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696A -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96A
KR19990077696A KR1019990007655A KR19990007655A KR19990077696A KR 19990077696 A KR19990077696 A KR 19990077696A KR 1019990007655 A KR1019990007655 A KR 1019990007655A KR 19990007655 A KR19990007655 A KR 19990007655A KR 19990077696 A KR19990077696 A KR 19990077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warm air
drying
jaw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623B1 (ko
Inventor
후쿠모토마사미
모리나카준이치
다카기야스시
마츠다신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087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19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57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472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57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472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83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07483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의류의 건조 얼룩을 적게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전중, 특히 탈수 행정에서의 진동을 적게 하는 것으로, 세탁물을 투입하여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거의 원통 형상의 내측 조를 외측 조에 내장하고, 내측 조 내에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며, 내측 조 또는 교반 수단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온풍 공급로로부터 내측 조 내에 공급하는 온풍을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함과 동시에,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내측 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 가열 수단, 건조용 송풍기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을 제어한다. 건조 행정에서, 교반 수단에 의해 세탁물을 교반하고,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내측 조내의 세탁물에 분사하고 제습하여 건조한다.

Description

세탁 건조기{WASHING AND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외측 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내측 조 내에 투입한 세탁물을 세탁에서 건조까지를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세탁 건조기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였다. 이하에,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조(1)는 세탁 겸용 탈수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거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조(2)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이 내측 조(1)의 상부에 유체 밸런서(3)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측 바닥부에 펄소미터(pulsator)(4)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외측 조(2)는 서스펜션 기구(5)에 의해 본체(6)에 현수되어 방진 지지되어 있다. 외측 조(2)의 바닥부에는 모터(7)를 형성하고 있다. 모터(7)는, 세탁시 또는 탈수시에 대응하여 회전력 전달을 중공에서 2축 구조로 된 세탁·탈수축(8)으로 전환하는 클러치와, 회전을 전달하는 기구를 내장하여 펄소미터(4) 또는 내측 조(1)를 회전시킨다. 배수로(9)는 외측 조(2)의 바닥면에 배수 콕(1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온풍 송풍 수단(11)은 건조용 송풍기와 히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여 건조를 위한 온풍을 송풍하는 것으로, 외측 조(2)에 장착하여 온풍을 내측 조(1) 내에 송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 행정에서는, 내측 조(1)에 세탁물(12)과 세제를 투입하고 물 또는 온수를 공급하여 운전을 개시하면, 모터(7)에 내장된 클러치를 펄소미터(4)를 회전시키도록 전환하고 모터(7)의 동력을 세탁축을 거쳐서 펄소미터(4)에 전달하여, 펄소미터(4)가 회전함으로써 세탁물(12)을 펄소미터(4)에 의해 교반하여 세탁한다.
탈수 행정에서는, 세탁 종료 후, 배수 콕(10)을 개방하여 내측 조(1) 내의 물을 배수한 후, 모터(7)에 내장된 클러치에 의해 모터(7)의 동력의 전달을 탈수측으로 전환하고, 모터(7)의 동력을 탈수축을 거쳐서 내측 조(1)에 전달해서 회전시켜 세탁물(12)에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탈수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통상 모드로 펄소미터(4)를 회전시키면서 온풍 송풍 수단(11)으로부터 내측 조(1) 내에 온풍을 주입하여 온풍에 의해 세탁물(12)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으로는, 건조 행정에 있어서, 온풍 송풍 수단(11)으로부터 내측 조(1) 내에 주입된 온풍이 내측 조(1)의 전체에 널리 퍼지지 않고, 특히 하층부에 충분히 퍼지지 않기 때문에, 온풍의 열과 유속을 세탁물(12)에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없어 건조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하고, 건조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온풍 송풍 수단(11)을 외측 조(2)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서스펜션 기구(5)에 의해 본체(6)에 현수되어 있는 외측 조(2), 온풍 송풍 수단(11)을 포함하는 진동체의 중량이 커서 운전중, 특히 탈수 행정에서의 진동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의류의 건조 얼룩을 적게 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전중, 특히 탈수 행정에서의 진동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세탁물을 투입하여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거의 원통 형상의 내측 조를 외측 조에 내장하고, 내측 조 내에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며, 내측 조 또는 교반 수단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고 온풍 공급로로부터 내측 조 내로 공급하는 온풍을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함과 동시에,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내측 조 내로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 가열 수단, 건조용 송풍기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을 제어한다. 건조 행정에서, 교반 수단에 의해 세탁물을 교반하고,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내측 조내의 세탁물에 분사해서, 제습하여 건조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의류의 건조 얼룩을 적게 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전중, 특히 탈수 행정에서의 진동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온풍 공급로를 신축 가능한 튜브에 의해 외측 조와 연결하고, 내측 조 내로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수 행정에 의해 내측 조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진동 운동을 하더라도, 외측 조는 온풍 공급로에 의해서 수평의 일 방향으로 잡아당겨지지 않고, 거의 자연스러운 상태로 진동하며, 내측 조가 고속 회전함에 의한 외측 조의 진동이 본체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진동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측 조의 상부를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내측 칸막이 판으로 덮고, 내측 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와 내측 칸막이 판에 형성된 급수구를 급수 덕트에 의해 접속함에 의해, 내측 조로의 급수를 급수 덕트를 거쳐서 실행할 수 있어 건조 행정에서는 온풍의 누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온풍의 누설에 의해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다른 예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일부를 절결한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내측 조 14 : 외측 조
15 : 유체 밸런서 16 : 펄소미터(교반 수단)
17 : 경사면 19 : 서스펜션 기구
20 : 본체 23 : 배수 콕
24 : 온풍 공급로 27 : 신축 가능한 튜브
28 : 내측 칸막이 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조(13)는 세탁 겸용 탈수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측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거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조(14)에 내장되어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내측 조(13)의 상부에 유체 밸런서(15)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측 바닥부에 남비 형상의 펄소미터(교반 수단)(16)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펄소미터(16)는 외주부에 경사면(17)을 갖고, 이 경사면(17)을 통과하여 거의 외부 가장자리에 도달하는 방사상의 리브(18)를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외측 조(14)는 서스펜션 기구(19)에 의해 본체(20)에 현수되어 방진 지지되어 있다. 외측 조(14)의 바닥부에 모터(2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모터(21)는 내부에 세탁·탈수축과, 세탁시 또는 탈수시에 대응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세탁축과 탈수축으로 전환하는 클러치와, 회전을 전달하는 기구를 내장하여, 펄소미터(16) 또는 내측 조(13)를 회전시킨다. 배수로(22)는 외측 조(14)의 바닥면에 배수 콕(23)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온풍 공급로(24)는 건조 행정에서 내측 조(13)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것으로, 온풍을 가열하는 히터(가열 수단)(25)와 내측 조(13)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용 송풍기(26)를 갖고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온풍 공급로(24)는 벨로스 형상의 신축 가능한 튜브(27)를 거쳐서 외측 조(14)의 상부에 형성된 내측 칸막이 판(2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측 조(14)의 바닥면에 온풍을 환류시키는 접속 덕트(29)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접속 덕트(29)는 전환 배수 콕(30)을 거쳐서 열 교환기(31)에 접속되고, 또한 히터(25), 건조용 송풍기(26)를 갖는 온풍 공급로(24)를 거쳐서, 신축 가능한 튜브(27)를 거쳐서 외측 조(14)에 연결되어 있다. 내측 칸막이 판(28)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32)를 형성하고 있다. 내측 칸막이 판(28)은 외측 조(14)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하여, 온풍이 상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 가능한 덮개(32)을 개방하여 세탁물의 출입을 실행한다. 그리고, 접속 덕트(29), 열 교환기(31), 온풍 공급로(24) 등에 의해 거의 폐쇄된 순환로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신축 가능한 튜브(27)와 접속 덕트(29)는 본체(고정측)(20)와 외측 조(진동측)(14)에 신축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열 교환기(31)는 본체(20)의 외부에 설치하여, 공랭에 의해 열교환하도록 구성하고, 열 교환기(31)의 하부에 드레인 구멍(33)을 형성하고 있다.
