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654A - 팽창식 안전벨트시스템 - Google Patents

팽창식 안전벨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654A
KR19990076654A KR1019980704765A KR19980704765A KR19990076654A KR 19990076654 A KR19990076654 A KR 19990076654A KR 1019980704765 A KR1019980704765 A KR 1019980704765A KR 19980704765 A KR19980704765 A KR 19980704765A KR 19990076654 A KR19990076654 A KR 19990076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ortion
inflatable
vehicle
sea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널드 제이. 루이스
Original Assignee
존슨 윌리엄 엠.
유니버설 프로펄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윌리엄 엠., 유니버설 프로펄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윌리엄 엠.
Publication of KR1999007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6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DMEANS FOR GENERATING SMOKE OR MIST; GAS-ATTACK COMPOSITIONS; GENERATION OF GAS FOR BLASTING OR PROPULSION (CHEMICAL PART)
    • C06D5/00Generation of pressure gas, e.g. for blasting cartridges, starting cartridges, rock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DMEANS FOR GENERATING SMOKE OR MIST; GAS-ATTACK COMPOSITIONS; GENERATION OF GAS FOR BLASTING OR PROPULSION (CHEMICAL PART)
    • C06D5/00Generation of pressure gas, e.g. for blasting cartridges, starting cartridges, rockets
    • C06D5/06Generation of pressure gas, e.g. for blasting cartridges, starting cartridges, rockets by reaction of two or more 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스티칭에 의해 좌석 벨트 부분(112)에 고정되는데, 일부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에 가해지는 힘을 소실시키도록 점차적으로 분리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하이브리드 팽창기에 의해 팽창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되었을 때 상기 좌석 벨트 부분(112)은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꽉 죄어준다. 커플링 부재(116)는 시트(108)의 내측에서 리테이너(122)와 좌석 벨트 부분(112)을 분리할 수 있게 연결한다. 커플링 부재(116)가 리테이너(122)로부터 분리될 때 좌석 벨트 부분(112)은 수축근(124)에 감겨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Description

팽창식 안전벨트시스템
심지어 종래에 공지된 형의 팽창식 안전 벨트의 이용은 상기에서 논의된 모든 결함과 불이익 등을 극복하지 않았다.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에서 상기 결함과 불이익 등을 제거하는 종래의 시도는, 벨트 내(內)에 한 쌍의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을 갖춘 안전 벨트를 가지고, 추가로 바람직한 팽창기(inflator)보다 더 큰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섹션의 부풀림을 필요로 한다. 또한 만족스러운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를 만드는 종래의 시도는, 자동차에 한 쌍의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을 저장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각각 자동차로 또는 자동차에서 승차자의 출입과 나감 등을 방해하는 영역을 차지하는 상기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의 팽창식 좌석(inflatable seat)의 결함과 불이익 등은, 좌석의 측면에 위치되는 풀릴 수 있는 결합 부재(releasing coupling member)와 리테이너(retainer) 등에 배치되는 팽창기(inflator)을 필요로 한다.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의 상기 이중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를 일으킨다. 상기에서 하나는, 팽창식 가스(inflatable gas)는 스스로 풀릴 수 있는 벨트의 버클 부속 포인트(buckle attachment point)에 위치된 도관(導管, conduit)을 통과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벨트와 팽창기(inflator) 등이 어렵게 포장되고 어렵게 작동되도록 한다.
이중의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을 갖춘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는, 벨트의 다양한 길이는 자동차 내(內)에서 승차자의 다양한 크기와 위치 등으로 인하여 배치되게 하는 기계장치에 붙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팽창기(inflator)가 상기에서 언급된 결함에 대한 버클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었고, 이것은, 무거운 질량의 팽창기(inflator)가 안전 벨트의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 내(內)에 포함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한 쌍의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 둘 다가 동시에 부풀리게 하여만 하기 때문에, 팽창식 섹션(inflatable section)의 이중성은 추가의 팽창기(inflator), 폭죽(squib), 배선(wiring) 등과 같은 것이 이용될 필요가 있었다.
종래에 공지된 팽창식 안전 벨트(inflatable seat belt)가 다른 결함과 불이익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이것은 측면 충돌에서 승차자의 목과 머리 등을 적절하게 보호하지 않는다. 게다가, 또한 이것은 승차자의 손이나 발 등을 적절하게 보호하지 않는다. 이것은, 충돌 때 앞 좌석 승차자의 손이나 발 등이 계기판에 대하여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지만, 뒤 좌석의 승차자는 앞 좌석의 뒤쪽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의 결과이다. 이것은 승차자가 손이나 발 등에 상해를 입히는 원인이 된다.
종래의 팽창식 안전 벨트(inflatable seat belt)와 관계 있는 팽창기(inflator)는, 연소성 물질과 쓸모 없는 열역학 방식으로 작동되는 관계된 장치 등을 포함해왔다. 팽창기(inflator)의 크기와 무게 등은 바람직하지 않는 부분으로 증가되도록, 지나치게 많은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을 팽창기(inflator) 내(內)에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의 팽창기(inflator)에서 필요로 하는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의 양은, 본 발명의 팽창기(inflator)에서 쓰이는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보다 50 % 내지 100 % 사이이다. 결과로써, 자동차 내(內)에서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와 팽창기(inflator) 등의 견딜 수 있는 패키징(packing)은 제외된다.
또한 존재하는 팽창기(inflator)에서 이용되는 연소성 물질의 구조와 합성 등은, 상대적으로 느린 팽창 시스템(inflation system)을 만든다. 상기 느린 팽창 시스템(inflation system)은 에어-백(air bag)에서 유용하지만, 전형적인 에어-백(air bag)의 배치를 위한 시간의 4 분의 1 보다 적은 시간에서 상기 제지는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느린 팽창 시스템(inflation system)은 팽창식 안전 벨트(inflatable seat belt)에서 유용하지 않다.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와 팽창식 측 백(inflatable side bag) 등은 측 충격에서 승차자 보호를 공급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상기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측 충돌에 있어서 자동차의 감소 거리(deceleration distance)와, 자동차에서 측 충격의 초기화와 내부 자동차 표면에서 승차자를 때림 등의 사이에서 시간 간격(time interval) 등은, 앞 충격에 대한 거리와 시간 등에 관하여 크게 줄어든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대한 연소성 물질은, 생산되는 고체 미립자(solid particulate)를 모으는 필터를 필요로 한다. 종래 시스템에서 걸러지는데 필요한 고체 미립자(solid particulate)는 양이 많다. 다른 시스템은 발연통 그레인(pyrotechnic grain)을 이용하는데 필요하다. 상기 그레인은 그레인 분쇄와 균열 등이 일어나고, 연소성 표면에서 다양성을 일으키는 그러한 크기를 가지며, 그것에 의하여 유해하게 그레인 내(內)에서 타는 속도와 부풀리는 시간 등에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큰 그레인(large grain)이 느린 속도로 이용될 때, 작동 온도 범위의 수행에 있어서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게 커진다. 예를 들면, 40 내지 50 millisecond 수행 시간을 가정하면,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이 타는 속도의 변화로 인하여, 온도가 175℉ 내지 -65℉ 등의 사이에서 다양할 때, 팽창기(inflator)의 수행 시간이 대략 ±20 % 에 의하여 다양하다. 이것은,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의 타는 속도에 있어서 작동 온도에서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다. 타는 속도에서 상기 고려되는 퍼센트 변화는, 승차자의 움직임을 감소시키는 에어-백(air bag)에서 유용한 시간인 약 15-20 millisecond 의 전체 수행 시간 변화를 만든다. 전체 수행의 변화는 보호에 있어서 합성되는 변화를 만들어 왔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팽창식 백(inflatable bag) 또는 안전 벨트(seat belt) 등과 같은 팽창식 부재(inflatable member)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고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승차자를 보호하는 부재(member)를 부풀리기 위한 시스템(system), 또는 그 방법(method)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승차자의 안전은 자동차 제조업자와 자동차의 승차자 등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사이다. 제조업자는 부분적인 또는 전체적인 팽창식 안전 벨트(seat belt)와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승차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팽창식 에어-백(inflatable air bag) 등을 설치해왔다. 견딜 수 없는 속도 하(下)에서 승차자의 속도를 줄일 목적으로, 그리고 승차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위해 승차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목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나는 것에 대하여 팽창식 부재(inflatable member)(이 용어는 여기서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 또는 팽창식 벨트 요소(inflatable belt portion)뿐 아니라 에어-백(air bag) 등에 쓰인다)를 부풀린다. 많은 제조업자는 앞의 드라이버(driver) 좌석의 승차자를 위하여 팽창식 부재(inflatable member)를 공급하기를 시작했다.
아마도 팽창식 부재(inflatable member)를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승차자가 상기 부재에 맞물려서 움직일 때까지, 자동차 충돌 중(中)에 상기 부재는 승차자 움직임을 제지하도록 시작할 수 없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대쉬보드(dashboard)나 운전대(steering wheel) 등에 전형적으로 배치되는 에어-백(air bag)의 경우에, 이것은 시간의 중요 부분을 낭비하고, 상해에 대하여 승차자를 보호하는데 유용한 감속 공간을 낭비한다. 자동차 충돌 후에 자동차 내(內)에서 승차자가 움직이기 전에 제지력을 초기화한다면, 이것은 공급될 수 있는 수준에서 승차자의 보호를 현저하게 줄인다.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현재 쓰이고 있는 팽창식이 아닌 안전 벨트(non-inflatable safety belt)는, 거의 즉시 승차자에 맞물린다. 하지만, 상기 벨트는 중요한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미리-긴장시키는 장치의 이용을 통하여, 안전 벨트의 어떤 선택된 설계가 에어-백(air bag)에 의하여 공급되는 제지보다 더 빨리 승차자의 제지를 시작하더라도, 상기 벨트는 승차자의 머리 움직임의 제어를 위하여 공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짧은 감속 시간은 현저하게 적어도 승차자의 머리의 더 높은 감속과 더 높은 하중을 일으켜왔으며, 상해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결과보다 더 나쁜 결과를 생성시켜왔다.
또한 안전 벨트는 종종 좁은 물리적 구조를 가지고, 그러므로 승차자 몸체의 넓은 영역에서 하중을 억제하는 분산을 위하여 공급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안전 벨트와 맞물리는 승차자 몸체의 제한된 부분에 대하여 승차자에 강제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높은 하중이라는 결과를 일으킨다. 추가로, 상기 벨트는 많은 상태에 있어서, 승차자가 앞좌석에 앉아 있을 때, 승차자의 머리가 운전대(steering wheel)나 대쉬보드(dashboard) 등에 치이게되는 연장(elongation)을 가져왔다.
