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779A -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779A
KR19990077779A KR1019990008049A KR19990008049A KR19990077779A KR 19990077779 A KR19990077779 A KR 19990077779A KR 1019990008049 A KR1019990008049 A KR 1019990008049A KR 19990008049 A KR19990008049 A KR 19990008049A KR 19990077779 A KR19990077779 A KR 19990077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cess
lug
p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8804B1 (ko
Inventor
야구라마키이와오
하라다지로
구보마사오
오야마노보루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7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8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spring-actuated lock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68Protrusion on pull tab directly engaging interlock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7Biased by distinct spring

Abstract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는 안내 포스트(7)상에 직립한 지지 러그(10)와, 몸체(1)의 후방 개구에 직립한 안내 러그(11)와, 상기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13)를 구비한 몸체(1)를 포함한다. 한쌍의 돌기(12)는 오목부(13)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스프링(3)은 오목부(13)에 삽입된 스프링(3)의 V 형 굴곡부(32)에 의해 몸체(1)에 장착된다. 굴곡부(32)는 돌기(12)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견인탭(4)의 핀틀(35)은 스프링(3)에 위치된다. 그 한쪽 단부가 스프링(3)과 탄성접촉되고 다른쪽 단부가 로킹 포올(26)과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는 가압부(25)와 그 중간부의 대향측에서 지지축(27)을 구비한 포올부재(2)는 핀틀(35)상에 위치된다. 지지축(27)은 지지 러그(10)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포올부재(2)의 후방 단부에서 로킹 포올측은 안내 포올(11)에 의해 안내되고, 로킹 포올(26)은 파스너 요소에 삽입되고 견인탭(4)을 작동시키므로써 상기 파스너 요소로부터 이탈되기 위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포올부재(2)와 스프링(3)은 용이하게 배치 및 조립될 수 있으며, 포올부재(2)의 선회 이동은 로킹 포올측에서 안내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SLIDE FASTENER SLIDER WITH AUTOMATIC LOCK MECHANISM}
본 발명은 몸체와, 포올부재와 스프링 및 견인탭을 포함하며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포올부재는 그 단부에 로킹 포올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은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고정된 중간부를 포함하며, 포올부재의 전방 단부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는 한쪽 단부를 포함한다. 포올부재의 후방 단부는 몸체상에 직립된 안내 러그를 따라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몸체와 포올부재와 스프링과 견인탭을 포함하는 형태의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슬라이더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3,919,745 호에 서술되어 있다. 종래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을 수용하기 위해 오목한 홈(21')이 슬라이더 몸체(1')의 안내포스트(7')에 형성되므로, 판스프링(3')은 상기 홈(21')에 수용될 수 있으며, 홈(21')의 내측부에 장착된 고정부재(40')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다. 판스프링(3')의 팁 단부는 포올부재(2')의 단부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된다. 포올부재(2')는 그 한쪽 단부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어 포올구멍(14')내로 삽입되는 로킹 포올(26')을 포함한다. 포올부재(2')는 다른쪽 단부의 대향측에서 돌출되어 몸체(1')상에 직립한 지지 러그(10')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축(27')을 부가로 포함한다. 견인탭(4')의 핀틀(35')은 포올부재(2')를 피봇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몸체(1')상에 직립된 지지 러그(10')와 돌출부(11') 사이에 배치된다.
도 15 에 도시된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상술의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에 있어서, 자동 로크기구의 로킹 포올(26')을 갖는 포올부재(2')를 작동시키는 것은 판스프링(3')이다. 상기 판스프링(3')은 몸체(1')의 상부면상에 돌출된 고정부재(40')를 코오킹하므로써 몸체(1')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스프링(3')의 고정부는 느슨해지며, 스프링(3')은 슬라이더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낙하될 수 있다. 또는, 스프링(3')은 그 변환때문에 적절히 작동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더는 스프링(3')의 장착 동작과 슬라이더의 조립 동작이 어렵기 때문에 스프링 스틸로 제조된 와이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더에는 특히 적합하지 않다. 또한, 포올부재(2')의 피봇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부분은 로킹 포올(26')의 내측에 배치된 돌출부(11')이며, 로킹 포올(26')의 작동은 불량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몸체와 포올부재와 스프링과 견인탭을 포함하며, 로킹 포올을 갖는 포올부재를 작동시키는 스프링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슬라이더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몸체상에 장착된 스프링이 낙하되지 않거나 또는 장기간 사용되었을 때에도 변위되지 않아 슬라이더의 내구성이 양호하게 되는 갖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가 스프링 스틸로 제조된 와이어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더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포올부재의 피봇 운동이 로킹 포올의 작동 변위를 방지하도록 로킹 포올의 측부상에 안내되며, 슬라이더의 로킹 기능이 탁월하고 성능이 우수하며 자동 로크기구의 구조가 간단하고 강한 탄성을 갖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은 몸체에 용이하게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몸체상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은 스프링의 고정 형태 및 장착 형태를 특정화시키므로써 효과적으로 적절히 작동될 수 있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인탭의 동작에 의해 포올부재의 로킹 포올의 과도한 상승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포올부재의 회전이나 피봇 운동이 확실하게 제어되므로써 슬라이더의 부드러운 미끄럼동작을 허용하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올부재를 작동시키는 스프링의 형태를 특정화시키므로써 스프링의 고정 위치를 변위시키지 않고서도 스프링이 몸체에 용이하고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에 장착된 스프링이 스프링의 폭방향으로의 이탈이나 그러한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회전이 방지되며 탁월한 탄성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낙하나 변위를 방지하는 자동 로크기구가 다양한 형태의 포올부재와 몸체를 구비한 슬라이더에 용이하게 인가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의 몸체와 포올부재의 형상을 특정화하므로써 슬라이더의 인가 범위가 증가되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4개의 부재 즉, 몸체와, 포올부재와, 스프링과 견인탭을 포함하는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는 안내 포스트상에 돌출되는 지지 러그와, 상부 날개판의 후방 개구측에서 돌출되는 안내 러그와, 상기 안내 러그의 외측이나 내측에 형성되는 포올 구멍과, 오목부 근처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올부재는 포올부재의 한쪽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로킹 포올과, 그 중간부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V 형태로 굴곡된다. 