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730A - 연료탱크용의 용접 가능한 증기도출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의 용접 가능한 증기도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730A
KR19990077730A KR1019990007849A KR19990007849A KR19990077730A KR 19990077730 A KR19990077730 A KR 19990077730A KR 1019990007849 A KR1019990007849 A KR 1019990007849A KR 19990007849 A KR19990007849 A KR 19990007849A KR 19990077730 A KR19990077730 A KR 1999007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able
valve body
ribs
fuel tan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363B1 (ko
Inventor
벤지로버트필립
Original Assignee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존 씨. 메티유
Publication of KR1999007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접가능한 증기 도출 밸브 조립체(118)는 비용접성(내열성) 밸브 본체(120)와, 중합체 연료 탱크(10)의 외부 표면상에 용접하기 위해 밸브 본체(120)의 상부 단부에 부착된 용접가능한 커넥터 부분(138)을 포함한다. 용접가능한 커넥터 부분(138)은 상호고정 밀봉 끼워맞춤으로 축방향으로 맞물리는 수직 누설방지 리브(134, 135)를 이용하여 밸브 본체를 제 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리브(134, 135)는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밸브 본체(1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누설방지 리브(134, 135)는 도출 밸브 조립체(118)의 조립된 부분 사이에서 액체 연료 및 액체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비린스형 시일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용의 용접가능한 증기 도출 밸브{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본 발명은 중합체 연료 탱크에 용접될 수 있는 도출 밸브(vent valves)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른 물질로 제조된 2개의 결합된 부분, 즉 하나의 부분은 연료 탱크에 용접가능하며, 다른 하나는 내열성 및 증기 저항성인 2개 부분을 구비한 형태의 용접가능한 증기 도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제조사는 블로몰딩과 같은 효율적인 제조 방법의 이점을 취해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중합 물질(이후에는 "플라스틱"이라고 함)로 자동차 연료 탱크를 성형하는 것이 증가되고 있다. 증기 도출 밸브는 탱크로부터 연료 증기를 도출시키기 위해 탱크내에 또는 탱크위에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연료 및 연료 증기가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밸브를 적절하게 밀봉하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다.
플라스틱 연료 탱크에 사용되는 밸브는 예를 들면 핫-플레이트 용접 기술(hot-plate techniques)을 이용하여 탱크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접 기술에 있어서 결합 탱크 및 밸브 표면은 가열되고 표면이 접착될 때까지 압축력을 가하여 접촉시킨다. 밸브를 탱크에 용접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2개의 주요한 문제점이 있다. 우선, 플라스틱 연료 탱크에 그 자체가 용접되는 물질, 즉 연료 탱크에 사용된 물질과 유사한 물질은 우수한 도출 밸브를 형성하기에 종종 적당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도출 밸브가 너무 연해서 오랜 기간에 크리프 문제가 발생하며, 용접 가공시의 열로 손상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밸브 본체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나일론과 같은 보다 단단하고 보다 높은 용융 온도의 플라스틱 물질은 연료 탱크에 사용하는 플라스틱에 용접할 수 없기 때문에 곤란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은 상이한 용융 온도 및 다른 특성으로 인해서 매우 잘 용접되지 않는다.
벤지(Benje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04,907 호에는 용접가능한 커넥터 부분과 비용접성 밸브 본체 사이의 효율적인 결합과 밀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의 하나의 해결책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404,907 호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표준 비용접성 도출 밸브는 연료 탱크내로 연장하도록 연료 탱크 벽내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기 위한 하부 부분과, 밸브가 삽입되는 경우 연료 탱크상에 위치된 상부 부분을 구비한 주 밸브 본체를 포함한다. 용접가능한 커넥터는 밸브 본체의 상부 부분에 결합되어, 용접가능한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출 밸브가 연료 탱크 구멍내에 위치되는 경우 연료 탱크에 용접하기 위한 위치에 위치된다. 용접가능한 커넥터는 밸브 본체의 상부 부분상에 오버몰딩되어 있다. 밸브 본체는 그 외부에 다수의 원주방향 수평 누설방지 리브를 포함한다. 리브는 오버몰딩된 용접가능한 커넥터 부분과 밸브 본체의 상부 부분 사이의 결합을 향상시키며, 또한 용접가능한 커넥터와 밸브 본체 사이의 주위의 래비린스형 유동 억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이들 사이에서의 연료 및 증기 누설을 방지한다.
