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296A -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296A
KR19980070296A KR1019970079097A KR19970079097A KR19980070296A KR 19980070296 A KR19980070296 A KR 19980070296A KR 1019970079097 A KR1019970079097 A KR 1019970079097A KR 19970079097 A KR19970079097 A KR 19970079097A KR 19980070296 A KR19980070296 A KR 1998007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opening
inlet
passag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4073B1 (ko
Inventor
야마구찌아쯔시
스즈끼나루히꼬
사또우스스무
이와세유끼지
다지마다이지
호시노다께시
스나가와마사오
Original Assignee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7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에 흡입구 및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흡입 유로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된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흡입 통로와 흡입구 커플링을 갖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에는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면 전방 혹은 측방으로부터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유입하는 도풍 개구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 유로의 진행 방향과 직교 방향을 따라서 기류를 유도하는 도풍구와, 상기 도풍구와 상기 흡기구를 연통시키는 흡기 유로를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청소기의 집진부와 연통하여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57-135354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입구 부재의 후방부에 형성된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취입되고, 이 취입된 공기를 흡입구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부터 청소면을 향해 불어 대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소54-15806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입구 부재의 전방 측면에 슬릿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이 구멍으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바닥면을 향해 불어 대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소54-158067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이 구멍으로부터 취입된 공기와 흡입구 부재의 전방으로부터 취입된 공기가 충돌함으로써 와류를 발생시키고, 청소면의 구석부에 모인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 신안 공개 소57-13535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단지 외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흡입구 부재 하면의 슬릿으로부터 청소면을 향해 불어 대어 부상한 먼지를 흡입구 파이프로부터 흡입하도록 하고 있지만, 흡입구 부재 내의 흡입구 파이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는 흡입력이 저하하므로 먼지의 일부가 흡입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소54-158067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구멍으로부터 취입된 공기와 흡입구 부재의 전방으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충돌시킴으로써 와류를 발생시키고 청소면의 구석부에 모인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고 있지만, 흡입구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부위의 각각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 와류끼리가 서로 충돌하여 먼지가 효율 좋게 흡입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피청소면 상에서의 흡입 성능을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하면에 흡입구 및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흡입 유로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된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을 갖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에는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면 전방 혹은 측방으로부터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유입하는 도풍 개구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 유로의 진행 방향과 직교 방향을 따라서 공기를 유도하는 도풍구와, 상기 도풍구와 상기 흡기구를 연통시키는 흡기 유로를 갖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루바닥 상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 내의 정압을 적절히 유지하므로 충분한 집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융단 상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 내의 정압을 낮추어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 선회류의 효과에 의해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청소면의 차이에 따른 절환 조작이 불필요해 사용 편의성이 좋고 흡입 성능이 향상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 형태의 흡입구 본체의 하면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 형태의 흡입구 본체의 상면도.
도3은 흡입구 본체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A-O-A 단면도.
도5는 흡입구 부재를 융단 상에 놓은 때의 도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6은 흡입구 부재를 마루바닥 상에 놓은 때의 도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7은 도1에 있어서의 C-C 단면도.
도8은 흡입구 부재를 전진시키고 있을 때의 도1에 있어서의 A-O-A 단면도.
도9는 흡입구 부재를 후퇴시키고 있을 때의 도1에 있어서의 A-O-A 단면도.
도10은 흡입구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흡입구 본체
102 : 하부 케이스
103 : 범퍼
104 : 케이싱
105 : 흡입구 커플링
106 : 전방 차륜
107 : 후방 차륜
108 : 흡입구
109 : 흡입 유로
110 : 도풍홈
111 : 도풍구
112 : 압력 제어판
113 : 탄성 판재
114 : 청소 솔
115 : 흡입 개구
116 : 연통 홈부
201 : 상부 케이스
202 : 흡기구
301 : 흡기 유로
401 : 솔 베이스
402 : 솔 수납부
501 : 유로 개구부
502 : 셔터부
503 : 셔터 개구부
504 : 상방류
505 : 하방류
701 : 솔 압박 스프링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일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흡입구 본체의 하면도, 도2는 흡입구 본체의 상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1)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A-O-A 단면도, 도5는 흡입구를 융단 상에 놓은 때의 도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흡입구 본체(101)는 그 대략 중앙 높이의 위치에서 상하로 2분할되어 있으며, 외곽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02)와 이 하부 케이스(10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201)에 의해 외곽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02)와 상부 케이스(201)가 접촉하는 위치의 외주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가구 등으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충격 흡수 범퍼(103)가 부착되어 있다.
