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728A - 전기통신 서비스 접속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통신 서비스 접속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728A
KR19990076728A KR1019980704847A KR19980704847A KR19990076728A KR 19990076728 A KR19990076728 A KR 19990076728A KR 1019980704847 A KR1019980704847 A KR 1019980704847A KR 19980704847 A KR19980704847 A KR 19980704847A KR 19990076728 A KR19990076728 A KR 19990076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call
internet
f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해리스
Original Assignee
내쉬 로저 윌리엄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쉬 로저 윌리엄,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내쉬 로저 윌리엄
Publication of KR1999007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04Q3/0033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customer-control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04Q3/0045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involving hybrid, i.e.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or multi-vend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04M3/42161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via comput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3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5PIN / Access cod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9Initializing, personal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5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WW interface, visual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9Fax,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5Intelligent networks, 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9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통신 네트워크용 장치를 제어하도록 사용자 접속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기통신 네트워크(102)용 구성장치(201)로의 통화가 인터넷 등의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205)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명령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때에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의해 발생되며, 사용자는 구성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요청받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이 구성 데이터를 상기 구성 장치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통신 서비스 접속방법 및 장치
머리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에스팩트(aspect)를 구성할 수 있는 전기통신 네트워크용 장치를 제어하도록 사용자 접속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화대전화 음성 통화를 위한 네트워크의 전기통신 회사들이 제공하는 기본 제품은 최근 많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예로는 전화 자동응답 및 메시지 저장, 음성 호출 전환 및 팩스 호출 전환 등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들은 중앙집중된 컴퓨터 사이트로부터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매우 복잡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들이 그러한 전화 자동응답기 등의 값비싼 장치들을 살 필요를 덜어주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에는 전화선 대신 사람들에게 전화 번호를 할당하는 것이 포함되는데 이 서비스는 때때로 개인 번호 다이얼링(personal number dialling)으로 언급된다. 따라서, 적절한 프로그래밍으로 고객이 전화기를 운반/이동할 필요 없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고객에게 직접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이론적으로는, 공중전화망상에서 제공되기도 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 및 운용하는 능력은 그것의 제한된 인터페이스가 있게되는 표준 전화의 간략성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특정 고객에게 매우 복잡한 서비스 어레이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화에 있는 간단한 번호 키패드로 이러한 서비스로 접속을 하는 것은 지루하고, 복잡하며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향상된 전기통신 서비스와의 접속을 위해 적절한 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장착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보다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객이 전화 및 팩스 장치를 가지고 공중교환망과 접속하는 시스템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에는 서비스 공급자에게 착신 음성 및 팩스 메시지를 저장하고, 전화 호출을 하루에도 여러번 다른 번호로 전송하고 다른 복잡한 전기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지능망 서비스를 포함하기도 한다.
고객은 상기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운용되는 번호 및 데이터 베이스를 호출하기도 하고, 전화 소유자가 예를들어 점심시간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동안 하루의 시간의 기록을 저장하기도 한다. 때때로, 하루의 특정 시간에서 그 번호로의 통화가 상기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내부 메시지 기록 설비로 전환된다. 서비스 공급자는 사용자에게 보통 하드디스크 어레이 등의 마그네틱 매체상에 나중에 틀어볼 수 있게 압축 형태로 저장될 메시지를 남기라고 알려준다. 때때로, 많은 상황에서, 상기 네트워크내부에서 사용 가능한 이 기술은 완전히 개발된 것은 아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한 측면에 따르면,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제2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 디바이스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기구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배열되어 있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단말로부터 구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디바이스로 구성 명령을 공급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성 디바이스가 있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음성 신호 및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배열된 교환전화망이다. 네크워트에는 선택된 목적지로 착신 통화를 전송하는 수단이 포함되기도 하고 착신 음성을 저장하는 수단이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 변조된 데이터 통화는 팩시밀리 전송일 수 도 있고 상기 팩시밀리 전송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기도 한다.
적절한 실시에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출력 명령 및 입력 명령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인터넷상에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에스팩트를 제어하기 위해 배열된 구성 장치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와 제어 장치간의 제2 통신 채널을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상기 제어 수단과 연결하는 상호접속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호접속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공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타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명령은 사용자에게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수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수정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및 상기 상호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에스팩트를 네트워크 공급자에 독립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게 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통신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저장되어 통신이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중계(relay)된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명령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인터넷상에서 공급된다.
도 1은 PSTN 을 제공하는 전기통신 서비스를 액세스하는 컴퓨터를 제공하는 알려진 배열;
도 2는 지능망 및 원격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공중교환전화망상에서 제공되는 전기통신 서비스를 액세스 하는 컴퓨터를 제공하기 위한 향상된 배열;
도 3은 마스터 프로세서 및 월드와이드웹 서버가 포함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된 지능망의 상세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터 프로세서상에서 운용되는 명령계층의 세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월드와이드웹 서버상에서 운용되는 명령계층의 세부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그래픽 페이지의 세부도;
도 7은 메시지 재생/보기 버튼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단말상에 디스플레이된 제2 그래픽 페이지의 세부도;
도 8은 상기 메시지 재생/보기 아이콘을 활성화 시킨 경우 도 3에 도시된 월드와이드웹 서버 및 도 2에 도시된 단말간의 대화를 나타내는 세부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단말상에 디스플레이된 제3 그래픽 페이지의 세부도;
도 10A 는 도 2에 도시된 지능망을 제어하기 위해 음성 전화가 사용되는 경우 수행되는 단계의 세부도;
도 10B 는 도 2에 도시된 지능망을 제어하기 위해 음성 전화가 사용되는 경우 수행되는 추가 단계의 세부도;
도 11A 는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도 3에 도시된 상기 지능망 내에서 운용되는 세부 절차도; 및
도 11B 는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도 3에 도시된 상기 지능망 내에서 운용되는 추가의 세부 절차도이다.
