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415A -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415A
KR19990074415A KR1019980007987A KR19980007987A KR19990074415A KR 19990074415 A KR19990074415 A KR 19990074415A KR 1019980007987 A KR1019980007987 A KR 1019980007987A KR 19980007987 A KR19980007987 A KR 19980007987A KR 19990074415 A KR19990074415 A KR 1999007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block
block
gea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130B1 (ko
Inventor
김갑식
Original Assignee
김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식 filed Critical 김갑식
Priority to KR101998000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1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 E05B2045/0665Magnetic switches, e.g. reed- or hall-sw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크블록 200을 로크홈 300에 삽입하여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 151a 및 151b와 내부로크블록 100의 훅 50a,50b가 서로 결합되어 로크되도록하고, 동시에, 내부로크블록이 외부로크블록의 삽입으로 인하여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내부로크블록의 리드암 170이 클러치암 400의 돌기부 370을 밀어내어 클러치기어 110과,2단기어의 감속기어 115b가 치합되도록하고, 로크작동암 700의 로크돌기 715와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을 결합시켜 내부로크블록과 외부로크블록이 로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외부로크블록의 단부가 내부로크블록의 푸시버튼 160을 눌러 리드스위치 236이 작동되도록하여 자물쇠를 로크한다. 로크상태의 해제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자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구동모터 6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치합되어 있는 클러치기어 110과 감속기어 115b가 회동하도록하고, 그 과정에서 클러치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캠 125가 회전하면서, 로크작동암 700의 단부를 푸시하여 로크돌기 715가 걸림턱 142로 부터 이탈되도록함과 동시에 스프링 180a의 작용에 의하여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로크홈 300쪽으로 이동하면서 내부로크블록의 훅과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클러치암 400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감속기어 115b와 클러치기어 110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푸시버튼은 걸림턱 142와 로크돌기 715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1의 강제적인 힘에 의하여 내부로크블록 100으로 부터 외부로크블록 200이 이탈되었을 때 리드스위치 236을 작동하도록 하여 경보신호를 발하도록한다.

Description

자물쇠
본 발명은 대중 목용탕, 골프장, 헬스클럽, 수영장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사물함이나, 주택의 도어를 안전하게 시건할 수 있는 전자식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알 수 있는 것처럼 자물쇠의 케이스 30 내에 내부로크블록 100이 슬라이드할 수 있는 레일부 120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부 120의 영역에는 마그네트의 접근에 의하여 작동가능하도록된 리드스위치 236이 부착된다.
상기 내부로크블록 100의 저면부에는 상기 레일부 120 위를 일정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 8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 80 위의 내부로크블록 몸체에는 가이드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만큼 푸시할 수 있는 푸시버튼 160을 삽설하고, 내부로크블록 몸체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 8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하여 적어도 외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동가능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훅 50a,50b를 링크결합하고, 또 가이드부의 한쪽 견부에는 리드암 170을 형성한다. 특히, 푸시버튼 160의 배면에는 마그네트 333을 부착한다.
한편, 외부로크블록 200에는 내부로크블록 100이 레일부 120을 따라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훅가이드 250a 및 250b에 의하여 한쌍의 훅 50a, 50b가 가이드부의 중심선 쪽으로 조여들었을 때 한 쌍의 훅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돌기 151a,151b가 구비된다. 즉, 로크홈 300을 통하여 내부로크블록 100쪽으로 외부로크블록 200을 밀어넣어 내부로크블록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면 결합돌기 151a와 훅 50a, 결합돌기 151b와 훅 50b가 각각 결합되어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서로 로크결합되도록 한다. 그 과정에서 상기 푸시버튼 160은 내부로크블록의 내측으로 푸시된다.