게다가, 안전 벨트에서 거미줄 같은 물질을 감아 버리는 것과 안전 벨트를 잡아당기는 것 등은, 승차자를 제지하지 않는 움직임의 증가된 존재 시간(duration)에 도움이 되어 왔다. 효과에 있어서 이것은, 어떤 효과있는 제지의 시작을 지연시켜왔다. 이것은, 승차자의 움직임에서 안전 벨트가 가늘고 길어지면, 가능했던 것보다 더 짧은 시간에서 멈춤을 일으켜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승차자의 움직임에서 안전 벨트에 의하여 강제 제지 중(中)에, 승차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속도를 생산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 은 자동차를 비롯한 차량에서 팽창 가능한 벨트와 같은 부재를 팽창시키도록 열동력학적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가스를 유지하고 컨테이너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발광재 입자를 함유하는 연성 컨테이너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팽창기의 측면도;
도 2 는 컨테이너내의 발광재 입자를 부분 연소시켜서 컨테이너를 개봉한 후에 팽창기 및, 하우징 내 불꽃 입자의 연속 연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 과 유사한 측면도;
도 3 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차량에 승차한 사람의 운동을 구속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과 비팽창식 좌석 벨트 부분으로 이루어진, 벨트를 포함한 차량의 부분 사시도;
도 4 는 차량에 착석한 사람과 차량의 부분 측입면도이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한 후에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5 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된, 벨트의 부분 사시도로,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했을 때 이 팽창식 벨트 부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소산시키기에 알맞은 스티치(stitch)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의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6 은 도 5 의 6-6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성 벨트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주름 형성 및, 단일 벨트 구조를 형성하도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에 고정되는 스티칭을 정밀하게 나타내었다;
도 7 은 팽창 후에도 팽창식 벨트 부분이 여전히 접혀져 있는 영역에서 좌석 벨트 스티칭의 사용을 나타내고, 도 5 와 6에 나타낸 스티칭의 정밀도인데, 상기 스티칭은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부터 좌석 벨트 부분으로 하중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도 8 은 착석한 탑승자와 팽창식 벨트 부분 및 좌석 벨트 부분으로 이루어진, 단일 벨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인데, 실선은 탑승자를 구속하는 좌석 벨트와 팽창식 벨트를 나타내고 점선은 비구속위치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을 나타내었다;
도 9 는 팽창식 벨트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덮는 커버의 단면도로 도 5 의 9-9선을 따라서 본 도면이다.
* 부호 설명
104 ... 팽창식 벨트부분 112 ... 좌석용 벨트
116 ...커플링 부재 122 ...리테이너(retainer)
124 ... 수축근
본 발명은 상기 결함과 불이익 등을 극복하는 시스템을 공급한다. 상기 시스템은, 승차자 가슴, 목 및 머리 등에서 가깝게 설치된 팽창식 벨트 부분(inflatable belt portion)과, 팽창식 부분을 부풀릴 때, 승차자의 무릎(lap)에 바짝 죄는 표준적인 거미줄과 같은 것(webbing)으로 이루어진 연결된 무릎 벨트 부분(interconnected lap belt portion) 등을 결합하는 안전 벨트(seat belt)을 포함한다. 제지에 있어서 상기 중요한 향상은, 앞 좌석에 앉은 승차자가 자동차의 충격 때에 계기판이나 운전대 등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으며, 그것에 의하여 승차자의 무릎과 손이나 발 등의 상해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이것은 뒤 좌석의 승차자가 앞 좌석의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는다.
게다가, 부풀릴 때 팽창식 벨트 부분(inflatable belt portion)이 효과적인 길이로 짧아지고, 앞 충돌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 하중 분산 및 머리를 위한 지지 쿠션 등을 함께 미리 긴장시키는 것을 공급할 목적으로 승차자의 가슴에서 멀어지게 팽창식 벨트 부분(inflatable belt portion)이 바뀐다. 추가로, 어깨를 가로지르고 머리와 나란한 팽창식 벨트 부분(inflatable belt portion)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이 승차자의 목과 머리 등의 측 충격으로 인한 상해를 막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거의 즉각적으로 응답하는 팽창기(inflator)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충격에 의하여 폭발을 일으킨 이후에, 약 10 ms(millisecond) 이내로 팽창식 벨트 부분의 부플림을 위하여 팽창기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팽창기에서 약 2 인치 세 제곱의 작은 압력 체적의 이용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상기는 가능해진다. 상기 작은 체적은 본 발명의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재빨리 없어진다. 비교하여, 종래 기술의 팽창기는 약 10-40 인치 세 제곱의 체적을 가졌다. 게다가, 본 발명의 팽창기에서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의 타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높은 압력을 본 발명의 팽창기는 가진다.
본 발명의 팽창기는 발연통 물질(pyrotechnic material)의 미립자(particle) 이용에 적합하다. 상기 미립자(particle)의 타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커다란 표면을 축적으로써 공급한다. 결과로써, 상기 미립자의 작은 크기는 종래 기술 팽창기의 가스 생성 속도보다 약 10 배 더 큰 가스 생성 속도를 위하여 공급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팽창기에서 발연통 물질의 상대적으로 작은 양은 유해한 부산물과 유해한 냄새 등의 최소 양을 공급한다. 하우징 내에 팽창기에서의 모든 요소를 배치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자동차의 충격에 의한 폭발 후에 거의 즉각적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을 부풀릴 목적으로, 짧은 구멍을 통하여 바로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하우징 내의 가스가 흐른다는 점에서, 상기 팽창기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미립자 발연통 물질은 상기 예에서 주어진 것과 같은 다양한 온도, 즉 -65℉ 내지 175℉ 사이의 온도에서 지배될 때, 특히 본 발명의 팽창기에서 추진 가스(화약)의 타는 시간은 단지 2-5 millisecond 의 크기에 있기 때문에, 수행 시간에서 전체적인 시간 다양함은 중요하다. 종래 기술의 팽창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본 발명의 팽창기를 이용할 때, 이것은, 훨씬 더 일정한 수행을 위하여 그리고 승차자의 보다 더 안전한 보호를 위하여 공급된다.
본 발명의 팽창기의 실시예에서, 팽창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부서지기 쉬운 컨테이너(frangible containder)에서 발연통 입자는 부분적으로 자동차 충격에서 연소한다. 부분적인 연소는 컨테이너를 연다. 그 후 부분적으로 탄 입자는, 가스를 또한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서 거의 즉각적으로(즉, 2-5 millisecond) 연소한다. 파괴된 막(rupturable diaphragm) 또는 갑자기-사라진 스피링이-적재된 밸브(pop-off spring-loaded valve) 에 의하여, 또는 당해 기술자에 공지된 상기 다른 수단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일어나는 가스의 확장은 하우징(housing)과 이 하우징에서 보통대로 분리된 구멍(opening) 등의 사이에서의 소통을 위하여 공급한다. 구멍(opening)을 통하여 흐르는 가스는, 승차자의 가슴을 가로지르면서 대각선으로 배치된, 그리고 자동차 지지 구조물(즉, 승차자 자리 뒤의 기둥)에 붙어 있는 벨트 부분(belt portion)을 부풀게 하며, 그것에 의하여 승차자 가슴, 목 및 머리 등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팽창식 벨트(inflatable belt)는, 다수의 줄(stitching)에 의하여 무릎 벨트 부분(lap belt portion)을 형성하는 거미줄(webbing)에 붙어 있다. 상기 줄(stitching)은 누진적이지만 완전하지는 않고, 팽창식 벨트 부분을 부풀리게 할 때, 상기 줄(stitching)은 팽창식 벨트 부분의 강제적인 힘이 사라지게 떨어져 있다. 무릎 벨트 부분(lap belt portion)은 팽창식 벨트 부분에 가까운, 그리고 승차자 무릎을 측으로 가로지르는 결합 부재(coupling member)의 구멍을 통하여 뻗어 있다.
팽창식 벨트 부분이 부풀릴 때, 무릎 벨트 부분(lap belt portion)은 승차자의 무릎에 대하여 바짝 죈다. 무릎 벨트 부분(lap belt portion)은 결합 부재에 의하여 좌석의 내부 측면에서 리테이너(retainer)에 착탈식으로 붙어 있다. 결합 부재가 리테이너(retainer)에서 분리될 때, 지지 구조물(즉, 운전자 자리 뒤의 기둥)과 수축기(retractor) 등의 사이에서의 좌석 측면에 가까운 곳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배치하는 수축기(retractor)에 무릎 벨트 부분(lap belt portion)은 배치된다(감긴다). 그 다음에 승차자는 방해물 없이 자동체에서 나가고 들어 갈 수 있다.
팽창식 벨트 부분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같은 적합한 물질에서 만들어지는 덮개(cover) 내에 싸일 수 있다. 덮개는 단 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만들 수 있으며, 팽창식 벨트 부분을 싸는 실린더를 형성하는 줄(stitching)에 의하여 상기 물질은 덮개 양 끝에 붙어 있다. 팽창식 벨트 부분이 아래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부풀릴 때, 덮개 줄(cover stitching)은 점진적으로 분리된다. 팽창기에서 먼 방향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어되는 부풀림을 위하여 공급된다는 점에서 덮개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것은 자외선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을 형성하는 물질의 기능 저하를 최소로 하고, 이것은 승차자에 대하여 쓸려서 벗겨지는 것과 같은 기능 저하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을 보호한다. 팽창식 벨트 부분이 꼬이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팽창식 벨트 부분에서 덮개에 보강재(stiffener)를 설치한다. 대안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이 부풀릴 때, 갑자기 열리게 설계되는 부서지기 쉬운 섬유 물질에서 덮개는 만들어진다.
스위치(switch)는 열림 위치(open position)에서 리테이너에 배치된다. 결합 부재가 리테이너에 배치될 때, 스위치는 닫힌다.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스위치가 닫힐 때, 발연통 물질의 연소를 초기화하도록 작동되는 전기 회로 내(內)에 스위치가 있다. 상기 방식으로, 본 발명의 팽창식 시스템(inflatable system)이 승차자의 몸체에 연결될 때만, 자동차에 있어서 충돌이 일어날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은 부풀린다. 팽창식 시스템(inflatable system)을 제조하는 비용에 있어서, 그리고 팽창식 시스템(inflatable system)을 자동차에 설치함에 있어서, 이것은 중요하다.
팽창식 벨트와 같은 팽창 부재를 부풀리기 위한 장치의 예는 도 1 과 2에서 10으로 나타내었다. 비록 차량내 부재를 팽창시키는데 특히 유용하므로 팽창기(10)가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팽창기는 차량이외의 다른 물체에서 부재를 팽창시키는데도 이용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팽창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2)은 가스, 특히 질소, 헬륨 또는 아르곤과 같은 가스를 유지하기 위한 압력 용기로서 기능을 가지도록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아르곤이 선호된다. 전술한 모든 기체는 불활성 기체이다. 가스가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에 용접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중공 핀(14)을 통하여 상기 가스는 하우징(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은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인서트(18)를 지지하도록 16에서 크림프( crimp)처리한다. 하우징(12)과 인서트는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물질이나,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도록 내면을 코팅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하우징(12)과 인서트(18)는, 에폭시, 유리 섬유, 나일론이나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여러 가지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우징으로 부터 가스가 새어나오는 것을 막기 위한 씨일(seal)을 제공하기 위해서 링(19)은 크림프(16)에 인접한 하우징(12)에 배치된다.
스위치(20)는 인서트(18)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내 기압이 설정치를 초과했을 때 다이어프램(22)은 스위치(20)에 대해 압착될 것이다. 하우징(12) 내 기압이 설정치 이하일 때, 다이어프램(22)은 스위치(20)로부터 움직이게 된다. 그 후에 차량의 승객 칸 앞에서 계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빛을 비추도록 닫혀져서, 팽창기(10)가 비작동 상태임을 보여준다. 스위치(20)의 작동은 연결된 전자 회로로 신호를 보낼 것이다. 이 신호는, 팽창기(10)가 결함이 있음을 나타낸다. 전술한 연결 회로는 당해 업자들에게 공지된 것으로 믿고 있다.
플러그(26)는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플러그(26)는 인서트(18)의 재료와 동일한 조성을 가진다. 연결 핀(24)은 플러그(26)로 뻗어있다. 연결 핀(24)은 브리지와이어(28)와 접전된다. 이 브리지 와이어(28)는 피복 처리되거나 제 1 연소성분(28a)과 직접 연결되는데, 상기 연소 성분은 불꽃입자(30)를 알맞게 점화시키는 전열 특성을 가지는 브리지 와이어(28)와 전기적으로, 열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선택된다. 브리지 와이어(28)와 제 1 연소 성분(28a)은 공지되어 있다.
