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047A -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수신기, 및 전송기 - Google Patents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수신기, 및 전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047A
KR19990077047A KR1019980705180A KR19980705180A KR19990077047A KR 19990077047 A KR19990077047 A KR 19990077047A KR 1019980705180 A KR1019980705180 A KR 1019980705180A KR 19980705180 A KR19980705180 A KR 19980705180A KR 19990077047 A KR19990077047 A KR 1999007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daptive filter
input
output
threshol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971B1 (ko
Inventor
에허드 랭베르그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슬래터리
글호브스팬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슬래터리, 글호브스팬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임스 슬래터리
Publication of KR1999007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114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 H04L25/0314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non-adaptive, i.e. not adjustable, manually adjustable, or adjustable only during the reception of special signals with a recursiv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021/007Computation saving measures; Accelerat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021/007Computation saving measures; Accelerating measures
    • H03H2021/0072Measures relating to the coefficients
    • H03H2021/0074Reduction of the updat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을 구현하는 수신기 시스템(100)에서, 입력 신호(134)의 진폭이 선정된 레벨(202)을 초과할 때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적응성 필터(145, DEF)의 적응을 금지하기 위해 입력 신호의 진폭이 감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감지된 신호가 선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에는 적응이 금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된 신호가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고정된 시간 주기 동안 적응이 금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임펄스가 몇몇 반복 패턴을 가지며, 노이즈 임펄스의 시간 주기 동안("윈도우") 적응성 필터의 적응을 금지시키기 위해 반복 노이즈 임펄스의 예상에 따라 금지 신호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수신기, 및 전송기
전송되어야 할 원하는 데이터 신호보다 훨씬 더 큰 진폭(및 에너지)을 갖는 원하지 않는 노이즈 임펄스(예를 들어 노이즈 스파이크)가 수신기의 입력에 발생하거나 존재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공지된 시스템은 전송기와 수신기의 전송 채널 사이에 야기되는 노이즈 및 왜곡(distortion)을 보상하기 위해 결정-피드백 등화기(decision-feedback equalizer)(DEF)와 같은 적응성 등화기들을 포함한다. DEF는 통상적으로 적응성 피드-포워드 필터 및 적응성 피드백 필터를 포함한다. DEF의 적응성 필터의 계수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노이즈 임펄스(예를 들어 원하지 않는 노이즈 스파이크)로 인해 중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DEF의 "트레이닝" 위상("training" phase) 동안 또는 DEF 의 데이터 전송(정지-상태(steady-state)) 위상 동안에 노이즈 임펄스가 발생할 수 있다. 노이즈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트레이닝 동안에 발생할 때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적응성 필터는 그 위상 동안 보다 큰 단계들(larger steps)을 사용해서 정상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문제는 항상 존재한다. 데이터 전송 위상 동안에, DEF 는 또한 DEF에 있는 슬라이서 회로(slicer circuit)가 정확한 데이터 심벌과 관련해서, 결정(decision), 즉 측정(estimate)을 하기 때문에 "에러를 전달하는(error propagation)" 경향이 있다. DEF는 피드백을 이용하기 때문에 현재 수신된 심벌과 관련한 부정확한 측정이 연속해서 수신되는 심벌들에 영향을 미친다. 노이즈 임펄스의 네트 영향으로 인해 적응성 필터들이 잘못된 조정(예를 들어 부적절하고 부정확한 조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적응성 필터들이 에러 정보를 차례로 전파하게 만든다.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는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에 에코 소거기 회로(echo canceler circuitry)를 또한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에코 소거기는 전송기(TR)부와 수신기(REC)부 사이에 접속된다. 에코 소거기는 하이브리드의 응답을 학습하고 하이브리드 출력으로부터 감해진 그 응답의 복제를 발생하여 에코-프리 수신 신호(echo-free received signal)를 생성하는 적응성 트랜스버설 필터(adaptive transverse filter)이다. 분명하게도, 트레이닝 동안 및/또는 에코 소거기의 데이터 전송 동안 수신기 라인으로 주입되는 임의의 큰 노이즈 임펄스는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소거기의 응답을 변질시킨다. 노이즈 임펄스의 네트 영향(net effect)으로 인해 에코 소거기 필터의 계수는 잘못된 조정(예를 들어 부적절하고 부정확하게 조정된 조정)을 하게 되고 이것은 차례로 적응성 필터로 하여금 에러 정보를 전달시키게 만든다.
에코 소거기 필터 및 적응성 등화기의 경우에, 큰 노이즈 임펄스로 인해 각각의 필터 내에 에러가 전달된다. 그렇지만, 필터들의 적응 특성(adaptive nature)으로 인해 에러 레벨을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된다.
전송기-수신기 시스템도 또한 톰린슨 프리코딩(tomlinson precoding) 회로와 같은 프리코딩 필터를 포함하며, 이 필터는 어떤 위상 동안(즉 트레이닝 또는 그 직후 동안) "설정"된다(예를 들어, 필터 계수는 DEF에 의해 갱신되고 조정된다). 일단 "설정"되면, 이들 필터는 연속하는 데이터 전송 위상 동안에는 설정된 대로 유지된다. 분명하게, 그러한 필터의 트레이닝 동안 시스템으로 노이즈 임펄스가 주입되면 필터는 연속하는 데이터 전송 위상 동안 부적절하게 설정되고 전송된 데이터는 높은 정도의 노이즈와 에러를 포함하게 된다.