서비스 공급을 위한 일반적인 배열의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공급자(101)는 착신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많은 처리 설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처리 설비는 착신 전화 호출 및 팩시밀리 등의 전송에 관련된 데이터를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저장하기도 한다. 서비스 공급자(101)는 공중교환통신망(102)이 있는 통신 링크를 가지고 있고 이는 적절한 인터페이스 장비(107)를 통해 전화(103,104,105), 팩스(106) 및 컴퓨터 단말(108)과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 단말(108)은 서비스 공급자(101)의 서비스를 질문하고 설정하기 위해 정교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서비스 공급자는 다수의 상호접속된 특화된 전기통신 장치 및 제어 컴퓨터로 구성되는 지능망(201)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상기 네트워크 내부에 처리능력을 제공함에 의해, 고객의 요구 또는 새로운 서비스의 창조에 따른 하드웨어 장치를 제거 및 추가 함으로서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능망은 인터넷(202)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모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203,204)를 통해 컴퓨터 단말(205,206)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205,206)은 WWW 브라우징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데, 이것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로 식별되는 설정된 절차를 사용하여 인터넷상에서 통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지능망(201)이 도 3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상기 지능망(201)은 마스터 프로세서(301) 및 다수의 반자동 지능 주변장치(303,305,306 및 30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Stratus Fault Tolerant Computer 이고, 초당 수십 메가비트인 이데넷 근거리망(LAN)(302)를 통해 다른 주변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다.
공중교환전화망(102)는 표준 G703 C7 링크를 통해 전기통신 교환기(30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G703 C7 표준은 초당 수 2043000(2 메가비트) 직렬 채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각은 30 개의 음성 채널, 하나의 시그널링 채널 및 하나의 동기화 채널을 운반한다. 전기통신 교환기(305)는 그러한 초당 수십 메가비트 접속을 256 개 까지 허용하고 적절한 실시에에서는, 초당 2 메가비트 C7 채널(308)의 4개가 네트워크(102)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C7 채널(310)은 전기통신 교환기(305)와 상기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을 링크시킨다. 상기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은 음성 메시지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다. 전기통신 교환기(305)는 C7 채널(311)을 통해 팩스 박스(fax box)(307)와도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과 비슷한 방법으로 운용되지만 음성 데이터보다는 팩시밀리 영상 데이터를 져장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다. 팩시밀리 데이터는 상기 표준 G3 팩시밀리 포멧에서 저장되고 동시에 상기 팩스 박스(307)에서 도달하는 것 처럼 그래픽 교환 포멧(GIF)로 전송되는데, 이것은 인터텟(202)상에서 그래픽 데이터 통신을 하는 널리 알려진 표준이다.
단말(205)을 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는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301)상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상에 저장된 개인 프로파일(personal profile)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개인 프로파일에는 하루의 특정 시간에 통화가 사용자가 정의한 선택적 전화번호로 전화번호를 직접가게 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착신 통화는 상기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 또는 상기 팩스 박스(307)로 직접 갈 수 도 있다.
세 가지 타입의 데이터가 상기 지능망(201)에 저장되는데: 가입자의 개인 프로파일, 음성 메시지(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상의) 및 팩스 박스(307) 상의 팩스 메시지이다. 상기 WWW 서버(303)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3가지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의 전송을 배열하기 위해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301)와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WWW 서버(303)는 인터넷(202)와 연결된 단말(205)의 사용자가 그들의 각 개인 프로파일을 수정함으로서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상기 지능망(201)에 의해 수행된 연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음성 및 팩스 데이터는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 또는 팩스 박스(307) 사이의 전기통신 교환기를 통해 공중교환전화망(102)로부터 전송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공중교환전화망(102)상의 다른 전화 번호로 재연결된다. 데이터의 실제 경로는 마스터 프로세서(301)상에서의 명령 연산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301)는 지능망(201)에 있는 다른 주변장치들(303,305,306,307)에 명령을 하여 상기 이더넷 근거리망(302)상으로 직접 각 각 통신을 할 수 있어서 적절한 때에 상기 지능 주변장치로 데이터-강화 통신(data-intensive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상기 공중교환전화망(102)으로부터 통화가 처음으로 도달하면, 시그널링 정보가 상기 C7 채널 스트림(308)로부터 전기통신 교환기(305)에의해 추출된다.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전화(103) 및 목적지 전화번호 등의 소스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마스터 프로세서(301)는 재조정이 필요하 어느 전화 번호의 매치를 위해 교환기(305)에게 명령을 하여 조사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초기 시그널링 정보가 교환기(305)에 도달한 다음 매우 짧은 시간 후에, 상기 교환기(305)는 그의 적절한 목적지로 채널을 접속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C7 접속(310)으로 상기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으로 전송되기도 하고 또는 C7 접속(311)으로 상기 팩스 박스(307)로 전송되기도 한다. 선택적으로, 외부 라인(308)이 그 통화를 외부 전화선으로 전송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마스터 프로세서(301)는 주변장치와 통신을 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동작하도록 명령한다.
이더넷 근거리망(302)상에서의 통신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계류중인 유럽 특허 제 94 309 231 호에 설명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행되는데, 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가 충분한 리얼타임에서 구성되고 재구성될 수 있게 한다. WWW 서버(303)은 ISDN 접속(309)를 통해 인터넷(202)과 연결된 SPARC 스테이션(10)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지능망내의 마스터 프로세서(301)로서 동작하는 상기 Status Fault Tolerant Computer 는 도 4에 요약된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설정된 TCP/IP 통신 프로토콜(401)에 따른 표준 명령을 사용하여 초당 10 메가비트의 이더넷 근거리망(302) 통신이 얻어진다. 여기에는 상기 이더넷상에서 동시에 전송된 메시지간의 충돌을 검출하고 상기 이더넷(302)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유효한 패턴인지를 인증하는 설비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TCP/IP(401)는 마스터 프로세서(301)와 상기 지능망(201)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주변장치들 간의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반을 형성한다.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301)는 "UNIX" 계통의 운영체계에서 부호화된 명령(403)을 사용한다. UNIX 는 복잡한 근거리망을 위한 안정적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환경 내에서 TCP/IP(40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이더넷 접속(302)상에서 여러 지능 주변장치들 간의 통신에 지연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TCP/IP(401) 및 UNIX 운용체계(403)에 부가하여 추가의 RDP 계층(402)이 앞서 언급한 본 출원과 동시 계류중인 특허출원에 따라 제공된다. 이 명령 계층(401,402,403)의 조합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리얼타임의 지능망 프로세싱 실행을 허용한다.