불꽃 입자(30)는 제 1 연소 물질(28a)과 나란히 놓이게 연성 컨테이너(32)내에 배치된다. 플러그(26a)는 정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결 핀(24)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불꽃물질(30)의 연소 시간은 약 1 밀리 세컨드(ms)내지 30밀리세컨드이고 용도에 따라 2ms 내지 5ms 가 선호된다.
불꽃 물질(30)은 약 0.010인치에서 약 0.060인치의 크기를 가지는 비교적 작은 입자로 구성된다. 이 입자는, 지름이 약 0.050 인치이고 두께가 0.20 인치인 물리적 크기를 가지는데 이 물리적 크기는 16메쉬(mesh)의 구상체 또는 입상체에 해당한다.
물질(30)은 본원의 양수인에 의해 VPCO 302 VPCO 718로 지정한 물질의 입자로 구성된다. 불꽃 물질(30)의 입자는 가연성 물질의 연소 시간을 제어하도록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팽창기(10)에 필요한 양으로 사용될 때, 물질(30)은 불완전 연소시 부산물을 제공하거나 완전 연소시 최종 생산물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환경적으로 안정적이고 팽창기(10)와 결합되어 소량 사용되므로 불쾌하고 유독한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원에서 기술한 대로 "환경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개념은, 불꽃 물질(30)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부산물과 최종 생산물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고 차량과 대기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VPCO 718"로 지정된 물질은, 연소되었을 때 환경 안정 물질을 생성하므로 유리하다. "VPCO 302"로 명명된 물질은, "VPCO 718"보다 높은 연소열을 발생시키므로 유리하지만 연소되었을 때 일산화탄소(CO)와 같은 환경 유해 물질을 생성 할 수 있으므로 불리하다. 그러나, 전술한 단점을 없애려면, 충분한 양의 산소를 하우징(12)에 유입시켜 모든 일산화탄소(CO)를 이산화탄소(CO2)로 산화시킬 수 있다. 또, 컨테이너(32)로 부터 불꽃 물질을 연소시킨 후에 하우징에 산소가 존재한다면 하우징(12)내 과다 산소를 연소시키도록 하우징(12)에 추가 연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31에서 크림프 처리되고 하우징을 매니포울드(36)에 밀봉하도록 크림프에 링(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링(34)은 크림프 이외의 다른 공지된 부품으로 하우징(12)에 부착될 수 있다. 매니포울드(36)는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인서트(18) 및 플러그(26)와 조성이 같다. 다이어프램이 파열될 때까지 하우징(12)으로부터 오우프닝을 분리하기 위해서 파열 가능한 다이어프램(38)은 매니포울드(36)에서 오우프닝(40)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오우프닝(40)과 하우징을 분리하고, 하우징내 가스가 팽창했을 때 오우프닝과 하우징이 서로 통하도록 하는 데 다이어프램(38) 이외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이 장착된 폽-오프(pop-off)밸브가 다이어프램(38)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오우프닝(40)은 매니포울드(36)로부터 뻗어있는 도관(42)과 연결된다. 이 도관(42)은 핀(44)에 의해 매니포울드(36)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스냅 링 또는 그 밖의 다른 공지된 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또, 팽창식 벨트 부분이 탑승자 몸위로 걸쳐질 때 팽창식 벨브 부분(104)(도4)을 팽창시키기 위해 가장 알맞은 위치를 설정하도록 도관(42)은 축 둘레에서 상대 회전 할 수 있다. 오우프닝(40)이 팽창식 벨트 부분(104)과 직접 연결된다면 도관(42)은 생략 가능하다.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연결 핀(24)을 통하여 브리지 와이어(28)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것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브리지 와이어(28)는 가열되어서 제 1 점화 성분(28a)을 연소시키고 상기 제 1 점화 성분은 연소성 입자(30)를 발화시킨다. 연성 컨테이너(32)는 연소 물질(30)을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열로 인해 파열되거나 열려진다.
비교적 짧은 기간, 예를 들면 약 1ms후에 컨테이너(32)의 파열이 이루어진다. 이 기간의 종반에, 불꽃 물질(30)의 입자 크기는 다소 감소하지만 입자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많이 감소하지 않는다. 컨테이너(32)의 파열 이후에, 불꽃 물질(30)의 불완전 연소된 입자는, 입자가 계속 연소되는 하우징(12)으로 주입된다. 이런 연소 과정은 비교적 단기간 내에, 약 2-5ms 내에 발생한다. 도 2 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것처럼, 불꽃 물질의 입자는 컨테이너로부터 떨어져 오우프닝(40)을 향하여 이동하고 이 방향으로 이동 할 때 연소과정이 실행된다. 이것은, 입자가 컨테이너(32)에서 오우프닝(40)을 향하여 움직일 때 불꽃 물질(32)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킨다.
하우징(12)의 각 위치에서 불꽃 물질의 입자 연소 및 불꽃 물질(30)의 입자 조성은 중요한 장점을 부여한다. 불꽃 물질(30), 특히 "VPCO 718"은 연소하여서 부산물과 최종 생성물을 형성하지만 이것은 환경과 탑승자들에게 전혀 유해하지 않다.
산소 또는 연료의 추가량이 하우징(12)에 배치될 때 "VPCO 302" 도 마찬가지로 유해하지 않다.
또, 하우징(12) 내 불꽃 물질(30)의 입자를 연소시키면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은, 하우징(12), 엔드 플러그(18) 및 매니포울드(36)와 실재적인 접촉없이 하우징(12) 내 기체 분자로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2), 컨테이너(32), 엔드 플러그(18) 및 매니포울드(36)는 가열된 가스와 반응하도록 낮은 열 전도성 표면을 형성하므로, 불꽃 물질의 연소에 의해 유리된 열은 기체를 가열하고 팽창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 컨테이너(32)와 하우징(12)은 다량의 생성열을 흡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비교적 얇고 기체가 필터를 통과할 때 기체로부터 다량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필터를 팽창기(10)가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전술한 대로, 하우징(12) 내 가스는 질소, 헬륨 또는 아르곤이 선호된다. 모두 불꽃 물질(30) 및, 불꽃 물질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부산물과 최종 생산물 사이의 화학 반응을 제한한다. 상기 불활성 기체 중에서 아르곤이 선호되는데, 왜냐하면 아르곤이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불꽃 물질(30)의 입자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의 대부분은 아르곤 기체 분자 내에 수용된다. 이 열은 하우징(12) 내 아르곤 기체 분자의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하우징 내 아르곤 가스를 팽창시키고 다이어프램(38)에 대해 아르곤 가스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연성 컨테이너(32)와 하우징(12)은, 입자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로 인한 하우징(12) 내 가스의 온도 증가를 최대화하도록 공동 작용한다. 하우징(12)과 컨테이너(32)는 가스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 물질은 세라믹, 고무 피복재, 폴리에틸렌 피복재 등이다. 스틸(steel) 또는 알루미늄 같은 높은 열 전도성 물질이 하우징(12)과 컨테이너(32)를 위해 사용될 때 50 내지 200k/w(M.K.)의 전도성 범위와 비교해 1 내지 15k/w(M.K.)의 열전도성을 가진다.
하우징(12)과 컨테이너(32)는, 약 10밀리세컨드 이하의 단기간동안만 고온에 노출되므로 다량의 생성열을 흡수하지 않는다. 이것은 약 30-60밀리세컨드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작용하는 기존의 팽창기와 대조적이다. 비교적 연장된 기간 동안, 열은 상기 팽창기를 형성하는 부재로 전달된다.
가스가 하우징(12)에서 충분히 팽창되었을 때, 다이어프램(38)은 파단되고 가스는 오우프닝(40)과 도관(42)을 통하여 팽창한다. 도관(42)은 선택적이다. 도관(42)을 제거함으로써, 가열된 열은 오우프닝(40)을 통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104)으로 직접 전달된다. 다이어프램(38)의 영역과 오우프닝(40) 및 도관(42)의 횡단면적은, 다이어프램(38)의 파열 시기 및, 오우프닝과 도관을 통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104)으로 주입되는 가스의 흐름율을 제어하도록 선택될 것이다. 불꽃 물질(30)의 특정 조성 및 이 물질에서 다른 입자의 상대 크기는 시간을 제어하는데, 이 시간 내에서 가스는 컨테이너(32)에서 가열될 것이다. 그러므로 특정 조성은 가스를 팽창식 벨트 부분(104)으로 흘러보내는 시간을 제어한다.
도관(42)을 통하여 이동하는 가스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과 같은 팽창식 부재로 통과하는데, 상기 팽창식 부재는 나일론과 같은 알맞은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도 3과 4에서 100으로 나타낸 단일 벨트에 포함된다. 비록 본원 설명이 팽창식 벨트(104)로 집중되었지만, 팽창식 벨트 부분(104) 이외에, 에어백을 비롯한, 다른 유형의 팽창식 부재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단일 벨트(100)는 102로 나타낸 차량에 배치되기에 알맞다. 단일 벨트(100)는 차량(102)이 충돌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구조된다. 도 3과 4에 나타난 것처럼, 단일 벨트(100)의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탑승자를 지지하는 시트(108) 위에, 차량(102)의 측부에 배치된 기둥(106)과 같은 지지물과 상단부에서 부착된다. 이 기둥(106)은 자동차 문(110)의 후방에 배치되는데, 상기 자동차 문을 통하여 앞좌석 탑승자가 내릴 수 있다. 지지물은 차량의 다른 적합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물은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차량 뒤쪽 좌석에 앉은 사람을 보호할 때 지붕 부분의 내면에서 플랜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팽창기(10)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기둥(106)에 부착될 때, 이것은 기둥(106)의 상단부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표준 어깨 벨트 조절 장치와 함께 장식 끈 사이에 형성되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부가 착석자의 모든 부분에 곡 맞도록 하는 것이 선호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탑승자의 어깨, 목 위 그리고 왼쪽 뺨 근처의 수평부(탑승자가 운전자인 경우) 및 머리 상부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선호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도 6에 나타난 식으로 접혀진다. 도 6에 나타난 것처러,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대향한 벽 부분(104a,104b)을 구비한다. 각각의 벽 부분(104a,104b)은 벽의 가로 단부로부터 벽 가로 단부 사이의 중간 부분까지 지그재그형으로 뻗어있다. 이것은,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팽창되는 속도를 높인다. 그리고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하향 팽창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커버(105)(도 9)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을 덮는다. 커버(105)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알맞은 물질로 형성되고 자동차 내부의 장식과 어울리는 색깔로 채색된다. 커버(105)는 스티칭(109)에 의해 대향한 단부에 부착된 일체형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티칭(109)은 탑승자의 가슴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차량 내 다른 탑승자들은 볼 수 없다. 커버(105)는,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함에 따라 팽창식 벨트 부분(104)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분리된다. 보강재(107)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꼬이는 것을 막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104)에 대해 커버(105) 내에 배치되므로 팽창하기 전에 납작한 형태를 취한다.