노이즈 임펄스는 그래서 수신기의 여러 가지 부분과 그와 관련된 전송기에 채용된 적응성 필터들의 설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략하면, 임펄스 노이즈가 필터 응답을 왜곡시킴으로써 수신기의 실행이 감소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의 최대 거리가 효과적으로 제한되어 수신 상태가 노이즈 레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기에 주입되는 노이즈 임펄스의 악 영향을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하며, 특히 노이즈 임펄스(예를 들어, 노이즈 스파이크(noise spikes)의 영향이 감소되는 수신기 시스템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수신기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계 검출기 회로의 블록도 및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계 검출기 회로의 다른 블록도 및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응이 금지될 수 있는 적응성 필터의 블록도.
도 4A는 도 4의 일부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복구 회로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 비트/심벌 인코더 112 : 톰린슨 프리코딩
114 : 전송 필터 120 : 하이브리드
132 : 이득 제어 AGC 133 : 타이밍 복구 회로
135 : 지연 회로 170 : 슬라이서 회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수신기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의 진폭이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적응성 필터의 적응을 금지하기 위해 입력 신호의 진폭이 감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감지된 신호가 선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에는 적응이 금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송된 신호가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고정된 시간 주기 동안 적응이 금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임펄스가 몇몇 반복 패턴을 가지며, 노이즈 임펄스의 시간 주기("윈도우") 동안 적응성 필터의 적응을 금지시키기 위해 반복 노이즈 임펄스의 예상에 따라 금지 신호가 발생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성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에코 소거 회로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모뎀(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라인(101)으로 제공되는 2진수 입력 데이터 시퀀스는 먼저 비트/심벌 인코더(110)에 의해 처리되고, 이 인코더는 초당 초 당 1/T 심벌의 명목 속도로 복소수 값으로 된 심벌(SS)의 시퀀스를 출력하며, 상기 심벌은 입력 데이터 시퀀스를 나타내며, 상기 인코더는 또한 스크림블링 용장성 및 인코딩의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심벌 시퀀스{SS}는 톰린슨 프리코딩 회로(tomlinson precoding circuit)와 그 뒤를 잇는 전송 쉐이핑 회로(transmit shaping circuit)(114)에 의해 처리되고 그 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콘버터(D/A)(116)로 보내진다. 결과적인 아날로그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LPF)에 의해 필터 되어 근단 전송 신호(near-end transmittal signal), ns(t)로 형성된다. 후자는 하이브리드(120)에 의해 전송 채널(410)에 결합되어 있다. 예증적으로, 채널(410)은 중앙국(central office)(도시되지 않음)에 통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트위스트-페어(twisted-pair) 또는 2-배선 루프(2-wire loop)이다.
통신의 다른 방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모뎀(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는 하이브리드(120)에 의해 수신되어 대역통과 필터(BPF)(130)로 보내진다. 이 신호를 "원단 데이터 신호(far-end data signal)"라 하며, 전송된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모뎀(100)은 풀-듀플렉스 모뎀이다. 상기 파-엔드 데이터 신호로부터 신호 통과대역 바깥에 있는 에너지를 제거하는 대역통과 필터(130)의 출력은 자동 이득 제어(AGC) 회로(132)로 보내지며 이 이득 제어 회로는 필요한 범위 내에서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며 그 출력은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134)로 제공되며,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켜 수신된 신호 rs(t)를 형성한다. 알아두어야 할 점은 AGC 회로(132)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된 신호가 후술되는 검출기(202)를 트리거 하지 않도록 한다는 점이다.
대역통과 필터(130)의 입력에 도달하는 신호는 소위 니어(near) 에코 및 파(far) 에코에 의해 변질된다. 니어 에코는 하이브리드(120)에 의해 채널로 향하지 않고 하이브리드를 통해 누설되어 버리는 전송 신호 에너지를 포함한다. 파 에코는 제 1 예에서의 채널(410)로 향하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임피던스 오정합(impedance mismatches) 및 상이한 채널 변칙(other channel anomalies)의 결과에 따라 모뎀으로 반향 되는 신호 에너지로 구성된다. 그래서 A/D 콘버터(134)의 출력에 제공되는 수신된 신호 rs(t)에는 원단 데이터 신호로부터의 에너지뿐만 아니라 니어 에코 에너지 및 파 에코 에너지가 포함되어 있다. A/D(134)는 타이밍 복구 회로(timing recovery circuit)(133)의 일부인 클럭 신호에 의해 "스트로브(strove)"되어 그 출력에서 샘플화된 신호를 생성한다. A/D(134)의 출력은 지연 네트(135)의 한 입력 및 임계 검출기(202)의 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검출기(202)는 다수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비교기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임계 검출기(202)의 다른 입력에는 클리핑 임계 신호(clipping threshold signal)가 제공되며, 클리핑(임계) 레벨은 전압 레벨 또는 그에 상당하는 디지털이 될 수 있다. 검출기(202)는 A/D(134)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진폭을 비교하고(상기 신호 진폭은 수신기의 입력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진폭에 비례한다) 그것을 임계(클리핑) 레벨과 비교한다. 임계(클리핑) 레벨은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 값 이상으로는 데이터 신호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즉, 클리핑(임계) 레벨의 값이 초과할 때 그것은 원하지 않는 과도한 임펄스(또는 노이즈)가 수신 입력으로 제공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임계 검출기(202)는 제어 신호를 라인(209)상에 생성하는데 상기 제어 신호는 그 신호 입력(SI)이 클리핑 레벨보다 아래이면 제 1의 값을 가지며 그 입력 신호(SI)가 클리핑 레벨보다 위이면 제 2의 값을 갖는다. 검출기(202)의 제어 신호(CS) 출력이 제 1의 값을 가지면, 적응성 등화기와 에코 소거기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예상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렇지만, 검출기(202)의 CS 출력이 제 2의 값을 가지면 DFE와 에코 소기기에 있는 적응성 필터들의 적응은 금지된다.