제어 수단(34)은 모터(21), 배수 콕(23),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모터(21), 히터(25), 건조용 송풍기(26)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건조 행정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 행정에서, 펄소미터(16)에 의해 세탁물(35)을 교반하고, 히터(25)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건조용 송풍기(26)를 통해 내측 조(13) 내의 세탁물(35)에 분사하며, 열 교환기(31)에서 열교환함에 의해 제습하여 건조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어 수단(34)은 세탁 행정에 있어서의 펄소미터(16)의 회전수를 건조 행정에 있어서의 펄소미터(16)의 회전수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에서 탈수 행정까지에 관하여 기술하면, 개폐 가능한 덮개(32)를 개방하고 내측 조(13) 내로 세탁물(35)과 세제를 투입하여 운전을 개시하면, 내측 조(13) 내로 급수 밸브로부터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 펄소미터(16)를 회전시켜 세탁 행정을 실행한다. 세탁 행정 후, 세탁 행정과 마찬가지의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 이 때, 전환 배수 콕(30)을 폐쇄함에 의해 외측 조(14) 내의 물이 드레인 구멍(33)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에, 탈수 행정이 진행되고, 배수 콕(23)을 개방하여 내측 조(13)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하는 통상의 동작을 실행하여 건조 행정으로 실행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배수 콕(23)을 폐쇄하고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며,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이 신축 가능한 튜브(27)를 통해서 내측 조(13)로 보내진다. 탈수가 종료되어 내측 조(13)의 내벽에 달라붙어 있는 세탁물(35)은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떨어지고, 그 후, 내측 조(13) 내에서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펄소미터(16)의 경사부(17)를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방사상의 리브(18)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져서 교반된다. 이 상방으로 올려진 세탁물(35)에 온풍이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온풍은 세탁물(35)의 수분을 증발시켜 세탁물(35)을 건조시키고, 고습도의 온풍으로 되어 내측 조(13)의 측면의 구멍이나 유체 밸런서(15)와 내측 칸막이 판(28) 사이를 통과하여, 내측 조(13)의 외벽과 외측 조(14)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외측 조(14)의 하부의 접속 덕트(29)로 들어간다. 그 후,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31)를 통해 히터(25)를 통과하며, 다시 건조용 송풍기(26)에 도달한다. 이 과정중에, 고습도의 온풍은 외측 조(14)의 내벽이나, 순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31)의 내벽 등에 접촉하기 때문에, 이들 표면에서 열교환되어 제습되고, 히터(25)에 도달할 때에는, 냉각된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이 건조 공기가 히터(25)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세탁물(35)에 닿는 것을 반복함에 의해 건조가 진행된다.
이 때, 온풍은 접속 덕트(29), 열 교환기(31), 온풍 공급로(24) 등에 의해 형성된 순환로를 순환하고, 이 순환하는 온풍은 하방의 전환 배수 콕(30) 쪽을 향하기 때문에, 내측 조(13) 내에서 세탁물(35) 사이를 구석 구석까지 골고루 통과하여, 건조 얼룩이 없는 상태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순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31)를 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표면은 항상 냉각되어 있고, 열 교환기(31)에서는 제습이 효율적으로 실행됨에 의해 빨리 건조될 수 있고, 열 교환기(31) 내에서 열교환함에 의해 발생한 제습수(除濕水)는 드레인 구멍(33)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건조 행정에서, 펄소미터(16)에 의해 세탁물(35)을 교반하고, 히터(25)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건조용 송풍기(26)에 의해 내측 조(13) 내의 세탁물(35)에 분사하여, 열 교환기(31)에 의해 열교환함으로써 제습하여 건조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열 교환기(31)에 의해 열교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측 조(14)의 내부 등에서도 열교환할 수 있어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세탁물(35)의 건조 얼룩을 적게 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히터(25), 건조용 송풍기(26)를 내장한 온풍 공급로(24), 열 교환기(31) 등이 외측 조(14)에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전중, 특히 탈수 행정에서의 진동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온풍 공급로(24)는 내측 조(13) 내의 공기를 취입하여 히터(25)에 의해 가열한 온풍을 내측 조(13)로 순환시키는 순환로를 형성하고, 외측 조(14)의 내부 또는 순환로에 형성한 열 교환기(31)에 의해 열교환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열교환 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콤팩트하며 또한 건조 효율이 양호한 세탁 건조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 교환기(31)를 본체(20)의 외부에 설치하여, 공랭에 의해 열교환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열 교환기(31)를 포함하는 순환로에서 온풍이 순환하는 동안에 열교환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콤팩트하고 또한 건조 효율이 양호한 세탁 건조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펄소미터(16)는 내측 조(13)의 내측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부에 경사면(17)을 갖고, 이 경사면(17)을 통과하여 거의 외부 가장자리에 도달하는 방사상의 리브(18)를 복수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펄소미터(16)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35)은 방사상의 리브(18)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져서 교반되고, 이 상방으로 올려진 세탁물(35)에 온풍이 닿아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의류의 건조 얼룩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수단(34)은 세탁 행정과 건조 행정에 의해 펄소미터(16)의 