견인탭은 핀틀을 포함한다. 스프링의 굴곡부는 오목부에 삽입되며, 돌출부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되며, 스프링의 단부는 포올부재의 가압부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에 배치된다. 상기 포올부재는 포올부재가 후퇴가능하게 끼워져서 포올구멍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지지 러그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견인탭이 핀틀은 포올부재의 오목부에 삽입되므로, 포올부재의 단부는 안내 러그를 따라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돌출부는 상부 날개판에 형성된 오목부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오목부에 삽입된 스프링의 굴곡부는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부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상부 날개판에 형성된 오목부의 대향측으로부터 이탈된 지지 러그를 향한 부분에서 돌출될 수도 있으며, 스프링의 굴곡부는 오목부에 삽입되고, 스프링은 대향측으로부터의 돌출부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포올부재의 가압부는 스프링의 단부와 같이 탄성접촉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가압부는 스프링을 거쳐 상부 날개판상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포올부재의 피봇 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올부재는 로킹 포올의 베이스부의 팁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러그는 연결부에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후크와 후크부는 포올부재의 피봇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의 굴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앵귤러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오목부에 삽입되며, 돌출부는 코오킹되어 스프링을 고정하게 된다.
상부 날개판의 후방측 개구로부터 돌출되는 안내 러그는 대향벽과 연결부를 포함하며, 스프링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용 홈은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포올부재는 V 형태의 단단한 몸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포올부재는 포올부재 중앙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축과, 오목부와 가압부 사이의 하부면에 형성된 일련의 오목한 홈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로킹 포올은 포올부재의 한쪽 단부의 하부면에서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며, 한쌍의 지지 러그는 안내 포스트상에 직립하여 서로 대면하며, 상기 수용 홈은 후방 개구부에 직립된 안내 러그의 연결부의 이탈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오목부에 수용되어 돌출부에 의해 고정되며, 포올부재의 지지축은 로킹 포올이 후퇴가능하게 끼워져서 포올 구멍에 삽입되도록 지지 러그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스프링의 단부는 일련의 오목한 홈을 따라 가압부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스프리의 다른쪽 단부는 후퇴가능하게 끼워져서 안내 러그의 수용 홈에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포올부재는 U 형의 단단한 몸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포올부재는 포올부재 중앙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축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로킹 포올은 포올부재의 한쪽 단부의 하부면에서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며, 후크부는 포올부재의 다른쪽 단부의 팁 단부에서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며, 오목부는 지지축과 로킹 포올 사이에 형성된다. 가압부는 후퇴가능하게 끼워져서 안내포스트상의 오목부에 삽입되며, 스프링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홈에 수용되어 오목부로부터 오목한 홈까지 연장된다.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의 연결부의 이탈위치에 형성된 수용 홈에 끼워져서 이에 삽입된다. 지지축은 오목한 홈의 대향측에 직립하여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지지 러그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후크는 연결부의 이탈 위치에서 후크부와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포올부재는 배(ship)의 바닥 형태를 취하는 커버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포올부재의 후방부에서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로킹 포올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포올부재 단부의 하부를 내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가압부는 포올부재의 다른쪽 단부의 하부를 내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상기 지지 러그와 안내 러그는 지지 러그와 안내 러그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용 홈과 간극부를 가지며, 포올 구멍은 안내 러그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부 날개판상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돌출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포올부재는 지지 러그와 안내 러그를 커버하도록 지지 러그상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의 단부는 지지 러그의 간극부를 통해 삽입되어 가압부와 탄성접촉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의 수용 홈에 끼워져서 이에 삽입된다. 안내 러그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부와 후크는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의 확대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 몸체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 몸체의 측면도.
제 4 도는 슬라이더가 로킹되었을 때 제 1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제 5 도는 슬라이더가 미끄러질 때 제 1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스프링 고정기구의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의 확대사시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몸체에 대한 평면도.
제 9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몸체에 대한 측면도.
제 10 도는 슬라이더가 로킹되었을 때 제 7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제 11 도는 슬라이더가 미끄러질 때 제 7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의 확대사시도.