임계 검출기(202)의 출력은 라인(209)을 통해 멀티플렉서(210, 211)의 제어 라인으로 제공된다.
멀티플렉서(210)는 DFE의 에러 신호(eQ)가 들어오는 제 1 입력과 일정한 신호 "EO"가 들어오는 제 2 입력을 갖는 두 개의 입력 선택 게이트이다. 신호 "EO"는 제로 에러 신호가 존재할 때 발생하는 eQ의 값에 대응하며, 다시 말하면 에러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eQ의 값과 적응성 피드-포워드 필터(FF)(160)의 계수와 피드백 필터(FB)(180)의 계수가 변경되지 않아야 하고 그래서 이것들은 이전의 값을 유지해야만 한다.
멀티플렉서(211)는 또한 에코 소거기의 에러 신호(eR)가 들어오는 제 1 입력과 일정한 신호 "EO"가 들어오는 제 2 입력을 갖는 두 개의 입력 선택 게이트이다. EFE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멀티플렉서(211)에 제공된 신호 EO는 제로 에러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되는 eR의 값에 대응하며, 다시 말하면, 에러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eR의 값과 에코 필터(145)의 계수는 변경되지 않는다. CS가 제 1 값을 가질 때, eQ는 MUX(210)의 출력 라인(212)에 결합되고 eR은 MUX(211)의 출력 라인(213)에 결합된다. CS가 제 2 값 "EO"를 가질 때는 MUX(210) 및 MUX(211)의 출력 라인에 결합된다.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A/D(134)의 출력은 지연 네트워크(135)를 통해 가산기(146)의 하나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는 라인(137)에 결합되어 있다. 라인(137)상의 신호는 신호 rs'(t)와 동일하게 될 것이지만 네트워크(135)의 지연에 의해 지연된다. 지연 네트워크(135)는 임계 검출기(202)가 A/D(134)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진폭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신된 신호의 전달을 충분히 길게 지연시키며 A/D(134)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진폭이 선정된 값, 즉 임계(클리핑)를 초과할 때마다 수신기 시스템의 적응성 필터의 "조정(adjustment)"을 금지하기 위해 제 2 값을 갖는 신호 CS를 생성한다.
원단 데이터 신호로 대표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구하기 위해서는 리드(137)에 제공되는 에코 에너지가 제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에코 소거기(140)는 수신된 신호 rs(t)를 프로세스 한다. 에코 소거기(140)는 근단 및 원단 에코 소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만을 도시한다. 에코 소거기(140)는 에코 소거기(145)와 가산기(146)를 포함한다. 에코 소거기(145)는 수신된 신호 rs(t)에 제공된 실제의 니어(파) 에코 신호에 근접하는 에코 측정(ec)을 형성한다. 에코 소거기(145)는 본질적으로 적응성 필터이며, 그 전송 기능은 톰린슨 프리코딩(112) 및 전송 필터(114)로부터 A/D 콘버터(134)를 통해 지역적으로 전송된 심벌 시퀀스(ss)에 의해 마주치게 되는 모든 필터링 동작, 즉 "에코 경로(echo path)"를 에뮬레이트 하도록 적응적으로 결정된다. 가산기(146)에서, (ec)는 실질적인 에코-프리 신호(substantially echo-free signal), rs'(t)를 생성하도록 rs(t)로부터 감해진다. 가산기(146)의 출력은 본 문헌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에코 소거기(145)의 계수를 조정하고 갱신하는데 사용되는 에러 신호(eR)로서 표시된다.
rs'(t) 신호는 채널과 다양한 수신기 소자에 의해 생기는 임의의 노이즈(예를 들어, 아날로그-디지털 콘버터(134)에 의해 생기는 양자화 에러)와 원단 신호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rs'(t) 신호는 또는 eR로 표시되어 있으며 멀티플렉서(211)의 한 입력으로 제공된다. 제어 라인 상의 제어 신호(cs)가 노이즈 레벨이 아래에 있음을 나타낼 때 클리핑 임계 레벨 멀티플렉서(210)는 eR 신호를 그 출력 라인(213)으로 통과시킨다. 그런 다음 eR 신호는 에러 신호를 상수 또는 스텝 크기 β로 멀티플라이 하는 멀티플렉서(214)를 통해 필터(145)를 적응시킨다. 라인(215)상의 결과적인 신호는 필터(145)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된다.
신호 rs't에 대한 다른 프로세싱은 도 1에서 결정 피드백 등화기(DFE)의 형태를 갖는 적응성 등화기에 의해 실행된다. DFE는 피드-포워드 필터(FF)를 포함하며 그 출력은 가산기(15)의 한 입력으로 제공된다. FF(160)는 전달된 신호에서 인터심벌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ISI)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적응성 필터(170)의 출력은 가산기(15)의 다른 입력으로 제공되며, 이것은 이론적으로 FF(160)의 출력 신호에서 ISI의 나머지 부분을 감산한다. 가산기(15)의 출력은 슬라이서(170)의 입력과 가산기(160)의 한 입력으로 제공된다.
슬라이서(170)는 가산기(15)의 출력에서의 신호 e1을 데이터 심벌의 미리 규정된 배치 구조(predefined constellation)(도시되지 않음)의 한 포인트에 매핑(mapping)하는 기능으로서 특정한 데이터 심벌을 선택한다. 슬라이서(170)는 매 T 초마다 데이터 심벌을 제공하며, 여기서 1/T는 데이터 심벌 속도이다. 이 데이터 심벌은 수신된 심벌의 측정(estimate)이며 슬라이서(170)에 의해 라인(123)상으로 제공되어 심벌/비트 디코더(182) 및 다른 복구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프로세스 되어 실제적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구한다.
