 하는 차륜베이스(1266), 이 차륜베이스(1266)에 부착되는 차륜(1267) 및 회전축(1265)에 부착되어 상기 차륜베이스(1266)을 흡입구부재(550)의 내측에 수납하려고 하는 코일스프링이나 비틀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부재(1268)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돌기부(1540)과 출몰차륜(1264)의 위치 및 크기는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인 위치에서 출몰차륜(1264)를 돌출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미끄럼면(1539)에 돌기부(1540)을 마련했지만,돌기부(1540)을 별체로 마련해도 좋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에 도달하지 않는 상태 즉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각도P1이 90도 비틀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출몰차륜(1264)가 흡입구부재(550)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전차륜(1261), 후차륜(1262) 및 최후부차륜(1263)을 거쳐서 흡입구부재(550)을 전후방향V2(도면상의 좌우방향)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각도P1이 90도 비틀린 상태에서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로 되므로, 출몰차륜(1264)가 흡입구부재(550)에서 돌출해서 후차륜(1262)와 최후부차륜(1263)을 바닥면에서 t0만큼 부상시킨다. 이 때문에, 출몰차륜(1264)가 손잡이 핸들(300)의 힘을 가장 많이 받게 되므로, 이 출몰차륜(1264)와 전차륜(1261)을 거쳐서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도면상의 전후방향)로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서는 전차륜(1261), 후차륜(1262) 및 최후부차륜(1263)의 차륜(1267)을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기 쉬운 재료로 형성함과 동시에, 바닥면과의 접촉면에 광택처리를 실시하고 그의 형상을 북형상(drum shape)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축방향이나 경사방향으로도 미끄럼이동하기 쉽게 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부재(550)의 선회성이나 좌우방향V1로의 주행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선회성이나 좌우방향V1로의 주행성을 더욱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차륜(1267)의 주위에 도 9의 미끄럼부재(1100)과 마찬가지 구조의 미끄럼부재를 마련하면 좋다. 이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의 선회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출몰차륜(1264)와 쌍으로 되어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도면상의 전후방향)로 이동시키는 전차륜(1261)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주위에 미끄럼부재를 마련한 차륜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좌우방향V1의 이동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전후방향의 움직임에 부가해서 좌우방향V1로도 이동시키기 위해서 차륜(1200)을 채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자재차륜이라도 좋고, 또는 흡입구부재(550)의 상기 차륜(1200)이 배치된 소정의 위치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에 상기 미끄럼부재(1100)을 마련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의 밑면부에는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에 의해 돌출되는 출몰차륜(126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벽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좌우방향V1의 이동에서는 출몰차륜(1264)와 전차륜(1261)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도면상의 전후방향)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한편, 흡입구부재(550)을 전후방향(도면상의 상하방향)에서는 출몰차륜(1264)를 흡입구부재(550)에 수납하므로, 전차륜(1261)과 후차륜(1262)가 각각 좌우로, 또 후방 중앙부에 최후부차륜(1263)이 배치되도록 5점차륜으로 된다. 이 5점차륜구성에 의하면, 전후방향V2의 주행성이 우수하고 또 경사이동이나 선회성도 우수하여 흡입구부재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최후부차륜(1263)은 사용시에 자재관 연결부(1530)에서 사용자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후방향V2의 움직임 특히 후퇴시킬 때의 흡입구부재(550)의 선단의 부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자재관 연결부(1530)의 회전축(1503)을 상기 5점차륜중에 마련했으므로,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흡입구부재(550)을 선회 및 회전시켜도 흡입구부재(550)의 기울기(모서리부의 부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각 차륜(1200)은 흡입구부재(550)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시의 걸림(catching)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흡입구부재(550)의 밑면부에 마련된 흡입구(1010)의 전방부에는 먼지의 안내수단(1300)이 마련되고, 흡입구(1010)의 후방부에 압력제어판(1301)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수단(1300)은 흡입구(1010)과 흡입구부재(550)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부(1302)에 의해, 잘 흡입되지 않는 먼지를 효율좋게 빨아들이는 기능을 갖춘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흡입구부재에서는 흡입구부재의 선단부를 벽면에 접촉시킨 경우, 상기 평면부(1302)의 아래쪽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는 빨아들여지는 공기류의 세기(power)로밖에 흡입할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상기 안내수단(1300)은 상기와 같이 잘 흡입되지 않는 먼지를 효율좋게 빨아들이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털이 긴 나일론 등의 솔 다발(1310)을 전후방향에 열을 이루도록 배치한 솔열(1311)을 상기 평면부(1302)에 좌우방향으로 여러개 배열해서 안내수단(1300)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열(1311)이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되고, 각 솔열(1311)이 흡입구(1010)측에 집속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하고 있다. 상기 솔 다발(1310)은 직접 상기 평면부(1302)에 매립해서 심어도 좋고, 또는 상기 솔열(1311)을 1그룹으로 해서 솔대에 심고 이 솔대를 상기 평면부(1302)에 매립해서 부착해도 좋다.
이 안내수단(1300)에 의하면, 각 솔열(1311) 사이에 공기류의 유로(1312)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유로(1312)를 거쳐서 공기류의 흐름을 가속해서 먼지를 빨아들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흡입구부재(550)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평면부(1302)에 있는 먼지가 상기 솔 다발(1310)에 의해 쓸어모아져 빨아들이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평면부(1302)에 있는 먼지를 흡입구부재(550)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솔 다발(1310)으로 쓸어모으고 상기 유로(1312)에 의해 흡입구(1010)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솔 다발(1310)의 털길이를 도 11b와 같이 흡입구부재(550)을 전후방향(도면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 즉 전차륜(1261)과 후차륜(1262) 및 최후부차륜(1263)의 5점차륜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솔 다발(1310)의 선단이 바닥면과 접할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솔 다발(1310)의 선단이 바닥면을 적당하게 솔질해서 상기 작용효과에 의해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c에 도시한 전차륜(1261)과 출몰차륜(1264)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도면상의 전후방향)로 이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출몰차륜(1264)가 아래쪽으로 돌출해서 흡입구부재(550)이 전차륜(1261)측으로 경사져 앞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솔 다발(1310)의 선단을 바닥면에 강하게 밀어붙인다. 이 때문에, 상기 평면부(1302)에 있는 먼지를 상기 솔 다발(1310)에 의해 도 11b의 상태보다 강하게 쓸어모으므로, 빨아들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안내수단(1300)이 강하게 바닥면에 밀어붙여지는 것에 의해 안내수단(1300)이 전차륜(1261) 대신에 흡입구부재(550)을 지지하는 것으로도 되므로, 흡입구부재(550)의 좌우방향V1로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제어판(1301)은 상기 유로(1312)에서 힘이 너무 세어 뒤쪽으로 날라온 먼지를 막아내어 흡입구(1010)으로 다시 흡입시키는 것이다. 이 압력제어판(1301)은 도 11c의 상태에 있어서 선단이 바닥면과 접할 정도로 밑면으로 부터의 연장길이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흡입구(1010)의 하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2∼도 14에 따라서 자재관 연결부(15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2a는 제1 회전축의 종단면도, 도 12b는 횡단면도, 도 12c는 잠금링의 외관도이다. 이 실시예의 제1 회전축(1533)은 상기 아래쪽암부(1531)의 한쪽끝의 상측에 관형상으로 돌출된 회전축부(1533a)와 상기 위쪽암부(1532)의 한쪽끝의 하측의 관형상이고 오목형상인 회전축받이부(1533b)를 수지재료의 탄성을 이용해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X의 회전을 90도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잠금상태로 하는 잠금기구(1516)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부(1533a)와 회전축받이부(1533b)의 미끄럼면(1542a), (1542b)에 홈(1543)을 형성하고, 이 홈(1543)에 도 12c에 도시한 잠금링(1534)를 마련하고 있다. 잠금링(1534)는 링의 일부가 개방되고, 화살표로 도시한 양측방향으로 넓어지려고 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작용을 구비해서 형성된다. 또, 상기 잠금링(1534)는 링의 중앙에 부착부(1544)가 마련되고, 이 부착부(1544)로부터 등거리에 있고 상기 넓어지려고 하는 양측의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부(154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링(1534)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1543)의 상기 회전축부(1533a)측에 상기 부착부(1544)를 거쳐서 고정된다. 또, 상기 회전축받이부(1533b)측의 홈(1543)에는 아래쪽암부(1531)과 위쪽암부(1532)가 똑바로 되는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1545a)와 끼워맞춰지는 1쌍의 오목부(1545b)가 형성된다.