제 13 도는 슬라이더가 로킹되었을 때 제 12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제 14 도는 슬라이더가 미끄러질 때 제 12 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제 15 도는 슬라이더가 로킹되었을 때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종래 슬라이더의 수직단면도.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는 몸체(1)와, 포올부재(2)와, 스프링(3)과, 견인탭(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와 단단한 포올부재(2)는 알루미늄 합금과 아연 합금 등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된다. 상기 포올부재(2)가 커버 몸체를 포함할 때는 금속판을 사용하는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다. 견인탭(4)은 금속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되거나 금속판의 가압에 의해 성형된다. 스프링(3)은 와이어 스프링이나 스프링강으로 제조된 판스프링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몸체(1)의 하부 날개판(6)과 상부 날개판(5)은 그 전방 개구측에서 안내 포스트(7)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날개판(5)과 하부 날개판(6)의 측부 엣지는 파스너 요소를 안내하기 위해 굴곡된 상태의 안내 플랜지(8)를 갖는다. 상부 날개판(5)과 하부 날개판(6)의 측부 엣지 사이에는 파스너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 홈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는 몸체(1)의 전방 개구측에서 즉, 안내 포스트(7)상에 직립하여 형성된 한쌍의 판형 지지 러그(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러그(10)는 포올부재(2)가 삽입될 수 있는 거리로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 러그(10)는 포올부재(2)의 지지축(27)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상부에 U 형 베어링부(12)를 갖는다.
상기 몸체(1)는, 후방 개구측상에 직립으로 형성되며 대향의 측벽(16)과 상기 측벽(16)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를 포함하는, 안래 러그(11)를 부가로 포함한다. 안래러그(11) 내측의 한쪽 측벽(16)을 향한 위치에는 포올부재(2)의 로킹 포올(26)이 포얼구멍(14)을 통해 후퇴가능하게 삽입되어 몸체(1)의 요소 안내 홈(9)의 하부를 향하도록 포올 구멍(14)이 형성된다. 안내 러그(11)는, 스프링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포올 구멍(14)의 대향측을 향한 위치에서 연결부(17)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도 6 에 도시된 스프링(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수용 홈(18)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 홈(18)은 연결부(17)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9)를 형성하므로써 형성된다.
스프링(3)의 굴곡부를 수용하는 길고 협소한 오목부(13)는 포올구멍(14)과 대면하지 않는 부분 즉, 상기 수용 홈(18)과 대면하는 측상에서 몸체(1)의 안내 그러그(11)와 지지 러그(10) 사이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한쌍의 돌기(12)는 오목부(13)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므로, 스프링(3)은 상기 돌기(12)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올부재(2)는 몸체(1)에 배치된 안내 러그(11)와 지지 러그(1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는 역전된 V 형 몸체를 갖는다. 상기 포올부재(2)는 스프링(3)과 접촉하여 이를 가압하기 위해 그 한쪽 단부에 가압부(25)를 가지며, 다른쪽 단부에는 몸체(1)의 포올 구멍(14)과 대면하기 위해 이탈 위치에서 돌출되며 파스너 요소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로킹 포올(26)을 포함한다. 굴곡부(28)는 견인탭(4)의 핀틀(35)이 오목부(28)에 지지되도록 로킹 포올(26)의 내측 베이스부에 형성된다. 베어링부(15)에 삽입되는 지지축(27)은 오목부(28)와 가압부(25)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포올부재(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포올부재(2)는, 지지 러그(10) 및 안내 러그(11)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오목부(28) 위에서 상부면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텅부(tongue portion)(31)를 갖는다. 상기 텅부(31)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서 배치되므로 포올부재(2)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견인탭(4)이 측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인탭(4)이 부드럽게 피봇되게 한다. 스프링(3)을 수용하기 위한 일련의 오목한 홈(29)은 지지축(27)의 하부에서 포올부재(2)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한 홈(29)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이 포올부재(2)에 대해 탄성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3)은 굴곡부(32)를 형성하기 위해 그 중앙부에서 V 형태로 굴곡된 스프링강으로 제조된다. 상기 굴곡부(32)는 몸체(1)상에 형성된 오목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은 와이어 스프링이 아니라 판스프링이다. 견인탭(4)은 사각형으로서, 그 단부에는 포올부재(2)의 오목부(28)내에 삽입되는 핀틀(35)을 갖는다.
자동 로크장치를 구비한 슬라이더는, V 형태로 굴곡된 스프링(3)의 굴곡부(32)를 몸체(1)의 상부 날개판(5)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3)의 단부가 상기 안내 러그(11)에 형성된 수용 홈(18)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목부(13)의 대향측에 형성된 돌기(12)를 코오킹하여 스프링(3)을 몸체(1)에 장착하므로써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견인탭(4)의 핀틀(35)이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배치된다. 포올부재(2)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로킹 포올(26)은 포올 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며, 지지축(27)은 지지 러그(10)의 베어링부(15)에 삽입된다. 스프링(3)의 단부가 포올부재(2)의 가압부(25)와 접촉된 후에, 지지 러그(10)는 포올부재(2)를 몸체(1)에 고정하기 위해 코오킹되어 슬라이더가 조립된다.
스프링이 장착되었을 때, 직선형의 스프링(3)을 상부 날개판(5)상에 배치하고 이를 오목부(13)에 펀칭하므로써 상기 스프링(3)을 V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자동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된다.