슬라이서(170)의 출력은 또한 피드백 필터 FB와 가산기(16)에 제공된다. 피드백 필터 FB는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는 ISI의 양을 예측하여 라인(126)을 통해 가산기(15)로 ISI 예측 신호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산기(15)는 피드-포워드 필터(FF)(160)의 출력 신호에서 ISI 예측 신호를 감산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ISI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다.
가산기(16)는 라인(127)상에 존재하는 ISI 감소된 신호(e1)로부터 슬라이서(170)에 의해 제공된 측정된 데이터 심벌을 감산한다. eQ 신호는 피드-포워드 필터 FF 나 피드백 필터 FB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정정되지 않은 ISI 에러의 양과 채널 노이즈의 양을 나타낸다. eQ 신호는 피드-포워드 필터(FF)(160)와 피드백 필터(FB)(180) 모두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된다.
eQ 신호는 라인(129)을 거쳐 멀티플렉서(210)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제어 라인(209) 상의 제어 신호(CS)가 노이즈 레벨이 클리핑(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멀티플렉서(210)는 eQ 신호를 그 출력(212)으로 통과시킨다. eQ 신호는 그런 다음 멀티플라이어(111 및 131)를 통해 각각 필터(160 및 180)를 적응시킨다.
피드-포워드 및 피드백 필터의 적응 알고리즘(도시되지 않음)이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 error)(MMSE), 제로 포싱(zero forcing), 또는 그 변동의 사용에 부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멀티플라이어(111)는 ERROR 신호(eQ)를 상수 또는 스텝 크기, α1로 멀티플라이 한다. 라인(136)상에 제공된 결과적인 신호는 피드-포워드(FF)(160)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라인(129)상의 ERROR 신호(eQ)도 멀티플라이어(131)에 제공되고 이 멀티플라이어는 ERROR 신호를 스텝 크기 α2로 효과적으로 멀티플라이 한다. 라인(141)상에 제공된 결과적인 신호는 피드백 필터(FB)(180)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래서, 수신된 신호가 받아들여지고 예측되는 범위의 값내에 있다면 수신기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기능 한다. 그렇지만, 임펄스 노이즈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신호가 현재의 클리핑(또는 임계) 레벨을 초과하면 수신기 시스템의 적응성 필터들의 적응은 금지된다.
도 1에서, 과도한 신호의 조건(예를 들어 임펄스 노이즈)이 존재하는 한 임계 검출기는 제 2 값(즉 입력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을 갖는 신호 CS를 제공하는 비교기로서 기능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원 샷(252)을 유도하는 레벨 검출기(251)를 포함하는 임계 검출기(202)를 도시한다. 원 샷(252)은 트리거링 입력 신호에 응답해서 원하는 펄스 폭을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또는 임의의 형태의 타이밍 회로 또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2의 임계 검출기(202)는 레벨 검출기(251)에 의해 노이즈 임펄스가 감지될 때마다 펄스 폭 TW을 갖는 펄스를 제공하는 원 샷(252)을 가지며 레벨 검출기(OL)의 출력(OL)이 제 1 값(임계 레벨을 초과하지 않음)에서 제 2 값(임계 레벨을 초과함)으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도 2의 파형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임펄스는 트레일링 엣지(포스트 커서(post cursor))를 가지며 파형 A에서 시간 t1에서 t3으로 연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간 주기 동안 기준 레벨에 관해 발진한다. 원 샷(예를 들어 252)을 사용함으로써 폭 TW을 갖는 펄스가 발생되어 도 2의 파형 B 및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의 풀 라이징(full rising) 및 트레일링 엣지를 에워싸는 윈도우(window)를 생성한다. 그래서, 노이즈 임펄스에 응답해서, 원 샷은 수신기 시스템의 적응성 필터들이 적응(adapting)을 할 수 없는 동안 펄스를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노이즈 임펄스도 프리커서(precursor)(즉, 파형 A에서 시간 t0에서 t1 동안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펄스가 만들어지는 동안의 주기)를 갖는다.