회전수를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펄소미터(16)를 세탁 행정과 건조 행정에서 최적의 회전수로 구동함에 의해 세탁 효율, 건조 효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덕트(29)를 거쳐서 외측 조(14)에 연결한 열 교환기(31)를 온풍 공급로(24)에 연결하여 폐쇄된 순환로를 형성하고 있지만, 열 교환기(31)와 온풍 공급로(24)를 연결하지 않고서, 폐쇄된 순환로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더라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 교환기(31)가 공랭에 의해 열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수냉에 의해 열교환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용 송풍기(36)는 본체(37)의 측면에 장착하고, 외기를 본체(37)의 내부로 유도하여 외측 조(14)를 냉각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탈수 행정 후, 건조 행정으로 이행되면, 냉각용 송풍기(36)가 동작하고 본체(37)의 외부로부터 냉각풍(외기)을 도입하여 외측 조(14)에 냉풍을 분사한다. 이에 의해, 외측 조(14)의 내부가 냉각되어, 외측 조(14) 안을 흐르는 고습도의 온풍을 효율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어 제습할 수 있고,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빨리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 교환기(31), 히터(25), 건조용 송풍기(26)는 본체(37)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체(37)의 내부에 설치함에 의해 냉각용 송풍기(36)에 의해 본체(37)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냉각풍을 열 교환기(31)에 분사하여 냉각할 수 있고, 열 교환기(31) 안을 흐르는 고습도의 온풍을 효율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어 제습할 수 있으며 한층 더 빨리 건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38)는 접속 덕트(29)를 거쳐서 외측 조(14)에 연결함과 동시에, 히터(25)와 건조용 송풍기(26)를 내장한 온풍 공급로(24)에 연결하여 히터(25)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순환시키는 순환로를 구성하고, 고습도의 온풍을 공랭에 의해 열교환하여 제습한다. 이 열 교환기(38)를 본체(37)의 코너부에 형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탈수 행정 후, 건조 행정으로 이행되면, 고습도의 온풍은 외측 조(14)의 내벽이나, 순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38)의 내벽 등에 접촉하기 때문에, 그들 표면에서 열교환되어 제습되고, 히터(25)에 도달할 때에는 냉각된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이 건조 공기가 히터(25)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세탁물(35)에 닿는 것을 반복함에 의해 건조가 진행된다. 여기서, 열 교환기(38)는 본체(37)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환로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38)의 외측벽에 복수의 방열 핀(39)을 형성함에 의해, 방열 핀(39)에 의한 방열 성능이 향상하기 때문에, 열 교환기(38)의 열교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콤팩트하며 또한 건조 효율이 양호한 세탁 건조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5에서는 방열 핀(39)이 열 교환기(38)의 외측벽에 형성되어 있지만, 열 교환기(38)의 내측벽에 형성하여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조(40)는 외벽면에 냉각용 송풍기(36)에 대향하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핀 형상의 가이드 벽(41)을 돌출시키고, 이 가이드 벽(41)에 의해 외기를 유도함과 동시에 방열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탈수 행정 후, 건조 행정으로 이행되면, 고습도의 온풍은 외측 조(40)의 내벽이나 순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31)의 내벽 등에 접촉되기 때문에, 그들 표면에서 열교환되어 제습되고, 히터(25)에 도달할 때에는 냉각된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이 건조 공기가 히터(25)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세탁물(41)에 닿는 것을 반복함에 의해 건조가 진행된다. 여기서, 외측 조(40)의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벽(41)에 의해, 냉각용 송풍기(36)에 의한 송풍이 이 가이드 벽(41)을 따라 외측 조(40)의 표면 전체에 널게 퍼진다. 이 때문에, 가이드 벽(41)이 핀를 겸용하고 있는 것과, 송풍이 이 가이드 벽(41)을 따라 외측 조(40)의 표면 전체에 널게 퍼지는 것에 의해, 외측 조(40)의 표면에서의 방열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열교환 특성이 비약적으로 양호하게 되어 건조 효율을 비약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42)는 물 공급부(43)를 갖고 수냉에 의해 열교환하여 제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온풍 공급로(24)는 히터(25)와 건조용 송풍기(26)를 내장하고 벨로스 형상의 신축 가능한 튜브(44)를 거쳐서 외측 조(14)의 상부에 형성된 내측 칸막이 판(28)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덕트(29), 열 교환기(42), 온풍 공급로(24) 등으로 거의 폐쇄된 순환로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벨로스 형상의 신축 가능한 튜브(44)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이 신축 가능한 튜브(44)를 통해서 내측 조(13)로 보내진다. 탈수가 종료된 세탁물(35)은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떼어내어지고, 그 후 내측 조(13) 내에서 펄소미터(16)의 회전시 방사상의 리브(18)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져서 교반된다. 이 상방으로 올려진 세탁물(35)에 온풍이 닿게 된다. 따라서, 온풍은 세탁물(35)의 수분을 제거하여 고습도의 온풍으로 되고, 내측 조(13)의 측면을 통해 내측 조(13)의 외벽과 외측 조(14)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외측 조(14)의 하부의 접속 덕트(29)로 들어간다. 그 후,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42)를 통해 히터(25)를 통과하여, 다시 건조용 송풍기(26)에 도달한다. 이 과정중에, 고습도의 온풍은 열 교환기(42)를 통과할 때, 물 공급부(43)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냉각되어 습기가 제거된다. 그리고, 히터(25)에 도달할 때에는, 냉각된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이 건조 공기가 히터(25)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세탁물(35)에 닿는 것을 반복함에 의해 건조가 진행된다.