전기통신 교환기(305)로부터 마스터 프로세서(301)로 정보를 공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당 10 메가비트의 이더넷 근거리망(302)이 사용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명령계층(401,402,403)은 이더넷 신호상에서 추출 프로세스(extraction process)가 실행될 수 있게 하여 C7 시그널링 정보가 시그널링 스택(signalling stack)(405)내에 저장되게 한다. 이 추출 프로세스는 Message Transport Protocol(MTP)를 해석할 수 있고 C7 신호가 제어 프로토콜내에서 부호화되는 방법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추가의 명령계층(404)에 의해 실행된 연산에 따라 수행되기도 한다. 시그널링 스택(405)내의 시그널링 정보를 저장하는 때를 카운트하기 위해 추가의 프로토콜이 사용되기도 한다. 특정 전기통신 서비스, 예를들어 전화 통화 전환, 음성 또는 팩스 메시지 저장 등의 서비스와 관련된 일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의 설정 같은 시그널링 스택(405)으로 공동-조정된 시그널링 정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표시를 하는데 적합하다. Service Logic Execution Environment(SLEE)이 상기 시그널링 스택(405)내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리얼타임 접속을 더 조직하고 서비스 제어 환경 내부의 마스터 프로세서(301)의 동작에 대한 다른 정보를 더 조직한다. 애플리케이션(407)은 음성 저장 등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각 각의 애플리케이션(407)은 SLEE(406)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과 통신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 같은 WWW 서버(303)로 동작하는 Sun Sparc Station(10)에는 초당 10 메가비트의 이더넷 근거리망(302) 통신용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며, ISDN 접속(309)를 통한 인터넷(202) 통신용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이 통신을 하기위한 명령이 도 5에 요약되어 있다. 명령계층(401,402,403)과 비슷하게 동작하는 명령계층(501,502,503)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3 계계층은 WWW 서버(303)상에서 UNIX 연산 시스템(503)을 사용하여 근거리망상에서의 리얼타임 지능망을 사용한다. 인터넷(202)상의 통신은 상기 Hyper Text Transfer Protocol(HTTP)(504)에 따라 수행된다. WWW 서버 명령(505)은 상기 명령계층(504)내에 정의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넷(202)과 통신한다.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의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전기통신 서비스들은 공통 게이트웨이 명령(CGI) 스크립트(506,507,508,509)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상기 4 개의 CGI 스크립트(506 내지 509) 각 각은 단말(205)에서 요구되기도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CGI 스크립트(506 내지 509)로 정의된 기능들은 단말(205) 등의 단말에 의해 원격으로 불러내어지기도 하며 WWW 브라우저를 추출하기도 한다. CGI 스트립트가 주문되면 이것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HTML) 명령이 되고, 상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에 따라 상기 단말(205)로 전송된다. 추가의 CGI 스크립트가 여러 다른 동작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4 개의 CGI 스크립트(506 내지 509)의 각 각의 효과의 특정 정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단말(205)을 동작하는 고객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WWW 브라우저로 알려진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인터넷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어느 사용자는 일반적인 WWW 브라우저, 예를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및 "모자이크(Mosaic)" 등을 사용하여 WWW 서버로의 접속을 한다.
상기 WWW 서버(303)로의 최초 접속을 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GI 스크립트(506)가 동작하고, 그 결과 HTML 명령이 상기 인터넷을 통해 단말(205)로 전송된다. 단말에서 동작하는 상기 WWW 브라우저는 상기 수신된 HTML 명령을 해석하고 도 6에 도시된 것 중 하나와 같은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킨다. HTML 에 의해 발생된 페이지에는 보통 하나 또는 여러개의 히이퍼-텍스트 링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버튼 아이콘 또는 하이퍼 텍스트 필드(602 내지 613)의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통신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접속을 위해 마그네틱 디스크 등의 형태로 네트워크 공급자로부터 직접 소프트웨어 명령을 얻을 필요가 없다.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일반적인 브라우저를 장착하기만 하면 된다. 이것은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네트워크 공급자간에, 설정된 프로토콜 등에 따라, 채널 설립을 가능하게 하고, 고객이 전기통신 서비스의 수정을 요구하는 명령은 고객의 단말에서 상기 WWW 상의 서버로부터 공급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네트워크 공급자는 사용자 명령의 특정 설정을 공급 및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다. 일부 사용자는 서버 프로토콜이 고객이 전기통신 네트워크로 액세스를 할 필요가 있는 더 다른 명령이 있으면 상기 WWW 을 통해 액세스를 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 시간에서 이 명령들은 새로운 서비스의 수정, 개선 및 공급에 응답하여 업데이트 되고, 이 새로운 명령 환경은 고객이 WWW 브라우저/서버 통신 경로를 통해 요청이 있는 즉시 최신 업데이트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고객이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필드는 마우스-동작 포이터를 통해 활동되기도 한다. 각 각의 필드에는 그와 연관된 명령이 있는데, Universal Resource Locator, URL 로 알려진 일련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 필드가 활동하게 되면, 그와 연관된 URL 이 전송되고, 어느 텍스트가 그 필드로 들어오고 하이퍼 텍스트의 페이지가 발신된 곳으로부터 상기 WWW 서버(303)으로 되돌아 온다. URL 에는 특정한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GI) 스크립트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데, 다음에 이것이 불려져 나오고, 새로운 HTML 의 페이지가 상기 단말(205)에서 수신되는 결과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페이지에는 제목(601)이 있는데, 이것은 WWW 서버(303)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설명의 등록상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사용자에게 상기 WWW 서버(303)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장점을 알리는 시각적으로 호소하는 색깔을 가진 그래픽 로고가 되고 그들의 가입자 계좌로 정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는 공중 교환망의 추가 사용자를 있게 만드는 메카니즘처럼 인식되는데, 이것은 네트워크 공급자에게 수입의 증가를 가져오게 한다.
WWW 서버(303)를 통한 지능망(201)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로의 액세를 위해서, 사용자 운용 단말(205)은 보안레벨을 보증하기 위해 계산 필드(602)내의 계좌번호 및 각 각의 필드 내의 개인 식별 번호(PIN)를 올바르게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계좌번호 필드(602) 및 PIN 필드(603)의 아래에는 여러 고객 옵션 필드(604 내지 607)가 위치한다. 이들은 고객이 다음과 같은 특정 동작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데: 고객의 프로파일(604)의 상태 보기, 그들의 다이어리(605) 수정, 그들의 고객 프로파일(606)의 상태 변경 및 메시지가 팩스인지 음성인지에 따라 그들의 메시지(607) 보기 또는 듣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태 옵션 필드(606)은 고객인 여러 개인 번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면, 고객은 하나의 집 번호 및 하나의 사무실 번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번호 각 각에는 그와 관련된 상태가 있는데, 이것은 통화를 일반적으로 간단히 화면에 보이게 하거나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어리 옵션(605)은 고객이 통화를 전환하여 그날 및 그 주의 어느 날의 시간에 따라 여러 번호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아래의 고객 옵션(604 내지 607)은 "Go-for-it" 버튼 필드인데, 적절한 마우스 동작으로 활동하게 되는때 상기 동작 선택을 위의 것으로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Clear" 버튼 필드(611) 이 사용되어 페이지를 클리어 하거나 상기 WWW 서버(303)과의 접속을 끊기도 한다. 다른 옵션으로는 "About Secnet" 버튼(612)이 있는데, 이것은 공급상의 전기통신 서비스에 관한 일반적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고, "Home Page" 버튼(613)은 단말(205)상의 WWW 브라우저 동작을 그 접속을 종료하게 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 처럼, CGI 스트립트(507)은 도 6의 옵션(607)의 활동에 응답하여 HTML 을 발생시키는데, 단말(205)의 사용자는 통화를 건 사람이 남긴 메지시를 찾기 위한 옵션을 선택한다. CGI 스크립느(507)는 ISDN 접속(309), 인터넷(202)을 통해 제공된 HTML 을 발생하고, 단말(205)로의 모뎀(203)은 도 7에 도시된 그래픽 페이즈의 디스플레이가 된다.