자동 로크장치를 구비한 조립된 슬라이더의 동작이 하기에 서술될 것이다. 만일 견인탭(4)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당겨지면, 포올부재(2)는 가압부(25)가 상부 날개판(5)과 접촉될 때까지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해서 피봇가능하게 이동된다. 포올부재(2)의 단부가 안내 러그(11)에 의해 안내되었을 때, 로킹 포올(26)은 파스너 요소 사이에서 상향으로 당겨지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는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된다. 만일 견인탭(4)이 해제되면, 가압부(25)는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고, 이와 동시에 로킹 포올(26)이 파스너 요소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더를 로킹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앵귤러 오목부(20)는 몸체(1)의 상부 날개판(5)에 즉, 안내 포스트(7)의 상부면의 중앙에 형성되며, 앵귤러 U 형이나 U 형의 오목부(21)가 오목부(20)로부터 후방 개구측에서 안내 러그(11) 내측에 형성된 포올 구멍(14)의 측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21)의 깊이는 오목부(20)로부터 몸체(1)의 중앙까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한쌍의 돌출부(12)는 오목한 홈(21)의 가장 협소한 부분의 대향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오목부(13)는 돌기(12)에 인접한 오목한 홈(21)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일련의 돌출부(22)는 상기 오목부(13)의 팁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일련의 돌출부(22)보다 낮은 오목면(23)은 일련의 돌출부(22)로부터 슬라이더의 후방 개구측까지 연장되는 안내 러그(11)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 8 에는 홈(21)이 악간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오목부(21)는 오목부(20)의 중앙으로부터 포올 구멍(14)의 측부를 향하여 경사져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한 홈(21)은 오목부(20)의 중앙으로부터 몸체(1)의 후방 개구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홈(21)은 포올 구멍(14)을 피하기 위해 직각으로 형성되면서 후크형태로 그 중간부에서 굴곡된다. 만일 홈(21)이 크랭크 형태로 형성된다면, 한쌍의 돌기(12)가 몸체(1)의 길이방향 직선의 중간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3)는 돌기(1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날개판(5)은 안내 포스트(7)의 상부면상에서 오목한 홈(21)의 대향측에 직립한 한쌍의 지지 러그(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 러그(10)는 그 상부에 U 형 베어링부(15)를 갖는다. 안내 러그(11)는 상부 날개판(5)의 후방 개구측으로부터 즉, 오목부(13)로부터 몸체(1)의 후방 개구까지 연장된다. 상기 안내 러그(11)는 한쌍의 측벽(16)과 상기 측벽(16)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7)를 포함한다. 포올 구멍(14)은 안내 러그(11)의 내측을 향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 러그(11)는 포올 구멍(14) 위에서 연결부(17)에 형성된 후크부(24)를 부가로 포함한다. 또한, 스프링의 낙하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 홈(18)은 오목한 홈(21)의 연장부 위에서 연결부(17)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 홈(18)은 스프링(3)의 직경과 동일한 거리를 가지며 연결부(17)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9)를 형성하여 형성되므로, 스프링(3)의 단부는 수용 홈(18)과 탄성접촉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포올부재(2)는 지지 러그(10) 사이의 거리나 안내 러그(1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단단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포올부재(2)의 측면은 앵귤러 U 형을 취한다. 포올부재(2)는 스프링(3)을 가압하여 스프링(3)을 오목부(20)에 삽입하기 위해 그 한쪽 단부에 가압부(25)를 포함한다. 또한, 포올 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는 로킹 포올(26)은 포올부재(2)의 다른쪽 단부의 하부면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후크(30)는 스프링(3)의 팁 단부의 측부상에서 길이방향으로 텅 형태로 돌출되도록 이탈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 러그(10)의 베어링부에 삽입된 지지축(27)은 가압부(25)를 향하여 포올부재(2)의 측면상에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오목부(25)는 견인탭(4)의 핀틀(35)을 수용하기 위해 로킹 포올(26)과 지지축(27)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한쌍의 텅부(31)는 포올부재(2)의 옆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지지 러그(10) 및 안내 러그(1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텅부(31)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삽입되어 포올부재(2)를 안정시켜 견인탭(4)의 작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5)은 굴곡부(32)를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에서 V 형태로 굴곡된 와이어 스프링이다. 상기 굴곡부(32)는 상부 날개판(5)에 형성된 오목부(13)에 삽입되는 돌출부(33)를 포함한다. 만일 스프링(3)이 폭은 작지만 상기 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제조된 스프링이라면, 스프링(3)은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견인탭(4)은 사각형이며, 그 한쪽 단부에 포올부재(2)의 오목부(28)에 삽입되는 핀틀(35)을 갖는다.