한편, 상기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의 로크결합 진행과 동시에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는 제2고정핀 11lb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로크작동암 700의 로크돌기 715와 결합되도록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이 만족되면 모터 600의 구동이나 수동레버 530의 조작에 의하여 로크작동암 700을 회전시킴으로써, 걸림턱 142로부터 로크돌기 715가 이탈되기 전까지는 상기 걸림턱 142와 로크돌기 715의 로크결합상태는 유지되도록한다.
또한, 내부로크블록 100이 로크돌기 715와 로크결합되고,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로크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에 의하여 강제로 외부로크블록 200을 이탈시켰을 때는 푸시된 푸시버튼이 원위치로 복원되므로 푸시버튼에 부착된 마그네트 333의 작용에 의하여 리드스위치 236이 작동되도록한다.
상기 리드스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부져와 연결되도록한다.
그리고, 상기 로크 상태의 해제는 구동모터 600의 회전에 의한 캠 125의 회동을 이용하거나, 수동레버 530을 이용하여 상기 로크돌기 715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한다. 즉,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로크돌기가 이탈되는 순간부터 스프링 180a가 작용하여 내부로크블록이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120을 따라 케이스의 로크홈 300쪽으로 슬라이드되고, 훅 50a,50b가 외측으로 벌어져 로크되어있는 외부로크블록 200이 이탈되도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사물함이나 주택의 문을 안전하게 로크하고,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하여 로크가 해제되었을 때는 경보를 발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자물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물쇠의 로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자물쇠의 로크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자물쇠에 있어서, 수동레버의 작용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리드스위치와 푸시버튼 사이의 상호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케이스. 50a,50b 훅.
80 가이드부. 100 내부로크블록.
110 클러치기어(제1기어). 115 2단기어(제2기어).
120 레일부. 125 캠.
142 걸림턱. 151a,151b 결합돌기.
160 푸시버튼. 170 리드암.
180a,180b,180c,180d 스프링.
200 외부로크블록. 236 리드스위치.
300 로크홈. 333 마그네트.
400 클러치암. 600 구동모터.
530 수동레버. 700 로크작동암.
715 로크돌기. 880 자물쇠.
본 발명은 내부로크블록 100이 로크작동암 700과 로크결합되고, 상기 내부로크블록은 외부로크블록 200과 로크결합되고, 구동모터 600의 구동축에 2단기어 115가 고정되고, 클러치암 400에 링크고정됨과 아울러 캠 125가 부착된 클러치기어 110이 상기 2단기어 115와 치합되는 상태로 있다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2단기어가 회동되도록하고,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캠이 회동하여 상기 로크작동암을 푸시함으로써 상기 로크작동암과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로크결합상태를 해제하고, 동시에, 스프링 작용으로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이 이동하여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과의 로크결합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2단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가 이격되도록 자물쇠를 구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훅 50a,50b와, 푸시버튼 160과, 가이드부 80과, 리드암 170과, 걸림턱 142로 이루어지는 내부로크블록 100이 자물쇠 케이스 30의 레일부 120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됨과 아울러 스프링 180a(제1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로크홈 300쪽으로 압인되고,
클러치기어 110(제1기어)의 중심축부에 캠 125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기어 110은 회동자재하도록 클러치암 400의 한 단부에 중심축이 링크결합되고, 다른 한 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링크결합되는 상기 클러치암 400은 스프링 180c(제3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내부로크블록 100의 리드암 170쪽으로 압인되고,
로크돌기 715가 형성되어 있는 로크작동암 700은 상기 케이스에 링크결합되고, 스프링 180b(제2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로크작동암의 한 단부가 상기 캠쪽으로 압인됨과 아울러 상기 로크돌기 715가 상기 걸림턱 142쪽으로 압인되고,
구동모터 600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2단기어 115(제2기어)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일정간격 만큼 이격되고,
상기 케이스의 레일부 120에 리드스위치 236이 구비되어 있는 자물쇠 구조에 있어서,
결합돌기 151a,151b가 구비되어 있는 외부로크블록 200을 상기 로크홈 300에 압입하여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 151a,151b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훅50a,50b가 맞물려 서로 로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로크블록이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압입으로 인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리드암 170이 상기 클러치암 400을 밀어내어 상기 제1기어 110과, 상기 제2기어 115가 맞물리도록 하고,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 715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를 결합시켜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이 