CGI 스크립트(507)의 실행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는 제목 필드(701),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위한 필드(704)가 있는 음성 메시지(702,703) 및 통화가 이루어진 시간(705)이 포함되어 있다. 더 다른 디스플레이된 것은 팩스 메시지(706,707)인데, 여기엔 호출 번호용 필드(708) 및 팩스가 이루어진 팩스 통화의 시간용 필드(709)가 포함되어 있다. 더욱이, 메시지(710,713) 등의 전자 메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는데, 통화 어드레스를 식별하는 필드(711) 및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을 식별하는 필드(712)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는 메시지의 각 타입의 두 예가 포함되어 있지만,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의 수는 남아있는 통화자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음성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으로는, 각 메시지 타입 이상의 여러개가 단말(205)의 시각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사용가능한 충분한 여유가 없은 것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리스트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다수의 메시지를 통해 스크롤링(scrolling)을 위한 설비들이 WWW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동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크린 상의 포인터 조작, 예를들어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음성 메시지(702,703), 팩스 메시지(706,707) 또는 e-mail 메시지(710,713)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선택된 메시지는 선택된 메시지으 디스플레이된 색깔을 변화시킴으로서 눈에띄게 되고 일단 이 방법으로 선택되면 음성 메시지를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선택적으로, 재생/보기 버튼(710)을 사용함으로서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를 보게할 수 도 있다. E-mail 메시지는 테스트-음성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음성 메시지로 재생할 수 있기도 하고 이 옵션은 활동 버튼(716)에 의해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시지의 어느것도 인출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기도 하고, 상기 클리어 버튼(715)가 사용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의 디스플레이로 되돌아오는 결과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사용가능한 음성,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의 목록의 발생은 상기 CGI 스크립트(507)에 의해 수행된다. 이 사용가능한 메시지의 목록을 발생키키기 위해서는, WWW 서버(303)가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 및 팩스 박스(307) 모두와 통신을 할 필요가 있다. 알려진 많은 컴퓨터 네크워크에서는, 예를들어 파일 서버 네트워크로 알려진 포맷내의 이러한 동작에서는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301)는 보통 WWW 서버와 다른 주변장치들 간의 모든 통신을 일반적으로 통합시킨다. 그러나, 적절한 실시예의 지능망에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301)는 여러 지능 주변장치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임한다. 따라서, 마스터 프로세서가 인터넷(202)상에서 통화를 하는 고객과의 온-라인 대화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모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WWW 서버(303)에게 명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발생되는 동안, CGI 스크립트(507)의 실행은 WWW 서버(303)가 그 호출 번호가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에게 질문하도록 만든다. 이 정보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고객의 단말(705)로 전송을 위해 HTML 로 번역된다. 필드(704)는 액티브 URL 이고 음성 메시지를 남긴 통화자의 통화선 식별을 보이기 위해 배열된다. 적절한 마우스 버튼을 조작하여 이 URL 을 검사함으로서, "헬퍼(helper)"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이언트 측(705)에서 활동하게 된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도움이 되는 이 헬퍼 애플리케이션은 저장된 라인 식별 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를 초기화 시킴으로서 상기 호출을 되돌리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팩시밀리 박스(307)은 표준(GⅢ) 팩시밀리 포멧 및 그래픽 이미지 포멧(GIF)로 구성된 두 포멧내의 팩스를 저장한다. 표준 팩시밀리 포멧 전송은 리얼타임 팩스 전송 동안 수신되고 GⅢ 로부터 GIF 까지의 번역은 상기 팩시밀리의 수신 동안 수행되는데, 주어진 상대적으로 낮은 팩스 전송 속도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이 데이터는 종래의 팩스장비로 GⅢ 포멧내의 재전송 또는 GIF 포멧을 사용하여 인터넷 단말로의 전송을 허용하는 두 포멧으로 저장된다. 고객이 단말(205)에서 팩시밀리를 보고자 한다면, GIF-포멧된 문서가 초당 10 메가비트의 이더넷 근거리망(302)상으로 상기 WWW 서버(303)으로 전송될 것이다. 이 포멧이 이미 사용자의 단말(205)상에서 운용되는 WWW 브라우저로의 전송을 위해 적절한 형태라면, 이 단계에서는 어떠한 번역도 할 필요는 없다.
CGI 스크립트는 POP3 및 IMIP4 등의 현재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후자는 멀티-미디어 e-mail 을 지원하고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허용하며 그림 및 동영상 신호도 지원한다. 이것은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메시징에 완전히 호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고객은 고정된 또는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및 팩스 메시지를 수신할 수 도 있어서 이것을 사용가능한 전자메일 시스템의 모든 툴을 가지고 전자메일을 발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결합시키고, 그래서 메시지는 자신의 내부 인트라넷 상의 다른곳으로 배달되기도 하고 또는 이러한 타입의 전송과 더욱 호환되는 형태의 인터넷의 더 많은 사람들에게 배달되기도 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가능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 팩스 및 음성 메일 아니콘들이 디스플레이 되고 마우스를 수동 조작하여 드레그되는 구조로 되고, 멀티-미디어 e-mail "작업대(workbench)" 로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한다. 다음으로, 마우스를 놓아 그 아이콘을 정방향 전송 준비 e-mail 시스템으로 드롭 시키고 서버에서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적절한 미디어 전환을 하게한다.