신호 경로에 135와 같은 지연 네트워크를 배치하는 이유는 노이즈 임펄스의 전달을 지연시키고 원 샷을 트리거하여 대부분(전부는 아님)의 노이즈 임펄스(즉, 노이즈 임펄스의 프리커서 및 포스트커서)가 원 샷 주기 내에서 발생하고 그래서 적응성 필터들의 적응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지연 라인은 일반적으로 고가의 성분이며 필요한 시간 지연을 갖는 지연 라인을 생성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가능한 노이즈 임펄스의 발생을 예측하고 타이밍 회로와 결합하는 노이즈 임펄스 예측기를 사용하여 적응성 필터들을 금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이미 도시된 레벨 검출기(251)와 원 샷(252)에 부가해서 노이즈 임펄스 예측기(253)를 포함하는 임계 검출기(202)를 도시한다. 도 3의 회로는 도 3의 파형 A에 도시된 노이즈 임펄스가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예측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노이즈 임펄스 예측기(253)가 없는 경우에는, 레벨 검출기는 임펄스가 발생할 때 펄스를 생성하고 원 샷(252)을 트리거 하여 도 3의 파형 CS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노이즈 임펄스의 뒤를 이어 제어 신호(CS)를 MUX(210) 및 MUX(211)로 생성한다. 노이즈 임펄스의 상승 부분(rising portion)은 회로를 통해 허용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필터들이 금지되기 전에 불충분한 지연이 존재하면 적응성 필터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노이즈 임펄스가 반복적인 패턴을 갖거나 또는 노이즈 임펄스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3의 파형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노이즈 펄스를 예측하여 펄스를 생성하도록 기능하는 노이즈 임펄스 예측기(253)를 사용할 수 있다. 예상 펄스(B)는 OR 게이트(254)에 결합되어 있으며 원 샷(252)을 트리거하여 도 3의 CS MOD 파형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CS를 변형시킨다. CS MOD 파형에 도시된 결과적인 펄스는 MUX(210) 및 MUX(211)에 제공되는 신호로 된다. 계속해서, 제어 신호(CS)는 노이즈 임펄스의 발생에 선행하는 제 1 주기 동안과 노이즈 임펄스의 발생에 뒤이어지는 제 2 주기 동안에 수신기의 적응성 필터들의 갱신을 금지한다. 그래서 시스템의 적응성 필터들의 계수에 대한 설정은 이러한 형태(즉, 반복적이거나 예측 가능한) 노이즈 임펄스에 대해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노이즈 임펄스 예측기(253)는 수신기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과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도시되지 않음)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각각의 적응성 필터(예를 들어, FF 필터(160))는 에러 신호(예를 들어, eQ) 또는 제로 에러 상수(예를 들어, EO)를 멀티플렉서(예를 들어, 210)로 제공함으로써 적응되고 그런 다음 멀티플렉서의 출력은 멀티플라이어(예를 들어, 111)로 제공되며, 그런 다음 멀티플라이어의 출력은 필터의 계수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설명된 방법에 의한 것이며 선택된 시간 주기 동안 적응성 필터들의 적응을 금지하는 다른 방법과 수단들이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도 4는 설명의 목적으로 피드-포워드 필터(FF)로 생각할 수 있는 적응성 필터(400)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그렇지만, 필터(400)는 송수신기에서 어떤 다른 적응성 필터가 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은 필터로 입력되는 신호를 제한한다. 라인(401) 상의 데이터 입력 신호는 데이터 지연 라인(403)으로 제공되는데 이 지연 라인은 수신기 제어기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되는 메모리 판독 라인 신호(405)와 메모리 기록 라인 신호(407)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 지연 라인(403)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 d(n)는 멀티플라이어(409)로 출력된다. 멀티플라이어(409)의 다른 입력에는 계수 기억 장치(423)의 출력에서 제공되는 계수(cn)의 값이 입력된다. 멀티플라이어(409)의 출력은 가산기(411)에 제공되며 상기 가산기의 출력은 누산기(413)에 제공되고 상기 누산기(413)의 출력은 필터 출력을 제한한다. 필터(400)의 계수를 조정하는(변경하는) 한 모드는 멀티플라이어(111)에 의해 멀티플라이된 에러 신호(eQ 또는 EO)를 라인(136)을 통해 계수 갱신기(coefficient updater)(415)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계수 갱신기(415)로 입력되는 신호는 라인(417) 상의 현재의 계수 값[c(n)], 라인(419) 상의 현재의 데이터 값[d(n)], 라인(136) 상의 값으로 멀티플라이된 에러 신호(eQ 또는 EO)를 포함한다. 계수 갱신기(415)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플라이어(416)와 가산기(418)를 포함한다. 멀티플라이어(416)는 라인(136)상의 신호 (eQ 또는 EO)를 데이터 신호d(n)로 멀티플라이 하여 DELTA 로 표시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DELTA 신호는 가산기(418)에서 c(n)에서 감산되어 n(n+1)을 생성한다. 계수 갱신기(415)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는 새로 갱신된 계수 값 [c(n+1)]을 생성한다.
c(n+1) = c(n) - (α)(에러 신호)[d(n)] 식 1
즉, 필터 계수 [c(n+1)]의 새로 (갱신된) 값은 필터 계수 [c(n)]의 현재의 값에서 DELTA를 뺀 값이며, 여기서 DELTA는 멀티플라이어(a), 에러 신호(eQ 또는 EO)의 값 및 데이터 입력[d(n)]의 값의 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에러 신호 eQ는 입력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 제로(즉 "EO")로 설정되어 있다. eQ를 제로로 설정하는 대신에, 멀티플라이어는 c(n+1) = c(n)가 되도록 제로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분명하게도, 노이즈 임펄스가 선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한다는 검출에 응답해서 c(n+1)을 c(n)과 같게 만드는 어떠한 수단도 본 발명의 사고에 속한다.
c(n+1)의 값을 제어하는 대신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c(n+1)을 변하게는 하지만 그 기억 및 미래에 사용하는 것을 금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수 갱신기(415)의 출력 [c(n+1)]은 계수 기억 장치(423)에 제공되며 이 계수 기억 장치는 메모리 판독 라인(425)과 메모리 기록 라인(427)에 의해 제어된다. 도 4에서, 메모리 판독 라인(427)은 논리 게이트(429)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라인(431) 사의 그 출력은 계수 기억 장치(423)에 제공되어 새로운 값 c(n+1)을 계수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것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 노이즈 임펄스가 선정된 임계(클리핑) 레벨을 초과한다는 것을 CSA가 나타내는 시간 주기 동안 계수 기억 장치(423)의 c(n+1)이 기억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논리 게이트(429)로 제어 신호(CSA)가 제공된다. CSA는 검출기(202)로부터 유도되는 것이며 필터 계수의 갱신된 값의 기억을 제어(금지)하는 것은 노이즈 임펄스가 원하는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 적응성 필터의 계수들의 적응을 금지시키는 다른 방법임이 분명하다.