자동 로크장치를 갖는 슬라이더는 스프링(3)을 몸체(1)의 상부 날개판(3)에 형성된 오목한 홈(21)에 삽입하므로써 조립된다. 이때, 스프링(3)의 돌출부(33)는 상기 오목한 홈(21)의 오목부(13)에 삽입되며, 스프링(3)의 단부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안내 러그(11) 내측에 형성된 수용 홈(18)에 삽입된다. 몸체(1)상에 돌출되는 돌기(12)는 스프링(3)을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3)상에 코오킹된다. 포올부재(2)의 지지축(27)은 견인탭(4)의 핀틀(35)이 오목부(28)와 접촉하고 포올부재(2)의 단부쪽에 있는 후크(30)가 안내 러그(11)의 연결부(17)에 형성된 후크부(24)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지지 러그(10)의 베어링부(15)에 삽입된다. 로킹 포올(26)은 포올 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프링(3)의 단부는 오목부(20)에 삽입되는 가압부(25)에 의해 가압된다. 이어서, 베어링부(15)의 팁 단부는 지지축(27)을 지지하도록 코오킹되어 피봇가능하게 이동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가 자동 로크기구와 조립된다. 스프링(3)이 장착되었을 때는 스프링(3)을 오목한 홈(21)을 따라 직선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오목부(13)에서 펀칭하므로써 V 형태로 성형시킬 수도 있다.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조립된 슬라이더의 미끄럼 동작이 하기에 서술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견인탭(4)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견인하므로써, 포올부재(2)는 포올부재(2)의 후크(30)가 후크부(24)와 접촉될 때까지 지지축(27)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3)의 한쪽 단부를 가압부(25)로 오목부(20)를 향해 가압하므로써, 로킹 포올(26)이 삽입되어 슬라이더가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된다. 견인탭(4)을 해제하므로써, 가압부(25)는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완전히 가압되며, 로킹 포올(26)은 자동으로 돌출되어 파스너 요소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더를 로킹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에 있어서, 역전된 앵귤러 U 형의 전방면을 갖는 지지 러그(10)는 몸체(1)의 상부 날개판(5)의 상부면의 전방면상에 즉, 안내 포스트(7)의 상부면상에 직립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 러그(10)는 그 중앙부에 스프링(3)이 삽입될 수 있고 지지 러그(1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36)을 갖는 길이방향 간극부(37)를 포함한다. 단면이 역전된 앵귤러 U 형인 안내 러그(11)는 상부 날개판(5)의 후방 개구측상에 직립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로킹 포올이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포올 구멍(14)은 상부 날개판(5)상의 안내 러그(11) 외측에서 대향부에 형성된다. 후크부(24)는 안내 러그(11)의 상부면 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이 끼워져서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오목한 홈(21)은 상부 날개판(5)의 상부면상에서 지지 러그(10)로부터 안내 러그(11)까지 연장되는 중앙선을 따라 형성된다. 오목부(13)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오목한 홈(21)에 형성된다. 스프링(3)을 고정하는 한쌍의 돌기(12)는 오목부(13)의 대향 뱅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포올부재(2)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가압하므로써 배(ship)의 바닥 형태로 커버 몸체에 형성된다. 포올부재(2)는 그 대향측의 중심에 견인탭(4)의 핀틀(25)이 삽입되는 오목부(28)를 포함한다. 지지 러그(10)를 커버하는 측에서의 포올부재 단부의 하부는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굴곡되어 스프링(3)과 탄성접촉하도록 이동되는 가압부(25)를 형성하게 된다. 가압부의 대향측상에서 즉, 안내 러그(11)를 커버하는 측상에서 포올부재(2)의 다른쪽 단부의 하부도 내측으로 굴곡되어 안내 러그(11)의 후크부(24)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30)를 형성한다. 포올 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로킹 포올(26)은 후크부(30)의 내측에서 엇갈리는 방식으로 포올부재(2)의 대향 측벽(38)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은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굴곡부(32)를 형성하기 위해 그 중심부에서 V 형태로 굴곡된다. 상기 굴곡부(32)는 오목부(13)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돌출부(33)를 포함한다. 만일 스프링(3)이 폭이 좁고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제조된 스프링이라면, 스프링(3)은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견인탭(4)은 사각형태이며, 그 한쪽 단부에 핀틀(35)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프링(3)의 돌출부(33)가 오목부(13)와 대면하도록 스프링(3)을 몸체(1)의 상부 날개판(5)에 형성된 오목한 홈(21)에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3)의 팁 단부가 지지 러그(10)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프링(3)을 지지 러그(10)의 간극부(37)를 통해 삽입하므로써 자동 로크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가 조립된다. 이어서, 상부 날개판(5)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2)가 스프링(3)상에 코오킹되어 스프링(3)을 고정한다. 커버 몸체를 갖는 포올부재(2)는 지지 러그(10) 및 안내 러그(11)를 견인탭(4)의 핀틀(35)이 포올부재(2)의 오목부(28)와 접촉한 상태로 커버하도록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포올부재(2)의 가압부(25)는 지지 러그(10)로부터 돌출되는 스프링(3)의 단부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포올부재(2)의 다른쪽 단부에서의 후크(30)는 후크부(24)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포올부재(2)의 대향측상에 있는 로킹 포올(26)을 안내 러그(11)의 대향 위치상에 형성된 포올 구멍(14)에 삽입한 후에, 포올부재(2)의 대향측상에 있는 측벽(38)은 지지 러그(10)의 축 구멍(36)에 대해 펀칭되므로, 포올부재(2)는 몸체(1)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되며, 이에 따라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더가 조립되게 된다.
축 구멍을 포올부재(2)의 측벽에 형성하고 포올부재(2)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축 구멍에 지지 축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3)이 배치될 수 있는 오목한 홈(21)은 상부 날개판(5)의 상부면에 형성되지 않으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 날개판(5)의 평탄한 상부면의 중심에는 오목부(13)만 형성되며, 이 경우 스프링(3)의 굴곡부(32)상에 형성된 돌출부(33)는 오목부(13)에 삽입되어 돌기(12)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스프링(3)이 장착되었을 때는, 오목한 홈(21)상에서 스프링(3)을 직선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스프링을 오목부(13)에 펀칭하므로써 V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다.