미국 특허 제 5,404,907 호의 도 1을 참조하면, 내열성 도출 밸브 본체(20)는 구멍(11)을 통해 연료 탱크 벽(10)에 삽입된 하부 부분(22)을 구비한다. 밸브 본체의 상부 부분(24)은 연료 탱크 벽(10) 위로 연장되고, 수평 누설방지 리브(34)를 포함한다. 용접가능한 커넥터(38)는 몰딩 공정 동안에 리브(34) 둘레로 그리고 리브(34) 사이로 유동하여 밸브 본체(20)상에 오버몰딩되어 리브 사이에 강한 접속부를 형성한다. 또한, 리브(34)는 밸브 본체(20)와 용접가능한 커넥터(38) 사이에 래비린스형 유동 억제 인터페이스 시일을 제공하여 액체 연료 및 연료 증기 누설을 방지한다. 용접가능한 커넥터(38)의 공지된 형태의 용접 다리부(42)는 연료 탱크 벽(10)에 용접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용접가능한 커넥터를 밸브 본체상에 오버몰딩할 필요성이 제거되는 미국 특허 제 5,404,907 호의 오버몰딩된 누설방지 리브 구조체를 개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국 특허 제 5,404,907 호의 오버몰딩된 커넥터 및 누설방지 리브 구조체를 용접가능한 커넥터 및 밸브 본체상의 수직 상호고정 리브 세트로 대체하여, 연료 탱크에 용접하기 전에 조립체용의 2개 부분 사이에 간단한 압입끼워맞춤 접속부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용접가능한 커넥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다 연한 리브는 액밀 및 기밀 간섭 끼워맞춤으로 밸브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보다 강한 비용접성 리브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하기의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료해진다.
도 1은 연료 탱크에 결합된 것으로 미국 특허 제 5,404,907 호에 따른 종래 기술의 오버몰딩된 도출 밸브 및 용접가능한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2는 연료 탱크에 결합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출 밸브 및 용접가능한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탱크 118 : 증기 도출 밸브 조립체
120 : 밸브 본체 134, 135 : 리브
138 : 용접가능한 커넥터 147 : 구멍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용접가능한 증기 도출 밸브 조립체(118)는 구멍(11)을 통해 연료 탱크 벽(100)내에 삽입될 수 있는 하부 부분(122)과, 밸브 본체의 상부 단부에 고정된 용접가능한 커넥터 부분(138)을 구비한 내열성 주 밸브 본체(120)를 포함한다. 연료 탱크 벽(10)은 블로몰딩에 적당한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밸브 본체(120)는 용접 동안에 그리고 탱크의 연료 증기가 있는 환경에 노출된 동안에 발생하는 온도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열성이 있는 한 모든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본체(120)는 나일론으로 제조되지만, 다른 물질도 이용될 수 있다.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는 연료 탱크 벽(10)과 공형용접되는 물질로 성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양 연료 탱크 및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지만, 공형용접가능한 물질의 다른 가능한 조합체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밸브 본체(120)는 도출 출구(126)를 규정하며, 하부 밸브 본체(122)의 중공 내부와, 상부 부분(124)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도시된 도관(128) 사이에서 연료 증기를 연통시킨다. 도관(128)은 별개로 형성되거나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에 부착될 수 있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본체(120)에 사용된 밸브 구조체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거의 모든 밸브 구조체를 포함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도 2의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구조체는 액체 높이에 반응하는 부유 장치의 공지된 형태이며, 이러한 장치에서, 그 상단부상의 분리형 밸브 요소(123)를 지지하는 스프링 가압 부유물(121)은 도출 출구(126)를 향해서 융기되거나 출구(126)로부터 하강되어서 탱크내의 액체 연료 높이가 올라가거나 떨어질 때 증기 흐름을 폐쇄 및 개방한다. 단지 예시적인 방법으로서, 도 2에서 참조부호(121)로 도시된 형태의 밸브 구조체는 미국 특허 제 5,313,977 호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다른 형태의 액체 높이에 반응하는 밸브 구조체가 본원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용접가능한 도출 밸브 조립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으로는 탑재 연료보급 증기 회수, 전복시 잠금 기능 및 충전 제어 기능등이 있으나, 이것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용접가능한 커넥터(138) 및 밸브 본체(120)는 조립되어, 밸브 본체(120)의 상부 단부 및 커넥터(138)의 내측 표면상에 각기 형성된 수직 리브(134, 135) 세트와, 커넥터(138)의 내측 표면을 수직 상호고정 리브 세트(134, 135)에 의해 액체 및 증기 누설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밀봉된다. 상호고정 수직 리브(134, 135)는 밸브 본체와 용접가능한 커넥터와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물질의 링형 플랜지를 포함한다. 리브(134, 135)를 밸브 본체 및 용접가능한 커넥터에 부착하고, 다음에 성형할 수 있지만, 일체로 성형된 리브가 바람직하다.