커버(105)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자외선으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부여한다. 또 이것은,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탑승자리 가슴에 대해 끊어지는 것을 막는다. 이것은 일정한 초기 최소 부피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을 지지하고 벨트부분을 항상 편 상태로 제공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구김을 유지한다. 보강재(107)는, 벨트 부분을 편 상태로 제공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주름을 유지하도록 보조 역할을 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시트(108)의 내측에서 탑승자 무릎의 바로 위로 대각선으로 하향 연장되어 있다. 이런 대각선 연장 구조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탑승자의 흉부를 가로지른다. 아래쪽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랩 벨트 부분(112)을 형성하는 표준 시트 벨트 웨빙재(webbing material)에 적절히 연결된다. 좌석 벨트 부분(112)은 나일론과 같은 알맞은 물질로 만들어진다. 랩 벨트 부분(112)의 구조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랩 벨트의 구조와 일치할 수도 있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과 좌석 벨트 부분(112)은 당일 벨트 구조를 형성한다.
탑승자 무릎 바로 위쪽에서, 좌석 벨트(112)는 D-링 커플링 부재(116)를 통하여 뻗어있다(도 8). D-링 커플링 부재(116)와 같은 커플링 부재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D-링 커플링 부재(116)는 오우프닝(115)(도 5)을 포함하는데 상기 오우프닝을 통하여 좌석 벨트 부분(112)은 하향 횡방향에서 수평 방향(도 8)으로 좌석 벨트(112)의 방향을 바꾸도록 뻗어있고 수평방향에서 좌석 벨트는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다. 내측 단부에서, 좌석 벨트(112)는 자동차의 리테이너(122)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D-링 커플링 부재(116)(도 3)에 고정된다. D-링 커플링 부재(116)와 리테이너(122)의 구조는, 시판되는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해 당해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팽창기(10)가 작동할 때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벨트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팽창된다. 부수 가스와 접-전 부족으로 인한 버클과 수축근 위치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위치에 팽창기(10)를 장착하지 않으므로 유리하다. 또,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하므로 탑승자의 머리, 목과 가슴을 초기에 쉽게 보호할 수 있다. 탑승자의 머리, 목과 가슴의 부상은 치명적일 수 있지만 무릎, 발목등과 같은 말단부의 부상은 최악의 상황에서 불구자가 되도록 할 수 있지만 생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머리, 목, 가슴을 일차적으로 보호한다. 그리고, 차량(102)의 측면 충돌이 있는 경우에, 차량 측부 안쪽과 머리사이에 보호 쿠션을 장착하는 기간은 비교적 짧다(예 10-15ms).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하향 팽창은 이 상황에서 특히 유익하다.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탑승자의 목과 머리를 보호한다. 이것은 팽창된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운동을 통제하는데 상기 쿠션은 턱 아래에서 탑승자 머리를 유지하고 탑승자의 머리가 앞쪽으로 심하게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종래 기술에서처럼, 탑승자 가슴의 전진 운동에 의해 수반되는 탑승자 머리의 격렬한 전진 회전운동이 발생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운동을 방지하는 알맞은 구속 기구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계기판이나 타륜에 대해 머리를 심하게 부딪칠 수도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르면 충돌시 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부여되는 격렬한 움직임 때문에, 탑승자의 목은 심하게 접질리게 될 것이다. 탑승자의 가슴과 다리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벨트 부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탑승자가 뒷좌석에 앉아 있을 때, 탑승자의 목과 머리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벨트에 의해 앞좌석의 후부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보호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에서 팽창재의 경로 길이가 바깥쪽으로 확장됨에 따라 그 유효 길이는 짧아진다. 이것은, 커플링 부재가 리테이너(122)에 결합되었을 때 D-링을 통하여 좌석 벨트(112)의 웨빙 부분을 끌어당긴다. 이것은 좌석 벨트(112)가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단단히 죄어지도록 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팽창으로 단단히 죄어졌을 때, 좌석 벨트(112)는 탑승자의 하반신 운동을 구속한다. 이것은 탑승자의 하체가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서 탑승자의 무릎과 발이 부상당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인다. 또 이것은 탑승자의 상반신을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하여서 머리와 가슴은 효과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컨테이너(32) 내 불꽃 물질(30)의 양은 너무 적고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팽창은 너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팽창식 벨트 부분의 온도는 최소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벨트 부분의 팽창에 의한 팽창식 벨트(104)의 온도 상승은 단지 약 7℉이다. 이것은, 종래의 팽창식 벨트에서 이따금 발생하는 것과 같은 탑승자의 화상을 막는다.
도 5 과 6 에 나타난 것처럼, 팽창식 벨트(104)는 팽창하기 전에 비교적 좁다. 이것은, 벽부분의 가로 단부에서 벽 부분의 중간 위치까지 각각의 벽 부분(104a, 104b)이 지그-재그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도 5 와 6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되었을 때, 그것은 확장되어서 벽 부분(104a, 104b)사이의 횡방향 거리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것은 도 7 과 8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이것은, 탑승자 신체의 가슴, 목과 머리 모든 곳에서 가해지는 단위 힘이, 탑승자 신체에 대한 팽창식 벨트(104)의 접촉면에서 상당한 증가로 감소되므로 유리하다.
좌석 벨트(112)는 차량 바닥에 인접하여 차량에 단단히 고정된 수축근(124)과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수축근(124)은 수축근에 좌석 벨트(112)를 감고, 수축근으로 부터 좌석 벨트를 풀 수 있도록 공지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알맞은 수축근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차량용 좌석 벨트와 함께 사용된다. 예로, 수측근(124)은 아리조나, 포닉스의 Am-safe에서 제조, 판매되는 웨빙 속도 감지 수축근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수측근은 본원에서 포함될 수 있다.
수축근(124)은, 차량(102)의 충돌 사고시 좌석 벨트(112)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좌석 벨트(112)는 확장 될 수 없으므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팽창은 탑승자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부분(112)을 꽉 조여준다. 동시에,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탑승자 신체 부위의 운동을 구속하도록 머리, 목과 가슴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커플링 부재(116)(도 3, 5)가 공지된 기술에 따라 리테이너(122)로 부터 분리될 때, 수축근(124)은 좌석 벨트(104)가 수축근에 감겨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은 시트(108)와 이웃하여 뒤쪽으로 하향 배치된다. 이것은 도 8 의 점선과 도 4 의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팽창식 벨트(104)의 상단부가 기둥(106)에 부착되는 상기 예에서, 기둥은 앞쪽 도어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팽창식 벨트(104)의 보든 부분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앞쪽 도어를 통하여 승하차 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차량 내에 어떤 부품이나 소조립체도 조절할 필요 없이 차량에 새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팽창식 벨트 조립체(100)는 편리하다. 단위 벨트(100)는 운전석, 보조석 및 뒷좌석의 탑승자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팽창식 벨트(104)를 팽창시키는 팽창기(10)는 상기 벨트와 나란히 배치되므로, 단위 벨트(100)는 각 시트에서 일체형 조립체로서 구비된다.
상술한 대로, 팽창식 벨트부분(104)은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한 이후 거의 동시에 팽창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바닥까지 팽창시키므로, 좌석 벨트(112)로 나타낸 표준 시트 벨트 구조물에서 좀더 두꺼운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비교적 얇은 부분 사이의 두께가 불연속적인 곳에 큰 응력을 가한다. 이 웨빙은 좌석 벨트(112)의 재료가 된다. 두께가 불연속적인 부분은, 팽창식 벨트(112)가 좌석 벨트(112)에 고정되는 위치이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과 좌석 벨트 부분(112) 사이에서 두께가 불연속적인 곳에 가해지는 큰 응력은, 어떤 조치도 강구되지 않는다면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세폭재를 파괴하고 좌석 벨트 부분(112)과 팽창식 벨트부분(104)을 분리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식 벨트 부분(112)과 완전히 분리된다면,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팽창 효과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실된다.
도 5-7 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3°으로 나타낸 스티칭 배치를 나타낸다. 이 스티칭 배치는 스티치(134)의 여러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을 포함한다. 각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에서 스티치(134)는 톱니형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데 이 지그재그형으로 벨트 부분(104, 112)의 겹쳐지는 길이를 따라 여러 부분에서 스티치가 뻗어있고 스티치(134)의 각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을 교대로 배치하고 스티치의 다른 부분은 제 1 횡방향 위치와 다른 횡방향 위치에 형성된다. 스티치(134)의 여러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은 가로 방향으로 하나씩 배치된다. 스티치(134)의 각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은 이웃한 스티치와 횡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놓인다.
도 5 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스트치(134) 부분(132a, 132c, 132e)은 스티치(134)의 부분(132b, 132d)보다 길이가 길다. 스티치(134)의 132b, 132d 부분은 스티치(134)의 132a와 132c 사이 및 132c와 132e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팽창식 벨트(104)의 세폭재로부터 좌석 벨트(112)의 두꺼운 웨빙 부분까지 응력 하중이 전이될 때 전술한 구조는 응력의 급격한 증가를 막는다. 스티치(134)의 132a, 132b, 132c, 132d 및 132e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가변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본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스티치(134)의 여러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으로부터 팽창식 벨트(104)에서 분리된 위치에서, 다른 스티치(136, 138)(도6, 7)는 팽창식 벨트와 죄석 벨트가 겹쳐지는 길이를 따라 이격된 부분에서 중첩된 팽창식 벨트(104)와 좌석 벨트(112)의 너비를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또다른 스티치는 열십자(+)모양을 스티치(136)의 각 횡방향 에지로 부터 스티치(138)의 다른 횡방향 에지까지 대각선으로 뻗어있다. 이 대각선 스티치는 140과 142로 나타내었다. 이 스티치는, 팽창식 벨트(104)와 랩 벨트(112)의 가로 방향을 따라 팽창식 벨트의 다른 횡방향 에지까지 팽창식 벨트(104)의 횡방향 에지 에 의해 유지되는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상기 벨트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팽창될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바닥 단부에서 팽창식 벨트(104)를 구성하는 팽창 가능한 클로쓰(cloth)위에 발생된 힘은, 스티치(134)의 각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에 가해진다. 이 작용은 각 스티치의 분리점에서 이루어져서 스티치를 분리한다. 이것은 도 7 에 나타나 있다.
팽창성 벨트(104)의 하축 단부에서 얇은 천은 팽창되고 132a, 132b, 132c, 132d 와 132e에서 스티치(134)를 분리하므로, 끊어진 실의 에너지 흡수에 의해 힘이 너무 많이 감쇄되어서 얇은 천은 보호되고 완전히 원상태로 유지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104)으로부터 좌석 벨트(112)까지 벨트 하중을 전달한다. 지그재그형 스티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경로에 대해 약 4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선호되고 천의 하중에 최대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모든 실이 순서대로 끊어지는 파열 강도를 가지는 실로 구성된다.
팽창식 벨트 조립체는 비싸다. 그러므로 사용할 때에만 단위 벨트(100)가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커플링 부재가 리테이너(122)에 결합된 곳에서 스위치(141)(도 5)는 커플링 부재(116)에 배치될 것이다. 스위치(141)는, 커플링 부재(116)가 리테이너(122)에 연결될 때만 닫혀진다. 스위치(141)는 도 2 에 나타낸 연결 핀(24)과 회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141)가 닫힐 때만 불꽃 물질(30)을 연소시키도록 팽창기(10)는 작동된다. 이것은, 탑승자가 단위 벨트(100)에 의해 보호될 때만 제외하고 팽창식 벨트(104)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조된 시시템은 개개의 소조립품과 조립 관계에서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팽창기의 장점에 따르면 팽창기(10)는 컨테이너(32)(도1, 2)의 개봉과 하우징(12)내 가스의 가열을 거의 동시에 수행한다. 이 장점들로는, 불꽃 물질(30)의 조성, 입자로서 불꽃 물질의 형성, 컨테이너(32)내 불꽃물질의 불완전 연소 및 뒤따라 이루어지는 하우징(12)내 불꽃 물질 입자의 연소가 있다. 이때 입자들은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가스와 하우징에서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소된다. 전술한 장점이외에 팽창기(10)내 성분의 수가 최소이고 컨테이너(32), 하우징(12)과 매니포울드(36)를 포함한 다른 성분의 벽과 상기 성분재료가 얇고 절연성을 가지므로 유리하다.