이 잠금기구(1516)에 의하면, 아래쪽암부(1531)과 위쪽암부(1532)가 직선형상으로 되는 상태에서는 좌우방향X의 회전이 고정되므로, 흡입구부재(550)의 직진성이 향상해서 전후방향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흡입구부재(300)을 회전시키려고 하면, 상기 돌기부(1545a)와 오목부(1545b)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므로 미약한 힘으로 잠금기구(1516)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부재(550)의 직진성을 높이기 위해 1쌍의 상기 돌기부(1545a)와 오목부(1545b)를 마련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오목부(1545b)를 빈도가 높은 소정각도(45도, 90도 등)로 여러개 마련해도 좋다.
도 13은 제1 회전축(1533)의 다른 끼워맞춤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부(1533a)와 회전축받이부(1533b)를 착탈가능한 고정부재(fixing screw)(1549)를 거쳐서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부(1533a)의 미끄럼면(1542a)에 2개의 링형상 돌기(1550)을 마련하고, 회전축부(1533a)의 주위에 링형상의 오목부(1551)을 형성한다. 한편, 회전축받이부(1533b)에는 상기 오목부(155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창(1552)를 형성한다. 이 개구창(1552)는 제1 회전축(1533)의 회전성을 고려해서 대향하는 위치에 2개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창(1552)와 상기 오목부(1551)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1549)를 배치한다. 이 고정부재(1549)는 상기 개구창(1552)에서 수지재료의 탄성작용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549)를 상기 오목부(1551)의 형상에 일치시킨 호(弧)형상부(1549a)와 외형을 상기 개구창(1552)에 일치시키고 내측이 더욱 얇아진 본체부(1549b)로 구성한다. 고정부재(1549)를 장착할 때는 상기 호형상부(1549a)에서 개구창(1552)로 삽입하여 부착하고, 떼어낼 때는 본체부(1549b)에 마련된 구멍에 지그를 삽입하고 본체부(1549b)의 선단측을 수지재료의 탄성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인출하도록 한다. 또, 고정부재(1549)와 상기 오목부(1551)의 크기는 제1 회전축(1533)이 덜컥거리지 않고 또한 회전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549)와 상기 오목부(1551)의 접촉면에 상기 돌기부(1545a)와 오목부(1545b)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1516)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549b)의 선단부에 돌기부(1545a)를 마련하고 상기 오목부(1551)의 소정의 위치에 오목부(1545b)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고정부재(1549)의 수지재료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돌기부(1545a)와 오목부(1545b)의 잠금과 잠금상태해제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1 회전축(1533)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정부재(1549)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분해가 용이하므로 보수성이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간단한 구조로 제1 회전축(1533)을 소정의 위치에서 잠금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잠금기구(1516)을 갖는 고정부재(1549)를 채용했지만, 잠금기구(1516)과 고정부재(1549)를 분리해도 좋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해서 제2 회전축의 잠금기구(1553)을 설명한다. 도 14의 (a)는 아래쪽암부(1531)의 외관도, 도 14의 (b), (c)는 손잡이 핸들(300)을 세워서 수납한 상태의 흡입구부재(550)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부재(550)과 연장관(400)과 손잡이 핸들(300)을 연결한 상태에서 흡입구부재(550)의 위쪽에 손잡이 핸들(300)이 위치하는 바와 같은 세운상태로의 수납(uprightly house)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수납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축(1535)에 잠금기구(1553)을 마련하고 있다. 이 잠금기구(1553)은 제2 회전축(1535)의 미끄럼면(1539)에 마련되는 돌기부(1554)와 상기 하부케이스(1001)의 축받이부(1018)의 미끄럼면에 마련한 오목부(1038)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1554)는 미끄럼면(1539)의 일부에 "コ"형상의 잘라냄부를 형성하고, 그의 자유단부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작용으로 상기 돌기부(1554)가 제2 회전축(1535)의 회전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잠금기구(1553)은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로 된 상태에서 잠금상태로 되도록 상기 돌기부(1554)와 오목부(1038)의 배치를 설정한다.
이 구조에 의해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부재(550)의 위쪽에 손잡이 핸들(300)이 위치하는 바와 같은 세운상태로의 수납자세에서는 제2 회전축(1535)의 잠금기구(1553)과 제1 회전축(1533)의 잠금기구(1516)이 잠금상태로 되므로 세운상태로의 수납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제2 회전축(1535)의 잠금기구(1553)이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출몰차륜(1564)가 돌출해서 흡입구부재(550)이 전방으로 앞으로 기울어지는 자세로 되므로, 손잡이 핸들(300)에 부착되는 호스(200)의 중량과 균형을 맞출 수 있으므로 안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로 이동시키는 상태에서도 제2 회전축(1535)가 잠금상태로 되므로, 이 주행시의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의 각도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이 잠금기구(1553)도 또 제1 회전축(1533)의 잠금기구(1516)과 마찬가지로 사용빈도가 높은 각도로 잠금상태로 되도록 해도 좋다.
또, 다른 응용예에서는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된 상태에서 잠금상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1038)과 돌기부(1554)가 끼워맞춰지는 바로 앞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볼록리브를 마련하여 잠금상태로 하는 전단계에 저항감을 주도록 한다. 이 때문에,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의 각도를 90도로 하고 흡입구부재(550)의 회전각도P2를 90도로 해서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기구(1553)은 잠금상태로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비틀기동작P1의 각도를 90도 이상으로 하거나 또는 아래쪽암부(1531)의 고저방향Y의 각도를 90도 이상으로 해서 상기 저항감을 초과할 때까지 동작시키면 잠금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흡입구부재(550)을 좌우방향V1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2 회전축(1535)는 잠금상태로 되지 않고 또 세운상태로의 수납자세에서는 더욱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납자세에서는 흡입구부재(550)의 좌우방향V1의 동작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잠금상태를 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된 자세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잠금상태해제는 흡입구부재(550)을 발 등으로 밟아 해제하면 좋다.