도시된 리브(134, 135)는 밸브 본체 및 용접가능한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물질의 연속 동심 링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용접가능한 리브(135)는 3개의 본체 리브(134)내로 삽입되며 리브(134) 사이에 압착되어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리브(134, 135)의 전체 갯수가 밸브 조립체의 사이즈와, 용접가능한 커넥터와 밸브 본체 사이의 기계적 접속의 소망하는 강도와, 상호고정 리브 사이에 형성된 누설방지 래비린스의 소망하는 길이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밀봉용의 바람직한 구조는 용접가능한 커넥터의 각각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다른 커넥터로부터의 2개의 리브 사이에 압착된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물질이 열 또는 연료 증가 영향으로 인해서 보다 큰 치수 변화를 갖는 경우일지라도 밀봉을 보장하게 한다. 직립 밸브 본체 리브(134)의 최소 갯수는 2개이며, 이 숫자는 각각의 용접가능한 리브(135)가 2개의 밸브 본체 리브(134) 사이를 막도록 하나의 용접가능한 리브(135)의 조화되는 최소 숫자이다.
바람직하게, 용접가능한 리브(135)의 폭 또는 두께는 인접한 밸브 본체 리브(134) 사이의 공간(134a) 보다 약간 커서, 리브(135)와 리브(134) 사이에 간섭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가능한 리브(135)는 리브(134)와 함께 액밀 및 기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변형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브(134, 135) 사이의 상호고정 밀봉 끼워맞춤은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와 밸브 본체(12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위로 연료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접가능한 커넥터와 밸브 본체의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연료 탱크로부터 출구(128)내로 액체 연료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상황에서는 리브(134, 135) 사이의 상호고정 밀봉 끼워맞춤을 리브(135)의 변형가능한 성질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리브(134, 135)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상황에서는 리브(134, 135)를 압입끼워맞춤으로 조립하기 전에 리브(134, 135)의 하나 또는 양 세트에 접착제나 다른 결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상황에 있어서는 리브 사이의 밀봉 끼워맞춤을 향상시키도록 리브(134, 135)의 하나 또는 양 세트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리브 사이에 직선 간섭 끼워맞춤이다.
몇몇 상황에서는 리브(134, 135) 사이의 상호고정 끼워맞춤이 용접가능한 커넥터(138) 및 밸브 본체(120)를 함께 기계적으로 지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참조부호(123, 146)로 표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부품 사이의 부가적인 로킹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본체(120)의 측벽은 경사진 태브(123)를 포함하며, 이 태브(123)는 우선 밸브 본체(120)의 일부분상에 그리고 일부분 둘레에서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슬리브(146)의 단부를 측면으로 밀고, 다음에 적당히 이격된 구멍(147)내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밸브 본체(120)를 슬리브(146)내에 삽입하는 것은 슬리브의 하부 단부상의 경사진 영역(145)에 의해 향상될 수도 있다. 태브(123)와 구멍(147)의 상대적인 높이는 태브(123)가 슬리브상의 구멍(147)내에 고정되기전에 리브(135)의 소정의 축방향 길이가 리브(134)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된다.