또, 불꽃 물질(3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팽창기에서 사용되는 큰 입자와 구분되는 분말 또는 입상체이므로, 불꽃 물질(30)의 연소는 종래 기술에 비해 아주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질 것이다. 불꽃 물질(30)의 연소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은, 컨테이너(32)내 불꽃 물질의 양이 적고 연소가 이루어지는 압력이 약 12,000psi 비교적 고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10)는, 차량부근의 기온이 급격하게 바뀔 때에도 단일 벨트(100)의 작동 특성을 일정하게 부여한다.
단위 벨트(100)도 중요한 장점들을 가진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되었을 때, 이것은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를 보호한다. 또 이것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탑승자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112)을 꽉 죄어준다. 이것은 탑승자의 하측 말단부를 보호해준다. 탑승자가 도어(112)를 통하여 타고 내리려고 할 때, 커플링 부재(116)는 리테이너(122)로부터 분리되고 좌석 벨트 부분(112)은 수축근(124)으로 감겨진다. 이것은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도어(110)의 뒤쪽에서 시트(108)를 따라 팽창식 벨트(104)를 배치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 비해 여러 가지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우징(12)은 오우프닝(40)과 도관(42)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것은, 팽창성 벨트 부분(104)이 팽창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또 이것은 팽창기(10)의 중량과 팽창기에 의해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한다. 팽창기(10)의 중량과 팽창기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 팽창기 내에서 불꽃 물질(30)의 양을 최소화한다. 전술한 대로, 불꽃 물질은 입상형이 선호된다. 불꽃 물질(30)의 연소는 팽창기에서 여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 최종 생성물과 부산물을 만든다.
팽창식 벨트 부분(104)이 팽창되었을 때, 이것은 팽창식 벨트 부분을 한정하는 얇은 천에 큰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 응력은 스티치(134)의 각 부분(132a, 132b, 132c, 132d, 132e)에서 좌석 벨트(112)와 팽창식 벨트 부분(104)의 분리에 의해 흡수된다. 다른 스티치들은 스티치(136, 138, 140, 142)에서 처럼 원상태로 유지된다. 이런식으로, 팽창 가능한 벨트 부분(104)과 좌석 벨트(112)는, 팽창식벨트(104)를 한정하는 천의 찢어짐 없이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팽창식 벨트 부분의 팽창을 제어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팽창식 벨트 부분(104)을 덮도록 커버(105)(도 9)를 배치하므로 유리하다. 이 시스템은, 리테이너에 커플링 부재(116)를 배치하여 스위치가 닫혀질 때만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리테이너(122)에 스위치(141)를 장착하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 기술되었지만, 본원 원리는 당해 업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응용,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범위 내에서 한정된다.

Claims (104)

  1.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은 지지 구조물과 제 1, 2 리테이너 부재를 가지고,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대각선으로 뻗어있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제 1, 2 대향한 단부를 가지고 차량에서 지지 구조물과 제 1 단부에서 고정되도록 구조되고,
    좌석 벨트 부분은 제 1, 2 대향한 단부를 가지고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와 제 1 단부에서 부착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로부터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는 차량에서 제 1 리테이너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링 부재를 가지며,
    좌석 벨트 부분은 차량 내 제 2 리테이너 부재에 결합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 근처에서 제 2 커플링 부재를 가지고,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방향으로 위를 향하여 좌석 벨트 부분이 뻗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좌석 벨트 부분을 꽉 죄어주도록 좌석 벨트 부분에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된 장치를 포함하는, 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할 때 팽창성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차량에서 지지 구조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커플링 부재가 제 1 리테이너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수축근에 좌석 벨트 부분을 배치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에 대해 배치된 수축근을 제 2 리테이너가 포함하고, 제 1 커플링 부재가 제 1 리테이너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차량으로부터 탑승자가 나오고 들어가기 쉽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차량에서 시트에 대해 수축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차량은 탑승자를 위한 시트를 포함하고,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과 결합된 장치를 포함하며, 탑승자의 어깨, 목,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지지 구조물로 확장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시트의 한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리테이너와 수축근은 지지 구조물과 동일한 시트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은 지지 구조물과 내외측을 가지는 탑승자를 위한 시트를 가지며 탑승자시트의 내측에 제 1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탑승자 시트의 외측에 제 2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되며,
    좌석 벨트 부분은 제 1, 2 대향한 단부를 가지고, 제 1 리테이너 장치에서 지지하도록 제 1 단부에 제 1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제 2 리테이너 장치에서 지지하도록 제 2 단부에 이웃하여 제 2 커플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2 커플링 부재는 구멍을 통하여 좌석 벨트 부분이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구조된 구멍을 포함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은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 결합된 제 1 단부를 가지고 지지 구조물에 고정하도록 형성된 제 2 단부를 가지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팽창되는 경우에 탑승자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단단히 죄어 주고 차량의 충돌사고가 일어날 때 팽창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가스를 팽창시키고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팽창식 벨트 부분에 배치된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 제 6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이 탑승자의 머리 위쪽에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조되고, 제 1 커플링 부재가 제 1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되고 수축근에 배치될 때 탑승자의 시트에 인접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을 장착하고, 제 2 리테이너에 좌석 벨트를 배치하는 수축근을 제 2 리테이너가 포함하고 차량의 바닥 근처에 형성되는, 바닥을 가지는 차량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 제 6 항에 있어서, 탑승자의 시트 외측에서 탑승자의 상반신을 향하여 비스듬히 탑승자 좌석의 내부에서 무릎 부분으로부터 팽창식 벨트 부분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어깨를 가로질러 위쪽으로 뻗어있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할 때 탑승자의 목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탑승자의 머리와 목의 한쪽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가스를 팽창시키고 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장치가 배치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머리 위쪽에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조되며,
    제 1 커플링 장치가 제 1 리테이너 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제 2 리테이너는 수축근에서 좌석 벨트 부분을 배치하도록 구조된 수축근을 포함하며,
    제 1 커플링 부재가 제 1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되고 좌석 벨트 부분이 수축근에 배치될 때 시트에 이웃하여 팽창식 벨트를 배치하도록 자동차 바닥 근처에 제 2 리테이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2.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은 내부와 외부를 가지는 탑승자를 위한 시트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물을 가지며, 시트의 내부에 제 1 리테이너를 가지고, 시트의 외부에 제 2 리테이너를 가지며,
    단일형 벨트는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고,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제 1 리테이너에 고정되도록 제 1 단부에 제 1 커플링 부재를 가지며, 좌석 벨트 부분은 또 제 1 단부에 대향한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서 좌석 벨트 부분에 고정되며,
    제 2 리테이너에 결합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좌석 벨트 부분을 안내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을 고정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며,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좌석 벨트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값 이상의 힘이 좌석 벨트에 가해질 때 좌석 벨트 부분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 1 리테이너에 제 1 커플링 부재를 부착할 때 좌석 벨트 부분에서 느슨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2 커플링 부재에 인접한 좌석 벨트 부분에 대해 수축근이 배치되는 결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은 시트의 내측에서 탑승자의 무릎 근처에서 가슴 부분을 가로질러 위쪽으로 차량의 지지 구조물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사고가 있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 사이의 상대 위치는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단단히 죄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5. 제 12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하였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에 힘이 가해지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 사이의 분리없이, 상호 결합 장치에서 소실시키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상호 연결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차량은 앞쪽 도어와 뒤쪽 창문을 가지고 앞쪽 도어와 뒤쪽 창 사이에 기둥을 가지며,
    차량의 충돌 사고가 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꽉 죄어 주도록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 사이의 분리없이, 상호 결합 장치에서 흡수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상호 연결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물은 앞쪽 도어와 뒤쪽 창 사이에 기둥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7.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은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탑승자를 유지하도록 내외측을 포함한 시트를 가지며,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 신체의 한쪽, 무릎으로부터 다른쪽 어깨까지 횡방향으로 위쪽으로 뻗어있으며,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좌석 벨트 부분을 시트의 내측에서 차량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제 1 장치를 포함하고,
    제 2 장치는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위치에서 상향하여 시트의 내측에서 좌석 벨트 부분을 안내하며,
    제 3 장치는 제 2 장치에 이웃한 위치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상호 연결하고,
    제 4 장치는 제 2 장치에 이웃한 위치에서 좌석 벨트 부분을 차량에 결합하며,
    제 5 장치는 탑승자의 어깨 위에서 차량의 지지 구조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을 고정하는, 결합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좌석 벨트 부분이 팽창식 벨트 부분에 부착된 이후에 좌석 벨트 부분의 확장을 방지하고, 좌석 벨트 부분에서 느슨해지는 부분을 제거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을 당겨주는 제 6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제 3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하는 동안, 좌석 벨트 부분에 힘이 가해지기 전에, 팽창식 벨트 부분에 가해진 힘을 흡수하도록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제 6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가 있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1. 제 18 항에 있어서, 제 3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하는 동안, 좌석 벨트 부분에 힘이 가해지기 전에, 팽창식 벨트 부분에 가해진 힘을 흡수하도록 구조되고,
    제 6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가 있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2.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되고,
    팽창될 때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를 보호하도록 위쪽으로 뻗어있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서 차량에 부착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이 만들어지며,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도록 형성되고, 차량의 제 2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장치는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와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를 부착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의 팽창에 의해 좌석 벨트 부분에 가해진 힘을 이 부착 장치에서 흡수하고,
    제 2 장치는 탑승자의 무릎에서 위를 향하여 좌석 벨트 부분을 안내하여서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의 제 1 장치에 의해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 고정되는, 결합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좌석 벨트 부분이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가 차량에 부착될 때 좌석 벨트 부분에서 느슨함을 최소화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 수축근이 배치되고 차량의 제 1 단부에 부착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이 구조되며,
    차량 충돌 때문에 좌석 벨트 부분을 느슨하게 하도록 힘이 가해질 때 적소에 좌석 벨트 부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는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조되고 배치되며,
    제 3 장치는 분리되었을 때 탑승자의 무릎으로부터 좌석 벨트를 움직이는 방향으로 좌석 벨트의 운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차량은 시트를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 또는 좌석 벨트 부분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차량으로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위치에서, 자동차로부터 좌석 벨트의 제 2 단부를 분리할 때, 시트에 인접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을 배치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이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 3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좌석 벨트 부분이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가 차량에 부착될 때 좌석 벨트 부분에서 느슨함을 최소화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 수축근이 배치되고 차량의 제 1 단부에 부착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이 구조되며,
    좌석 벨트 부분에서 느슨한 부분을 형성하도록 힘이 가해질 때 좌석 벨트 부분은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구조되고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8.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되고,
    팽창될 때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를 보호하도록 위쪽으로 뻗어있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서 차량에 부착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이 만들어지며, 상기 팽창식 벨트 부분은 스티치로 꿰매어져 만들어지고,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도록 형성되고, 제 2 단부에서 차량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석 벨트 부분은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꿰매어질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지며,
    단일형 벨트를 형성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결합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스티칭 장치의 일부분이 단일 벨트를 구성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결합하는데 유효한 동안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로 가해지는 힘을 소실시키도록,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와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를 꿰매어주고,