단말(205)내의 라우드 스피커로 재생을 하는, 도 7에 도시된, 메시지(702)를 선택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메시지(702)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은 서버(303)와 단말(205)상에서 동작하는 브라우저 명령간의 대화 형태로 요약된다. 처리과정(801)에서, 재생 버튼 필드(710)는 액티브 되어 특정 음성 메시지를 위한 URL 을 발생한다. 이 URL 에는 음성 메시지(702,703)의 디스플레이된 리스트가 요청된 표시가 포함되어 있다. 이 URL 은 모뎀(203)을 통해 인터넷(202)을 경유하여 WWW 서버(303)으로 전송된다. 처리과정(802)에서, WWW 서버(303)는 이 URL 을 수신하고 CGI 스크립트(506 내지 509)가 불려져야 하는것을 결정하기 위해 그 내용물을 조사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의 재생은 CGI 스크립트(508)의 주문을 요청하고 그러면 불려온다.
처리과정(803)에서, CGI 스크립트(508)는 그곳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검색하기 위해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을 가지고 초당 10 메가비트의 이더넷 근거리망(302)으로 통신을 한다. 그러면 이 음성 메시지는 상기 이더넷 근거리망(302)상으로 상기 WWW 서버(303)으로 전송된다. 이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은 적절한 포멧으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데, 단말(205)상에서 동작하는 WWW 브라우저로의 전송에는 부적절하다. 처리과정(804)에서, 상기 WWW 서버(303)은 이 적절한 음성 메시지 저장 포멧을 .AU 포멧으로 알려진 널리 허용되는 포멧으로 번역한다.
그다음 CGI 스크립트(508)는 단말(205)상에서 동작하는 WWW 브라우저에게 상기 .AU 파일을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HTML 을 발생한다. 처리과정(805)에서, 상기 .AU 파일은 적절한 HTML 로 되어 단말(205)로 인터넷(202)상에서 전송된다. 처리과정(806)에서, WWW 브라우징 명령은 그 HTML 을 해석하여 HTML 코드의 분해 및 그 .AU 파일의 전송이 디지털-아날로그 전환 및 증폭을 포함하는 적당한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로 전송되어 기록된 메시지가 단말(205)내의 라우드 스피커로 재생되게 한다.
도 7을 간략히 살펴보면, 팩시밀리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가 재생되는 방법과 매우 동일한 방법으로 보이기도 한다: 예를들어, 재생/보기 버튼 필드(710)의 조작하여 팩스 메시지(706)을 선택하면 상기 WWW 서버(303)으로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팩스 메시지용 URL 을 발생시키는데, 적절한 CGI 스크립트, 이 경우에는 CGI 스크립트(509)가 불려지는 곳이다.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이 있는 도 8에 설명된 비슷한 통신은 팩스 박스(307)로 수행된다. 도 8의 단계806 은, 라우드 스피커상으로 .AU 파일을 재생하는 대신, GIF 파일이 단말(205)의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이 디스플레이가 도 9에 나타나 있다. 팩스 디스플레이는 필드(708,709)를 포함하는 상기 팩스(706)의 요약을 재생산하고, 이것은 상기 팩스 통화를 한 통화자 위치 및 시간을 나타낸다. 두 개의 하이퍼텍스트 링크가 팩스 페이지(901,902)에 나타난다. 순환 버튼 필트(901)은 이 팩스를 순환하게 만드는데, 상기 팩스가 전송되는 팩시밀리가 위쪽 아래로 삽입되는 경우,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한 페이지만 있는 경우, 하이퍼텍스트 버튼 필드(902)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고, 이것은 다음 팩스 페이지를 선택하게 한다. 상기 팩스 자체(903)가 종이에 재생산되는 경우 나타나게 되는 것처럼 그래픽적으로 나타난다. 넷스케이프 등의 WWW 브라우징 환경내에서 사용가능한 프린트 옵션은 문서가 스크린상에 나타나게 되는 것처럼 프린트하는 설비를 제공하여 상기 팩스(903)를 출력하는 것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표준 WWW 브라우저 연산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여러 다른 옵션들이 도 6에 나타나 있는데: 상태(604), 다이어리(605) 및 변화 상태(606)이 있다. 이들 각 각은 고객의 단말(205)상에서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WWW 서버(303)상에서 실행되는 CGI 스크립트와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 옵션들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지능망의 어떤 에스팩트(aspect)의 동작을 설정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들어, 고객은 하루중에 및 주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전화번호가 있는 다수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팩시밀리가 저장되거나 전환되는 경우 정의되는 것이 가능하다. 비슷하게, 통화는 단말(205)상에서 WWW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상기 고객에 의해 공급된 정보에 따라 여러 전화번호로 저장되거나 연결되기도 한다.
설명된 상기 시스템은 교환 네트워크(102)상의 착신 통화를 특정 고객의 필요에 따라 재연결 또는 저장되게 한다. 고객은 인터넷과 연결된 원격 단말(205)상에서 저장된 팩시밀리를 보거나 저장된 메시지를 듣기도 하고, 선택적으로 하루중 또는 주중의 여러 시간에서 통화-경로설정 옵션을 수정하기도 한다.
넷스케이프 등의 적절한 WWW 브라우저가 장착되어 있는 어느 고객의 단말이 인터넷과의 접속에 사용되기도 하여 지능망(201)에서 기록되어온 통화 전환 및 통화 접속을 제어한다. 이 모든것에는 고객이 자신들의 개인용 주변장치와의 접속 전에 그들의 아이덴티티를 인증받기 위해 올바른 PIN(603) 및 계정번호(602)내의 타입을 필요로 한다. 인터넷은 세계 어느곳에도 저장된 메시지를 쉽게 접속하게 해주고 전기통신 서비스를 변화시키는 단계의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WWW 을 사용함으로서 정교한 사용자-친화적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고객은 어느 시간의 어느 지점에서는 적절한 인터넷 단말을 접속하지 못할 수 도 있고 서비스로의 접속은 표준 전화를 사용하여 제공되기도 한다. 적절하게는, 공중교환전화망상에서 상기 지능망과의 통신하는 추가 수단이 인터넷(202)과 연결된 컴퓨터 단말(205)에 의해 제공된 접속을 추가하기 위해 제공된다.
표준 DTMF 전화를 사용하는 지능망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시스템 서비스가 도 10A 및 도 10B 에 나타나 있다. 도 10A 에서, 처리과정(1001)에서는 착신 통화를 지능망이 수신한다. 지능망은 여러 서비스를 제공한다. 처리과정(1002)에서 디지트(145)가 수신되엇는지를 보기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 디지트는 요구되는 전기통신 서비스의 특정 설정을 의미한다. 처리과정(1004)에서 오디오 메시지가 상기 전화선상으로 통화를 하는 고객에게 재생되는데, 고객에게 상기 전화의 DTMF 키패드를 사용하여 그들의 계정번호 및 PIN 타입을 요구한다.