로크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단부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푸시버튼 160을 눌러 상기 리드스위치 236이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가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외부로크블록과 내부로크블록의 로크상태 해제는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맞물려있는 상기 제1기어 110과 상기 제2기어 115가 회동하고, 상기 제1기어의 중심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캠 125가 회동하면서, 상기 로크작동암 700의 단부를 밀어올려 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 715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로 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180a에 의하여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이 상기 로크홈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훅 50a,50b와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 151a,151b의 로크결합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 715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가 결합된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내부의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로크상태를 해제하였을 때는 상기 푸시버튼 160이 복원되어 상기 리드스위치 236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자물쇠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자물쇠 케이스 30은 내부로크블록 100이 슬라이드되는 레일부 120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로크블록의 양 단부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훅가이드부 250a,250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한 쌍의 혹가이드부 사이에 외부로크블록 200이 인입출하는 로크홈 300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암 400의 한 단부를 회동가능하도록 링크고정하는 제1고정핀 111a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작동암 700의 중앙부를 회동가능하도록 링크고정하는 제2고정핀 111b가 형성되어 있고,2단기어 115를 회동자재하도록 링크고정하는 제3고정핀 111c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로크블록 100을 로크홈 300쪽으로 밀어내도록 탄성작용하는 스프링 180a를 지지하는 지지체 260a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작동암 700의 로크돌기 715가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와 결합하도록 탄성작용하는 스프링 180b를 지지하는 지지체 260b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자물쇠 케이스 30에 장착되는 내부로크블록 100은 몸체의 양쪽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자재하는 한쌍의 훅 50a,50b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케이스의 훅가이드부 250a,250b를 따라 상기 훅 50a,50b가 각각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훅가이드부 250a,250b는 내부로크블록 100이 로크홈 30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슬라이드될 때 각각의 훅 50a,50b를 양쪽으로 조여들도록작용하고, 또, 내부로크블록 100이 로크홈 300과 가까운 쪽으로 슬라이드될 때는훅 50a,50b를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작용한다.
또, 내부로크블록 100의 배면에는 자물쇠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120과 결합되는 가이드부 80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의 한 견부에 돌축된 리드암 170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록크블록의 몸체부에는 걸림턱142가 형성되어 있고,훅 50a,50b 사이에 가이드형성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푸시되는 푸시버튼 160이 삽설되어 있고, 상기 푸시버튼에는 마그네트 33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300의 지지체 260a에 끼워진 스프링 180a가 내부로크블록 100을 로크홈 300쪽으로 압인하도록 탄성작용한다.
그리고, 클러치기어 110의 면에 캠 125가 일체로 형성되고, 클러치기어 110이 회동자재하도록 링크된 클러치암 400은 제1고정핀 111a에 링크되어 고정되고, 상기 클러치암이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작용하도록 하는 스프링 180c가 제1고정핀 11la에 끼워져 있다.
상기 클러치암은 중간에 절곡가능하도록 절곡부 3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절곡부에는 스프링 180d가 끼워져 클러치암의 절곡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기 전에는 절곡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구동모터 600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구동모터의 축에는 웜 30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웜 308은 제3고정핀 111c에 회동자재하도록 링크된 2단기어 115의 웜치합기어 115a와 치합되어 있다.
또, 제2고정핀 111b에 회동하도록 링크된 로크작동암 700에 형성되어 있는 로크돌기 715가 내부로크블록 100의 걸림턱 142와 쉽게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300의 지지체 260b에 끼워진 스프링 180b가 탄성작용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180b에 의하여 작용되는 회전탄성력이 로크작동암에 걸렸을 때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로크블록 100의 걸림턱 142와 로크작동암 700의 로크돌기 715의 결합상태를 수동으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케이스 30의 외부로 돌기 167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수동레버 530이 형성된다.
