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113A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113A
KR19990074113A KR1019980007501A KR19980007501A KR19990074113A KR 19990074113 A KR19990074113 A KR 19990074113A KR 1019980007501 A KR1019980007501 A KR 1019980007501A KR 19980007501 A KR19980007501 A KR 19980007501A KR 19990074113 A KR19990074113 A KR 1999007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amount
container
washing machine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7940B1 (ko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0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137A/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7501A priority patent/KR100267940B1/ko
Priority to JP11027939A priority patent/JPH11333191A/ja
Priority to CN99101767A priority patent/CN1228490A/zh
Publication of KR1999007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용기의 세제량을 감지하여 소정레벨 이하에서 보충을 위한 경보를 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세탁기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공급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에 설치되어 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세제센서와, 상기 세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일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세제용기의 세제보충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용기의 세제 량을 감지하여 소정레벨 이하에서 보충을 위한 경보를 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싱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바스켓형상의 세탁조와, 세탁조내의 저면 축상에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펄세이터를 가지고 있다. 터브내에 수용된 피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서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샤프트조립체가 터브의 외측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브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터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케이싱의 상부에는 외부로 부터의 세탁물 투입을 허용하는 세탁물 투입구를 가지는 상부커버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커버의 후방에는 세제용기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수위에 해당하는 량만큼 상기 세제용기조립체에 수용된 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제어부가 세탁기에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제용기조립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50)와, 세제용기(50)의 일단에 형성되어 세제를 유입시키는 용기개구(41)와 타단에 형성되어 터브에 세제를 공급시키는 유출구(43)를 가지고 있다. 용기개구(41)에는 이물질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용기커버(4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제용기(50)내에는 세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스프링(45)의 일단이 상기 유출구(43)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세제용기(50)의 외측 일단에는 유출구(43)와 대향되는 상기 가이드스프링(45)의 타단과 결합되는 모터(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스프링(45)이 모터(47)에 의해 회전되면 가이드스프링(45)의 회전에 의해 세제가 상기 유출구(43)의 개폐도어(49)를 밀어 터브로 투입된다.
이러한 세탁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터브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 때, 터브에 형성된 수위센서는 터브로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제어부는 수위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받아 그 수위에 해당하는 세제량을 설정하여 의 모터(47)를 소정시간 동안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이어, 상기 모터(47)는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회전동작을 수행하여 세제가 가이드스프링(45)에 의해 유출구(43)로 안내되도록 한다. 이 때, 세제는 유출구(43)의 개폐도어(49)를 밀어 개방시키면서 터브에 세탁수와 함께 수용된다. 그러므로, 제어부는 상기 모터(47)의 회전동작을 위해 제공되는 지속신호를 수위센서의 수위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발생시켜 세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제용기에 세제를 적절한 시기에 공급하지 않아 잔류세제가 없을 경우에 세제공급모터가 동작하여 세제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동작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세제용기에 적절하게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경보하고, 세제용기에 세제가 없을 경우 진행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용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용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커버 13 ; 도어
15 ; 조작판넬 17 ; 세제용기
18 ; 용기커버 19 ; 디스플레이부
21 ; 세제공급로 23 ; 전자밸브
25 ; 세제센서 27 ; 투출구
29 ; 계량용기 31 ; 공급전자밸브
32 ; 경보부 33 ; 제어부
34 ; 구동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공급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에 설치되어 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세제센서와, 상기 세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일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세제센서는 상기 세제의 소정량을 계량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용기와 연장형성된 계량용기의 세제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제센서는 최소레벨에 해당하는 세제의 양만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보부는 사용자의 청각적 및 시각적 경보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일 때 세탁시스템의 수행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분야에 따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공급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갖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내의 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지될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세제의 량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지될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단계는 시각과 청각중 어느 하나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지될 때 시스템의 수행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용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사각통형상의 외부케이싱(3)과, 외부케이싱(3)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세탁물을 세탁시키는 세탁조(5)를 가지고 있다. 외부케이싱(3)과 세탁조(5)의 사이에는 세탁조(5)를 수용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7)가 다수의 서스펜션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터브(7)의 일측에는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케이싱(3)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세탁물 투입을 허용하는 세탁물 투입구(9)를 가지는 상부커버(11)가 결합되어 있다. 세탁물 투입구(9)는 상부커버(11)의 중앙영역에 마련되며, 그 개구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도어(13)는 절첩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11)의 전방영역에는 기기의 작동을 조작하거나 세탁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패널(1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커버(11)의 후방영역에는 액상세제를 수용하여 필요시에 그 세제를 상기 터브(7)로 투입시키는 사각통형상의 세제용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세제용기(17)에는 세제의 출입을 위한 용기개구에 이물질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용기커버(18)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패널(15)은 상부커버(11)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된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기판프레임(미도시)과, 수용부의 전면을 차단하며 다수의 기기조작용 조작버튼 및 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제용기(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7)를 향한 세제공급로(21)를 가지며, 이 세제공급로(21)에는 세제의 유출을 단속하는 전자개폐식 전자밸브(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자밸브(23)는 일정한 개방도를 가지고 있다. 