상기 전화 키패드는 버튼이 실제적으로 눌려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지능망에 의해 수신되고 복호화된 DTMF 신호를 발생한다. 만일 올바르게 되지 않았다면, 고객은 즉시 재시도를 할 것이다. 이것은 통화가 종료된 다음에 여러번 반복되기도 한다.
일단 인증 계정번호 및 PIN 이 지능망에 의해 수신되었으면, 처리과정(1006)으로 바로 제어가 있게된다. 이 시점에서 고객은 접속될 특정 서비스의 선택을 요구하는 오디오 메시지를 재생한다. 상기 서비스는 DTMF 전화 키패드상의 단일 디지트를 누름으로서 표시되는데, 이것은 1,2,3,4 및 5 값을 가지기도 한다. 처리과정(1007)에서 지능망은 이 번호가 눌려졌는지를 결정하고, 도 10B 에 도시된 처리과정(1009,1012,1016,1021 또는 1027) 중 하나를 직접 제어한다.
처리과정(1009)에서, 스크리닝(screening) 옵션이 제공된다. 고객은 그들에게 착신 통화상에서 스크리닝을 원하는지 여부를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소리 메시지를 받는다. 만일 고갱이 키 번호(1)를 눌러 응답하면, 지능망을 설정하여 모든 연결될 통화를 라이브 전화선이 되는 것을 허용한다. 선택적으로, 만일 제어가 눌려지는 키패드 번호(2)내의 처리과정(10)으로 직접 연결되면, 스크리닝이 스위치 온 될 것이다. 스크리닝이 스위치 온 도면, 착신 통화는 직접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 또는 팩스 박스(307)로 고객의 재량으로 나주에 재생을 위해 컴퓨터 단말(205) 또는 음성 전화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연결되기도 한다.
처리과정(1012)에서 고객은 상기 다이어리를 다루는 여러 옵션으로부터 선택을 하기도 한다. 키 번호(1)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13)으로 직접 연결될 것이다. 처리과정(1013)에서 다이어리의 현재 내용이 통화를 하고있는 고객으로 팩시밀리 처럼 전송되기도 한다. 연결될 팩시밀리의 번호는 고객의 개인 프로파일내에 저장된다. 따라서, 만일 고객이 두 개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다면, 이 중 하나는 팩시밀리 전송 전용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는 시스템으로의 현재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지능망은 다른 라인으로 처리과정(1013)에서 팩시밀리를 통화하고 현재의 다이어리 엔트리의 팩시밀리를 전송한다.
처리과정(1012)에서 키 번호(2)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14)으로 향하는데, 여기서 통화자가 시간에 기초하여 통화 전환을 선택할 수 있다. 비슷하게, 처리과정(1012)에서 키 패드 번호(3)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에거가 처리과정(1015)로 향하는데, 이곳에서 통화가 일 을 기준으로 전환된다.
처리과정(1016)에서 메시징 기능(messaging function)이 선택된다. 키 패드 번호(1)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17)로 향하는데 여기서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206)상에 기록되어온 상기 메시지의 어느 것을 듣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처리과정(1016)에서 키 패드 번호(2)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19)로 향하는데, 이곳에서는 재생을 위한 여러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처리과정(1016)에서 키(3)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는 처리과정(1018)으로 향하는데, 여기에서는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게 한다. 처리과정(1016)에서 키(4)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는 처리과정(1020)으로 향하는데, 이곳에서 팩시밀리 전송이 팩스 박스(302)에 저장되는지 또는 고객의 개인 프로파일내에 많은 저장을 가지는 재생산 머신으로 전환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처리과정(1021)에서 고객에게 4 개의 가능한 옵션이 주어지는데, 1 부터 4까지의 키를 각 각 누를 수 있다. 키 패드(1)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23)으로 향하는데, 여기에서 직접지능망에게 착신 통화를 집 전화번호로 연결하게 명령을 한다. 처리과정(1021)에서 키(2)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는 처리과정(1024)로 향하는데, 이곳에서는 지능망이 다이어리에 저장되어온 통화전환 표시에 응답하여 통화로 직접 명령을 받는다. 처리과정(1021)에서 키(3)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25)로 향하는데, 이곳에서 지능망에게 통화를 사무소로 연결하게 명령한다. 비슷하게, 처리과정(1021)에서 키(4)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가 처리과정(1026)으로 향하는데, 여기에서 착신 통화가 고객의 개인 프로파일에 저장된 이동 전화번호(1026)로 향해야 하는 것을 만든다. 도 10B 에 도시된 마지막 옵션은 처리과정(1027)인데, 이것은 고객이 통화를 종료할 수 있게 한다. 일단 도 10B에 설명되어 있는 상기 처리과정 중 어느것이 완료되면, 제어는 도 10A의 처리과정(1006)으로 되돌아가서 여러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선택적으로는, 통화를 종료하게 한다.
통화 전송 및 통화 저장을 설정하고 질문하는 방법을 지금부터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 가입자가 소유하고 있는 번호가 되는 보통 통화에 응답하여 상기 지능망(201)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이 도 11A 및 도 11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A 에서, 착신 통화는 처리과정(1101)내의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이루어진다. 처리과정(1102)에서 결정은 상기 착신 통화가 팩시밀리 인지 또는 음성 통화인지에 따라 상기 지능망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결정은 착신 통화가 이루어지는 번호에 따라 이루어진다. 만일 착신 통화가 팩스 통화라면, 제어는 도 11B의 처리과정(1120)으로 향한다. 선택적으로, 만일 착신 통화가 음성 통화라면, 제어는 처리과정(1103)으로 향한다.
처리과정(1103)에서 고객의 프로파일은 통화용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응답지령신호를 받는다. 이것은 목적지의 기본 3가지 타입의 하나이기도 하다. 첫번째 목적지 타입은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이다. 만일 개인 프로파일이 전화 응답 서비스의 스타일의 메시지 처럼 저장되는 착신 음성 통화가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으로 향해야 함을 나타낸다면, 제어는 처리과정(1104)로 향하게 된다.