도 1의 회로에서, 임계 검출은 A/D 콘버터(134)의 출력에서 실행된다. 그렇지만, 상기 노이즈 임펄스 검출을 A/D 콘버터로의 입력에서 또는 입력되기 전에 회로의 아날로그 부분에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을 단일 수신기 채널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멀티-채널 수신기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을 위상 고정 루프 타이밍 복구 회로(도 1의 블록 133참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조정 가능한 회로(adjustable circuit)의 적응을 금지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타이밍 복구 루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해서 보다 양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A/D 콘버터(134)의 출력이 타이밍 복구 대역 엣지 필터(501)로 출력되고 타이밍 복구 대역 필터는 타이밍 벡터를 생성하여 위상 고정 루프(PLL) 회로(503)로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PLL(503)은 검출기(202)로부터 유도되는 신호(cs)에 의해 제어된다. 타이밍 합성기(505)에는 PLL의 출력(504)이 제공되며 또한 발진기(507)로부터 기본적인 클럭 신호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타이밍 합성기(505)는 수신기 샘플링 클럭을 생성하여 A/D (134)로 보내서 수신된 신호를 샘플화하고 또한 전송기 샘플링 클럭을 발생하여 디지털/아날로그 콘버터(116)로 제공한다. PLL(503)(적응성 필터를 포함함)은 합성기(505)로 신호를 제공하며, 이것은 상기 합성기로 하여금 샘플링 클럭의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샘플링 클럭의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주파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노이즈 임펄스는 PLL 출력을 차례로 시프트 시키는 대역 엣지 필터의 출력에서 왜곡을 야기하며 이에 의해 수신기 샘플링 클럭은 필요한 정확한 주파수를 가질 수 없게 되고 수신된 신호는 정확한 시간에 정밀하게 샘플화 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기(202)는 신호를 PLL(503)로 제공하여 합성기 출력에서의 주파수가 노이즈 임펄스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Claims (29)

  1. 수신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는 입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에 수신된 신호들의 기능에 따라 정상적으로 조정 가능한 적응성 필터를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하는 수단;
    상기 입력 단자에 수신된 입력 신호들의 진폭을 감지하고 그 진폭을 임계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이 상기 임계 레벨보다 아래일 때의 제 1의 값과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이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의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기 수단; 및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의 값을 가질 때 상기 적응성 필터의 조정을 금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수단은 상기 입력 신호가 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는 값에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값으로 변화할 때마다 선정된 시간 주기 동안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선정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인 수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가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한다는 예상(expected occurrence)에 응답해서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에 결합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예상하기 이전의 제 1 시간 주기 동안과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예상한 후의 제 2 시간 주기 동안에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적응성 필터 수단을 결합하는 수단은,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아날로그/디지털(A/D) 콘버터와;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과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 사이에 결합되어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을 지연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은, 검출기 수단으로 하여금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임의의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신호가 적응성 필터 수단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검출기에 결합되어 있는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은,
    (a) 상기 A/D 콘버터의 상기 출력에 결합되는 입력을 갖는 에코 소거기 회로; 및
    (b) 상기 A/D 콘버터의 상기 출력에 결합되는 입력을 갖는 적응성 등화기를 구비하는 수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코 소거기 및 적응성 등화기 각각은 조정 가능한 계수를 갖는 적응성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적응성 필터 각각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응답해서 관련 필터의 계수를 조정하는데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수신기.
  8. 제 6 항에 있어서, A/D 콘버터의 출력은 상기 지연 수단을 통해 제 1 가산기 회로의 한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에코 소거기는 상기 제 1 가산기의 다른 입력에 출력이 결합되는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로부터 측정된 에코 신호가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에 존재하는 에코 신호들로부터 감해지는 제 1 신호를 제 1 가산기의 출력에서 생성하며;
    상기 제 1 가산기의 출력에서의 신호는 그 계수를 조정하고 갱신하기 위해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에 제공되며;
    상기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의 계수에서 임의의 변화는 수신된 신호가 선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는 금지되는 수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수신된 입력 신호가 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을 때 제 1 가산기의 출력은 상기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로 제공되어 그 계수를 조정하며, 수신된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는 계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신호가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에 제공되는 수신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A/D 콘버터의 출력은 상기 지연 수단을 통해 결정 피드백 등화기(DFE)의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결정 피드백 등화기는 적응성 피드-포워드 필터, 적응성 피드백 필터, 슬라이서 회로, 및 제 1 및 제 2 가산기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샘플링 하는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복구 회로로서, 상기 주파수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의 기능에 따라 변하는, 상기 타이밍 복구 회로; 및
    상기 타이밍 복구 회로에 결합되는 상기 제어 회로에 응답해서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주파수에서의 임의의 변화를 금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12. 수신기 시스템의 적응성 필터에 대한 노이즈 임펄스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적응성 필터의 응답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의 적응성 필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필터는 입력 신호의 기능에 따라 정상적으로 적응되는 계수들을 구비하며, 적응성 필터의 응답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적응성 필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응성 필터의 계수들에서 임의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응성 필터의 계수들은 에러 신호, 상수 멀티플라이어, 및 데이터 신호의 곱의 기능에 따라 정상적으로 갱신되며, 계수들에서 임의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는 에러 신호, 상수 멀티플라이어, 및 데이터 신호의 곱을 제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적응성 필터의 계수들은 에러 신호, 상수 멀티플라이어, 및 데이터 신호의 곱의 기능에 따라 정상적으로 갱신되며, 계수들에서 임의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는 상기 곱을 제로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에러 신호를 제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적응성 필터의 계수들은 에러 신호, 상수 멀티플라이어, 및 데이터 신호의 곱의 기능에 따라 정상적으로 갱신되며, 계수들에서 임의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는 상기 곱을 제로로 설정하기 위해 상수 멀티플라이어를 제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노이즈 임펄스 영향 감소 방법.