다음에,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 1 및 도 15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조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우선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사용자는 선 자세로 손잡이 핸들(300)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연장관(400)을 거쳐서 흡입구부재(550)을 조작하여 바닥면의 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관(400)의 각도가 바닥면에서 45도로 되도록 연장관(400)의 길이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 핸들(300)의 핸들부(301)을 110도 전후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이 핸들부(301)을 잡는 사용자는 상기 연장관(400)의 각도가 45도의 상태에서 전후방향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 흡입구부재(550)의 흡입구(1010)이 마련된 밑면부는 자재관 연결부(1530)의 아래쪽암부(1531)이 고저방향Y로 회전하므로, 흡입구부재(550)이 전후방향을 이동해도 상기 흡입구부재(550)의 밑면부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키는 일이 없다. 이 때, 좌우방향X의 회전은 연장관(400)이 45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위쪽암부(1532)의 좌우방향X의 회전축이 45도 기울어지므로, 회전축의 마찰 등에 의해 위쪽암부(1532)가 좌우방향X로 회전하기 어렵게 되고 흡입구부재(55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흡입구부재(550)의 좌우방향X의 흔들림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축(1533)에 잠금기구(1516)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부재(550)의 직진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흡입구부재(55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밑면부에 마련된 차륜(1200)중 전차륜(1261)과 후차륜(1262) 및 최후부차륜(1263)에 의해 지지되고, 이들 차륜은 회전축(1211)을 중심으로 한 통상의 차륜으로서의 회전을 실행하므로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최후부차륜(1263)에 의해 전후이동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550)의 선단부의 부상을 경감해서 양호한 직진성이 얻어진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수단(1300)의 솔(1214)와 회전솔(1011)의 이중솔로 바닥면의 먼지를 2중으로 쓸어모아 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암부(1531)에서 고저방향Y의 회전을 실행하고 위쪽암부(1532)에서 좌우방향X의 회전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통상자세로 되는 연장관(400)이 45도 상태에서의 직진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지만, 아래쪽암부(1531)에서 좌우방향X의 회전을 실행하고 위쪽암부(1532)에서 고저방향Y의 회전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역회전구조에서는 후술하는 흡입구부재(550)의 회전동작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행할 수 있지만, 직진성에 과제가 남으므로 좌우방향X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기 잠금기구(1516)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의 핸들부(301)을 비트는 동작P1로 흡입구부재(550)의 방향(회전P2)을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회전과 연동해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한 핸들부(301) 및 흡입구부재(550) 모두 똑바로 정면으로 마주보게 해서 직진주행에 적합한 상태에서 핸들부(301)을 45도 비틀면, 자재관 연결부(1530)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의 방향도 45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흡입구부재(550)의 차륜(1200)이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므로, 흡입구부재(550)을 기울인 상태에서 전후방향의 움직임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에 장해부가 있어 폭이 좁아져 있는 부분을 청소할 때 등에 극히 유효하다. 또, 흡입구부재(550)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차륜(1200)의 방향을 변경하므로, 자동차의 손잡이 핸들을 회전시키는 바와 같이 흡입구부재(550)의 코스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1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301)을 90도 비틀면, 자재관 연결부(1530)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부재(550)의 방향도 90도 기울어진 횡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흡입구부재(550)의 출몰차륜(1264)가 상기 자재관 연결부(1530)의 작용에 의해 밑면에서 돌출한다. 그리고, 흡입구부재(550)은 상기 출몰차륜(1264)와 전차륜(1261)에 의해 지지되므로, 흡입구부재(550)을 똑바로 눕힌 상태에서 전후방향(상기 좌우방향V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2 회전축(1535)의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로 되는 것에 의해 자재관 연결부(1530)이 흡입구본체(1000)의 투영면적내로 수용되므로, 이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은 폭이 좁은 틈새의 청소에 매우 유리하다. 또, 사용상태에서는 위쪽암부(1532)가 흡입구부재(550)의 짧은쪽 방향의 중앙측(벽측)에 위치하므로, 흡입구의 「좌우의 흔들림」을 경감해서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흡입구부재(550)은 자재관 연결부(1530)의 2개의 회전축을 단독으로 또는 양쪽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간소한 형태로 해서 수납성이나 포장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5는 제2 회전축(1535)의 고저방향Y의 각도를 0도로 해서 제1 회전축(1533)의 좌우방향X의 회전각도를 180도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자세에 의하면, 흡입구본체(1000)의 긴쪽방향의 중앙에 「새의 볏(topknot)」과 같이 위쪽암부(1532)가 배치된다. 또, 도 16은 제2 회전축(1535)의 고저방향Y의 각도를 90도로 하고 제1 회전축(1533)의 좌우방향X의 회전각도를 90도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자세에 의하면 흡입구본체(1000)의 긴쪽방향의 중앙에서 한쪽에 위쪽암부(1532)가 배치된다. 또, 도 16의 자세에서는 자재관 연결부(1530)이 흡입구본체(1000)의 투영면적내로 수용되므로, 도 15의 자세보다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수납시나 포장시에 상기 2개의 자세를 적절히 선택해서 수납 또는 포장할 수 있으므로 수납 및 포장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자세로 잠금기구를 잠금상태로 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 수납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7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50)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1)은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로 전달할 수 있지만, 이 동작원리를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도 17의 (a)는 고저방향Y의 각도가 45도인 상태A1과 90도인 상태A2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흡입구부재(550)의 측면도이고, 도 17의 (d)는 상기 45도의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에서 30도 정도로 작게 한 상태A3의 측면도이다.
도 17의 (b)는 고저방향Y의 각도가 45도인 상태A1과 이 상태A1에서 비틀기동작P1의 각도를 90도로 한 상태A0의 흡입구부재(550)의 평면도이고, 도 17의 (c)는 비틀기동작P1의 각도를 90도로 한 상태A0의 흡입구부재(550)의 정면도이다.
도 17의 (a)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평행한 아래쪽암부(1531)의 관축B1과 위쪽암부(1532)의 관축B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1533)의 회전면F1이 상기 관축B1, B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실험적 검증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의 회전P1(상기 관축B2를 회전)은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1을 중심으로 하는 흡입구부재(550)의 회전P2로 변환된다. 따라서,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인 상태A2에서는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2는 손잡이 핸들(30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므로,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의 회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를 작게 한 상태A3에서는 교점G3이 멀어지므로, 큰 힘에 의해 비틀기회전P1을 인가하지 않으면 흡입구부재(550)의 회전P2를 얻을 수 없다. 또,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를 너무 작게 하면,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지 않게 되므로 흡입구부재(550)의 회전P2를 얻을 수 없다.
또, 본 실시예의 동작원리를 해명함에 있어서 흡입구부재(550)을 고정시켜서 손잡이 핸들(300)측을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동작의 최초의 상기 상태A1과 최종의 상태A0을 대비한다.
우선, 도 1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상기 상태A1에서는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1이 흡입구부재(550)의 대략 중앙에 설정된다. 그러나, 도 17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300)을 비틀기동작P1을 부가해서 최종의 상태A0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0은 흡입구부재(550)의 긴쪽방향의 한쪽에 설정된다. 즉, 통상의 조작상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은 이용자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조작되므로, 흡입구부재(550)의 회전P2는 그의 회전P2의 중심으로 되는 교점G1을 G0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한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 핸들(300)을 화살표E1방향으로 비틀기동작P1의 회전을 부가하면, 본래 이 비틀기동작P1에 따라서 회전하려고 하는 흡입구본체(1000)이 바닥면에 의해 그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제1 회전축(1533)이 그의 회전면F1을 경사시키면서 회전하여 화살표E2방향으로 회피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제2 회전축(1535)는 상기 비틀기동작P1을 흡입구부재(550)의 밑면 전체에서 받으려고 해서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면F1을 경사시키면서 회전하는 제1 회전축(1533)에 따라서 연동해서 서서히 회전 즉 고저방향Y의 각도를 크게 하도록 동작한다. 이 결과, 흡입구부재(550)은 회전P2의 중심위치가 G1에서 G0으로 되도록 하면서 화살표E3방향으로 회전한다.
<실시예 2>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흡입구부재의 단면도, 도 19는 흡입구부재의 동작원리도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 또는 마찬가지인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흡입구부재(560)은 상기 실시예 1에 관한 흡입구부재(550)과 제1 회전축(1533)의 회전면F1을 경사시킨 점에서 상이하고, 다른 구조는 대략 동일하다. 이 흡입구부재(560)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의 회전각도보다 흡입구부재(560)의 회전P2의 회전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18에 있어서, 흡입구부재(560)은 평행한 아래쪽암부(1531)의 관축B1과 위쪽암부(1532)의 관축B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1533)의 회전면F1을 위쪽암부(1532)의 선단측이 높고 뒤쪽이 낮아지도록 회전면F1을 경사θ°의 각도를 취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회전축(1533)을 경사시키는 회전면F1로 했기 때문에 제1 회전축(1533)의 회전중심이 경사지게 되므로, 위쪽암부(1532)의 반송로와 아래쪽암부(1531)의 반송로를 비스듬한 반송로로 연속시킬 수 있으므로 자재관 연결부(1530)의 반송로전체를 크게 굴곡시키지 않고 완만하게 연속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먼지에 의한 통로막힘이나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핸들부(301) 및 흡입구부재(560)이 똑바로 정면으로 마주보게 해서 직진주행에 적합한 상태에서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을 90도 회전시키지 않아도 흡입구부재(560)의 회전P2를 90도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잡이핸들의 작은 동작에 의해 흡입구부재(560)을 크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동작원리를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9에 있어서, 도 19의 (a)는 고저방향Y의 각도가 45도인 상태A1과 90도인 상태A2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흡입구부재(560)의 측면도이고, 도 19의 (b)는 고저방향Y의 각도가 45도인 상태A1과 이 상태A1에서 비틀기동작P1의 각도를 90도로 한 상태A0의 흡입구부재(560)의 평면도이고, 도 19의 (c)는 비틀기동작P1의 각도를 90도로 한 상태A0의 흡입구부재(560)의 정면도이고, 도 19의 (d)는 도 19의 (b)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9의 (a)에 있어서, 이 실시예의 흡입구부재(560)도 상기 실시예 1의 흡입구부재(550)과 마찬가지로 실험적 검증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의 회전P1(상기 관축B2를 회전)은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1을 중심으로 하는 흡입구부재(560)의 회전P2로 변환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것은 회전면F1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1보다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1이 멀어진다. 따라서, 고저방향Y의 각도가 90도인 상태A2에서는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2가 손잡이 핸들(300)의 바로 아래보다 전방에 위치하지만, 상기 회전면F1을 매우 큰 경사로 하지 않는다면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의 회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각도θ°에 의해서는 상기 관축B2의 바로 아래에 교점G2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를 작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실시예 1보다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지 않게 되는 각도가 크므로,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가 큰 자세로의 작업의 빈도가 많은 곳에 적합하다.