처리과정(1104)에서 통화를 건 사람은 메시지를 남기게 되고 만일 메시지가 남겨지면 이것은 음성 애플리케이션 플랫폼(306)내에 저장된다. 선택적으로, 처리과정(1103)에서 상기 고객의 개인 프로파일에 의해 나타난 목적지는 다이어리를 액세싱 함으로서 더 정의되기도 한다. 이 경우 제어는 처리과정(1105)로 향하게 되는데, 이것은 마스터 프로세서(301)가 착신 통화가 접속되어야 하는 번호를 찾기 위해 상기 다이어리에게 질문을 한다. 일단 통화가 이 번호로 전송되면, 그 통화는 통상의 통화가 되고 제어는 처리과정(1107)로 향한다.
처리과정(1103)에서 선택가능한 목적지의 마지막 타입은 3개의 가능한 목적지로 부분적으로 나뉘는 것인데, 각 번호가 가입자의 개인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과정(1106)에서 통화는 상기 개인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때 표현되는 우선권에 따라 가입자의 사무실, 이동 또는 집 번호로 다시 향하게 된다. 처리과정(1107) 후에 제어는 처리과정(1108)로 향하는데, 여기에서 통화는 클리어되고 종료된다.
수신되는 팩스 통화에 응답하여 지능망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이 도 11B에 설명되어 있다. 처리과정(1120)에서 상기 팩스 통화의 목적지가 선택된다. 이것은 두 개의 다른 목적지 중 하나가 되는데, 팩스 박스가 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다른 팩시밀리 머신용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만일 가입자의 개인 프로파일에 의해 표시된 목적지가 팩스 박스라면, 제어는 처리과정(1021)로 향하게 되고, 그곳에서 착신 팩스는 팩스 박스(307)내에 저장된다. 착신 팩스가 GⅢ 포멧으로 저장됨에 따라, 팩스 박스(307)는 동시에 이것을 GIF 포멧으로 번역한다.
팩스가 팩스 박스(307)내에 저장된 후, 제어는 처리과정(1124)로 향하고, 이곳에서 통화는 클리어된다. 선택적으로, 목적지는 가입자의 개인 프로파일에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연산 팩시밀리 머신이기도 하다. 이 경우, 제어는 처리과정(1122)로 향하고, 여기에서 팩스 머신을 위해 전송되는 번호는 가입자의 개인 프로파일로부터 검색되고 통화는 그 번호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으로, 처리과정(1123)에서 상기 팩스 통화는 보통의 통화로 계속되고 처리과정(1124)에서 종료된다.

Claims (10)

  1.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제2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 디바이스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기구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배열되어 있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단말로부터 구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디바이스로 구성 명령을 공급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성 디바이스가 있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 네크워크는 음성 신호 및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배열된 스위치된 전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착신 신호를 선택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착신 음성 통화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팩시밀리 전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팩시밀리 전송을 저장하는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출력 명령 및 입력 데이터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인터넷상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사용자에게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에스팩트를 제어하기 위해 배열된 구성 장치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와 제어 장치간의 제2 통신 채널을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상기 제어 수단과 연결하는 상호접속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상호접속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공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타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명령은 사용자에게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수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수정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및 상기 상호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에스팩트를 네트워크 공급자에 독립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에게 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통신은 사익 제1 네트워크에서 저장되고 상기 전기통신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명령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인터넷상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4847A 1995-12-22 1996-12-18 전기통신 서비스 접속방법 및 장치 KR19990076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26326.5A GB9526326D0 (en) 1995-12-22 1995-12-22 Access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GB9526326.5 1995-12-22
PCT/GB1996/003135 WO1997023988A1 (en) 1995-12-22 1996-12-18 Access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28A true KR19990076728A (ko) 1999-10-15

Family

ID=1078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47A KR19990076728A (ko) 1995-12-22 1996-12-18 전기통신 서비스 접속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68808A1 (ko)
JP (1) JP2000502849A (ko)
KR (1) KR19990076728A (ko)
AU (1) AU711252B2 (ko)
CA (1) CA2238300A1 (ko)
GB (1) GB9526326D0 (ko)
MX (1) MX9804886A (ko)
NO (1) NO982845L (ko)
NZ (1) NZ324370A (ko)
WO (1) WO1997023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33B1 (ko) * 2002-11-27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에서 단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4321B2 (en) 1995-04-28 2003-05-13 Bobo Ii Charles R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delivering, and managing messages
US5905959A (en) * 1996-07-16 1999-05-18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network routing using integrated internet/two-way paging
US5940752A (en) * 1996-07-31 1999-08-17 Lucent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remotely programming a cellular telephone terminal
CA2187240A1 (en) * 1996-10-07 1998-04-07 Richard Deadman Network control of telephony services using downloadable applications
US5917817A (en) * 1996-12-06 1999-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vocation of services i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via parallel data networks
FI113823B (fi) 1997-03-13 2004-06-15 Nokia Corp Järjestelmä palvelutietojen käsittelemiseks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FI971919A0 (fi) * 1997-05-05 1997-05-0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Kontroll av naetelement
NL1005982C2 (nl) * 1997-05-06 1998-11-09 Koninkl Kpn Nv Gebruikersinterface voor een telecommunicatiesysteem.
DE19719704C2 (de) * 1997-05-09 2000-11-09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Verwalten von Leistungsmerkmalen für Fernsprechteilnehmer
US6587867B1 (en) 1997-05-22 2003-07-0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Internet-based subscriber profile management of a communications system
JP2002514330A (ja) * 1997-05-22 2002-05-14 エムシーアイ ワールドコム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通信システムのインターネット−ベースの加入者プロフィール管理
FI105434B (fi) * 1997-05-30 2000-08-15 Ericsson Telefon Ab L M Menetelmä ja järjestely liikennöintiverkossa
US6385195B2 (en) * 1997-07-21 2002-05-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hanced interworking function for interfacing digital cellular voice and fax protocols and internet protocols
AU8574198A (en) * 1997-07-31 1999-02-22 Northern Telecom Limited Internet profile management for radiotelephone subscribers
WO1999007130A1 (de) * 1997-08-01 1999-02-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arbeiten und/oder abfragen der anschlussbezogenen daten eines teilnehmeranschlusses
WO1999009693A2 (de) * 1997-08-13 1999-02-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informationsübertragung
US6381644B2 (en) * 1997-09-26 2002-04-30 Mci Worldcom, Inc. Integrated proxy interface for web bas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management
US6574661B1 (en) 1997-09-26 2003-06-03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Integrated proxy interface for web based telecommunication toll-free network management using a network manager for downloading a call routing tree to client
DE19742858A1 (de) 1997-09-29 1999-04-01 Cit Alcatel Verfahren zur Vergebührung der Nutzung eines Internet-Dienstes sowie Dienststeuereinheit und Diensterbringungseinrichtung
DE19747438C2 (de) 1997-10-28 1999-11-18 Ibm Verfahren zum Abrufen von benutzerspezifizierten Informationen mittels eines Mobiltelefons
US6498797B1 (en) 1997-11-14 2002-12-24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ervices on a network
FR2771881B1 (fr) * 1997-12-03 2001-06-08 Sagem Procede d'acheminement d'appels provenant d'un reseau de transmission
AU1673399A (en) * 1997-12-16 1999-07-19 Sonera Oy Method and system for the transmission and modification of intelligent network parameters
US6934285B1 (en) 1997-12-16 2005-08-23 Sonera Oyj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and modification of intelligent network parameters
ES2195075T3 (es) * 1997-12-19 2003-12-01 Ericsson Telefon Ab L M Aparato y metodo para el control del servicio basico y suplementario de abonado en un sistema telefonico.