  17. 전송기에 있어서,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는 입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유도되는 입력 신호들을 받아들이는 입력 및 출력을 가지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제어 단자로 제공되는 에러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들의 기능에 따라 정상적으로 갱신되는 계수들을 갖는 적응성 필터 수단;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입력과 상기 입력 단자를 결합하는 수단;
    상기 입력 단자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들의 진폭을 감지하고 그 진폭을 임계 레벨과 비교하여 입력 신호의 진폭이 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을 때의 제 1의 값과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이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의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기 수단; 및
    상기 적응성 필터의 제어 단자에 결합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의 값을 가질 때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송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수단은 상기 입력 신호가 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는 값에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값으로 변화할 때마다 선정된 시간 주기 동안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가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한다는 예상에 응답해서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제어 단자에 결합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예상하기 이전의 제 1 시간 주기 동안과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예상한 후의 제 2 시간 주기 동안에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적응성 필터 수단의 입력을 결합하는 수단은,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아날로그/디지털(A/D) 콘버터와;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과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입력 사이에 결합되어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을 지연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은, 검출기 수단으로 하여금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임의의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신호가 적응성 필터 수단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검출기에 결합되어 있는 수신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필터 수단은,
    (a) 상기 A/D 콘버터의 상기 출력에 결합되는 입력을 갖는 에코 소거기 회로; 및
    (b) 상기 A/D 콘버터의 상기 출력에 결합되는 입력을 갖는 적응성 등화기를 구비하는 수신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코 소거기 및 적응성 등화기 각각은 조정 가능한 계수를 갖는 적응성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적응성 필터 각각은 입력 신호에 응답해서 관련 필터의 계수를 정상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에 결합되는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수신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A/D 콘버터의 출력은 상기 지연 수단을 통해 제 1 가산기 회로의 한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에코 소거기는 상기 제 1 가산기의 다른 입력에 출력이 결합되는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로부터 측정된 에코 신호가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에 존재하는 에코 신호들로부터 감해지는 제 1 신호를 제 1 가산기의 출력에서 생성하며;
    상기 제 1 가산기의 출력에서의 신호는 그 계수를 조정하고 갱신하기 위해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의 제어 단자에 제공되며;
    상기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의 계수에서 임의의 변화는 수신된 신호가 선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는 금지되는 수신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수신된 입력 신호가 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을 때 제 1 가산기의 출력은 상기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로 제공되어 그 계수를 조정하며, 수신된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는 계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신호가 에코 소거기 적응성 필터에 제공되는 수신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A/D 콘버터의 출력은 상기 지연 수단을 통해 결정 피드백 등화기(DFE)의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결정 피드백 등화기는 적응성 피드-포워드 필터, 적응성 피드백 필터, 슬라이서 회로, 및 제 1 및 제 2 가산기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기.
  26. 수신기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들을 수신하는 입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되는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아날로그/디지털(A/D) 콘버터;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에 결합되며,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진폭의 기능에 따라 조정 가능한 제 1 적응성 필터 수단을 구비하는 에코 소거기;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에 결합되어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적응성 등화기로서, 상기 적응성 등화기는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진폭에 따라 조정 가능한 제 2 적응성 필터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적응성 등화기; 및
    상기 A/D 콘버터의 출력과 상기 제 1 및 제 2 적응성 필터 수단 사이에 결합되어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진폭이 선정된 값을 초과할 때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가 선정된 값을 초과할 때 제 1 및 제 2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검출기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수단은 A/D 콘버터의 출력에 결합되는 입력과 선정된 임계 레벨에 적용되는 다른 입력을 갖는 임계 검출기를 포함하며,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가 상기 임계 레벨보다 아래에 있을 때, 상기 임계 검출기는 제 1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A/D 콘버터의 출력에서의 신호가 상기 임계 레벨보다 위에 있을 때 상기 임계 검출기는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신호가 제 2의 값을 가질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 적응성 필터 수단의 조정을 금지하는 수신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검출기는 A/D 콘버터의 출력 신호가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2의 값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기.
  29. 제 26 항에 있어서, A/D 콘버터에 제공되는 입력 신호를 샘플링 하기 위해 주파수 신호들을 제공하는 타이밍 복구 회로로서, 상기 주파수 신호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의 기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타이밍 복구 회로; 및
    상기 타이밍 복구 회로에 결합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수신된 신호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주파수에서 임의의 변화를 금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수신기.