또, 본 실시예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흡입구부재(560)을 고정시켜서 손잡이 핸들(300)측을 회전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동작의 최초의 상기 상태A1과 최종의 상태A0을 대비한다. 우선, 도 1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상기 상태A1에서는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1이 흡입구부재(560)의 전방부에 설정된다. 그러나, 도 19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300)을 비틀기동작P1을 부가해서 최종의 상태A0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면F1을 통과하는 연장선F2가 바닥면과 교차하는 교점G0은 흡입구부재(560)의 긴쪽방향의 한쪽에 설정된다.
즉, 이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원리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흡입구부재(560)의 큰 특징은 도 19의 (b)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최종상태A0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이 좌우방향X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다. 통상의 조작상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은 이용자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조작되기 때문에 흡입구부재(560)의 회전P2는 점선으로 도시한 상태이면 좋으므로,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기동작P1을 90도 회전시키면 흡입구부재(560)은 과도하게 회전하게 된다. 즉, 비틀기동작P1을 90도 회전시키지 않아도 흡입구부재(560)의 회전P2를 90도로 할 수 있다.
이 비틀기동작P1을 확대해서 회전P2로 하는 점은 도 1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533)의 회전면F1이 각도θ1만큼 비스듬하게 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이 각도θ1은 도 19의 (a)와 (b)의 대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300)을 세운상태A2에서는 각도θ1이 0도이지만, 상태A0에서는 각도θ1이 크게 되는 점이다. 즉, 비틀기동작P1은 손잡이 핸들(300)을 높은 위치에서 비틀기동작P1을 실행하는 것보다 낮은 위치에서 비틀기동작P1을 실행하는 쪽이 작은 비틀기동작P1에 의해 흡입구부재(560)을 크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회전면F1의 각도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솔을 채용한 흡입구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회전솔의 구동방법도 에어터빈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륜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손잡이 핸들, 접속관 및 흡입구부재로 이루어지는 전기청소기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의 긴쪽방향의 한쪽끝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흡입구부재 및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의 긴쪽방향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손잡이 핸들로 구성하고, 상기 흡입구부재를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본체 및 이 흡입구본체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연결하고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를 거쳐서 전달되는 손잡이 핸들의 회전각도와 흡입구부재의 회전각도를 동기시키는 자재관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해도 좋다.
그 밖에, 주택에 배관된 먼지반송로에 흡인호스, 손잡이 핸들, 접속관 및 흡입구부재를 접속하는 센트럴크리너라 불리는 것이나, 긴쪽방향의 전기청소기본체의 한쪽끝에 흡입구부재를 부착하고 다른쪽끝에 손잡이 핸들을 마련한 핸드크리너 등의 전기청소기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여기서 (S201)은 제어회로나 전동송풍기 등이 내장된 청소기본체, (S202)는 청소기본체(S201)의 흡입구부에 접속된 호스, (S203)은 사용자가 쥠과 동시에 한쪽끝측에 호스를 접속하는 호스손잡이부, (S204)는 호스손잡이부(S203)의 다른쪽끝측에 접속된 연장관, (S205)는 연장관(S204)에 접속된 흡입구부재, (S206)은 호스손잡이부(S203)에 마련된 스위치조작부, (S207)은 호스손잡이부(S203)에 마련된 제1 적외선발광부, (S208)은 호스손잡이부(S203)에 마련된 제2 적외선발광부, (S209)는 청소기본체(S201)의 상면에 마련된 적외선수광부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청소기의 사용자가 호스손잡이부(S203)에 마련된 스위치조작부(S206)중의 1개를 누르면, 눌려진 스위치에 따른 신호코드가 적외선신호로서 제1 적외선발광부(S207) 및 제2 적외선발광부(S208)에서 방사된다.
제1 적외선발광부(S207)은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대략 연직방향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적외선발광부(S207)에서 방사된 적외선신호는 방의 천정이나 벽에 닿아서 반사되어 청소기본체(S201)의 적외선수광부(S209)에 도달한다.
또, 제2 적외선발광부(S208)은 호스손잡이부의 손잡이끝부(grip end)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보아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적외선발광부(S208)에서 방사된 적외선신호는 직접적으로 청소기본체(S201)의 적외선수광부(S209)에 도달한다. 적외선수광부(S209)에 도달한 적외선신호는 청소기본체(S201)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회로를 거쳐서 청소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흡입구부재(S205)는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S115)(도 20 참조)를 밑면에 구비한 흡입구본체(S101) 및 이 흡입구본체(S101)을 연장관에 연결하고 연장관(S204)를 거쳐서 전달되는 호스손잡이부(S203)의 움직임에 대해서 항상 흡입구본체(S101)의 밑면을 바닥면과 접하도록 동작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본체(S101)에서 빨아들인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가 연장관(S204)로 보내지도록 연통되어 있는 자재관 연결부(S103)으로 구성된다.
흡입구본체(S101)은 바닥면의 먼지를 쓸어모으기 위한 회전솔(S110)(도 20 참조)을 내장하고 있다.
자재관 연결부(S103)은 흡입구부재(S205)를 중심으로 해서 호스손잡이부(S203)의 고저방향Y와 좌우방향X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호스손잡이부(S203)의 비틀기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본체(S101)의 회전P2로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재관 연결부(S103)은 흡입구본체(S10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저방향Y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싱(104) 및 그의 한쪽끝이 연장관(S204)에 부착되고 그의 다른쪽끝이 케이싱(S104)와 좌우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되는 흡입구연결부(S10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흡입구부재(S205)의 긴쪽방향을 따른 이동방향을 V1, V1방향과 직각으로 흡입구부재(S205)의 짧은쪽방향을 따른 이동방향을 V2로 한다. V1방향을 횡방향, V2방향을 진행방향이라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작정보를 적외선신호를 이용해서 청소기본체(S201)로 송신하여 청소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호스(S202)에 전원선을 사용하지 않아 호스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이 때문에, 호스손잡이부(S203)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되고 청소기본체(S201)의 끌고다님주행(끌고다니면서 이동하는 것)이나 흡입구부재(S205)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자재관 연결부(S103)은 흡입구본체(S101)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저방향Y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싱(S104) 및 그의 한쪽끝이 연장관(S204)에 부착되고 그의 다른쪽끝이 케이싱(S104)와 좌우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되는 흡입구연결부(S105)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스손잡이부(S203)의 조작에 의해 흡입구부재(S205)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스손잡이부(S203)을 90도(회전P1) 비트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S205)를 도 36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회전P2)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통상의 전후방향의 조작에 의해 흡입구본체(S101)의 짧은쪽방향의 폭의 틈새까지 청소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 흡입구본체(S101)의 앞가장자리를 벽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호스손잡이부(S203)을 통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면, 흡입구본체(S101)은 V1방향으로 벽면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벽 가장자리의 바닥면청소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흡입구부재(S205)의 구조에 대해서 도 20∼도 3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관한 흡입구부재(S205)의 상부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A-A단면도, 도 22는 흡입구부재(S205)의 흡입구덮개(S107)을 떼어낸 상태의 상면도, 도 23은 도 20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S205)의 배면도, 도 24는 흡입구부재(S205)의 상면도, 도 25는 흡입구부재(S205)의 하면도, 도 26은 흡입구부재(S205)의 앞면도, 도 27은 흡입구덮개(S107)의 이면도, 도 28 및 도 29는 도 22에 있어서의 B-B단면도, 도 30은 흡입구연결부(S105)의 분해단면도, 도 31은 케이싱(S104)의 분해도, 도 32는 도 28에 있어서의 C-C단면도, 도 33 및 도 34는 충격흡수범퍼(S106)의 단면도, 도 35는 흡입구연결부본체(S166)의 하면도이다.