흡입구 본체(101)의 후방부 하류측에는 상하 회전 가능한 케이싱(104)을 구비하고, 그 선단부에 회전 가능한 흡입구 커플링(105)을 접속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02)에는 흡입구 본체(10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흡입구 본체(101)의 하면과 청소면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전방 차륜(106)과 한 쌍의 후방 차륜(107)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02)의 대략 중앙에는 흡입구(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좌우에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흡입 유로(109)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케이스(102)의 흡입구 본체(101)의 측면에는 흡입 개구(115)를 갖고, 또 양측 근방에는 흡입 유로(109)에 연통하는 도풍홈(110)과 도풍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유로(109)의 전방에는 압력 제어판(112)이 배치되고, 흡입 유로(109)의 후방에는 가요성을 갖는 탄성 판재(113)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02)의 후방에는 솔 수납부(402)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안에 솔 베이스(401)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솔 압박 스프링(701)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02)의 하면에는 흡입 유로(109)와 솔 수납부(402)를 연통하는 연통 홈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솔 베이스(401)의 하방에는 부드러운 털이 연속적으로 짜여진 청소 솔(114)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1)의 후방부에는 흡기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기구(202)는 상부 케이스(201)의 후방부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부 케이스(201)의 상부, 전방부, 혹은 흡입구 본체(101)의 측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흡입구 본체(101)의 내부에는 흡기구(202)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흡입 유로(109)로 유입시키는 도풍구(111)와, 이 도풍구(111)와 흡기구(202)를 연통시키는 흡기 유로(3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흡기 유로(301)의 도중에는 유로 개구부(501)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개구부(50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솔 베이스(401)와 일체로 형성된 셔터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셔터부(502)에는 셔터 개구부(50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흡입구 부재의 집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에 흡입구 부재를 마루바닥 상에 놓은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마루바닥 상에 있어서는 피청소면이 비교적 딱딱하므로, 도6과 같이 흡입구 본체(101)가 전방 차륜(106)과 후방 차륜(107)에 지지되고, 솔(114)이 하방으로 돌출하고 마루바닥 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흡입구 본체(101)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마루바닥 상을 닦을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로 개구부(501)와 셔터 개구부(503)의 관계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부가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로써 흡기 유로(301)는 거의 폐쇄되어 있으므로 도풍구(111)로부터 흡입 유로(109)로는 공기가 거의 유입하지 않고 흡입 유로(109) 내의 정압이 상승하고, 마루바닥 면에 대응한 적절한 집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솔(114)에는 연속적으로 털이 짜여져 있으므로, 흡입 유로(109) 내의 정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솔(114)은 상기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모포나 페이퍼 타올 등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탄성 판재(11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성 판재(113)는 흡입구 본체(101)를 마루바닥 상에 놓은 때 마루바닥 면과 1 ㎜ 내지 3 ㎜ 겹치는 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흡입 유로(109) 내의 정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 본체(101)를 전진시키고 있을 때에는 도8과 같이 탄성 판재(113)는 후방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 전진을 계속해 벽에 충돌하여 흡입구 본체(101)를 후진시키려고 하면 후진시키는 동작에 수반하는 흡입구 본체(101)의 전방측이 마루바닥보다 부상하고, 도9와 같이 탄성 판재(113)가 직립하고, 흡입구 본체(101)의 전방 하면과 마루바닥과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유입하고, 벽 근처에 모인 먼지를 효율 좋게 흡입할 수 있다.
다음에 융단 상에서의 집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에 흡입구 부재를 융단 상에 놓은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융단 상에 있어서는 피청소면이 비교적 부드러우므로, 도5와 같이 흡입구 본체(101)가 융단 상으로 침입하여 이에 수반하는 솔(114)이 흡입구 본체(101) 내로 압입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로 개구부(501)와 셔터 개구부(503)의 관계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부가 겹치는 위치에 있다. 이로써 흡기 유로(301)가 개방되고, 도풍구(111)로부터 흡입 유로(109)로 상방류(504)가 유입한다. 또, 동시에 도풍홈(110)으로부터 하방류(505)가 유입한다.
그리고, 상방류(504)와 하방류(505) 사이의 바람 전단 작용에 의해 도5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의 선회류가 발생한다. 또, 하방류(505)의 취입구는 흡입구 본체(101)의 전방이라도 좋다.
그리고, 도풍구(111)와 도풍홈(110)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01)의 중심 방향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0。 내지 60。의 각도로 바람을 유도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에 있는 흡입 개구(115)로부터의 기류에 의해 흡입 유로(109) 내에서는 좌우 방향의 기류는 저해되는 일 없이 나선상의 선회류가 되어 흡입구(108)로 유입해 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융단 상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109) 내에 나선상의 선회류가 발생하고, 흡입구(108)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먼지도 긁어 낼 수 있고,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또, 흡기 유로(301)가 개방되므로 흡입 유로(109) 내의 정압이 낮아져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솔(114)은 솔 압박 스프링(701)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있으므로 융단 상의 먼지를 닦아내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연통 홈부(116)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통 홈부(116)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유로(109)와 솔 수납부(402)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소시에는 솔 수납부(402)로부터 흡입 유로(109)로 바람이 흐르므로 청소 솔(114)에 먼지가 붙기 어렵게 된다.