    좌석 벨트 부분을 팽창식 벨트 부분과 스티칭 장치에 의해 꿰매어주도록 위쪽으로 탑승자의 무릎에서 한 부분으로부터 좌석 벨트를 안내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결합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될 때 좌석 벨트 부분을 수축시키기 위해 제 2 단부에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단부에서 차량에 분리할 수 있게 좌석 벨트 부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차량은 지붕과 바닥을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 또는 좌석 벨트 부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차량으로부터 탑승자를 내리고 태울 수 있도록 차량의 지붕 근처에서 차량에 팽창식 벨트 부분이 고정되고 차량의 바닥 근처에서 차량에 좌석 벨트 부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 제 1 장치가 배치되고,
    좌석 벨트 부분이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서 차량으로부터 분리될 때 좌석 벨트 부분을 수축시키도록 좌석 벨트 부분의 제 1 단부에 장치를 포함하고 좌석 벨트 부분의 제 2 단부에서 차량에 분리할 수 있게 좌석 벨트 부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3.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장치는 가열될 때 팽창가능한 기체를 위한 하우징과 연성 컨테이너에 배치된 불꽃 입자를 포함하고 연성 컨테이너는 하우징에 놓이고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를 연소시킬 때 컨테이너는 부서지기 쉬우며 컨테이너가 파괴되었을 때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는 불완전 연소되고 가열된 기체를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팽창시키기 위해 하우징에 저장된 기체에 열을 전달하도록 하우징에서 불완전 연소된 불꽃 입자가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4.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되었을 때, 차량 내 탑승자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팽창식 부재를 포함하고,
    연성 컨테이너는 연성 컨테이너 내에 불꽃 입자를 저장하며,
    하우징은 가열되었을 때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는 가스를 가지고,
    제 1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할 때 불꽃 입자를 불완전 연소시킨 후에 연성 컨테이너를 파괴하도록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하고, 하우징 내 불꽃 입자를 완전 연소시키도록 불완전연소된 입자를 하우징으로 배출하며, 가스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으로 전달하고,
    제 2 장치는 하우징으로부터 제어된 통로를 통하여 팽창된 가스가 흐르도록 하우징 내 가스의 팽창에 감응하는, 결합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팽창 부재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구성하고,
    랩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과 함께 단일 벨트를 형성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결합되며,
    제 3 장치는 탑승자의 신체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꽉 죄어 주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팽창에 대해 반응하고 상기 팽창식 벨트 부분 및 좌석 벨트 부분과 공동 작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6. 제 34 항에 있어서, 제어 통로는 가스에 의해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하우징 내 가스를 팽창시킬 때 하우징에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오우프닝을 가지는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7. 제 34 항에 있어서, 제어된 통로를 통하여 하우징에서 가스가 이동하기 위해 파열되도록 하우징 내 특정 기압에 반응하고 제어된 통로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연성 다이어프램을 제 2 장치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8. 제 35 항에 있어서, 제어 통로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하우징 내 가스를 팽창시킬 때 하우징에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오우프닝을 가지는 도관을 포함하고,
    제어된 통로를 통하여 하우징에서 가스가 이동하기 위해 파열되도록 하우징 내 특정 기압에 반응하고 도관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연성 다이어프램을 제 2 장치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9. 제 34 항에 있어서, 제 3 장치는 하우징으로 가스를 삽입하고 이렇게 삽입한 후에 하우징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0. 팽창식 부재,
    연성 컨테이너,
    상기 연성 컨테이너 내에 불꽃 입자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장치,
    가열될 때 팽창성을 가지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 2 장치는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하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고, 불꽃 입자를 불완전 연소시킨 후에 연성 컨테이너를 파괴하며, 하우징 내 불완전 연소된 불꽃 입자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하우징으로 불완전 연소된 불꽃 입자를 배출하고, 불꽃 입자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은 하우징 내 가스에 전달하며,
    제 3 장치는 가열된 기체로 팽창식 부재를 팽창시키도록 하우징 내 가스에 전달되는 열에 감응하는, 결합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제 2 장치는 하우징으로부터 뻗어있는 오우프닝을 가지는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팽창식 부재로 가열된 기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2. 제 40 항에 있어서, 팽창식 부재는 팽창가능한 백으로 구성되고,
    팽창가능한 백은 탑승자의 한쪽 무릎에서 탑승자의 다른 쪽, 머리까지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뻗어있도록 배치되며,
    컨테이너, 제 2 장치, 하우징과 제 3 장치는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탑승자의 무릎까지 아래쪽으로 팽창성 백을 팽창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3. 제 40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성 부재가 차량에 배치되고,
    팽창성 부재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며,
    좌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에 연결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차량 내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꽉 죄어 주기 위해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가능한 벨트 부분에 제 3 장치가 결합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은 단일 벨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4. 제 40 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컨테이너는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팽창식 부재가 차량에 배치되고,
    제 3 장치는 하우징으로부터 팽창식 부재로 뻗어있는 오우프닝을 가지는 도관을 포함하며,
    팽창성 부재는 팽창가능한 백을 포함하고,
    탑승자의 무릎 부분에서 탑승자의 다른 쪽, 머리까지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뻗어있도록 팽창가능한 벨트 부분이 배치되며,
    컨테이너, 제 1 장치, 하우징과 제 2 장치는 탑승자의 머리에서 탑승자의 무릎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팽창가능한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배치되고,
    좌석 벨트 부분은 팽창가능한 벨트 부분에 연결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과 함께 단일형 벨트를 구성하며,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될 때 차량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꽉 죄어주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6. 팽창식 부재,
    가열되었을 때, 팽창성 기체를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 1 장치는 하우징 내 가스를 팽창시키기 위해 열을 생성하도록 연소성 입자를 보유하는 하우징과 공동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제 1 장치는 하우징 내 연소성 입자를 연속 연소하기 위해서 연소성 입자의 불완전 연소시 파괴될 수 있으며,
    제 2 장치는 하우징과 공압적으로 분리되게 하우징으로부터 뻗어있고 하우징 내에서 설정된 기압을 발생시킬 때 하우징과 공압 작용을 함께 받도록, 제 2 장치와 하우징 사이에서 공압이 전달될 때 팽창식 부재를 팽창시키도록 만들어지며,
    제 3 장치는 제 1 장치 내 연소성 입자의 연소를 개시하는, 결합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제 2 장치와 하우징은 하우징으로부터 제 2 장치로 팽창된 가스를 통과시키고,
    팽창식 부재는 팽창식 부재를 팽창시키도록 제 2 장치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를 수용하도록 제 2 장치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8. 제 46 항에 있어서, 제 1 장치에서 연소성 물질의 입자를 연소하기 전에 하우징 내 기압이 설정치 내에 있는지 아닌지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과 공동작용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9. 제 46 항에 있어서, 가스를 하우징으로 주입하고 가스를 주입한 후에 하우징 내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우징과 공동 작용하게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0. 제 46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 가스는 불활성 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1. 제 47 항에 있어서, 제 1 장치에서 연소성 물질의 입자를 연소하기 전에 하우징 내 기압이 설정치 내에 있는지 아닌지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과 공동작용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가스를 하우징으로 주입하고 가스를 주입한 후에 하우징 내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우징과 공동 작용하게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며,
    하우징 내 기체는 아르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2. 제 47 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제 1 장치는 제 1 장치와 하우징 내 연소성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3. 팽창성 기체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불꽃 입자는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고, 이 입자는 탑승자에게 부상을 입히지 않고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산물과 최종 생성물을 발생시키도록 연소성을 가지며,
    제 1 장치는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하고,
    하우징 내 가스는 불꽃 입자가 연소될 때 팽창가능하며,
    제 2 장치는 통로를 한정하고 하우징과 공동작용하게 배치되고,
    제 3 장치는 통로를 통하여 가스가 흐르도록 하우징 내 가스의 팽창에 감응하며,
    팽창식 부재는 팽창되도록 통로를 통과하는 가스의 흐름에 감응하는 결합체.
  54. 제 53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의 불완전 연소시 부서지기 쉽고 불완전 연소된 불꽃 입자는 연성 컨테이너를 파괴한 후에 하우징에서 연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5. 제 53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 가스는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6. 제 53 항에 있어서, 제 4 장치는 하우징으로 가스를 주입하고 이렇게 주입한 후에 하우징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7. 제 53 항에 있어서, 팽창식 부재는 차량의 충돌이 있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차량에 배치되고,
    팽창식 부재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며,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도록 구조되고 배치되며,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은 단일 벨트 부분을 형성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 이외에 신체 부위를 보호하도록 배치되며,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단단히 죄어 주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연결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될 때 탑승자의 다른 신체부위에 대해 팽창식 벨트 부분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8. 제 53 항에 있어서, 팽창식 부재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에 인접하여 팽창되도록 구조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9. 제 53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를 불완전 연소시킬 때 부서지기 쉽고 불완전 연소된 불꽃 입자는 연성 컨테이너가 파괴된 후에 하우징에서 연소되고,
    하우징 내 가스는 불활성을 띠고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며,
    제 4 장치는 하우징으로 가스를 주입하고 이렇게 주입한 후에 하우징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0. 제 59 항에 있어서, 팽창식 부재는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 배치되고,
    팽창식 부재는 팽창 가능한 벨트 부분을 포함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 이외 신체 부위를 보호하도록 배치되고,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될 때 탑승자의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 팽창 가능한 벨트 부분을 배치하고, 차량 내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좌석 벨트 부분을 꽉 죄어주고 단일형 벨트를 한정하도록 팽창가능한 벨트 부분 및 좌석 벨트 부분을 연결하는 제 5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1. 제 53 항에 있어서, 하우징 기압이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순간을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에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2.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시트 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트는 내외측부를 가지고,
    차량은 시트와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지지 구조물로부터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시트의 내측까지 아래쪽으로 뻗어있으며, 팽창식 벨트 부분은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를 가지고,
    좌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을 가지는 단일 벨트를 한정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하측 단부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에 고정되고 시트의 내부로부터 시트의 외부까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제 1 장치는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연결되며,
    제 2 장치는 차량이 충돌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될 때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좌석 벨트 부분을 유지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과 결합되는, 결합체.
  63. 제 62 항에 있어서, 제 2 장치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연소성 불꽃 입자를 유지하는 연성 컨테이너 및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성 컨테이너는 연성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할 때 열려지고 하우징 내 불꽃 입자의 연소를 종료하도록 하우징에 배치되며,
    하우징 내 불꽃 입자를 연소할 때 가열되는 가스를 하우징에 가지고,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가열된 기체를 통과시키도록 하우징 내 가스의 가열에 감응하는 제 3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4. 제 62 항에 있어서, 차량은 바닥을 포함하고,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좌석 벨트 부분을 초기 확장한 후 좌석 벨트 부분의 확장을 방지하여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좌석 벨트 부분이 확장되는 것을 막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무릎에 대해 단단히 죄어지도록 작동하고 차량의 바닥 근처에서 차량에 놓인 수축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5. 제 64 항에 있어서, 시트의 내측에 차량의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커플링 부재는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좌석 벨트 부분을 지지하도록 리테이너에 부착할 수 있고 좌석 벨트 부분의 단부에 배치되며,
    리테이너로부터 커플링 부재가 분리될 때 수축근은 상기 수축근 위에 좌석 벨트 부분을 배치하여서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부터 어떤 방해도 받지 않으면서 차량으로부터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배치되고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제 2 장치는 불꽃 입자를 유지하는 연성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이 불꽃 입자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연소되며,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성 컨테이너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연성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할 때 파괴되고 하우징 내 불꽃 입자의 연소를 종료시키며,
    하우징 내 불꽃 입자를 연소시킬 때 가열된 기체를 하우징에 주입하고,
    제 3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가열된 기체를 통과시키도록 하우징 내 기체의 가열에 감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7.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은 지지 구조물, 내외부를 가지는 시트, 시트의 내부에 이웃한 리테이너 및 시트의 외부에 인접한 수축근을 포함하고,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으로 구성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시트에서 탑승자의 가슴 위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탑승자의 무릎에 인접한 위치까지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좌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바닥에 인접한 곳에서 팽창식 벨트 부분에 고정되고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탑승자의 무릎 내측까지 뻗어있으며,
    제 1, 2 커플링 장치는 리테이너와 수축근에 각각 고정되도록 좌석 벨트 부분에 배치되고,
    팽창 부재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에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결합체.