하기에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조립된 슬라이더의 동작에 대해 서술될 것이다. 만일 견인탭(4)이 전후방으로 당겨진다면, 포올부재(2)는 피봇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포올부재(2)의 후크(30)가 안내 러그(11)의 후크부(24)와 접촉될 때까지 피봇가능하게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가압부(25)는 스프링(3)의 단부를 가압하므로써, 로킹 포올(26)이 상승하여 슬라이더가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된다. 만일 견인탭(4)이 해제되면, 가압부(25)는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며, 로킹 포올(26)은 자동으로 돌출되어 파스너 요소 사이에 삽입되므로써 슬라이더를 로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는 몸체(1)상에 형성되며, 오목부(13)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형성되고, 돌출부(12)는 상기 오목부(13)의 근처에 형성되며, V 형태의 스프링 굴곡부(32)는 오목부(13)에 삽입되며, 스프링(3)은 돌기(12)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포올부재(2)를 작동시키고 로킹 포올(36)를 갖는 스프링(3)이 용이하게 조립 및 배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는 자동 조립과정에 적절하게 된다. 또한, 장착된 스프링(3)은 장기간 사용후에도 낙하되거나 변위되지 않으며, 양호한 성능과 내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3)의 한쪽 단부는 포올부재(2)의 가압부(25)와 탄성접촉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3)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11)에 배치된다. 포올부재(2)의 단부에 형성된 로킹 포올(26)은 상부 날개판(5)상에서 안내 러그(11)의 측부상에 형성된 포올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된다. 견인탭(4)의 핀틀(35)은 포올부재(2)의 단부가 안내 러그(11)를 따라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포올부재(2)의 중간 위치에서 오목부(28)에 삽입된다. 따라서, 자동 로크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게 되며, 슬라이더는 강한 탄성을 갖게 되고, 와이어 스프링에 특히 적합하게 된다. 또한, 포올부재(2)의 피봇 이동은 로킹 포올측에 적절히 안내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는 로킹 포올이 작동이 변화되지 않도록 성능이 양호한 로킹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12)는 오목부(13)의 대향측에 형성되고, 오목부(13)에 삽입된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돌기(12)를 대향측으로부터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이에 따라 스프링(3)이 용이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를 얻을 수 있으며, 몸체(1)에 장착된 스프링(3)의 탄성력은 양호하게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12)는 오목부(13)의 대향측으로부터 이탈된 지지 러그(10)를 향한 위치에 형성되며,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상기 오목부(13)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3)은 돌기(12)를 대향측으로부터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3)은 스프링(3)의 굴곡부(32)가 오목부(13)에 의해 지지된 후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3)은 용이하고 정밀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올부재(2)의 가압부(25)는 스프링(3)의 단부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또는 가압부(25)는 스프링(3)을 거쳐 상부 날개판(5)상에 접촉되므로써, 포올부재(2)의 피봇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탭(4)의 견인 동작시 포올부재(2)의 과도한 상승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30)는 포올부재(2)의 로킹 포올(26)의 베이스 팁 단부에 형성되므로 후크(30)와 후크부(24)가 서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포올부재(2)의 피봇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견인탭(4)의 견인 동작시 포올부재(2)의 피봇 이동이 로킹 포올측에서 적절히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앵귤러 돌출부(33)를 포함하며, 돌출부(33)는 오목부(13)에 삽입되며, 돌기(12)는 스프링(3)을 고정하기 위해 코오킹된다. 따라서, 스프링(3)은 적절히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상의 안내 러그(11)는 대향의 측벽(16)과 연결부(17)를 포함하며, 스프링(3)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용 홈(18)은 연결부(17)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3)의 연장방향으로 V 형 스프링의 회전이나 이탈이 간단한 구성으로도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은 정밀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탁월한 탄성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올부재(3)는 V 형의 단단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는 몸체(1)상에 직립으로 형성되었으며, 오목부(13)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형성되고, 스프링(3)은 오목부(12)에 수용되어 돌기(12)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3)은 포올부재(2)의 전방 절반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일련의 오목한 홈(29)과 안내 러그(11)에 형성된 수용 홈(18)에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는 구조가 간단하게 되며, 스프링(3)은 안정된 상태로 수용되어 적절하게 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올부재(2)는 앵귤러 U 형의 단단한 몸체를 가지며,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는 상기 몸체상에 있고, 오목부(13)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형성되며, 스프링(3)은 오목부(15)에 수용되어 돌기(1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오목한 홈(21)은 상부 날개판(5)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목부(136)로부터 전방 개구측상의 오목부(20) 까지 연장되며, 포올부재(2)의 가압부(25)와 스프링(3)의 전방 절반부는 상기 오목한 홈(21)에 수용되며, 스프링(3)의 후방 절반부는 안내 러그(11)에 형성된 수용 홈(18)에 수용된다. 따라서, 스프링(3)은 안정된 상태로 수용되어 적절하게 작용될 수 있다.
또한, 후크(30)가 몸체(1)의 안내 러그(11)의 연결부(17)에 형성된 후크부(2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30)는 로킹 포올측에서 포올부재(2)의 팁 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로킹 포올(26)은 견인탭(4)의 견인 동작에 의해 파스너 요소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 로킹 포올(26)의 과도한 상승이 예방되며, 이에 따라 미끄럼 동작이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올부재(2)는 배의 바닥 형태를 취하는 커버 몸체를 포함하며,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는 몸체(1)에 직립하여 형성되고, 스프링(3)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용 홈(18)과 간극부(37)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에 각각 형성되며, 오목부(13)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3)은 오목부(13)에 수용되어 돌기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3)의 한쪽 단부는 지지 러그(10)의 간극부(37)를 통해 삽입되어 포올부재(2)의 가압부(25)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3)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11)의 수용 홈(18)에 수용된다. 따라서, 스프링(3)은 안정된 상태로 수용되어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커버 몸체를 구비한 포올부재(2)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에 적합하다.