또, 모래 먼지 등이 솔 수납부(402)와 솔 베이스(401)의 사이에 막히고, 솔 베이스(401)가 상부에서 움직이지 않아도 연통 홈부(116)의 부분에서 청소 솔(114)을 손가락으로 집어 내어 다시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일예에 따르면 마루바닥 상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109) 내의 정압을 적절히 유지하므로 충분한 집진 성능을 확보하면서 또는 솔(114)에 의한 청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융단 상에 있어서는 흡입 유로(109) 내의 정압을 낮추어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 선회류의 효과에 의해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청소면의 차이에 따른 절환 조작이 불필요해 사용 편의성이 좋고, 흡입 성능이 향상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면에 흡입구 및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흡입 유로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된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흡입 통로를 갖는 흡입구 커플링을 갖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에는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면 전방 혹은 측방으로부터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유입하는 도풍 개구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 유로의 진행 방향과 직교 방향을 따라서 기류를 유도하는 도풍구와, 상기 도풍구와 상기 흡기구를 연통시키는 흡기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형성된 흡입 유로를 대략 반원호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 내에 상기 흡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하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솔 부재와, 상기 솔 부재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솔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흡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부재가 하방에 위치할 때, 상기 개폐 기구가 상기 흡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후방에서 또 상기 흡입 유로의 후방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차륜과, 상기 흡입 유로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전방에 배치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 부재를 갖고,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흡입구 본체를 마루바닥 상에 놓을 때 상기 마루바닥 면과 중첩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겹침량은 1 내지 3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풍구는 상기 흡입구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해 0。 내지 60。의 각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풍 개구부는 기류를 상기 흡입구 본체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해 0。 내지 60。의 각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10. 하면에 흡입구 및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흡입 유로를 갖는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를 씌워서 형성된 흡입구 본체와,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흡입 통로와 흡입구 커플링을 갖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의 상기 흡입구 본체의 측방 근방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의 상방에 후방으로부터 상기 흡입 유로의 대략 접선 방향으로 기류를 유도하는 도풍구와, 상기 흡입 유로의 상기 흡입구 본체의 측방 하면에 경사 전방으로부터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유입하는 도풍 개구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도풍구와 상기 흡기구를 연통시키는 흡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 하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된 솔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로에 형성된 유로 개구부와, 상기 유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동하여 배치된 개구부를 갖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기구의 개구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방에 있을 때 상기 유로 개구부와 상기 개폐 기구의 개구부가 연통하여 상기 흡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하방에 있을 때 상기 유로 개구부를 상기 개폐 기구의 개구부가 어긋나 상기 흡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19970079097A 1997-01-08 1997-12-30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KR100254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01142 1997-01-08
JP9001142A JPH10192200A (ja) 1997-01-08 1997-01-08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296A true KR19980070296A (ko) 1998-10-26
KR100254073B1 KR100254073B1 (ko) 2000-05-01

Family

ID=1149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97A KR100254073B1 (ko) 1997-01-08 1997-12-30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92200A (ko)
KR (1) KR100254073B1 (ko)
TW (1) TW360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2495B (en) * 1991-03-18 1994-08-24 Fujitsu Ltd System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uni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496663B (en) * 2011-11-18 2014-07-30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AU2014240192B2 (en) * 2013-11-14 2018-08-23 Electrical Home-Aids Pty Ltd A vacuum cleaner head
CN103948348B (zh) * 2014-05-08 2016-06-01 苏州莱尔特清洁器具有限公司 一种吸尘器用地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0517B (en) 1999-06-11
KR100254073B1 (ko) 2000-05-01
JPH10192200A (ja) 199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8196B1 (en) Cleaner head for a cleaning appliance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KR100561177B1 (ko) 진공청소기 노즐
US20060093501A1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0254073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JP2003000496A (ja) 電気掃除機用床ブラシ
US20070074371A1 (en) Suction brush for a vacuum cleaner
JP4958168B2 (ja) 掃除機用の吸入口体
US11076732B2 (en) Vacuum cleaner
KR100704839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JP4040289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299660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KR10073606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KR19980086439A (ko) 전기청소기용 솔
JP7117771B2 (ja) 掃除機用吸込みノズル
JP2001008867A (ja) 真空掃除機の吸込みノズル
KR200172943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200144826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헤드유로전환장치
KR200328541Y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JPH11346966A (ja) 電気掃除機
JP322518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
JP2001112675A (ja) 掃除機
KR20040013382A (ko) 로봇청소기
JPH0790006B2 (ja) 掃除機の吸込口体
JPH05329077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