일단 용접가능한 커넥터(138)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120)에 조립되면, 오버몰딩과 같은 부가적인 조작의 필요성이 없이 그리고 용접가능한 커넥터 및 밸브 본체에 직접 및 일체로 합체되는 것 이상으로 모든 부가적인 구조체의 필요성이 없이 간단한 축방향 압입끼워맞춤으로서 밸브 조립체가 연료 탱크 벽(10)내의 구멍(11)을 통해 삽입되어 공지된 형태로 용접 다리부(142)를 연료 탱크에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예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업자들은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 본체(120)와, 그 내부 밸브 구조체(121, 123)의 형태는 변형될 수 있으며, 용접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거의 모든 공지된 밸브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가능한 커넥터의 정확한 사이즈 및 형상은 연료 탱크에 대한 소망하는 용접 부착부와, 참조부호(128)로 표시된 것과 같은 출구 구조체에 설정된 출구 접속부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해질 수 있다. 수직 상호고정 리브(134, 135)의 갯수 및 사이즈는 특정 적용에 따라 또한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몰딩된 커넥터 및 누설방지 리브 구조체를 용접가능한 커넥터 및 밸브 본체상의 수직 상호고정 리브 세트로 대체하여, 연료 탱크에 용접하기 전에 조립체용의 2개 부분 사이에 간단한 압입끼워맞춤 접속부를 제공함으로써 용접가능한 커넥터를 밸브 본체상에 오버몰딩할 필요가 없는 누설방지 리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합체 연료 탱크(10)에 용접할 수 있는 용접가능한 도출 밸브(18)(a weldable vent valve)에 있어서,
    구멍(11)을 통해 연료 탱크(10)내로 연장되기에 적합한 하부 부분(122)과, 연료 탱크(10)상으로 연장되기에 적합한 상부 부분(124)을 구비하며, 연료 탱크(10)의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증기 흐름 경로(126)를 규정하는 비용접성 주 밸브 본체(120)와,
    상기 주 밸브 본체(120)에 조립되며, 연료 탱크(10)에 용접하기에 적당한 용접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로서, 이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의 적어도 일부분은 주 밸브 본체(120)가 연료 탱크 구멍(11)내에 작동식으로 위치될 때 연료 탱크(10)에 용접하기 위해 연료 탱크(10)와 접촉되도록 설계되는, 상기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와,
    상기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의 하부 표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수직 리브(135)와, 상기 밸브 본체(120)의 상부 단부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 2 리브(134)를 포함하며;
    용접가능한 커넥터(138) 및 밸브 본체(120)상의 수직 리브(135, 134)는 상호고정 밀봉 끼워맞춤으로 축방향으로 맞물리기에 적합하여,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135)는 밸브 본체(120)로부터의 2개의 리브(134)사이에 압착되며, 밸브 본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134)는 용접가능한 커넥터(138)로부터의 2개의 리브(135) 사이에 압착되는
    용접가능한 도출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34, 135)로부터 먼 밸브 본체 및 용접가능한 커넥터상에 형성된 맞물림 로킹 구조체(123, 146)를 더 포함하여, 리브(134, 135)로부터 먼 용접가능한 커넥터(138)와 밸브 본체(120) 사이에 축방향 고정 접속부를 제공하는
    용접가능한 도출 밸브.
KR1019990007849A 1998-03-13 1999-03-10 연료 탱크용의 용접가능한 통기 밸브 KR100565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41,713 US6035883A (en) 1998-03-13 1998-03-13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US9/041,713 1998-03-13
US09/041,713 1998-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730A true KR19990077730A (ko) 1999-10-25
KR100565363B1 KR100565363B1 (ko) 2006-03-30

Family

ID=2191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849A KR100565363B1 (ko) 1998-03-13 1999-03-10 연료 탱크용의 용접가능한 통기 밸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35883A (ko)
EP (1) EP0941884B1 (ko)
JP (1) JP4446109B2 (ko)
KR (1) KR100565363B1 (ko)
AR (1) AR019833A1 (ko)
BR (1) BR9900715A (ko)
CA (1) CA2263707C (ko)
DE (1) DE69905505T2 (ko)
ES (1) ES2191376T3 (ko)
TW (1) TW3991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6034B2 (ja) * 1999-03-15 2004-03-15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US6840274B1 (en) 1999-06-01 2005-01-11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EP1614517A1 (en) 1999-06-01 2006-01-11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a venting apparatus for a fuel tank
BE1012907A3 (fr) * 1999-09-22 2001-05-08 Solvay Systeme et procede d'obturation d'une ouverture d'un reservoir.