도 20∼도 26에 있어서, 흡입구부재(S205)의 골격으로 되는 흡입구본체(S101)은 그의 대략 중앙의 높이위치에서 상하로 2분할되어 있고, 외곽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S102)와 이 하부케이스(S102)의 상부 뒤쪽에 배치되는 상부케이스(S10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S102)와 상부케이스(S109)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는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구 등으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범퍼(S106)이 부착되어 있다.
이 충격 흡수 범퍼(S106)은 하이드로스틸렌부타디엔고무 (hydrostyrene-butadiene rubber)와 폴리프로필렌의 합금을 기재(基材)로 하고 불소수지파우더와 실리콘오일을 첨가한 높은 미끄럼이동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벽 가장자리 청소 등에서 충격흡수범퍼가 벽면과 접촉했을 때의 높은 미끄럼이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소수지파우더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5%, 실리콘오일을 5% 기재로 첨가하고 있지만, 필요로 되는 미끄럼이동성능에 의해 불소수지파우더를 2∼20%, 실리콘오일을 2∼20% 사이로 조정해도 좋다.
또, 불소수지파우더로서 퍼플루오로알콕시,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에테르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 미끄럼이동성을 얻기 위한 첨가재로서 활석(talc), 티탄산칼슘, 흑연,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무기골재나 왁스, 유기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아미드 등의 유기골재를 기재로 첨가해도 좋다.
또, 기재로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나일론12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머, 폴리올레핀 일래스토머, 폴리스틸렌 일래스토머, 연질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나일론12 일래스토머는 단독으로도 미끄럼이동성이 있어 첨가재를 부가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충격흡수범퍼(S106)은 높은 미끄럼이동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벽 가장자리에서의 청소시 등 충격흡수범퍼(S106)을 벽에 접촉시키면서 흡입구부재(S205)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6에 도시된 돌기형성부(S152)에 도 33에 도시된 미소돌기군(S160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충격흡수범퍼(S106)과 벽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서 미끄럼이동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소돌기군(S1601)은 각 돌기형상을 직경0.1㎜, 돌기높이를 0.1㎜로 하고, 피치를 0.2㎜로 해서 구성했지만, 직경은 0.05㎜∼0.5㎜, 돌기높이는 0.1㎜∼1㎜, 피치는 0.1㎜∼1.0㎜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흡입구본체(S101)의 상부에는 흡입구(S115)를 덮고 또한 흡입구본체(S101)의 대략 전체 상반면을 덮는 흡입구덮개(S107)이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흡입구덮개(S107)의 후방이면에는 1쌍의 끼워맞춤용 돌기(S135)가 있고, 그것과 대향하는 상부케이스측에는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해서 끼워맞춤용 돌기(S135)를 유지하는 돌기유지부(S137)을 갖는 개폐레버(S133)이 부착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개폐레버(S133)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덮개(S107)을 흡입구본체(S101)에 고정시키거나 흡입구본체(S101)에서 떼어낼 수 있다.
또, 흡입구덮개(S107)의 끼워맞춤용 돌기(S135)와 대향하는 표면에는 손잡이돌기(S134)가 마련되어 있고, 흡입구덮개(S107)의 착탈시에 손잡이돌기(S134)에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흡입구덮개(S107)의 착탈성이 향상된다.
또, 흡입구덮개(S107)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용 돌기(S135)의 표면측에는 수지의 싱크마크가 출현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용 돌기(S135)와 대향하는 표면측에 손잡이돌기(S13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지의 싱크마크를 두드러지지 않게 할 수 있어 외관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흡입구덮개(S107)의 표면에는 자외선 경화수지코팅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엄격한 사용조건하에서 가구 등에 흡입구덮개가 충돌해도 거의 손상되지 않고, 또 외표면이 더러워져도 더러움이 쉽게 제거되므로 흡입구덮개(S107)의 외표면을 아름답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흡입구덮개(S107)은 흡입구본체(S101)의 대략 전체 상반면을 덮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흡입구덮개의 외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흡입구본체(S101)의 대략 전체 상반면이 아름다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의장성이 향상된다.
또, 흡입구덮개(S107)의 후방부 및 후방부 위쪽으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후방부 흡기구(S121)과 상부흡기구(S12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흡입구본체(S101)에서 흡입구덮개(S107)을 떼어내어 보수할 때에는 먼지가 잘 쌓이는 후방부 흡기구(S121), 상부흡기구(S122)의 주위를 손질하기 쉬어 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덮개(S107)에 자외선 경화수지코팅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리콘수지 하드코팅 등을 실시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덮개(S107)에만 자외선경화수지코팅을 실시하고 있지만, 상부케이스(S109)에 자외선경화수지코팅 등을 실시해도 더욱 의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좋다.
또, 하부케이스(S102)에 자외선경화수지코팅 등을 실시해도 하부케이스(S102)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피청소면과의 마찰계수가 저하하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입구본체(S101)의 뒤쪽에는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로 이루어지는 자재관 연결부(S103)이 배치되어 있다.
자재관 연결부(S103)은 대략 통형상의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로 구성되고,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S104)의 관축B1과 흡입구연결부(S105)의 관축B2가 평행하고 또한 흡입구연결부(S105)는 케이싱(S104)의 위쪽에 위치하고 또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의 한쪽끝이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첩되는 위치에 연직 회전축(S138)과 평행하게 케이싱(S104)에는 케이싱원통부(S145)를, 흡입구연결부(S105)에는 흡입구연결 원통부(S146)을 마련하고, 케이싱원통부(S145)를 흡입구연결 원통부(S146)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는 연직회전축(S138)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연결부(S105)를 흡입구본체(S101)에 대해서 90도 이상 굴곡시킬 수 있으므로, 도 37,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상태에 있어서 흡입구부재(S205)의 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박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수송비용이나 전기청소기를 창고에 보관해 둘 때 등의 유통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S104)를 흡입구본체(S101)에 대해 위쪽으로 90도 굴곡시키면, 더욱더 흡입구부재(S205)의 포장상태에서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 유통비용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한 수지시트로 흡입구부재(S205)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시트덮개(S2001), (S2003)과 베이스(S2002), (S2004) 사이에 흡입구부재(S205)를 끼워넣고 시트덮개(S2001), (S2003)과 베이스(S2002), (S2004)를 고정시킨 블리스터포장상태로 흡입구부재(S205)를 판매할 때에도,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연결부(S105)와 케이싱(S104)를 흡입구본체(S101)에 대해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S205)의 포장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점에 있어서의 매장면적이나 재고품 보관장소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판매비용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원통부(S145)에 상부플랜지(S147)과 하부플랜지(S148)을 마련하고, 흡입구연결부 원통부(S145)의 상부플랜지(S147)과 하부플랜지(S148) 사이의 스토퍼홈부(S144)와 대향하는 위치에 스토퍼개구부(S149)를 마련하고, 스토퍼개구부(S149)에서 스토퍼(S137A)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를 연직회전축(S138)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가능하게 걸어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S104)의 상부플랜지(S147)의 위쪽에 규제돌기(S160)을 마련하고, 흡입구연결부(S105)의 규제돌기(S160)와 대향하는 도 35에 도시한 부분에 규제홈(S161)을 마련하고, 흡입구연결부(S105)에 대해서 케이싱(S104)가 연직회전축(S138)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90도씩 회전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사용중에 흡입구본체(S101)이 사용자측을 향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스토퍼(S137)에는 클릭돌기(S162)가 마련되고, 또 스토퍼홈부(S144)에 흡입구본체(S101)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클릭돌기(S162)가 끼워넣어지는 위치에 클릭홈(S163)을 마련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S101)이 측면을 향할 때는 클릭돌기(S162)가 클릭홈(S163)을 타고넘지 않으면 안되므로, 흡입구본체가 측면을 향하기 어렵게 되어 직진시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S104)를 도 31a 및 도 31b와 같이 케이싱본체(S164)와 케이싱(S104)의 굴곡부의 내측부분의 중앙에서 1/2과 그의 주위를 포함한 케이싱부재(S165)의 2개의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사출성형이어도 도 21에 도시한 케이싱(S104)의 굴곡부의 구부림 반경RC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재관 연결부(S103)내의 흐름의 가시화를 실행하고 상기 굴곡부의 구부림 반경Rc를 크게 해 감에 따라서 기류가 굴곡부의 후방부에서 발생하는 박리가 저하해 가는 상태가 포착되고, 흐름이 정류화해서 소음이 저감해 가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소음을 측정하면 도 43a 및 도 43b와 같이 되고, 케이싱(S104) 및 흡입구연결부(S105)의 굴곡부반경RC, RP를 크게 해 감에 따라 소음이 저감되어 간다는 것을 실증할 수 있었다.