이러한 동작의 과정에 있어서, 운전시에는 펄소미터(16) 또는 내측 조(13)가 회전하고 있다. 이 회전으로부터, 서스펜션 기구(19)에 의해 지지된 외측 조(14) 등의 진동체에는 상하 방향이나, 진동 방향의 진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진동이 자유로운 진동 형태이면, 외측 조(14)를 현수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서스펜션 기구(19)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본체(20)에는 전해지기 어렵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동에 대하여 고려해 보면, 본체(20)측으로부터 외측 조(14)의 내측 칸막이 판(28)으로의 사이에는, 신축 가능한 튜브(44)가 연결되어 있지만, 설치 형태가 대략 수직이고, 형상이 벨로스 형상이기 ??문에, 상하 방향, 진동 방향 모두에 제약을 적게 받는 자유로운 진동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로써, 서스펜션 기구(19)에 의해 지지된 외측 조(14) 등의 진동체의 진동에 의한 본체(20)의 진동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진동이 적은 세탁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열 교환기(42)는 물 공급부(43)를 갖고, 수냉에 의해 열교환하여 제습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랭에 의해 열교환하여 제습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 통로(45)는 벨로스 형상의 신축 가능한 튜브(46)에 연통하여 내측 칸막이 판(47)의 내측 조(13)측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공 통로(45)는 내측 칸막이 판(47)의 거의 중앙까지 도달하고, 그 출구부에 가이드부(48)를 형성하여 내부를 통과하여 온 공기의 방향을 내측 조(13)의 대략 중앙부를 향하게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5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5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이 신축 가능한 튜브(46)를 통과하여, 내측 칸막이 판(47)을 거쳐서 내측 조(13)의 내부로 들어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칸막이 판(47)의 거의 중앙부까지 중공 통로(45)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온풍은 중공 통로(45)를 따라서, 내측 칸막이 판(47)의 거의 중앙부까지 진행한다. 또한 중공 통로(45)의 출구부에는 가이드부(48)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온풍은 이 가이드부(48)를 따라서 아래 방향을 향하여 내측 조(13) 내로 공급된다. 이로써, 온풍은 효율적으로 내측 조(13) 내의 세탁물(35)에 닿을 수 있어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세탁에서 건조까지의 마무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튜브(49)는 내부에 체크 밸브(50)를 형성하고, 이 체크 밸브(50)는 온풍 공급로(24)로부터 내측 조(13)를 향하여 온풍이 흐를 때에는 개방되고 역 방향을 향하여 흐를 때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5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5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은 온풍 공급로(24)를 통해 신축 가능한 튜브(49)를 통과하여 내측 칸막이 판(28)을 거쳐서 내측 조(13)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 때, 예를 들면 세탁 행정 등에서, 수분 또는 비누 거품 등이 신축 가능한 튜브(49)를 통과하여 온풍 공급로(24)의 내부, 즉 건조용 송풍기(26) 또는 히터(25)를 향하여 침입하려고 해도 체크 밸브(50)에 의해서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요없는 것이 역류하는 것이 없어져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조(51)는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세탁 겸용 탈수조를 구성하는 내측 조(13)를 내장하며, 서스펜션 기구(19)에 의해 본체(52)에 현수되어 방진 지지되어 있다. 온풍 공급로(53)는 건조 행정에 있어서 내측 조(13)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것으로, 온풍을 가열하는 히터(25)와 내측 조(13)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용 송풍기(26)를 내장하고 본체(52)에 접속되어 있다. 신축 가능한 튜브(54)는 내측 조(13)의 세탁물 투입구(55)의 외주를 덮도록 형성하고, 외측 조(진동측)(51)와 본체(고정측)(52)를 접속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세탁 행정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탈수 행정은 세탁 행정 종료 후, 배수 콕(23)을 개방하여 내측 조(13) 내의 물을 배수한 후 모터(21)에 내장된 클러치를 탈수측으로 전환하고, 모터(21)의 동력을 탈수축을 거쳐서 내측 조(13)에 전달하여 내측 조(13)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탈수한다. 이 때의 내측 조(13)의 회전에 의해 서스펜션 기구(19)로 지지된 외측 조(51)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이 진동이 본체(52)에 전달되어 탈수 행정의 본체(52)가 진동하게 된다.
여기서, 외측 조(진동측)(51)와 본체(고정측)(52)가 신축 가능한 튜브(54)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조(진동측)(51)로부터 본체(고정측)(52)로 전달된 진동을 신축 가능한 튜브(54)에 의해 흡수하여 본체(5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축 가능한 튜브(54)는 세탁물 투입구(55)의 외주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의 작용이 없고 밸런스 양호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이 신축 가능한 튜브(54)를 통과하여 내측 조(13)로 보내진다. 탈수가 종료되어 내측 조(13)의 내벽에 달라붙어 있는 세탁물(35)은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떼어내어지고, 그 후, 내측 조(13) 내에서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펄소미터(16)의 경사부(17)를 따라 회전시킴에 의해 방사상의 리브(18)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져서 교반된다. 이 상방으로 올려진 세탁물(35)에 온풍이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온풍은 세탁물(35)의 수분을 제거하여 고습도의 온풍으로 되어, 내측 조(13)의 측면을 통과하고, 내측 조(13)의 외벽과 외측 조(51)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외측 조(51)의 하부의 접속 덕트(29)에 들어간다. 그 후,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31)를 통해 히터(25)를 통과하여, 다시 건조용 송풍기(26)에 닿게된다. 이 과정중에, 고습도의 온풍은 외측 조(51)의 내벽이나, 순환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31)의 내벽 등에 도달하기 때문에, 그들 표면에서 열교환되어 제습되고, 히터(25)에 도달할 때에는, 냉각된 건조 공기로 되어 있다. 이 건조 공기가 히터(25)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세탁물(35)에 닿는 것을 반복함에 의해 건조가 진행된다.
이렇게 하여, 외측 조(진동측)(51)와 본체(고정측)(52)를 세탁물 투입구(55)를 덮도록 신축 가능한 튜브(54)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튜브(54)를 밸런스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고,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에 의해 펄소미터(16) 또는 내측 조(13)가 회전하였을 때의 진동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조(51)의 상부에 온풍 유입구(56)를 갖는 내측 칸막이 판(57)을 형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8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8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은 온풍 공급로(53)를 통해 신축 가능한 튜브(54)를 통과하여 내측 칸막이 판(57)을 거쳐서 내측 조(13)의 내부로 들어가고 내측 조(13) 내의 온도를 올려,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온풍과 세탁물(35)을 접촉시킴에 의해 세탁물(35)을 건조시킨다. 이 때, 온풍 유입구(56)에 의해 온풍의 방향을 세탁물(35)에 근접한 위치에서 수직 하방으로 할 수 있어서 높은 온도의 온풍을 세탁물(35)에 접촉시킬 수 있어 세탁물(35)의 건조를 촉진한다.