  68. 제 67 항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를 보호하도록 팽창될 때 탑승자의 뺨에 대해 목을 가로질러 팽창식 벨트 부분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9. 제 67 항에 있어서, 차량은 바닥을 포함하고, 제 1 리테이너로부터 커플링 부재가 분리될 때 수축근은 상기 수축근 위에 좌석 벨트 부분을 배치하도록 구조되어서 어떤 방해도 받지 않으면서 차량으로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고 상기 수축근은 시트에 인접한 바닥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0. 제 67 항에 있어서, 팽창식 부재는 차량이 충돌했을 때 팽창식 벨트 부재를 팽창시키도록 팽창식 벨트에 대해 배치되고,
    팽창식 부재는 탑승자에게 유독하지 않고 대기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산물과 최종 생산물을 형성하는 연소성 물질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1. 제 70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가슴, 목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팽창될 때 탑승자의 볼에 대해 목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제 2 리테이너는 차량으로부터 쉽게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제 1 리테이너로부터 제 1 커플링 장치가 분리될 때 수축근에 좌석 벨트 부분이 배치되도록 구조되고 시트와 인접한 한 부분에서 바닥 가까이에 배치된 수축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2.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차량은 바닥, 지지 구조물, 내외측을 가지는 시트와 이 시트의 내부 및 차량의 바닥에 이웃하여 배치된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단일형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부분으로 구성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은 탑승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 탑승자의 가슴 위쪽의 한 부분에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고, 탑승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아래쪽으로 횡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시트의 외측으로부터 시트의 내측까지 뻗어있고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장치는 차량이 충돌할 때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배치되고,
    제 2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분리하지 않으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의 팽창으로 인해, 팽창식 벨트 부분에 생성된 힘을 제 2 장치에 의해 흡수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를 부착하는, 결합체.
  73. 제 72 항에 있어서, 제 2 장치에 의해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고정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횡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탑승자의 무릎을 따라 시트의 외측에서 좌석 벨트 부분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제 3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4. 제 72 항에 있어서, 수축근은 차량 바닥 부분에 인접한 시트의 외측에서 차량에 배치되고 커플링 부재가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될 때 수축근에 좌석 벨트 부분을 배치하여서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부터 방해받지 않으면서, 차량으로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5. 제 72 항에 있어서, 제 2 장치는 서로에 대해 중첩되어 배치된 부분을 가지는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통하여 뻗어있는 다수의 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6. 제 74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은 그것의 길이를 따라 중첩되어 배치되고,
    각 스티치에서 실은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의 중첩부분을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놓이며,
    제 2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의 중첩부에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의 횡방향 단부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뻗어있는 실을 포함하고 추가 실과 연결되게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의 중첩부의 대향한 횡방향 단부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뻗어있는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7. 제 76 항에 있어서, 탑승자가 차량으로 타고 내리기 쉽도록 커플링 부재가 제 1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될 때 수축근에 좌석 벨트 부분이 배치되도록 구조되고 시트 부근의 바닥 근처에 배치된 수축근을 차량이 포함하고,
    제 2 장치에 의해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을 부착하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의 횡방향으로 탑승자의 무릎을 따라 좌석 벨트 부분의 외측에서 좌석 벨트 부분의 방향을 재설정하기 위한 제 3 장치를 포함하며,
    커플링 장치가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될 때 수축근은 상기 수축근에 좌석 벨트 부분을 배치하도록 만들어지고 차량의 바닥 근처에서 시트 외측의 차량에 배치되므로 차량으로부터 탑승자는 쉽게 타고 내릴 수 있고,
    제 2 장치는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의 중첩된 거리에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통하여 뻗어있는 다수의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8.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차량은 시트를 포함하고,
    팽창기는 컨테이너 내에 불꽃 입자 및 연성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의 연소를 종료하기 전에, 연성 컨테이너를 개봉한 후에 하우징 내에 불꽃 입자를 배치하도록 컨테이너가 파괴될 때 하우징과 통하도록 하우징에 대해 배치되며,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하우징 내 불꽃 입자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로 인해 가스가 팽창될 때 하우징으로부터 가스가 흐르도록 하우징에 대해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식 부재는 시트 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가스에 의해 팽창되도록 하우징으로부터 가스가 흐르도록 배치되는, 결합체.
  79. 제 78 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팽창 부재까지 가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에 대해 배치된 장치를 포함하고, 이 장치는 하우징으로부터 팽창 부재까지 가스의 흐름을 설정하도록 하우징 내 가스의 힘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0. 제 78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를 점화하도록 차량 충돌에 감응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1. 제 78 항에 있어서, 팽창식 부재는 차량의 충돌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에 탑승자의 머리, 목, 어깨와 가슴을 보호하도록 일정한 거리를 통하여 팽창되도록 시트 내 탑승자에 대해 배치되고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2. 제 78 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는 파괴가능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도관은 다이어프램이 파괴되었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팽창식 부재까지 기체가 통과하도록 팽창식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3. 제 78 항에 있어서, 가스는 불활성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4. 제 79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내 불꽃 물질을 점화하도록 차량의 충돌을 감응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탑승자의 머리, 목, 어깨와 가슴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만큼 팽창되도록 시트의 탑승자에 대해 팽창 부재가 만들어지고 배치되며,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고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최종 생성물과 부산물을 부여하도록 연소성 물질 입자로 불꽃 물질이 구성되고, 상기 가스는 아르곤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5.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은 시트, 연성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컨테이너 내 불꽃 입자를 가지며,
    불꽃 입자를 완전 연소하기 전에 불꽃 입자를 수용하도록, 컨테이너가 파괴되었을 때 하우징 내 불꽃 입자를 연속 연소시키도록 컨테이너와 통하도록 배치되고 가스를 보유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도관은 하우징 내 가열된 가스를 수용하고 이동시키도록 하우징과 연결되게 배치되며,
    다이어프램은 도관으로부터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해 하우징과 도관 사이에 배치되고 도관과 하우징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가열된 가스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며,
    팽창식 백은 팽창되도록 도관을 통과하는 가스에 대해 감응하고, 팽창되었을 때 상기 팽창식 백은 시트에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시트에 대해 배치되는, 결합체.
  86. 제 85 항에 있어서, 도관은 하우징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서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7. 제 85 항에 있어서, 가스는 질소, 헬륨과 아르곤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불활성 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8. 제 85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은 한 쌍의 대향하여 배치된 벽 부분을 포함하는 팽창식 벨트를 가지고 각각의 벽 부분은 대향하여 배치된 벽 사이의 중간 부분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9. 팽창가능한 백은 한 쌍의 대향하여 배치된 벽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벽은 벽의 횡방향 단부에서 이 벽 단부의 중간 위치까지 지그재그형으로 뻗어있고,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부재로 구성되는, 차량의 충돌사고시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결합체.
  90. 제 89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은 백까지 상단을 한정하는 수직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팽창식 장치는 팽창가능한 백의 상부로부터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식 백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1. 제 89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은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상단을 한정하는 수직 성분을 가지는 방향에 배치된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고,
    단일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 아래에 배치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좌석 벨트 부분을 향하여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팽창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2. 제 89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은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상단을 한정하는 수직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단일 벨트는 팽창식 벨트 부분 아래에 배치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며,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좌석 벨트 부분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팽창 장치가 배치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하반신을 구속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은 좌석 벨트 부분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3.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 상단을 한정하도록 수직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팽창 장치는 팽창식 벨트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며,
    좌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바닥에서 좌석 벨트 부분에 작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은 단일 벨트를 형성하는, 결합체.