US7167711B1 (en) 1997-12-23 2007-01-23 Openwav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nancial transactions over a wireless network
EP1042933A1 (en) * 1997-12-23 2000-10-11 Software.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to and from a telecommunications device
CA2317652A1 (en) * 1998-01-08 1999-07-1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Telecommunications networks
ES2235386T3 (es) * 1998-01-09 2005-07-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xternalizar una parte de un progrma de logica de servicio en una red inteligente.
US6571094B1 (en) * 1998-01-22 2003-05-27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all forwarding of telephone calls from an IP connection
DE19810869A1 (de) * 1998-03-13 1999-09-16 Cit Alcatel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Telekommunikationsdienst-Daten eines Teilnehmers sowie Server und Vermittlungsstelle hierzu
CA2336442A1 (en) * 1998-07-08 2000-01-20 Adam Roach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interface in an intelligent network node
FR2782221B1 (fr) * 1998-08-05 2000-11-10 Groupe Ecoles Telecomm Plate-forme pedagogique reconfigurable de reseau commute, commutateur pedagogique et dispositif de support des fonctions materielles correspondants
WO2000025529A1 (en) * 1998-10-23 2000-05-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ntrol input apparatus
DE19857179A1 (de) * 1998-12-11 2000-06-15 Alcatel Sa Telekommunikationsnetz
JP2002534848A (ja) * 1998-12-29 2002-10-1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電気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情報への外部アクセス
US6463145B1 (en) * 1999-01-29 2002-10-08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call forwarding options and methods therefor in a unified messaging system
NL1011269C2 (nl) * 1999-02-10 2000-08-11 Privacom B V Stelsel voor het opbouwen van een telefoonverbinding.
FI108266B (fi) * 1999-03-01 2001-12-14 Tecnomen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uhelun ohjaamiseksi verkkoon kytkettyä tietokonetta käyttäen
NO991343L (no) 1999-03-10 2000-09-11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i forbindelse med supplementære tjenester
DE19912947A1 (de) * 1999-03-23 2000-09-28 Deutsche Telekom Ag Kunden- und Netzwerkmanagement für intelligente Netze
DE19915548C2 (de) * 1999-04-07 2001-02-15 Plus Mobilfunk Gmbh E Verfahren zum Kombinieren von Festnetz- und Mobilfunktelefonie
US7376583B1 (en) 1999-08-10 2008-05-20 Gofigure, L.L.C. Device for making a transaction via a communications link
CA2322083A1 (en) * 1999-10-08 2001-04-08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creen based administration of voice mail configuration
KR100454513B1 (ko) * 2000-02-09 2004-11-0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이동 장치 자동 구성 시스템, 유저의 컴퓨터 시스템 자동 구성 방법 및 저장 매체
US7218921B2 (en) * 2000-05-12 2007-05-15 Chikka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inviting and creating accounts for prospective users of an instant messaging system
WO2002005530A1 (de) * 2000-07-12 2002-01-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stem und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telekommunikationsanschlüssen mittels eines zugangs zu einem ip-basierten kommunikationsnetz
JP2003087405A (ja) * 2001-09-14 2003-03-20 Toshiba Corp 電話装置の機能変更方法及びカスタマセンタ並びにディーラシステム並びにユーザシステム、電話装置の回線数変更方法及びカスタマセンタ並びにディーラシステム並びにユーザシステム、端末の機能変更方法及びカスタマセンタ並びにディーラシステム並びにユーザ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492A (en) 1986-09-17 1989-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figuration
US5127003A (en) * 1991-02-11 1992-06-30 Simpact Associates, Inc. Digital/audio interactive communication network
FI92895C (fi) * 1993-04-06 1995-01-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uhelinkeskuksen käytön ohjaamiseksi tilaajaliittymästä käs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33B1 (ko) * 2002-11-27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에서 단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2845L (no) 1998-06-22
JP2000502849A (ja) 2000-03-07
NO982845D0 (no) 1998-06-19
NZ324370A (en) 1999-10-28
WO1997023988A1 (en) 1997-07-03
AU1184997A (en) 1997-07-17
EP0868808A1 (en) 1998-10-07
AU711252B2 (en) 1999-10-07
MX9804886A (es) 1998-09-30
CA2238300A1 (en) 1997-07-03
GB9526326D0 (en) 199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728A (ko) 전기통신 서비스 접속방법 및 장치
US79086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co-browsing over cable television and controlled through computer telephony
CA2249841C (en) Pots/packet bridge
US6724872B1 (en) Personalized messages over Internet call waiting
CA224166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ed-party telephone messaging while inter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84383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via customer contact channel changing system
US5838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with a remote node on a switched network based on hypertext dia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acket network
US6222826B1 (en) Multimedia call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90201919A1 (en) System for providing hosted telephone services to a subscriber via the internet
US200300993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a voice mail system
US7965829B2 (en) Subscriber alterable call transfer service
MXPA97006329A (en) Correl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internet and call centers environments
JP2002218063A (ja) 発呼者プロファイル情報を被呼加入者端末に提供するシステム
KR20010033293A (ko) 전화망을 통한 아키텍처 비종속 애플리케이션의 호출
AU1874801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020082459A (ko)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를 위한 가상 지능 네트워크
JP2001333185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標準規格に基づいた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送信
KR100584639B1 (ko) 전화 발신중 사용자 명령 입력에 대한 확인음을 송출하는방법 및 장치
CA2588682C (en)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voice mail system
Vasic The internet integrated intelligent network
JP2001119477A (ja) 統合された音声とデータの呼管理システム
JP2000196745A (ja) インタ―ネット利用電話通信システム
CA2532271A1 (en) System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 voice mail system
MXPA00005961A (en) Architecture independent application invocation over a telephony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