자물쇠 배면의 일부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 4를 참고하여 수동으로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4고정핀 111d에 의하여 한 단부가 링크결합되고, 케이스 30의 배면에 형성된 절결부 267을 통하여 돌기 167이 외부로 노출되는 수동레버 530을 케이스 30내에 장착한다. 수동레버의 다른 한 단부는 스프링 180c가 결합되어 있는 로크작동암의 돌기 147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함으로써 로크작동암의 돌기 147이 수동레버에 스토퍼되어 로크작동암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또 로크결합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경우에는 절결부 267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 167을 로크작동암쪽으로 스프링 180c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밀어 걸림턱 142로 부터 로크돌기 715를 이탈 시키면 된다.
상기의 구성부품을 케이스 30에 장착한 후 덮게 35를 결합하여 자물쇠 880을 구성한다.
상기 결합돌기 151a,151b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로크블록 200을 로크홈 300으로 삽입하여 내부로크블록과 로크결합되도록하는 과정은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결합돌기 151a,151b가 구비되어 있는 외부로크블록 200을 상기 로크홈 300에 밀어넣으면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 151a,151b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훅 50a,50b가 각각 서로 맞물려 로크되도록 훅가이드 250a,250b의 작용에 의하여 훅 50a,50b가 내측으로 조여들게된다.
동시에, 내부로크블록 100이 외부로크블록 200의 압입으로 인하여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리드암 170이 클러치암에 형성된 돌기부 370을 밀어내어 상기 클러치기어 110과 감속기어 115b가 맞물리도록한다.
동시에, 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 715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를 로크결합시켜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로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한다.
상기 상태에서 외부로크블록 200의 단부가 내부로크블록의 푸시버든 160을 눌러 리드스위치 236이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리드스위치 236과 푸시버튼 160의 상호작용을 도 5,도 6,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로크된 상태에서 마그네트 333이 고정되어 있는 푸시버튼 160은 외부로크블록의 단부에 의하여 내부로크블록의 몸통내측으로 푸시되고, 그 과정에서 마그네트 333은 리드스위치 236의 접점부의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리드스위치의 접점부는 도 5의 구조와 같이 서로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스위치의 접점부가 접촉됨으로써, 리드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한다.
그러나, 도 6의 구조와 같이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과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강한 힘에 의하여 훅 또는 결합돌기가 파손됨으로써 외부로크블록 200이 내부로크블록 100으로 부터 이탈되었을 때는 푸시버튼 160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그 과정에서 푸시버튼에 부착되어 있는 마그네트 333이 리드스위치 236의 접점부로 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리드스위치의 접점부가 서로 이격되고,그 접점의 이격상태를 감지하여 리드스위치와 연결되는 부져(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공급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물론, 도 7의 구조와 같이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과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가 정상적으로 이탈되어 내부로크블록 100이 로크홈 300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푸시버튼 160이 복원되는 경우에는 리드스위치 236의 접점부가 이격되어 있을 지라도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로적인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자물쇠의 로크결합 해제과정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모터 600에 전기신호에 의한 전원을 공급하였을 서로 맞물려 있는 웜 308과 웜치합기어 115a,감속기어 115b 및 클러치기어 110에 의하여 캠 125가 회전하고, 그 캠이 회전하면서 로크작동암 700의 단부를 밀어올려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 715가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로 부터 이탈되도록하고, 동시에 스프링180a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상기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로크홈 300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외부록크블록의 이동과정에서 케이스의 훅가이드부 250a,250b에 의하여 훅 50a,50b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서로 결합되어 있던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 151a,151b와 이탈된다.