이와 같이 온풍 유입구(56)를 갖는 내측 칸막이 판(57)을 형성하고, 온풍의 방향을 세탁물(35)에 근접한 위치에서 수직 하방으로 함으로써, 높은 온도의 온풍을 세탁물(35)에 접촉시킬 수 있어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조(51)의 상부에 온풍 유입구(58)를 갖는 내측 칸막이 판(59)을 형성하고 온풍 유입구(58)의 형상을 스로틀 형상으로 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9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9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은 온풍 공급로(53)를 통해 신축 가능한 튜브(54)를 통과하여 내측 칸막이 판(59)을 거쳐서 내측 조(13)의 내부로 들어가고, 내측 조(13) 내의 온도를 올려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온풍과 세탁물(35)을 접촉시킴에 의해 세탁물(35)을 건조시킨다. 이 때, 온풍 유입구(58)가 스로틀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풍이 수직 하방에 고속으로 주입되도록 송풍된다. 이 때문에, 높은 온도의 온풍을 세차게 세탁물(35)과 접촉시킬 수 있어 세탁물(35)의 건조를 촉진한다.
이와 같이 온풍 유입구(58)의 형상을 스로틀 형상으로 함으로써, 건조시의 온풍의 방향을 수직 하방으로 고속으로 분사할 수 있고, 높은 온도의 온풍을 세차게, 내측 조(13)의 하방의 세탁물(35)에까지 접촉시킬 수 있어 세탁물(35)의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구(60)는 온풍 공급로(61)로부터 신축 가능한 튜브(62)를 통하여 내측 조(13) 내로 온풍을 주입하는 것이다. 내측 칸막이 판(63)은 외측 조(14)의 상면에 장착하고, 이 내측 칸막이 판(63)에 덮개(64)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분출구(60)는 덮개(64)에 고정하고, 온풍 분출측을 향하여 단면적을 점점 작게하여 온풍의 유속을 크게하여 내측 조(13) 내로 온풍을 주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고,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은 온풍 공급로(61)를 통해 신축 가능한 튜브(62)를 통하여 분출구(60)를 거쳐서 내측 조(13)의 내부로 들어가고, 내측 조(13) 내의 온도를 올려,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온풍과 세탁물(35)을 접촉시킴에 의해 세탁물(35)을 건조시킨다. 온풍은 세탁물(35)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내측 조(13)의 측면의 구멍이나 유체 밸런서(15)와 내측 칸막이 판(63) 사이를 통하여, 접속 덕트(29)로 유도되고 열 교환기(31)에 도달한다. 열 교환기(31)에서는 습도가 상승한 온풍이 냉각, 제습되고, 제습수는 드레인 구멍(33)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온풍의 순환에 의해, 세탁물(35)을 건조시킨다. 그 동안, 펄소미터(16)는 정역 회전을 실행하여 세탁물(35)을 들어 올리면서 세탁물(35)의 교반을 반복하여 건조를 돕는다.
여기서, 분출구(60)는 유로 면적이 평활한 곡면에 의해 완만하게 좁혀져 있기 때문에, 온풍은 압력 손실이 적게 단면적은 좁혀지고 유속은 커진 상태로 내측 조(13)에 주입된다.
그리고, 세탁물(35)에 강하게 주입되어, 내측 조(13)의 하층부에까지 충분한 속도로 널리 퍼진다. 따라서, 세탁물(35)에 열과 대류를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건조 얼룩을 적게 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성능을 결정하는 건조 시간과 건조 얼룩은 서로 깊게 관련되어 있고, 실제로는 각각의 원인과 대책을 명확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부기해 놓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칸막이 판(65)은 외측 조(14)의 상면에 장착하고, 이 내측 칸막이 판(65)에 덮개(66)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다. 덮개(66)는 내측 칸막이 판(65)의 정면 전방에 위치하고, 내측 칸막이 판(65)에 지지된 축을 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칸막이 판(65)과 덮개(66)의 접합면에는 기밀 패킹을 설비하고, 폐쇄된 위치로부터 갑자기 개방되지 않도록 래치 또는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칸막이 판(65)에 온풍 유입구(67)를 형성할 때 이 온풍 유입구(67)를 내측 칸막이 판(65)의 구석측에 배치하여 개폐 가능한 덮개(66)와는 완전히 분리되게 한다. 분출구(68)는 온풍 유입구(67)에 직접 연결하고 내측 조(13)의 하방 중심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신축 가능한 튜브(69)는 온풍 유입구(67)와 온풍 공급로(70)를 접속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까지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전환 배수 콕(30)을 개방하여 히터(25)의 발열과 건조용 송풍기(26)의 송풍 동작에 의해, 온풍은 온풍 공급로(70)를 통해 신축 가능한 튜브(69)를 통과하여 분출구(68)를 거쳐서 내측 조(13)의 내부로 들어가고 내측 조(13) 내의 온도를 올려, 펄소미터(16)의 회전에 의해 온풍과 세탁물(35)을 접촉시킴으로써 세탁물(35)을 건조시킨다.
여기서,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 및 건조 행정까지에 있어서, 펄소미터(16) 또는 내측 조(13)가 회전하기 때문에, 외측 조(14) 등의 진동체는 진동한다. 서스펜션 기구(19), 접속 덕트(29), 신축 가능한 튜브(69) 등은 이 진동을 흡수하지만, 완전히는 흡수할 수 없어 본체(20)에 전해진다.
그러므로, 개폐 가능한 덮개(66)를 내측 칸막이 판(65)의 정면 전방에 배치하고, 분출구(68) 및 온풍 유입구(67)를 내측 칸막이 판(65)의 구석측에 배치하여 분리함에 의해, 상기 제 11 실시예의 구성에 비해서 외측 조(14)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들의 구성을 간소하고 경량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각 행정중의 외측 조(14)의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개폐 가능한 덮개(66)는 파선으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이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하지만, 다른 방식, 예를 들면 아코디온 커튼식이나 슬라이드 셔터식이어도 좋다. 또한, 개폐 가능한 덮개(66)를 형성하지 않고, 내측 칸막이 판(65)을 개폐하는 구성은 실제로는 조작 패널이나 상부 덮개 등이 본체(20)의 상부에 구성되기 때문에 곤란하다.