이 케이싱(S104)와 흡입구연결부(S105)의 굴곡부의 구부림반경RC, RP의 최적값의 조합에 의한 소음저감량은 구부림반경RC=RP=5㎜인 것에 비해, 15dB의 저감량이 도모되고 청소시 조용한 운전음으로 되어 실용적가치가 높은 흡입구부재(S205)가 얻어졌다.
또, 자재관 연결부(S103)의 높이도 실용성을 고려해야 하고, 예를 들면 침대나 책상 밑 등에 흡입구부재(S205)를 넣어 청소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고, 자재관 연결부(S103)의 높이는 100㎜이하가 아니면 실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케이싱(S104) 및 흡입구연결부(S105)도 높이의 제약을 받고 또 이들은 쓰레기를 반송하는 목적, 회전운동하는 구성상 및 자재관 연결부(S103)과 접합되는 연장관(S204)의 잡기 쉬움에서 오는 외경(外徑) 등에 의해 케이싱(S104) 및 흡입구연결부(S105)의 최적높이가 결정되고, 상기 케이싱(S104) 및 흡입구연결부(S105)의 종단면중심거리H가 대략 각각의 내경ψD의 2배의 높이 이하가 이상적인 값으로 된다. 이것은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S205) 특유의 치수한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S104)의 굴곡부의 구부림반경RC를 12.5㎜로 하고 있지만, 굴곡부의 구부림반경RC는 10㎜ 이상이 좋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부재(S165)를 케이싱본체(S164)에 대해서 케이싱부재(S165)에 마련한 발톱부재(claw)에 의해 끼워맞춰 고정시키고 있다.
또, 케이싱부재(S165)를 케이싱본체(S164)에 대해서 초음파용착이나 나사고정에 의해 고정시켜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연결부(S105)를 도 30과 같이 흡입구연결부(S105)의 굴곡부의 외측부분에 개구부(S169)를 마련한 형상의 흡입구연결부 본체(S166)에 개구부(S169)를 덮는 내부연결덮개(S168)을 씌우고, 연결덮개(S167)을 그 위에서 씌워 흡입구연결부 본체(S166)에 나사고정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사출성형이어도 도 30에 도시한 흡입구연결부(S105)의 굴곡부의 구부림반경Rp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연결부(S105)의 굴곡부의 구부림반경RP를 10㎜로 하고 있지만, 굴곡부의 구부림반경RP는 10㎜이상이 좋다.
케이싱(S104)의 흡입구본체(S101)측의 부분에는 도 20에 도시한 수평회전축(S170)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1쌍의 회전원통부(S171)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S109), 하부케이스(S102)에 각각 회전축받이부(S172), (S173)을 마련하고, 회전원통부(S171)을 회전축받이부(S172), (S173) 사이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케이싱(S104)를 흡입구본체(S101)에 대해서 수평회전축(S170)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 케이싱(S104)와 상부케이스(S109), 하부케이스(S102) 사이에는 회전운동덮개(S108)이 마련되고, 케이싱(S104)가 회전운동해도 케이싱내 유로(S174)의 흡입구본체(S101)측 출구에서 충분한 유로면적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부케이스(S102)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부재(S205)전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흡입구부재(S205)의 하면과 청소면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1쌍의 전차륜(S125)와 청소기사용중에 있어서의 청소면에 대한 압력을 받기 위한 로울러(S132)가 배치되어 있다.
또, 하부케이스(S102)의 전후에는 흡입구(S115)내의 흡입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제어판(S130), (S131)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차륜(S125)는 하이드로스틸렌부타디엔 고무와 폴리프로필렌의 합금을 기재로 해서 불소수지파우더와 실리콘오일을 첨가한 높은 미끄럼이동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흡입구본체(S101)을 V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소수지파우더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5%, 실리콘오일을 5% 기재로 첨가하고 있지만, 필요로 되는 미끄럼이동성능에 따라 불소수지파우더를 2∼20%, 실리콘오일을 2∼20% 사이로 조정해도 좋다.
또, 불소수지파우더로서 퍼플루오로알콕시, 플루오르화 에틸렌플로필렌,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에테르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 미끄럼이동성을 얻기 위한 첨가재로서 활석, 티탄산칼슘, 흑연, 이황화 몰리브덴 등의 무기골재나 왁스, 유기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아미드 등의 유기골재를 기재로 첨가해도 좋다.
또, 기재로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나일론12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머, 폴리올레핀 일래스토머, 폴리스틸렌 일래스토머, 연질폴리에틸렌, 초고분자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아세탈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나일론12 일래스토머, 고분자폴리에틸렌,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아세탈은 단독으로도 미끄럼이동성이 있기 때문에, 첨가재를 첨가하지 않고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전차륜(S125)는 높은 미끄럼이동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구본체(S101)을 V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하부케이스(S102)에는 케이싱(S104)의 양측에 횡방향 이동용 차륜(S123)이 로울러(S132)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축지지된 1쌍의 차륜대(S120)이 출몰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차륜대(S120)은 스프링(S175)에 의해 위쪽에 힘을 받고 있고, 케이싱(S104)에 마련된 차륜출몰돌기(S176)에 의해 케이싱(S104)가 수평회전축(S170)을 중심으로 해서 위쪽으로 회전운동해 갔을 때에도 차륜대(S120)이 눌려져 하부케이스 하면으로 튀어나와 케이싱(S104)가 최상부까지 회전운동했을 때 로울러(S132)가 2㎜정도 바닥면에서 부상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S101)을 V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케이싱(S104)는 대략 최상부까지 회전운동하고 있기 때문에 로울러(S132)가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그 대신 로울러(S132)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축지지되어 있는 횡방향이동용 차륜(S123)이 설치되므로 V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하부케이스(S102)의 흡입구(S115)의 전방에는 오목볼록부(S140)이 마련되어 있고, 그의 대략 양측에는 1쌍의 쓸어모음용 솔(S176A)가 배치되어 있다.
쓸어모음용 솔(S176A)는 섬유재(fabric base)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경사져 짜여진 파일실(pile threads)을 갖는 파일직(pile cloth)에 의해 형성되고, 파일실이 흡입구의 중앙을 향해서 경사져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S101)을 측면쪽을 향하게 하고 벽 가장자리에서 V1방향을 조작하면 흡입구 전방의 오목볼록부(S140)에 의해 융단 상의 먼지가 쓸어모아지고, 또 쓸어모음용 솔(S176A)에 의해서도 파일실이 조작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으므로 먼지가 효과적으로 쓸어모아지므로 벽 가장자리에서의 집진성능이 향상한다.
또, 충격흡수범퍼(S106)의 앞가장자리에 오목부(S150), (S15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흡입구본체(S101)의 앞면이 벽에 밀착해도 기류의 유로가 확보되어 오목볼록부(S140)에 바람이 흐르므로 집진성능은 더욱 향상시킨다.