JP2003513220A (ja) * 1999-11-02 2003-04-08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アプライアンシズ リミティド ガス弁
IL132735A0 (en) * 1999-11-04 2001-03-19 Raviv Prec Injection Molding Fuel tank and a method for fitting accessories thereto
CA2334149C (en) 2000-02-03 2005-05-10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ES2269311T3 (es) 2000-02-11 2007-04-01 Stant Manufacturing Inc. Soporte soldable para componente de sisema de combustible.
US6652699B1 (en) * 2000-02-17 2003-11-25 Salflex Polymers Ltd. Flanged member with barrier layer
JP3824212B2 (ja) * 2000-11-17 2006-09-2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付設弁
JP2001323854A (ja) * 2000-03-09 2001-11-2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74120B2 (ja) * 2000-05-19 2003-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ルブ取付構造
US6289915B1 (en) * 2000-06-06 2001-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rmeation and leak preventative design for fuel tank attachments
US6915812B2 (en) * 2000-09-12 2005-07-12 Alfmeier Corporation Low permeation weldable fuel tank assembly
US6584996B2 (en) * 2001-07-17 2003-07-01 Eaton Corporation Installing a valve in a tank
US6508263B1 (en) * 2001-09-20 2003-01-21 Eaton Corporation Float operated fuel tank vapor vent valve
FR2831113B1 (fr) 2001-10-24 2004-01-02 Inergy Automotive Systems Man Systeme et procede d'obturation d'une ouverture d'un reservoir
FR2831112B1 (fr) * 2001-10-24 2004-01-23 Inergy Automotive Systems Man Reservoir a carbur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reservoir
US6662820B2 (en) 2001-12-06 2003-12-16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US6691725B2 (en) * 2001-12-14 2004-02-17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vent valve with peel-off mechanism for ensuring reopening
FR2833890B1 (fr) * 2001-12-21 2005-04-22 Inergy Automotive Systems Man Reservoir a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6810913B2 (en) * 2002-04-26 2004-11-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ternal fuel vapor valve
DE10258297A1 (de) * 2002-12-13 2004-06-24 Hilti Ag Ultraschall-Kupplung
US7819129B2 (en) * 2003-02-18 2010-10-26 Keefer Neal L Relief vent including float and seal
US7059305B2 (en) * 2003-07-21 2006-06-13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Internalized component for fuel tanks
US6966330B2 (en) 2003-08-27 2005-11-22 Alfmeier Corporation Weldring with locking arrangement for valve assembly
US6918405B2 (en) 2003-12-04 2005-07-19 Alfmeier Corporation Fill limit vent valve
US7389789B2 (en) * 2004-01-21 2008-06-24 Raval-Agriculture Cooperative Societies Ltd. Fuel accessory for fuel tank and method for internally attaching same
US7913712B2 (en) * 2004-01-21 2011-03-29 Raval A.C.S. Ltd. Fuel accessory for fuel tank and method for internally attaching same
US7207347B2 (en) * 2004-08-23 2007-04-24 Raval A.S.C. Ltd. Dual function valve for fuel tank
US20060048816A1 (en) * 2004-09-09 2006-03-09 Brock Michael S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US20060213553A1 (en) * 2005-03-22 2006-09-28 Vaughn K. Mills & Kenneth M. Spink Low profile overfill limit device with reverse flow capability
DE102005036932B8 (de) 2005-08-05 2008-07-03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entil für den Kraftstoffbehälter von Kraftfahrzeugen
US7481238B2 (en) * 2005-08-09 2009-01-27 Roger Ramoth Automatic degassing valve
KR101424114B1 (ko) * 2005-10-05 2014-08-01 고옌 콘트롤즈 컴퍼니 피티와이 리미티드 고압 공기 펄스의 제어 밸브
JP4561687B2 (ja) 2005-12-02 2010-10-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タンク用流路構造体および燃料遮断弁
WO2007090830A1 (en) * 2006-02-07 2007-08-1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uel tank