한편, 상기 자물쇠의 로크가 해제되면 클러치암 400의 돌기부 370을 누르고 있던 리드암 170이 원위치로 이동하므로 클러치암 400도 원위치로 이동하여 감속기어 115b와 클러치기어 110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감속기어와 클러치기어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자물쇠가 로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러치기어와 감속기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자물쇠가 로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자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구동모터 600에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2단기어 115가 공회전하도록 되었음으로 다른 부품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한다.
또한, 클러치암의 중앙부가 절곡가능하도록 스프링 180d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음으로 로크과정에서 2단기어 115와 클러치기어 110을 치합할 때 무리하게 치합되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한다.
본 발명은 결합돌기 151a,151b가 구비되어 있는 외부로크블록 200을 로크홈 300에 삽입하여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와 내부로크블록의 훅 50a,50b가 서로 로크되도록 하고, 동시에 내부로크블록이 외부로크블록의 삽입으로 인하여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내부로크블록의 리드암 170이 클러치암 400의 돌기부 370을 밀어내어 클러치기어 110과, 2단기어의 감속기어 115b가 맞물리도록 하고,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 715와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 142를 결합시켜 내부로크블록과 외부로크블록이 로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외부로크블록의 단부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푸시버튼160을 눌러 리드스위치 236이 작동되도록하여 자물쇠를 로크하고,
그 로크상태의 해제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전자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였을 때 맞물려있는 클러치기어 110과 감속기어 115b가 회동하고, 그 과정에서 캠 125가 회전하면서, 로크작동암 700의 단부를 밀어올려 로크돌기 715가 걸림턱 142으로 부터 이탈되도록하고, 동시에, 스프링 180a에 의하여 내부로크블록 100과 외부로크블록 200이 로크홈 300쪽으로 이동하면서 내부로크블록의 훅과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의 로크결합상대가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전자식의 자물쇠를 구성함으로써 사물함이나 주택의 문을 안전하게 로크하는 효과가 있고, 또,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하여 자물쇠의 로크결합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는 경보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내부로크블록(100)이 로크작동암(700)과 로크결합되고, 상기 내부로크블록(100)은 외부로크블록(200)과 로크결합되고, 구동모터(600)의 구동축에 제2기어(115)가 치합되고, 클러치암(400)에 링크고정됨과 아울러 캠(125)가 부착된 제1기어(110)가 상기 제2기어(115)와 치합되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구동모터(6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회동되도록하고, 상기 제1기어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캠이 회동하여 상기 로크작동암을 푸시함으로써 상기 로크작동암(700)과 상기 내부로크블록(100)의 로크결합상태를 해제하고, 동시에, 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이 이동하여 상기내부로크블록과 상기 외부로크블록과의 로크결합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제1기어(110)와 상기 제2기어(115)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로크블록(100)은 훅(50a,50b)과, 푸시버튼(160)과, 가이드부(80)와, 리드암(170)과, 걸림턱(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로크블록(100)이 케이스(30)의 레일부(120)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됨과 아울러 제1스프링(180a)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로크홈(300)쪽으로 압인되고,
    상기 클러치암(400)은 한 단부에 상기 제1기어(110) 및 상기 캠(125)이 회동 자재하도록 링크결합되고, 또 다른 한 단부에는 상기 케이스(30)에 링크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암(400)은 제3스프링(180c)에 의하여 상기 내부로크블록(100)의 리드암(170)쪽으로 압인되고,
    상기 로크작동암(700)은 로크돌기(715)가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30)에 링크결합되고, 제2스프링(180b)에 의하여 상기 로크작동암의 한 단부가 상기 캠(125)쪽으로 압인됨과 아울러 상기 로크돌기가 상기 걸림턱쪽으로 압인되고,