또한, 상기 제 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건조 성능을 결정하는 건조 시간과 건조 얼룩은 서로 깊게 관련되어 있고, 실제로는 각각의 원인과 대책을 명확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부기하여 놓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콕(71)은 배수시에 개방하는 것으로, 외측 조(72)의 하부에 형성하여 배수로(73)에 접속되어 있다. 일수로[溢水路(74)]는 외측 조(7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단은 외측 조(72)의 내측에 형성된 일수구[물이 넘쳐 흐르는 구멍(75)]에 연통하고, 하단은 배수 콕(71)으로부터 하류의 배수로(73)로 개구되어 연통하며, 외측 조(72)에서 소정의 최고 수위[일수구(75)까지의 수위]로부터 넘친 물을 배수로(73)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수로(73)에는 일수로(74)와 합류한 후에 도중에 물이 고이게 하는 형상으로 된 트랩(76)을 형성하고, 이 트랩(76)을 통하여 배수됨과 동시에, 트랩(76)에 의한 물 웅덩이에 의해 건조중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덕트(77)는 신축성을 갖고, 배수 콕(71)으로부터 상부의 배수로를 열 교환기(31)에 접속하며, 또한 히터(25), 건조용 송풍기(26)를 갖는 온풍 공급로(70)를 통해 신축 가능한 튜브(69)를 거쳐서 분출구(68)로부터 내측 조(13)의 하방 중심 방향을 향하여 온풍을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히터(25) 및 건조용 송풍기(26)는 일수구(7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 행정에 대하여 기술하면, 개폐 가능한 덮개(66)를 개방하여 내측 조(13) 내로 세탁물(35)과 세제를 투입하여 운전을 개시하면, 내측 조(13) 내로 급수 밸브로부터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 펄소미터(16)를 회전시켜 세탁 행정을 실행한다. 세탁 행정중, 특히 세탁물(35)이 많고 수위가 높을 때, 소정 수위를 초과한 물은, 외측 조(72)에 형성된 일수구(75)로부터 일수로(74), 배수로(73) 및 트랩(76)을 거쳐서 배수된다. 또한 이 때, 덕트(77)를 통하여 열 교환기(31)에도 외측 조(72) 내와 동일 수위로 될 때까지 물이 채워진다. 세탁 행정 후, 세탁 행정과 마찬가지의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
다음에, 탈수 행정으로 진행되고, 배수 콕(71)을 개방하여 내측 조(13) 내의 물을 배수한 후, 내측 조(13)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한다고 하는 통상의 동작을 실행하고, 건조 행정으로 이행한다.
다음에, 건조 행정에서는 배수 콕(71)을 폐쇄한다. 그리고, 펄소미터(16)를 급속히 정역 회전시킴에 의한 탈수의 원심력에 의해 내측 조(13)의 내벽에 달라붙은 세탁물을 떼어낸다. 그 후, 히터(25)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건조용 송풍기(26)에 의한 분출구(68)로부터 내측 조(13)에 주입시킨다. 그리고 온풍은 세탁물(35)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내측 조(13)의 측면의 구멍이나 유체 밸런서(15)와 내측 칸막이 판(65)의 간극, 펄소미터(16)와 내측 조(13)의 간극 등을 통하여, 외측 조(72)의 하부에서 덕트(77)로 유도되어 열 교환기(31)에 도달한다. 세탁물(35)의 수분을 증발시켜 습도가 상승한 온풍은 열 교환기(31)에 의해 냉각, 제습되어, 다시 건조용 송풍기(26)에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온풍을 순환, 제습하면서 건조를 진행시켜 간다. 열 교환기(31) 내에서 열교환함에 의해 발생한 제습수는 배수 콕(71)의 상부에 서서히 고인다. 이로 인해, 배수 콕(71)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 초 동안 개방하여, 고인 제습수를 배수하고, 제습수에 의해 온풍에 유로를 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동안, 펄소미터(16)는 정역 회전을 실행하여 세탁물(35)을 들어올리면서, 세탁물(35)의 교반를 반복하여, 건조를 돕는다. 또, 건조 행정중, 배수 콕(71)은 개방된 채의 상태이어도 좋다. 단, 온풍은 트랩(76)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지만, 일수로(74)가 우회로가 되어 온풍이 우회하여 건조 성능이 조금 저하될 가능성은 있다.
여기서, 건조용 송풍기(26)와 히터(25)는 전장 부품인 단자나 배선, 내부 회로 등에 물이 침입하면, 부품 파괴나 누전, 단락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건조용 송풍기(26)와 히터(25)가 일수구(7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헹굼 행정중에도 수위가 건조용 송풍기(26) 및 히터(25)까지 도달하지 않아, 물이 침입하는 일없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수로(74)와 합류한 후의 배수로(73)에 트랩(7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지장없이 배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 행정중, 일수로(74) 또는 개방된 배수 콕(71)으로부터 온풍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덕트(77)에 의해 배수 콕(71)의 상부의 배수로와, 온풍 공급로(70)에 접속된 열 교환기(31)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배수 콕(71)에 의해 본체(고정측)(20)와 외측 조(진동측)(72) 사이의 온풍 유로를 공간 축소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튜브(69), 온풍 공급로(70) 등을 상기 제 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있지만,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밸브(78)는 본체(20)에 고정되어 수도 꼭지로부터 수도물을 내측 조(13) 내로 급수하는 것으로, 내측 칸막이 판(79)에 형성된 급수구(80)를 통하여 내측 조(13) 내로 급수된다. 급수 덕트(81)는 신축성을 갖고, 급수 밸브(78)와 급수구(80)를 접속하며 급수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급수 경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 계통 형성되어 있고, 각각 급수구(80)에 형성된 세제 투입 용기(82)의 세제 투입부(82a)와 유연제 투입부(82b)에 대응하고 있다.
온풍 공급로(70)는 온풍을 가열하는 히터(25)와 내측 조(13)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용 송풍기(26)를 갖고,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온풍 공급로(70)에 벨로스 형상의 신축 가능한 튜브(69)를 거쳐서 분출구(68)를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칸막이 판(79)은 외측 조(14)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하여, 온풍의 상방으로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고, 이 내측 칸막이 판(79)에 덮개(83)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여 덮개(83)를 개방하여 세탁물(35)을 출입시킨다. 급수구(80) 및 분출구(68)를 사용자측에서 보았을 때, 내측 칸막이 판(79)의 구석측에 배치하여, 개폐 가능한 덮개(83)를 넓고 크게함과 동시에, 급수 덕트(81)를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온풍 공급로(70)의 상류측에는, 냉각 제습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열 교환기(31)는 신축성을 갖는 접속 덕트(84)와, 기류로를 개폐하는 기류로 개폐 밸브(85)를 거쳐서 외측 조(14)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트랩 배수로(86)는 접속 덕트(84)의 최하점에서 분기되고, 도중에 물이 고이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열 교환기(31)의 제습수를 배수함과 동시에,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배수 콕(87)은 세탁 배수시와 탈수시에 개방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9을 참조하면서 급수구(80) 주변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내측 칸막이 판(79)의 상측(하측이어도 상관없음)에는, 세제 투입 용기(82)가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세제 투입 용기(82)에 투입된 세제나 유연제는 급수와 섞여서 내측 조(13) 내로 공급된다. 체크 밸브(88)는 신축성이 있어 일 방향으로만 용이하게 개방되는 막 형상의 밸브로 위로부터 수압에 의해 깔때기 형상으로 개방되고, 수압이 없어지면 막이 수축되어 폐쇄된 상태로 된다. 샤워 노즐(89)은 급수구(80)의 선단에 형성되고, 다수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여 내측 조(13)에 샤워 형상의 물 분사를 실행한다. 또한, 샤워 노즐(89)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이한 형태의 물 분사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노즐도 필요에 따라 준비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 행정에 대하여 기술하면, 개폐 가능한 덮개(83)를 개방하여 내측 조(13) 내로 세탁물(35)을 넣는다. 세제 및 필요에 따라 유연제를 세제 투입 용기(82)에 투입하여, 운전을 개시하면, 배수 콕(87)과 기류로 개폐 밸브(85)가 폐쇄된 상태로, 급수 밸브(78)로부터 세제 투입부(82a)에 급수된다. 여기서, 세제를 물에 의해 녹여 세탁수로 되고, 급수구(80)의 체크 밸브(88)와 샤워 노즐(89)를 통과하여, 소정 수위까지 내측 조(13) 내로 급수한다. 다음에, 모터(21)에 내장된 클러치에 의해 모터(21)의 동력을 세탁축을 거쳐서 펄소미터(16)에 전달하여, 펄소미터(16)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35)을 교반하여 세탁한다.