US7829819B2 (en) * 2007-02-08 2010-11-09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Attaching a component to an internal surface of a tank formed of polymer
JP5125929B2 (ja) * 2008-09-19 2013-01-2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CN101391330B (zh) * 2008-11-06 2011-03-16 哈尔滨工程大学 气电一体滑环
JP5509737B2 (ja) * 2009-03-25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の取付構造
CN102151938B (zh) * 2011-03-26 2012-11-21 蒋海翔 改型焊枪调节阀组件
EP2697091A1 (en) * 2011-05-26 2014-02-19 McClure, Matthew A. Vent valve module mount
CN102661412B (zh) * 2012-05-21 2013-12-11 蒋海翔 简捷焊枪多功能阀
WO2014011229A1 (en) 2012-07-12 2014-01-16 Eaton Corporation Flapper valve with guide legs
JP6359030B2 (ja) * 2012-12-24 2018-07-18 イートン コーポレーションEaton Corporation 車両のタンク用のバルブ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3804A (en) * 1981-07-15 1983-11-08 Flambeau Product Corporation Piston valve and fuel tank assembly
FR2601929B1 (fr) * 1986-07-23 1989-07-28 Peugeot Dispositif d'aeration d'un reservoir de carburant
US5139043A (en) * 1990-08-24 1992-08-18 Ford Motor Company Weldable vapor vent valve
US5313977A (en) 1992-11-12 1994-05-24 G. T. Products, Inc. Fluid-responsive vent control valve with peel-away opening action
US5404907A (en) * 1993-02-18 1995-04-11 G. T. Products, Inc.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US5666989A (en) * 1994-11-08 1997-09-16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venting control assembly
US5518018A (en) * 1994-11-14 1996-05-21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ing control assembly
DE19510821C2 (de) * 1995-03-24 1997-02-13 Porsche Ag Kraftstoffbehälter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US5694968A (en) * 1996-04-15 1997-12-09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venting control system
JP3675034B2 (ja) * 1996-05-30 2005-07-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流出防止弁
JP3585076B2 (ja) * 1996-07-30 2004-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漏れ防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19833A1 (es) 2002-03-20
ES2191376T3 (es) 2003-09-01
TW399129B (en) 2000-07-21
CA2263707A1 (en) 1999-09-13
JP4446109B2 (ja) 2010-04-07
KR100565363B1 (ko) 2006-03-30
BR9900715A (pt) 2000-01-04
CA2263707C (en) 2005-06-28
DE69905505T2 (de) 2003-11-13
EP0941884A3 (en) 2000-11-15
EP0941884A2 (en) 1999-09-15
JPH11315765A (ja) 1999-11-16
EP0941884B1 (en) 2003-02-26
US6035883A (en) 2000-03-14
DE69905505D1 (de)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730A (ko) 연료탱크용의 용접 가능한 증기도출 밸브
US5404907A (en)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US5139043A (en) Weldable vapor vent valve
CN101365619B (zh) 具有压力补偿室的密封塞
US7014214B2 (en) Resinous connector
US4854737A (en) Bags for containing liquids
JP4074113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KR950007631B1 (ko) 개량된 측면벽 구조물을 갖는 압력용기
JP2003106230A (ja) 燃料遮断弁
KR100507018B1 (ko) 자동차 연료 탱크 밸브용 지지 구조체와, 자동차 연료탱크 밸브 고정 방법
JP7394521B2 (ja) 通気ユニット
US7845366B2 (en)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EP2380765A2 (en) Fuel system
US20020011490A1 (en) Plastic fuel tank having an arrangement for welding a component part in a fuel impermeable manner
JP2008001253A (ja) ベントチューブ
US6662820B2 (en)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JP4629888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KR20070077102A (ko) 연료 탱크 구성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454642B1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JPH0235672Y2 (ko)
JP6635907B2 (ja) パイプの取付構造
JP2022542850A (ja) 燃料タンクの壁に対する構成部品の取着装置
JPS635149B2 (ko)
JPH0953535A (ja) 燃料タンク用バルブのシール構造
JPH0743443Y2 (ja) アキュム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