후크(30)는 포올부재(2)의 로킹 포올측상에서 내측 단부에 형성되며, 후크부(24)는 몸체(1)의 안내 러그(11)의 외단부에 형성되며, 후크(30)와 후크부(24)는 서로 결합되며, 커버 몸체를 갖는 포올부재(2)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킹 포올(26)은 견인탭(4)의 견인 동작에 의해 파스너 요소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 로킹 포올(26)의 과도한 상승이 예방되고, 미끄럼 동작이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후크 기구는 커버내에 있고 보이 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는 양호한 외관을 갖는다.

Claims (10)

  1.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에 있어서,
    안내 포스트(7)상에서 돌출되는 지지 러그(10)와, 상부 날개판(5)의 후방 개구측에서 돌출되는 안내 러그(11)와, 상기 안내 러그(11) 내측이나 외측에 형성되는 포올 구멍(14)과,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13)와, 상기 오목부(13)의 근처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12)를 포함하는 몸체(1)와,
    포올부재(2)의 한쪽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로킹 포올(26)과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가압부(25)와 그 중간부에 형성된 오목부(28)를 포함하는 포올부재(2)와,
    굴곡부(32)를 형성하도록 V 형태로 굴곡된 스프링(3)과,
    핀틀(35)을 구비한 견인탭(4)을 포함하며,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오목부(13)에 삽입되어 돌기(12)를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되며, 스프링(3)의 한쪽 단부는 포올부재(2)의 가압부(25)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3)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11)에 배치되며, 포올부재(2)는 로킹 포올(26)이 포올 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지지 러그(10)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견인탭(4)의 핀틀(35)은 포올부재(2)의 단부가 안내 러그(11)를 따라 피봇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포올부재(2)의 오목부(28)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2. 제 1 항에 있어서, 돌기(12)는 상부 날개판(5)에 형성된 오목부(13)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오목부(13)에 삽입된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돌기(12)를 대향측으로부터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3. 제 1 항에 있어서, 돌기(12)는 상부 날개판상에 형성된 오목부(13)의 대향측으로부터 이탈되는 지지 러그를 향한 부분에서 돌출되며,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오목부(13)에 삽입되며, 스프링(3)은 돌기(12)를 대향측으로부터 코오킹하므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올부재(2)의 가압부(25)는 스프링(3)의 단부와 탄성접촉되거나 상기 가압부(25)는 포올부재(2)의 피봇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프링(3)을 통해 상부 날개판(5)상에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30)와 후크부(24)가 서로 결합하여 포올부재(2)의 피봇 이동을 제어하도록 포올부재(2)는 로킹 포올(26)의 베이스부의 팁 단부에 형성되며, 안내 러그(11)는 그 연결부(17)에 형성된 후크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3)의 굴곡부(32)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앵귤러 돌출부(33)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3)는 오목부(13)에 삽입되며, 돌기(12)는 스프링(3)을 고정하기 위해 코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날개판(5)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는 안내 러그(11)는 대향의 벽(16)과 연결부(17)를 포함하며, 스프링(3)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용 홈(18)은 스프링(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17)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올부재(2)는 V 형의 단단한 몸체를 포함하며, 포올부재(2)의 중앙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축(27)과 오목부(28)와 가압부(25) 사이의 하부면에 형성된 일련의 오목한 홈(29)을 부가로 포함하며, 로킹 포올(26)은 포올부재 한쪽 단부의 하부면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며, 오목부(28)는 지지축(27)과 로킹 포올(26) 사이에 형성되며, 한쌍의 지지 러그(10)는 안내 포스트(7)에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며, 수용 홈(18)은 후방 개구부에 직립한 안내 러그(11)의 연결부(17)의 이탈 위치에 형성되며, 스프링(3)은 오목부(13)에 수용되어 돌기(12)에 의해 고정되며, 포올부재(2)의 지지축(27)은 로킹 포올(26)이 포올 구멍(14)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지지 러그(10)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스프링(3)의 단부는 일련의 오목한 홈(29)을 따라 가압부(25)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3)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11)의 수용 홈(18)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올부재(2)는 U 형의 단단한 몸체를 포함하며, 포올부재(2)의 중앙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축(27)과 오목부(28)와 가압부(25) 사이의 하부면에 형성된 일련의 오목한 홈(29)을 부가로 포함하며, 로킹 포올(26)은 포올부재(2)의 한쪽 단부의 하부면에서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며, 후크부(30)는 포올부재(2)의 다른쪽 단부에서의 이탈 위치로부터 돌출되며, 오목부(28)는 지지축(27)과 로킹 포올(26) 사이에 형성되며, 가압부(25)는 안내 포스트(7)상에서 오목부(20)에 후퇴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프링(3)은 오목부(20)로부터 오목부(13)까지 연장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홈(21)에 수용되며, 스프링(3)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11)의 연결부(17)의 이탈 위치에 형성된 수용 홈(18)에 삽입되며, 지지축(27)은 서로 대면하도록 오목한 홈(21)의 대향측상에 직립한 한쌍의 지지 러그(10)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후크(30)는 연결부(17)의 이탈 위치에서 후크부(2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올부재(2)는 배의 바닥 형태를 취하는 커버 몸체를 포함하며, 포올부재(2)의 후방에서 측벽(38)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로킹 포올(26)을 포함하며, 후크(30)는 포올부재(2)의 단부 하부를 내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가압부(25)는 포올부재(2)의 다른쪽 단부의 하부를 내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며,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는 안내 러그(11)와 지지 러그(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3)의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용 홈(18)과 간극부(37)를 포함하며, 상기 포올 구멍(14)은 안내 러그(11)의 외측에 형성되며, 스프링(3)은 상부 날개판(5)상의 오목부(13)에 수용되어 돌기(12)에 의해 고정되며, 포올부재(2)는 지지 러그(10)와 안내 러그(11)를 덮기 위해 지지 러그(10)상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프링(3)의 단부는 지지 러그(10)의 간극부(37)를 통해 삽입되어 가압부(25)와 탄성접촉되도록 이동되며, 스프링(3)의 다른쪽 단부는 안내 러그(11)의 수용 홈(18)에 삽입되며, 후크부(24)는 안내 러그(11)로부터 돌출되며, 후크(30)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KR1019990008049A 1998-03-16 1999-03-11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KR100298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65451A JPH11253211A (ja) 1998-03-16 1998-03-16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98-65451 1998-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779A true KR19990077779A (ko) 1999-10-25