세탁중, 특히 세탁물이 많아 수위가 높을 때, 세제의 거품이 급수구(80)로부터 급수 덕트(81)쪽으로 향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수도에까지 역류할 가능성이 있지만, 체크 밸브(88)가 이것을 저지한다. 또한, 외측 조(14)에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일수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지만, 만일 넘치더라도 체크 밸브(88)에 의해 저지되어, 최악의 경우의 수도에의 역류를 회피할 수 있다.
마지막의 헹굼 행정에는, 급수 밸브(78)의 유연제 투입부(82b)측이 개방되고, 유연제가 급수와 함께 내측 조(13) 내에 물 분사된다. 세탁, 헹굼 행정 종료 후의 탈수 행정은 내측 조(13) 내의 물을 배수 콕(87)을 개방하여 배수한 후, 모터(21)에 내장된 클러치에 의해 모터(21)의 동력을 내측 조(13)에 전달하여, 내측 조(13)를 펄소미터(16)와 함께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35)을 탈수한다.
다음에, 건조 행정은, 우선 펄소미터(16)를 급속히 정역 회전시킴에 의해, 탈수 행정에서의 원심력에 의해 내측 조(13)의 내벽에 달라붙은 세탁물(35)을 떼어낸다. 그리고, 배수 콕(87)을 폐쇄하고, 기류로 개폐 밸브(85)를 개방한다. 그 후, 건조용 송풍기(26)에 의해 발생한 바람이 히터(25)를 통과하는 동안에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고, 신축 가능한 튜브(69)를 통하여, 분출구(68)로부터 내측 조(13) 내로 주입된다. 이 때, 내측 칸막이 판(7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풍은 상방으로 달아나지 않는다. 그리고, 세탁물(35)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내측 조(13)의 측면의 구멍이나 유체 밸런서(15)와 내측 칸막이 판(79)의 간극을 통하여, 외측 조(14)의 하부에 연통하는 접속 덕트(84)에 유도되어, 열 교환기(31)에 도달한다. 열 교환기(31)에 의해, 고습도의 온풍이 냉각, 제습되고, 다시 건조용 송풍기(26)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온풍을 순환, 제습하면서 건조를 진행시켜 간다. 제습수는 트랩 배수로(86)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 동안, 펄소미터(16)는 정역 회전을 실행하여 세탁물(35)을 들어올리면서, 세탁물(35)의 교반을 반복하여, 건조를 돕는다.
이와 같이 하여, 외측 조(14)의 상부를 덮고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내측 칸막이 판(79)을 형성하고, 급수 밸브(78)와 내측 칸막이 판(79)에 형성된 급수구(80)를 접속하는 급수 덕트(8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 덕트(81)를 거쳐서 급수할 수 있고, 건조 운전시에는 온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성능이 우수하고, 실내를 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수구(80)를 사용자측에서 보았을 때, 내측 칸막이 판(79)의 구석측에 배치함에 의해, 급수 경로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탁물(35)의 투입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35)의 출입에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구(80)에 체크 밸브(88)를 형성함에 의해, 세탁중의 급수 덕트(81), 나아가서는 수도에의 거품이나 물의 역류를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튜브(69), 온풍 공급로(70) 등을 상기 제 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있지만,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체크 밸브(88)가 신축성 있는 막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체의 힘에 의해 하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도어 형상을 갖는 것이나, 전동 제어 밸브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체크 밸브(88)는 세제 투입 용기(8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세제 투입 용기(82) 내에서도 거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상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워 노즐(89)은 다수의 작은 구멍을 통하여, 내측 조(13)에 샤워 형상의 물 분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릿 형상이나 스프링 클러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다른 노즐에 의한 상이한 형태의 물 분사의 예로서는, 기포를 엉키게 하는 고속 분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의류의 건조 얼룩을 적게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전중, 특히 탈수 행정에서의 진동을 적게 하는 것으로, 세탁물을 투입하여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거의 원통 형상의 내측 조를 외측 조에 내장하고, 내측 조 내에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며, 내측 조 또는 교반 수단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온풍 공급로로부터 내측 조 내에 공급하는 온풍을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함과 동시에,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내측 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 가열 수단, 건조용 송풍기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을 제어한다. 건조 행정에서, 교반 수단에 의해 세탁물을 교반하고,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내측 조내의 세탁물에 분사하고 제습하여 건조한다.