또, 흡입구중앙의 오목부(S150)보다 흡입구 양측의 오목부(S151)쪽이 크므로, 기류에 막힘이 없이 원활하게 흘러 집진성능이 향상된다.
또, 쓸어모음용 솔(S176A)의 파일실의 선단은 전차륜(S125)의 접지면과 대략 동일면에 있기 때문에 흡입구본체(S101)의 앞측에 부가되는 하중을 전차륜(S125)와 쓸어모음용 솔(S176A)로 분산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흡입구본체(S101)을 V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전차륜(S125)에 부가되는 하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의 향상과 전차륜(S125)의 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흡입구부재(S205)의 내부에는 먼지의 쓸어모음 등을 실행하는 회전솔(S110)이 배치되어 있고, 흡입구덮개(S107)에 마련된 상부 흡기구(S122)와 후방부 흡기구(S121)에서 도입된 기류가 터빈(S111)로 보내져 회전솔(S110)이 회전하여 먼지를 쓸어모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부재의 자재관 연결부를 흡입구부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운동시켜 포장할 수 있으므로, 포장상태에 있어서의 흡입구부재의 체적을 작게 억제하여 포장상자를 작게 할 수 있고, 또 흡입구부의 하면에 배치한 솔부재를 차륜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부 하면에 부착한 차륜의 마모를 억제하여 차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4)

  1.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흡인하고 상기 접속관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의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되고, 또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흡입구부재를 바닥면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의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되고, 또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내면에서 통풍로를 형성하는 수지성형품으로서, 상기 흡입구본체와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와 상기 접속관은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와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흡입구본체의 뒤쪽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본체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흡입구본체의 접속위치보다 뒤쪽에 차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의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수지성형품이고 내면에서 상기 통풍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고, 또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중의 하나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접속관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다른 부분은 상기 다른 부분이 동심원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첩된 부분은 회전운동하도록 서로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 및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흡입구본체의 뒤쪽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본체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흡입구본체의 접속위치보다 뒤쪽에 차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 상기 흡인호스의 다른쪽끝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고 상기 흡인호스와 연통하는 접속관 및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고 이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입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구부재는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흡입구본체의 먼지통로와 상기 접속관을 연통하는 자재관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재관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부재를 바닥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X방향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흡입구부재와 손잡이 핸들을 구비한 상기 접속관의 각도를 변경하는 Y축방향의 제2 회전축을 구비하고,
    손잡이 핸들의 비틀기동작에 의해 흡입구본체를 바닥면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정정)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의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각각 통풍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 및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핸들을 거쳐서 상기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비틀려지는 회전각도와 상기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가 청소면에 대해서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상기 접속관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관이 그의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90。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청소의 전후방향과 상기 흡입구부재의 좌우방향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0. (정정)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인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상기 접속관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벽 가장자리를 청소할 때 상기 핸들을 비틀어 상기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의 변부를 벽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벽면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벽 가장자리를 따른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2.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상기 접속관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밑면에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청소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접속관을 청소면에 대해서 45。를 이루는 청소자세와 상기 접속관을 청소면에 대해서 90。를 이루는 수납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청소자세 및 상기 수납자세에 있어서 연통하는 유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하는 유통로에 셔터기구를 마련해서 상기 청소자세와 상기 수납자세에서 모두 유통로를 확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납자세를 유지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자세와 수납자세는 상기 흡입구본체와 제1 연결부를 회전가능하게 접속하는 제1 회전부에 의해 취할 수 있고, 이 제1 회전부에 셔터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5. (정정)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기구는 제1 회전부의 동작과 연동해서 상기 흡입구본체에 출몰가능하게 마련된 셔터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6.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의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각각 통풍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이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비틀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관축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평행한 상태에서의 청소의 전후방향으로의 필요한 폭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부재의 깊이방향의 후단부를 상기 흡입구본체의 투영면적내에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8. 하면에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고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를 청소기본체로 보내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부품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하기 위한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그의 내부에 통풍로가 형성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서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접속부는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상태로 되고 또 상기 대략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내부에 회전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22. (정정)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상태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23. (정정)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24.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공기통로를 갖는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핸들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그의 내부로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각각 통풍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흡입구부재의 상기 흡입구본체의 뒤쪽중앙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흡입구본체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흡입구부재와 상기 하부흡입구부재의 상부를 덮는 뒤쪽 상부 흡입구부재 및 앞쪽 상부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흡입구부재는 좌우방향으로 긴 부분에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개구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개구부의 뒤쪽에 상기 연결부재를 끼워 배치하도록 그의 선단부에 차륜을 구비한 1쌍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뒤쪽 상부 흡입구부재는 상기 하부흡입구부재의 상기 연장부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흡입구부재의 상부뒤쪽중앙에 부착되고,
    상기 앞쪽 상부 흡입구부재는 상기 흡입구개구부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흡입구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부흡입구부재와 상기 앞쪽 상부 흡입구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흡입구개구부를 따라 회전솔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상태를 취하고, 또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대략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상부 흡입구부재는 상기 회전솔을 회전시키기 위한 흡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연장부에 마련된 차륜은 바닥면과 접하는 차륜의 주위에 미끄럼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8.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각각 통풍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로의 축방향이 제2 회전축을 거쳐서 변화가능하게 서로 접속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청소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접속관을 청소면에 대해서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접속관을 청소면에 대해서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9.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공기통로를 갖는 핸들, 접속관,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인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핸들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제2 회전축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상기 접속관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청소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접속관을 청소면에 대해서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접속관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0. (정정)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빨아들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핸들, 접속관 및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한 흡입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부재가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핸들에 접속되고 또 상기 흡입구부재의 흡입구에서 빨아들여진 먼지는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호스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로 흡인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흡입구부재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제2 회전축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상기 접속관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연결부를 흡입구부재의 깊이방향을 따라서 청소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를 취하게 하고, 또 상기 제2 회전축은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 연결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1. (정정)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회전축 근방에서 굴곡되어 상기 양 연결부의 관축이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동일선상으로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2. (정정)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그의 관축을 평행하게 해서 마련되고, 상기 제2 회전축 근방에서 상기 관축을 굴곡시켜 상기 양 연결부의 관축이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동일선상으로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내부에 회전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6.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2 연결부가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상태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7.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8. (정정) 하면에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고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접속되고 먼지를 보내기 위한 반송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제2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통풍로를 형성하는 다른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다른 부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청소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단측을 청소면에 대해서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부를 청소면에 대해서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39. (정정) 하면에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고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접속되고 먼지를 보내기 위한 반송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제2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통풍로를 형성하는 다른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다른 부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청소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단측을 청소면에 대해서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0. (정정) 하면에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구를 구비하고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접속되고 먼지를 보내기 위한 반송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제1 연결부 및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에 제2 회전축을 거쳐서 접속되고 또 그의 다른쪽끝이 통풍로를 형성하는 다른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다른 부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부를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따라서 청소면에 대해서 수직인 상태를 취하게 하고, 또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회전축 근방에서 굴곡시켜 상기 양 연결부의 관축이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동일선상으로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2. (정정)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그의 관축을 평행하게 해서 마련되고, 상기 제2 회전축 근방에서 상기 관축을 굴곡시켜 상기 양 연결부의 관축이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동일선상으로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3. (정정)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내부에 회전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6. (정정)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부가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상태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7. (정정)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 차륜을 마련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속부가 상기 흡입구부재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상기 차륜이 흡입구본체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8. 