KR10-1998-0705180A 1995-12-29 1996-12-20 노이즈임펄스영향감소방법,수신기,및전송기수신기시스템 KR100458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86,008 1995-12-29
US08/586,008 US5703904A (en) 1995-12-29 1995-12-29 Impulse noise effect reduction
US08/586,008 1995-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47A true KR19990077047A (ko) 1999-10-25
KR100458971B1 KR100458971B1 (ko) 2005-06-08

Family

ID=2434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80A KR100458971B1 (ko) 1995-12-29 1996-12-20 노이즈임펄스영향감소방법,수신기,및전송기수신기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03904A (ko)
EP (1) EP0870363A4 (ko)
JP (1) JPH11506291A (ko)
KR (1) KR100458971B1 (ko)
CN (1) CN1149498C (ko)
BR (1) BR9612376A (ko)
TW (1) TW384574B (ko)
WO (1) WO19970248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767A (ko) * 2015-05-08 2018-01-12 자일링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프리커서 심볼-간 간섭 감소를 갖는 결정 피드백 등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7133A1 (de) * 1997-06-26 1999-01-07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Aufzeichnungsgerät zur Unterdrückung von impulsartigen Störungen in analogen Audio- und/oder Videosignalen
US6009132A (en) * 1997-07-25 1999-12-28 Globespan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lock recovery from a received data signal
US6144697A (en) * 1998-02-02 2000-11-07 Purdue Research Foundation Equalization techniques to reduce intersymbol interference
US6341148B1 (en) * 1998-11-04 2002-01-22 Level On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transient sampling fluctuations upon transition between modes of communication
US6707868B1 (en) * 1999-04-12 2004-03-1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vering timing of a digital signal for a transceiver
JP2001256728A (ja) * 2000-03-10 2001-09-21 Fujitsu Ltd 半導体装置
US6714956B1 (en) * 2000-07-24 2004-03-30 Via Technologies, Inc. Hardware accelerator for normal least-mean-square algorithm-based coefficient adaptation
US6925478B2 (en) * 2000-12-19 2005-08-02 Nikon Corporation Practical pseudo-asynchronous filter architecture
US6859488B2 (en) * 2002-09-25 2005-02-22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Detection of impulse noise using unused codes in CDMA systems
JPWO2006001301A1 (ja) * 2004-06-25 2008-04-17 株式会社進化システム総合研究所 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CN100362963C (zh) * 2004-08-05 2008-01-23 香港理工大学 可进行运动补偿的便携式保健监测装置及其补偿方法
CA2582957C (en) 2004-10-11 2013-09-03 2Wire Inc. Periodic impulse noise mitigation in a dsl system
US7953163B2 (en) 2004-11-30 2011-05-31 Broadcom Corporation Block linear equaliz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7852950B2 (en) 2005-02-25 2010-12-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nceling correlated noise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9374257B2 (en) * 2005-03-18 2016-06-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of measuring impulse noise parameters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7665012B2 (en) * 2005-11-04 2010-0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mpulse noise mitigation
US7573959B2 (en) * 2005-12-25 2009-08-1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lse noise
US20070165753A1 (en) * 2006-01-16 2007-07-19 Shun-An Yang Impulse noise remover and related method
US7813439B2 (en) 2006-02-06 2010-10-12 Broadcom Corporation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ulse noise detection
US8064504B2 (en) * 2006-04-20 2011-11-22 Lantiq Deutschland Gmbh Protection of communication systems against repetitive electrical impulse noise
JP5000936B2 (ja) * 2006-06-27 2012-08-15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ルチパスノイズ検出装置及びfm受信装置
US7852915B2 (en) 2007-03-21 2010-12-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aptive equalizer for communication channels
US8605837B2 (en) 2008-10-10 2013-12-10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frequency-domain reference noise canceller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s
US10783298B2 (en) * 2017-10-13 2020-09-2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mputer architecture for emulating a binary correlithm object logic gate
US10783297B2 (en) * 2017-10-13 2020-09-2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mputer architecture for emulating a unary correlithm object logic gate
WO2021189360A1 (zh) * 2020-03-26 2021-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跟踪方法及其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2048A (en) * 1982-02-11 1984-07-24 Rca Corporation Noise reduction circuitry for audio signals
JPS59246A (ja) * 1982-06-17 1984-01-05 Fujitsu Ltd トレ−ニング方式
JPS61102813A (ja) * 1984-10-25 1986-05-21 Hitachi Denshi Ltd 適応デイジタルフイルタ
JPS63149950A (ja) * 1986-12-12 1988-06-22 Fujitsu Ltd 等化器初期化方式
JPS63294020A (ja) * 1987-05-26 1988-11-30 Fujitsu Ltd エコ−キャンセラ−のトレ−ニング装置
US5517527A (en) * 1992-12-11 1996-05-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daptive equalizer for ISDN U-interface transceiver
US5602869A (en) * 1993-10-18 1997-02-11 Paradyne Corporation Adaptive transmit levels for modems operating over cellular
US5559840A (en) * 1994-09-27 1996-09-24 In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timing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ded data cha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767A (ko) * 2015-05-08 2018-01-12 자일링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프리커서 심볼-간 간섭 감소를 갖는 결정 피드백 등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4574B (en) 2000-03-11
CN1209224A (zh) 1999-02-24
EP0870363A1 (en) 1998-10-14
CN1149498C (zh) 2004-05-12
WO1997024802A1 (en) 1997-07-10
KR100458971B1 (ko) 2005-06-08
US5703904A (en) 1997-12-30
JPH11506291A (ja) 1999-06-02
EP0870363A4 (en) 2000-03-29
BR9612376A (pt) 199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971B1 (ko) 노이즈임펄스영향감소방법,수신기,및전송기수신기시스템
US5742642A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qualizer error
CA1210471A (en) Echo canceller
US652270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urbance suppression in a signal
US56756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recovery
US8102960B2 (en) Adaptation of a digital receiver
US56087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arrierless amplitude/phase encoding in a network
US5157690A (en) Adaptive convergent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6240128B1 (en) Enhanced echo canceler
JP4780904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に用いられるデコード装置及びその方法
US58125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arrierless amplitude/phase encoding in a network
US20070009017A1 (en) Residual Echo Reduction for a Full Duplex Transceiver
EP0577901B1 (en) Adaptive equ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5841809A (en) Access line termination unit
US5818740A (en) Decimator for use with a modem with time invariant echo path
JP2591764B2 (ja) アダプティブタイムディスクリートフィルタ
US6996230B1 (en) Echo-canceler for precoded fractionally spaced receiver using signal estimator
JP3457280B2 (ja) バイポーラデータストリームにおける妨害を抑圧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回路装置
WO1982003144A1 (en) Energy band discriminator
CA2320701C (en) Gigabit ethernet transceiver
CA2240679A1 (en) Impulse noise effect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