Claims (24)

  1. 세탁물을 투입하여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거의 원통 형상의 내측 조와, 상기 내측 조를 내장하는 외측 조와, 상기 내측 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상기 내측 조 또는 교반 수단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온풍 공급로로부터 상기 내측 조 내로 공급되는 온풍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내측 조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용 송풍기와, 상기 모터, 가열 수단, 건조용 송풍기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건조 행정에서, 상기 교반 수단에 의해 상기 세탁물을 교반하고,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상기 건조용 송풍기에 의해 상기 내측 조내의 세탁물에 분사하여, 제습하여 건조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온풍 공급로는, 내측 조내의 공기를 취입하여,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한 온풍을 내측 조에 순환시키는 순환로를 형성하고, 외측 조 내부 또는 적어도 순환로의 일부에서 열교환을 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측 조 또는 순환로의 일부를 외기에 의해 냉각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외기를 유도하는 냉각용 송풍기를 형성하여, 적어도 외측 조 또는 순환로의 일부를 냉각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 수단은 내측 조의 내측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부에 경사면을 가지며, 이 경사면을 통하여 거의 외부 가장자리에 도달하는 방사상의 리브를 복수개 형성한 펄소미터로 구성한 세탁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세탁 행정과 건조 행정에 의해 교반 수단의 회전수를 상이하게 제어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내측 조를 내장한 외측 조를 현수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코너부에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순환시키는 순환로를 형성한 세탁 건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순환시키는 순환로의 외측벽 또는 내측벽에 방열 핀을 형성한 세탁 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조의 외벽면에 핀 형상의 가이드 벽을 돌출시키고, 상기 가이드 벽으로부터 외기를 유도함과 동시에 방열을 실행하도록 한 세탁 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온풍 공급로는 신축 가능한 튜브에 의해 외측 조와 연결되고 내측 조 내로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튜브는 온풍 공급로와 외측 조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시킨 세탁 건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튜브의 단부에 중공 통로를 형성하고, 이 중공 통로를 내측 조의 대략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 설치한 세탁 건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튜브의 내부에 체크 밸브를 형성한 세탁 건조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튜브는 내측 조의 세탁물 투입구의 외주를 덮도록 형성한 세탁 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외측 조의 상부에 온풍 유입구를 갖는 내측 칸막이 판을 형성한 세탁 건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온풍 유입구의 형상을 스로틀 형상으로 한 세탁 건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온풍 공급로로부터 내측 조 내로 온풍을 주입하는 분출구를 갖고, 상기 분출구는 온풍 분출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게 하여 유속을 크게 하여 내측 조 내로 온풍을 주입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외측 조에 형성한 내측 칸막이 판과, 상기 내측 칸막이 판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덮개와, 상기 내측 칸막이 판에 형성한 온풍 유입구와 온풍 공급로를 연통하는 신축 가능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가능한 덮개를 내측 칸막이 판의 정면 전방에 배치하여 온풍 유입구를 내측 칸막이 판의 구석측에 배치한 세탁 건조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조의 하부에 형성한 배수로 및 배수 콕과, 상기 외측 조의 측면에 형성한 일수구 및 일수로를 포함하고, 가열 수단 및 건조용 송풍기를 상기 일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 세탁 건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일수로는 배수 콕보다 하부에서 배수로에 합류하고, 합류 후의 배수로에 트랩을 형성한 세탁 건조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조의 하부에 형성한 배수로 및 배수 콕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콕보다 상부의 배수로와 온풍 공급로를 신축성의 덕트로 연통한 세탁 건조기.
  22. 세탁물을 투입하여 대략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거의 원통 형상의 내측 조와, 상기 내측 조를 내장하는 외측 조와, 상기 내측 조내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상기 내측 조 또는 교반 수단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온풍 공급로로부터 상기 내측 조 내로 공급되는 온풍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내측 조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용 송풍기와, 상기 모터, 가열 수단, 건조용 송풍기 등의 동작을 제어해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고습 온풍을 냉각 제습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내측 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외측 조의 상부를 덮어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내측 칸막이 판과, 급수 밸브와 내측 칸막이 판에 형성된 급수구를 접속하는 급수 덕트를 포함한 세탁 건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급수구를 사용자측에서 보았을 때 내측 칸막이 판의 구석측에 배치한 세탁 건조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급수구에 체크 밸브를 형성한 세탁 건조기.
KR1019990007655A 1998-03-12 1999-03-09 세탁 건조기 KR100562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087498A JP3451920B2 (ja) 1998-03-12 1998-03-12 全自動洗濯乾燥機
JP98-060874 1998-03-12
JP98-157283 1998-06-05
JP10157284A JPH11347280A (ja) 1998-06-05 1998-06-05 全自動洗濯乾燥機
JP98-157284 1998-06-05
JP10157283A JPH11347279A (ja) 1998-06-05 1998-06-05 全自動洗濯乾燥機
JP98-283695 1998-10-06
JP10283695A JP2000107483A (ja) 1998-10-06 1998-10-06 全自動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96A true KR19990077696A (ko) 1999-10-25
KR100562623B1 KR100562623B1 (ko) 2006-03-17

Family

ID=2746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655A KR100562623B1 (ko) 1998-03-12 1999-03-09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2623B1 (ko)
TW (1) TW47908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30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53B1 (ko) * 2001-02-05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60973B1 (ko) * 2001-04-18 2004-12-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로형 세탁 건조기
KR100473752B1 (ko) * 2001-06-14 2005-03-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세탁 건조기
KR100857799B1 (ko) * 2007-04-0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KR100937537B1 (ko) * 2006-10-26 2010-01-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2937B2 (ja) * 2010-03-18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5012938B2 (ja) * 2010-03-18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6382123B2 (ja) * 2015-01-28 2018-08-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265B2 (ja) * 1993-05-08 1998-06-11 三星電子株式会社 温風/温水供給装置を設けた洗濯機
JPH09774A (ja) * 1995-06-22 1997-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453B1 (ko) * 2001-02-05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60973B1 (ko) * 2001-04-18 2004-12-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로형 세탁 건조기
KR100473752B1 (ko) * 2001-06-14 2005-03-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세탁 건조기
KR20030027330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937537B1 (ko) * 2006-10-26 2010-01-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 건조기
KR100857799B1 (ko) * 2007-04-0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US8413471B2 (en) 2007-04-04 2013-04-09 Lg Electronics Inc. Cloth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9088B (en) 2002-03-11
KR100562623B1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342B1 (en) Electric washer-dryer
JP2005296631A (ja) 乾燥機兼用洗濯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I661097B (zh) 洗滌乾燥機
KR100562623B1 (ko) 세탁 건조기
JP4413639B2 (ja) 洗濯乾燥機
JP2002360987A (ja) 洗濯乾燥機
KR20060026193A (ko) 세탁기
JP3452026B2 (ja) 洗濯乾燥機
KR100413438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H11164982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41889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20020095370A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0413445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2001029687A (ja) 洗濯乾燥機
JP2005027766A (ja) 洗濯乾燥機
JP2003311069A (ja) 洗濯乾燥機
KR100379491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의 외조커버
KR100418892B1 (ko) 건조세탁기용 거품역류방지 방법
KR20180027041A (ko) 세탁장치
KR100413440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3432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3424653B2 (ja) 洗濯乾燥機
KR100418891B1 (ko) 건조세탁기용 송풍덕트의 구조
KR100418895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H11164981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