    상기 구동모터(600)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115)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레일부(120)에 리드스위치(2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외부로크블록(200)은 결합돌기(151a,151b)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로크블록을 상기 로크홈(300)에 압입하여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151a,151b)와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훅(50a,50b)이 맞물려 서로 로크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리드암(170)이 상기 클러치암(400)을 밀어내어 상기 제1기어(110)와, 상기 제2기어(115)가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715)와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142)을 결합시켜 상기 내부로크블록(100)과 상기 외부로크블록(200)이 로크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단부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푸시버튼(160)을 눌러 상기 리드스위치(236)가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600)에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맞물려있는 상기 제1기어(110)와 상기 제2기어(115)가 회동하고, 상기 제1기어의 캠(125)이 회전하면서, 상기 로크작동암(700)의 단부를 푸시하여 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715)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럼턱(142)으로 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제1스프링(180a)에 의하여상기 내부로크블록(100)과 상기 외부로크블록(200)이 상기 로크홈(300)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훅(50a,50b)과 외부로크블록의 결합돌기(151a,151b)의 로크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715)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142)이 로크결합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상기 내부로크블록(100)과 상기 외부로크블록(200)의 로크결합상태를 해제하였을 때는 상기 외부로크블록의 단부에 의하여 푸시되어있는 푸시버튼(160)이 복원되어 상기 리드스위치(236)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암의 중앙부는 절곡가능하도록 제4스프링(180d)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작동암의 로크돌기(715)와, 상기 내부로크블록의 걸림턱(142)의 로크결합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로크작동암(700)과 접촉되는 수동레버(530)의 돌기(167)가 상기 케이스(30)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60)에는 마그네트(333)가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에 의하여 상기 리드스위치(236)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물쇠.
KR1019980007987A 1998-03-11 1998-03-11 자물쇠 KR100523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987A KR100523130B1 (ko) 1998-03-11 1998-03-11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987A KR100523130B1 (ko) 1998-03-11 1998-03-11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415A true KR19990074415A (ko) 1999-10-05
KR100523130B1 KR100523130B1 (ko) 2005-11-23

Family

ID=3730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987A KR100523130B1 (ko) 1998-03-11 1998-03-11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1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028B1 (ko) * 2002-07-22 2004-11-26 (주)동광알파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457974Y1 (ko) * 2009-10-14 2012-01-16 주식회사 이랜시스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230001662U (ko) * 2022-02-08 2023-08-16 (주)경민산업 사물함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09A (ja) * 1993-07-15 1995-01-27 Miwa Lock Co Ltd 引戸用電気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028B1 (ko) * 2002-07-22 2004-11-26 (주)동광알파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457974Y1 (ko) * 2009-10-14 2012-01-16 주식회사 이랜시스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230001662U (ko) * 2022-02-08 2023-08-16 (주)경민산업 사물함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3130B1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519B2 (en) Swing bolt lock with improved tamper resistance and method of operation
EP0540902B1 (en) Locking device for lid
US20070283734A1 (en) Door lock system
JP3588453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KR20030038657A (ko) 전기작동식 래칫 폴 래치
KR100523130B1 (ko) 자물쇠
US6986535B2 (en) Latch device
JPS6246735A (ja) 小形電子機器の着脱装置
JPH10302580A (ja) 安全スイッチ
JP2000184598A (ja) 電気機器
CN113431433A (zh) 锁扣装置
JPH0754506Y2 (ja) 電気錠
JP2005068957A (ja) キーシリンダの操作ノブ
JPH0240207Y2 (ko)
GB2301617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950009239Y1 (ko) 도어용 전자 쾌, 해정기
CN114855424B (zh) 一种解锁结构、门锁以及具有该门锁的洗衣机
JP7440600B2 (ja) 電子ロック
JP3757182B2 (ja) 施錠ロック装置
JP2003348492A (ja) オーディオ・映像機器の扉開閉装置
JP2593290B2 (ja) シリンダ錠
KR970002196Y1 (ko) 자동차 도어의 잠김장치
KR100616375B1 (ko)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시동키 장치의 릴리스 레버
JP3147198B2 (ja) カード式施錠装置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