  94. 제 93 항에 있어서, 좌석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신체에 대해 꽉 죄어주도록 팽창식 벨트 부분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5. 제 93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부터 좌석 벨트 부분을 일부 분리하기 위해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바닥을 고정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6. 제 94 항에 있어서, 불꽃 입자를 불완전 연소시킨 후에 하우징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한 후에 하우징에 대해 분리되어 놓인 불꽃 입자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가스를 가지는 하우징을 팽창 장치가 포함하고,
    불꽃 입자의 연소 개시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불꽃 입자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7. 제 94 항에 있어서,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팽창식 벨트 부분으로부터 좌석 벨트 부분을 일부 분리하기 위해서 좌석 벨트 부분과 팽창식 벨트 부분의 바닥을 고정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불꽃 입자를 불완전 연소시킨 후에 하우징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불꽃 입자의 연소를 개시한 후에 하우징에 대해 분리되어 놓인 불꽃 입자를 포함하고 하우징 내에 가스를 가지는 하우징을 팽창 장치가 포함하고,
    불꽃 입자의 연소 개시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불꽃 입자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8.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결합체에 있어서,
    차량은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에 배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열려 있거나 닫혀 있으며 정상적으로는 열려 있고,
    팽창식 벨트 부분을 포함하며,
    좌석 벨트 부분은 팽창식 벨트 부분에 부착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하반신을 꽉 지지하기 위해 탑승자의 무릎을 가로질러 뻗어있고,
    팽창식 벨트 부분과 좌석 벨트 부분은 단일형 벨트 부분을 구성하며,
    팽창기는 팽창식 벨트 부분을 팽창시키고, 불꽃 입자를 연소하도록 불꽃 입자를 점화시키고, 불꽃 입자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로 가스를 팽창시키도록 전기 회로와 가스, 그리고 불꽃 입자를 상기 팽창기가 포함하고,
    전기 회로는 스위치를 가지며,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할 때 또는 스위치가 닫혀있을 때 불꽃 입자를 점화시키도록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스위치를 닫는 리테이너에 결합하도록 좌석 벨트 부분으로부터 뻗어있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9. 제 98 항에 있어서, 차량은 지지 구조물과 시트를 포함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은 상기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팽창식 벨트 부분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가슴, 목, 어깨 및 머리를 보호하도록 시트 내 탑승자에 대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시트는 이 시트의 외측에서 차량에 배치된 수축근과 내외부를 가지고,
    수축근은 수축근에 좌석 벨트를 배치하고, 커플링 부재가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될 때 지지 구조물과 수축근 사이에 팽창식 벨트 부분을 배치하도록 시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1. 제 98 항에 있어서, 팽창기는 기체 분자를 보유하고, 입자를 부분적으로 연소시킨 후에 하우징 내 불완전 연소된 입자를 연속 연소시키도록 불꽃 입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연소열이 기체 분자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팽창시키도록 가스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2. 제 34 항에 있어서, 불꽃 입자가 하우징 내에 배치될 때 불꽃 물질의 연소 부산물 및, 불꽃 입자의 연소를 완료하기 위한 기체 성분을 하우징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3. 제 40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 불꽃 물질이 배치될 때 불꽃 물질의 연소 부산물과 불꽃 물질의 연소를 완료하도록 기체 성분을 하우징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4. 제 53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 불꽃 물질이 배치될 때 불꽃 물질의 연소 부산물과 불꽃 물질의 연소를 완료하도록 기체 성분을 하우징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KR1019980704765A 1995-12-22 1996-12-09 팽창식 안전벨트시스템 KR19990076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87,773 US6142511A (en) 1995-12-22 1995-12-22 Inflatable passenger restraint and inflator therefor
US8/587,773 1995-12-22
PCT/US1996/019872 WO1997023367A1 (en) 1995-12-22 1996-12-09 Inflatable seat bel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654A true KR19990076654A (ko) 1999-10-15

Family

ID=2435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765A KR19990076654A (ko) 1995-12-22 1996-12-09 팽창식 안전벨트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142511A (ko)
EP (1) EP0868327A4 (ko)
JP (1) JP2000502305A (ko)
KR (1) KR19990076654A (ko)
CN (1) CN1209098A (ko)
BR (1) BR9612269A (ko)
WO (1) WO1997023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5601B1 (en) * 1996-06-03 2002-07-30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Air bag module
US6419263B1 (en) * 1998-05-11 2002-07-16 The B. F. Goodrich Company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ATE231570T1 (de) 1997-05-11 2003-02-15 Alexander Buesgen Gewebe mit veränderlicher breite
DE19725558C2 (de) * 1997-06-12 2001-11-29 Petri Ag Airbag-Rückhaltesystem
KR20010021528A (ko) * 1997-07-09 2001-03-15 하임스 로렌스 에프. 응력을 감소시킨 차량 승객 보호 장치용 팽창 가능한 밴드
JP3500926B2 (ja) 1997-09-02 2004-02-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DE19804365C2 (de) * 1998-02-04 2000-06-08 Hs Tech & Design Dreipunkt-Sicherheitsgurt
JPH11342827A (ja) * 1998-06-04 1999-12-14 Honda Motor Co Ltd エアベルト装置
JP4046413B2 (ja) * 1998-06-08 2008-02-1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3760632B2 (ja) 1998-06-09 2006-03-2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AU751329B2 (en) * 1998-06-18 2002-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seat belt with inner and outer members
JP3763207B2 (ja) * 1998-06-19 2006-04-0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とタングとの接続体及びエアベルトとタングとウェビングとの接続体並びにエアベルト装置
JP3888009B2 (ja) * 1999-10-28 2007-02-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6406058B1 (en) * 1999-11-18 2002-06-18 Universal Propulsion Co., Inc. Inflatable safety restraint system
US6279945B1 (en) * 2000-01-07 2001-08-28 Autoliv Asp, Inc. Guide fitting for inflatable vehicular safety belt
US6382666B1 (en) 2000-03-13 2002-05-07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deployment of inflatable member coaxially with safety belt portion and related method
JP4380021B2 (ja) * 2000-05-11 2009-12-0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DE10031865C1 (de) * 2000-06-30 2002-01-31 Breed Automotive Tech 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s Airbags
DE10039555B4 (de) * 2000-08-07 2005-03-24 Takata-Petri Ag Gassa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es
DE60142570D1 (de) 2000-09-13 2010-08-26 Goodrich Corp Gaserzeugungsvorrichtung
SE520973C2 (sv) * 2001-01-19 2003-09-16 Bofors Bepab Ab Krutmotor, krut- hybridgasgenerator samt sätt att styra brinntrycket i en krutmotor
US6709011B2 (en) * 2001-02-21 2004-03-23 Autoliv Asp, Inc. Leak detection enhancing insert for an airbag inflator assembly
JP4530556B2 (ja) * 2001-03-02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US6818082B2 (en) 2001-04-17 2004-11-16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ion gas generation
US6652683B2 (en) * 2001-04-17 2003-11-25 Autoliv Asp, Inc. Elemental carbon in inflation gas generation
US6533315B2 (en) * 2001-07-17 2003-03-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ongue assembly and buckle for inflatable seat belt
US6550805B1 (en) * 2002-02-01 2003-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ccupant restraint belt with inflatable presenter
US6974153B2 (en) * 2002-04-25 2005-12-13 Dia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n air belt apparatus and air belt apparatus
DE10242023B4 (de) * 2002-09-11 2005-08-25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US6951350B2 (en) 2003-02-24 2005-10-04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Seatbelt airbag
US7506891B2 (en) * 2003-04-17 2009-03-2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Belt and side impact inflator
US7108281B2 (en) * 2003-08-22 2006-09-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tored gas inflator with fill valve assembly
DE20319564U1 (de) * 2003-12-17 2004-04-15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US7607688B2 (en) * 2004-02-25 2009-10-2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Rupturable member
US7121628B2 (en) * 2004-11-15 2006-10-17 Chie-Fang Lo Belt pressure reduction device
US7641232B2 (en) * 2005-02-24 2010-01-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ssure regulator
US7438316B2 (en) * 2005-03-01 2008-10-2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combustion control mechanism
JP4670531B2 (ja) * 2005-08-02 2011-04-1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DE102007016778A1 (de) * 2006-04-04 2007-11-15 TK Holdings, Inc., Armada Gaserzeugungssystem mit Druckregler
FR2907892B1 (fr) * 2006-10-26 2009-01-30 Seva Technologies Generateur de gaz
US7695010B2 (en) * 2008-02-19 2010-04-13 Autoliv Asp, Inc. Inflator with frangible support
FR2928598B1 (fr) 2008-03-11 2011-10-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einture de protection avec systeme de dedoublage de l'ancrage
US7980590B2 (en) 2008-03-19 2011-07-19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having web-mounted inflator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7665761B1 (en) 2008-03-27 2010-02-23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4929230B2 (ja) * 2008-05-09 2012-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8276516B1 (en) * 2008-10-30 2012-10-02 Reynolds Systems, Inc. Apparatus for detonating a triaminotrinitrobenzene charge
JP4706776B2 (ja) * 2009-04-17 2011-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CN101986956B (zh) * 2009-07-30 2013-05-22 林碧芬 辅助充气带装置及辅助支撑带装置
US8047569B2 (en) * 2010-03-12 2011-11-01 Autoliv Asp, Inc. Multi-stage inflator
DE102010026546B4 (de) * 2010-07-08 2021-10-21 Daimler Ag Sicherheitsgurt für ein Fahrzeug
DE102010049765A1 (de) * 2010-10-29 2012-05-03 Trw Airbag System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sttreibstofftabletten, Gasgenerator und Modul mit Gasgenerator
US8469397B2 (en) 2011-04-13 2013-06-25 Amsafe, Inc. Stitch patterns for restraint-mounted airba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439398B2 (en) 2011-07-29 2013-05-14 Amsafe, Inc. Inflator connector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1118110A1 (de) * 2011-11-09 2013-05-16 Daimler Ag Gurtband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CN102490676A (zh) * 2011-11-24 2012-06-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及其座椅
US9511866B2 (en) 2012-03-19 2016-12-06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R2992377B1 (fr) * 2012-06-26 2014-07-18 Hydro Leduc Dispositif hydraulique de secours
CN103786676B (zh) * 2012-10-31 2016-0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安全带的充气袋
US9221415B2 (en) 2014-02-19 2015-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assembling and packing an automotive airbag
JP6265834B2 (ja) * 2014-06-03 2018-0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装置
JP6298730B2 (ja) * 2014-07-01 2018-03-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ベルト装置
US9352839B2 (en) 2014-10-02 2016-05-31 Amsafe, Inc.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283336B1 (en) 2015-04-11 2019-11-20 AmSafe, Inc. Active airbag vent system
DE102015207649A1 (de) 2015-04-27 2016-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 und Komfort-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ieser Vorrichtung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849855B1 (en) * 2016-06-01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irbag assembly
EP3486935B1 (en) * 2016-06-17 2023-03-15 Daicel Corporation Actuator
FR3055589B1 (fr) * 2016-09-06 2019-08-23 Dorel France Siege auto pour enfant a moyens de deconnexion securisee d'une liaison entre deux fourreaux
DE102017218338A1 (de)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218331A1 (de)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quer zur Fahrtrichtung eingebaut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CN110239473A (zh) * 2018-03-09 2019-09-17 周承岗 佩戴式安全气囊系统
JP6703580B2 (ja) * 2018-09-28 2020-06-03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CN109677355B (zh) * 2018-12-06 2020-07-17 嘉兴市瑞鑫塑业有限公司 自动检测保护汽车安全带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63310A (ko) * 1964-05-15
US3655217A (en) * 1969-09-18 1972-04-11 Olin Corp Safety device for vehicles
US3723205A (en) * 1971-05-07 1973-03-27 Susquehanna Corp Gas generating composition with polyvinyl chloride binder
GB1416517A (en) * 1971-11-15 1975-12-03 Project Lab Ltd Safety belts
US3841654A (en) * 1972-09-21 1974-10-15 Allied Chem Vehicle safety system
US3837671A (en) * 1972-11-06 1974-09-24 Allied Chem Inflating means for inflatable vehicle restraint systems
US3820842A (en) * 1972-11-17 1974-06-28 Allied Chem Slip tongue with inflator band
US3897081A (en) * 1972-11-29 1975-07-29 Allied Chem Vehicle safety system
US3874694A (en) * 1972-12-11 1975-04-01 Allied Chem Unitary tongue inflator for inflatable restraint
US3944769A (en) * 1973-01-08 1976-03-1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Pressure sensing means and method for making a pressurized container means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3970329A (en) * 1973-01-10 1976-07-20 Allied Chemical Corporation Inflatable band restraint stitching
US3830519A (en) * 1973-01-10 1974-08-20 Allied Chem Fiber reinforced inflatable restraining band for vehicles
US3866940A (en) * 1973-01-11 1975-02-18 Allied Chem Differentially inflatable restraining band for vehicles
US3951428A (en) * 1973-03-27 1976-04-20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Gas bag inflating device
US4049935A (en) * 1974-06-11 1977-09-20 Allied Chemical Corporation Pressure switch with diaphragm
US5290060A (en) * 1992-12-14 1994-03-01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gas generator for air bag inflatable restraint systems
US5348344A (en) * 1991-09-18 1994-09-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ing a mixture of gases
JP3057114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057115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5257817A (en) * 1992-02-18 1993-11-02 Trw Inc. Air bag inflator having a ball piston valve assembly
DE4305505B4 (de) * 1992-03-04 2006-04-13 Volkswagen Ag Airbagbestückter Schultergurt für einen Fahrzeuginsassen
US5589141A (en) * 1995-03-31 1996-12-31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Use of mixed gases in hybrid air bag inf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24097B1 (en) 2001-05-01
EP0868327A4 (en) 2001-05-23
JP2000502305A (ja) 2000-02-29
US6199905B1 (en) 2001-03-13
EP0868327A1 (en) 1998-10-07
WO1997023367A1 (en) 1997-07-03
CN1209098A (zh) 1999-02-24
BR9612269A (pt) 1999-12-28
US6142511A (en) 2000-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654A (ko) 팽창식 안전벨트시스템
WO1997023367A9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US6142508A (en) Side impact air bag system
US6419263B1 (en)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EP0928260B1 (en)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EP0819072B1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6971671B2 (en) Active 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6425601B1 (en) Air bag module
US7347444B2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JP5123262B2 (ja) 膨張式の装置を膨張させるための装置
US7192052B2 (en) Inflation assembly with extended filling capability
US6776434B2 (en) Driver side airbag with a baffle
US6802526B2 (e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WO2006007125A2 (en) Inflator with internally mounted initiator
WO2004096614A1 (en) Inflatable curtain module, compact tethering system and method of restraining an occupant
WO1998012077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EP0830991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US20050212269A1 (en) Thin airbag module
WO2000069690A1 (en) Side impact inflator assembly with external gas cooling
GB2317369A (en) Method of folding an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