하면에 흡입구와 이동용 차륜을 갖는 흡입구본체 및 이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 하면에 솔부재를 배치하고, 이 솔부재를 상기 차륜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49. (정정) 하면에 흡입구와 이동용 제1 차륜을 갖는 흡입구본체 및 이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에는 상기 접속관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제2 차륜을 배치하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의 상기 제1 차륜의 회전축 연장외측에 솔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솔부재는 상기 제1 차륜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재는 상기 흡입구본체 외측에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재의 외주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재는 섬유재에 파일실을 짜넣은 파일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3.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및 이 청소기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부재는 하면에 흡입구와 이동용 차륜을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제1 접속관 및 상기 제1 접속관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부재 하면의 상기 차륜의 횡방향 외측에 솔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솔부재는 상기 차륜보다 아래쪽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4. (정정)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에는 상기 접속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차륜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5. (정정)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에 상기 흡입구부재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차륜과 상기 제1 차륜과는 다른 제2 차륜을 배치하고, 상기 제2 차륜이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6. (정정)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둘레방향에 대해서 회전운동하는 흡입구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륜은 상기 케이싱의 회전운동 동작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7.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연결부를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내에는 피청소면과 접하는 차륜을 배치하는 차륜대 및 상기 차륜대에 위쪽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차륜을 상기 흡입구본체내에 수납하는 부세수단을 갖고,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이 위쪽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 상기 차륜대와 당접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가 상기 차륜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반해서 상기 차륜대에 배치된 상기 차륜을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서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8. 하면에 흡입구와 이동용 제1 차륜을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연결부를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내에는 상기 제1 차륜과는 다른 제2 차륜을 배치하는 차륜대 및 상기 차륜대에 위쪽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제2 차륜을 상기 흡입구본체내에 수납하는 부세수단을 갖고,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이 위쪽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 상기 차륜대와 당접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가 상기 차륜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반해서 상기 차륜대에 배치된 상기 제2 차륜을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에서 돌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륜의 회전방향은 상기 제1 차륜의 회전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0. (정정)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 및 상기 흡입구본체의 외주에 배치된 범퍼를 갖고,
    상기 범퍼는 불소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활석, 티탄산칼슘, 흑연, 이산화 몰리브덴, 유기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아미드, 나일론12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머, 폴리에틸렌 일래스토머, 연질폴리에틸렌 등 중의 적어도 1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1.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 및 상기 흡입구본체의 외주에 배치된 범퍼를 갖고,
    상기 범퍼에는 그의 앞측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오목부를 여러개 형성하고 상기 여러개의 오목부중 상기 흡입구본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오목부보다 상기 흡입구본체의 측면쪽에 위치하는 오목부의 개구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3.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의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방부에 배치된 흡입구 연결부 및 상기 흡입구본체의 외주에 배치된 범퍼를 갖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로서,
    상기 범퍼에는 여러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는 높이가 0.1∼1.0㎜, 피치가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4.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면측쪽에 먼지쓸어모음용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먼지쓸어모음용 부재는 하면측쪽에서 중앙을 향해 경사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5. (정정)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쓸어모음용 부재는 섬유재에 파일실이 방향성을 갖고 쓰러지도록 짜여진 파일직이고, 상기 파일직은 상기 흡입구본체 하면에 상기 파일실이 상기 흡입구본체의 측면쪽에서 중앙방향으로 쓰러져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6.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 연결부를 갖고,
    상기 케이싱은 그의 일부에 굴곡부를 갖음과 동시에 상기 굴곡부에 개구부를 갖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상기 굴곡부를 덮는 연결부덮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
  68. (정정)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및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에 상기 접속관을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차륜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9. (정정)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및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부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부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접속관을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차륜을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0. (정정)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및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부재는 하면에 흡입구와 이동용 제1 차륜을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내에는 상기 제1 차륜과 상기 흡입구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차륜을 배치하고, 상기 제2 차륜은 상기 접속관을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1.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운동시켜서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부재의 포장부재.
  72. (정정)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연결부를 갖고,
    상기 흡입구연결부를 상기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운동시키고 있고 또한 상기 케이싱을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위쪽으로 대략 90도 회전운동시킨 상태로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부재의 포장부재.
  73. (정정)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접속관을 갖는 흡입구부재의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접속관은 상기 접속관이 배치되는 측의 상기 흡입구본체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부재를 덮는 시트덮개 및 이 시트덮개와 접착되는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재를 갖고, 상기 시트덮개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부재의 포장방법.
  74. (정정)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흡입통로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된 흡입구 연결부를 갖는 흡입구부재의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위쪽으로 대략 90도 회전운동되고,
    또한 상기 흡입구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회전운동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부재를 덮는 시트덮개 및 이 시트덮개와 접착되는 대략 평판형상의 베이스부재를 갖고, 상기 시트덮개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구부재를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부재의 포장방법.
KR1019980019630A 1997-05-30 1998-05-29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및이것을구비한전기청소기 KR100271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1376 1997-05-30
JP14137697A JP3868577B2 (ja) 1997-05-30 1997-05-30 電気掃除機
JP09199686A JP3135870B2 (ja) 1997-07-25 1997-07-25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97-199686 1997-07-25
JP9232128A JPH1156720A (ja) 1997-08-28 1997-08-28 電気掃除機
JP97-232128 1997-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702B1 true KR100271702B1 (ko) 2000-11-15

Family

ID=2731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630A KR100271702B1 (ko) 1997-05-30 1998-05-29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및이것을구비한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71702B1 (ko)
CN (2) CN100377683C (ko)
TW (3) TW4284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088B1 (ko) * 2002-11-28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유연제 케이스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3991B2 (en) * 2003-10-08 2007-04-17 The Hoover Company Portable cleaning machine
DE102004061971B4 (de) * 2004-12-23 2012-04-26 Wessel-Werk Gmbh Bodendüse für Staubsauger
SE533482C2 (sv) * 2009-02-20 2010-10-05 Electrolux Ab Dammsugarmunstycke
CN106264331A (zh) * 2015-06-02 2017-01-0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地刷组件及具有该地刷组件的吸尘器
GB2542198B (en) * 2015-09-14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10856713B2 (en) * 2015-10-22 2020-12-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leaner head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N113545702B (zh) * 2015-11-02 2023-02-10 三菱电机株式会社 清扫工具及无绳型吸尘器
WO2018158972A1 (ja) * 2017-03-02 2018-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U2018326611B2 (en) * 2017-09-01 2022-02-03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tool having a rotatable duct for moving between a use position and storage position on a vacuum cleaner
KR102589361B1 (ko) * 2018-07-12 2023-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N109465248A (zh) * 2018-11-08 2019-03-15 长兴盛纺织有限公司 一种化纤布的纺织废料收集装置
FR3088819B1 (fr) * 2018-11-22 2021-01-08 Seb Sa Conduit d’aspirateur pour aspirateur balai équipé d’un fil électrique
CN109431375B (zh) * 2018-12-25 2023-11-28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地刷及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4195A (en) * 1988-10-27 1990-05-02 James Arthur Forrest Vacuum cleaner nozzle
DK167423B1 (da) * 1990-12-20 1993-11-01 Joergen Sjoegreen Universalmundstykke til stoevsugere
US5247720A (en) * 1992-01-10 1993-09-28 Royal Appliance Mfg. Co. Valving structure for air passageways of floor nozzle and auxiliary inlet of a vacuum cleaner
JPH05245073A (ja) * 1992-03-09 1993-09-24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
DE4243244C2 (de) * 1992-12-19 1999-11-04 Miele & Cie Mit Laufrädern versehene Bodendüse für Staubsauger
DE4420892A1 (de) * 1994-06-15 1995-12-21 Aeg Hausgeraete Gmbh Saugmundstück für Staubsauger
CA2174050C (en) * 1995-04-21 2001-07-17 Sadahiro Shimada Electric vacuum cleaner
SE9501810D0 (sv) * 1995-05-16 1995-05-16 Electrolux Ab Skrapa av elastiskt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088B1 (ko) * 2002-11-28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유연제 케이스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7683C (zh) 2008-04-02
CN1537502A (zh) 2004-10-20
TW490299B (en) 2002-06-11
TW428474U (en) 2001-04-01
CN100496371C (zh) 2009-06-10
CN1212143A (zh) 1999-03-31
TW478929B (en) 200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702B1 (ko) 전기청소기의흡입구부재및이것을구비한전기청소기
JP3868679B2 (ja) 電気掃除機
JP3868954B2 (ja) 電気掃除機
JP3151746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963413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868577B2 (ja) 電気掃除機
JP3868953B2 (ja) 電気掃除機
JP3063698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96342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994528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3149160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30265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14916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200516110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H10328098A (ja) 電気掃除機
JP3104970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14916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454131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963432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H1156720A (ja) 電気掃除機
JP3821114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2991291B2 (ja) 電気掃除機
JPH10328099A (ja) 電気掃除機
JP2963433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991292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