KR100298804B1 KR100298804B1 (ko) 2001-09-22

Family

ID=1328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049A KR100298804B1 (ko) 1998-03-16 1999-03-11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996188A (ko)
EP (1) EP0943254B1 (ko)
JP (1) JPH11253211A (ko)
KR (1) KR100298804B1 (ko)
CN (1) CN1156236C (ko)
BR (1) BR9900708A (ko)
DE (1) DE69907554T2 (ko)
ES (1) ES2193613T3 (ko)
HK (1) HK1028870A1 (ko)
ID (1) ID22278A (ko)
MY (1) MY119745A (ko)
SG (1) SG70673A1 (ko)
TW (1) TW45315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285B2 (en) * 2001-03-16 2003-01-07 Alice Mary Kiely Immobilized and aligned closure systems
US7000293B2 (en) * 2004-07-02 2006-02-21 Yu-Pau Lin Concealable zipper slider structure
JP4632924B2 (ja) * 2005-10-21 2011-02-16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SE0602297L (sv) * 2006-11-01 2008-04-08 Jens Leveau Zlide On
JP4799452B2 (ja) * 2007-03-16 2011-10-2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1247812B1 (ko) 2008-12-17 2013-03-26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8122573B2 (en) * 2009-01-07 2012-02-28 Ykk Corporation Thin slider
CN102210502B (zh) * 2010-04-01 2014-10-22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止滑式拉链头
JP3160840U (ja) * 2010-04-28 2010-07-08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8453301B1 (en) * 2010-07-22 2013-06-04 Patty McCoy Zipper pull tab retention device
WO2014073099A1 (ja) * 2012-11-09 2014-05-15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CN103704951B (zh) * 2014-01-06 2016-09-14 周秀娟 一种可拆装式拉链头
IT201800004992A1 (it) * 2018-05-02 2019-11-02 Cursore per cerniera lamp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37725A (fr) * 1950-05-27 1953-09-22 Lightning Fasteners Ltd Curseur à verrouillage automatique
FR1022597A (fr) * 1950-07-27 1953-03-06 Talon Fermetures coulissantes
FR2242049B1 (ko) * 1973-09-05 1977-09-09 Fermeture Ailee Sa
JPS5337762Y2 (ko) * 1973-12-18 1978-09-13
JPH0219049Y2 (ko) * 1985-05-24 1990-05-28
JPH02213302A (ja) * 1989-02-13 1990-08-24 Yoshida Kogyo Kk <Ykk>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ダー
JP3330448B2 (ja) * 1994-05-26 2002-09-3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自動停止機構付きスライダー
JPH08322611A (ja) * 1995-05-31 1996-12-10 Ykk Kk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96188A (en) 1999-12-07
SG70673A1 (en) 2000-02-22
CN1156236C (zh) 2004-07-07
JPH11253211A (ja) 1999-09-21
ID22278A (id) 1999-09-30
KR100298804B1 (ko) 2001-09-22
TW453154U (en) 2001-09-01
EP0943254A3 (en) 1999-12-08
HK1028870A1 (en) 2001-03-09
CN1233442A (zh) 1999-11-03
ES2193613T3 (es) 2003-11-01
DE69907554D1 (de) 2003-06-12
DE69907554T2 (de) 2004-04-08
EP0943254A2 (en) 1999-09-22
EP0943254B1 (en) 2003-05-07
BR9900708A (pt) 1999-12-28
MY119745A (en) 200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804B1 (ko) 자동 로크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US7337510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provided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US6804867B2 (en) Pull of slider for slide fastener
KR100253098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로킹 슬라이더
JP5008518B2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5501252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CN1951250B (zh) 具有自动锁紧装置的滑动拉链拉头
JP5718931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027541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970000456Y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JP2000114740A (ja) 移動電話機用裏カバ―
GB2318827A (en) Auto-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KR100355293B1 (ko) 록킹 메카니즘을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300680B1 (ko) 슬라이드파스너의로킹기구를갖는슬라이더와분리가능한바닥단부정지부
US5694667A (en) Automatic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KR100243728B1 (ko) 오토록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KR100268997B1 (ko) 자동 정지장치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H11127918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半自動または自動停止装置
JP2008173344A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5953963A (en) Cable-to-lever connection for motion-transmitting mechanism
CN112091956B (zh) 舵机固定装置及机器人
KR20040080082A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