세제용기(17)의 일측에는 세제량의 레벨을 감지하는 세제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와 거의 동일한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용기(17)와, 공급되는 세제의 정확한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용기(29)가 상기 세제공급로(21)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터브(7)를 향한 투출구(27)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상기 전자밸브(23)는 세제의 계량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계량밸브(23)라 한다. 계량용기(29)의 투출구(27)에는 계량된 세제의 투출을 단속하는 공급전자밸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세제센서(25)는 도 3과 같이, 상기 세제용기(17)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계량용기(29)가 세제용기(17)에 연장형성된 경우에는 계량용기(29)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제센서(25)는 최소레벨에 해당하는 세제의 양만을 감지하는 것이다. 계량용기(29)에 설치된 세제센서(25)는 세제량의 계량센싱을 함께한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장치를 갖는다. 즉, 상기 세제센서(25)로부터의 최소레벨에 해당하는 세제량 감지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경보하는 경보부(32)와,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구동부(34)에서 세탁을 위해 수행되는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33)는 상기 조작패널(15)내의 기판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전자밸브(23) 및 공급전자밸브(31)의 개방시간을 제어하여 세제용기(17)내에 수용된 액상세제의 공급량을 조절함은 물론이고, 세탁기의 다른 모든기능을 제어한다. 경보부(32)는 사용자의 청각과 시각중 어느 하나에 인식되도록 세제보충을 알리는 것으로, 특정의 소리를 발생하는 부져와, 특정의 색으로 발광하는 표시등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탁계의 제어장치에 대한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와 같다. 먼저, 세제용기(17)에 액상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탁기에 전원을 공급하면(S1) 세탁기는 세탁을 위한 운전준비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조작패널(15)을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모드를 입력하면(S2) 외부호스를 통해 터브(7)내로 세탁수가 공급된다(S3). 사용자가 투입한 세탁물에 따른 세탁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세탁수는 터브(7)내로 계속공급된다. 현 세탁수위가 수위센서에 의해서 감지되어 원하는 수위에 도달되면 수위센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위임을 알리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S4). 제어부(33)는 수위센서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터브(7)에 공급된 현재수위에 상당하는 세제량을 산출하고(S5), 산출된 세제량에 상응하는 전자밸브(23)의 개방시간을 산출한다(S6).
이 때, 세제센서(25)는 세제용기(17)에 수용된 세제량을 센싱하여(S7) 세제량에 대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신호가 상기 세제용기(17)의 최소레벨에 해당하는 세제량에 따른 것일 경우는(S8) 경보부(32)에서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세제용기(17)에 세제가 부족하여 보충하라는 경보를 사용자에게 하고(S10), 제어부(33)에서 상기 구동부(34)를 제어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세탁관련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S11). 여기서, 상기 경보는 시각과 청각중 어느 하나로 알리는 것을 의미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신호가 최소레벨의 세제량을 의미하지 않을 경우는 상기 제어부(33)에서 산출된 전자밸브(23)의 개방시간 만큼 전자밸브(23)를 개방시켜 소정량의 세제가 계량용기(29)에 의해서 알맞게 계량되도록 한 후에, 공급전자밸브(31)를 개방시켜 그 세제가 터브(7)내로 투입되도록 제어한다(S9).
한편, 세제용기(17)에 세제센서(25)가 설치되지 않고, 계량용기(29)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제어부(33)에서 상기 전자밸브(23)의 개방시간에 따라 세제를 계량용기(29)에 알맞게 수용시킨 후에, 세제센서(25)가 계량용기(29)에 수용된 센제량을 센싱하여 세제량에 대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감지신호가 세제보충을 위한 신호라면 경보부(32)는 상용자에게 보충하라는 경보를 한다. 이어, 제어부(33)에서 상기 구동부(34)를 제어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세탁관련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감지신호가 최소레벨의 세제량을 의미하지 않을 경우는 상기 제어부(33)에서 공급전자밸브(31)를 제어하여 계량용기(29)에 수용된 세제를 터브(7)내로 투입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은 세제용기에 세제가 부족함을 알고 적절하게 보충할 수 있어 세탁기의 요구사항을 사용자가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용기의 세제보충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공급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에 설치되어 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세제센서와;
    상기 세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일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센서는 상기 세제의 소정양을 계량하기 위하여 상기 세제용기와 연장형성된 계량용기의 세제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센서는 최소레벨에 해당하는 세제의 양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사용자의 청각적 및 시각적 경보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일 때 세탁시스템의 수행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공급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갖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내의 세제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지될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지될 때 사용자에게 세제의 보충을 알리는 단계는 시각과 청각중 어느 하나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의 양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지될 때 시스템의 수행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80007501A 1998-02-04 1998-03-06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6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139A KR980009137A (ko) 1998-02-04 1998-02-04 활성수기
KR1019980007501A KR100267940B1 (ko) 1998-03-06 1998-03-06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11027939A JPH11333191A (ja) 1998-02-04 1999-02-04 液状洗剤を自動に供給できる洗濯機
CN99101767A CN1228490A (zh) 1998-02-04 1999-02-08 能够自动加入液体洗涤剂的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501A KR100267940B1 (ko) 1998-03-06 1998-03-06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113A true KR19990074113A (ko) 1999-10-05
KR100267940B1 KR100267940B1 (ko) 2000-10-16

Family

ID=1953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501A KR100267940B1 (ko) 1998-02-04 1998-03-06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94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43B1 (ko) * 2007-04-11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EP3722484A1 (en) 2019-04-12 2020-10-14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20200120200A (ko) 2019-04-12 202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408108B2 (en) 2019-04-12 2022-08-0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492743B2 (en) 2019-04-12 2022-11-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2650B2 (en) 2019-04-12 2023-01-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566365B2 (en) 2019-04-12 2023-01-3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572651B2 (en) 2019-04-12 2023-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US11624142B2 (en) 2019-04-12 2023-04-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634851B2 (en) 2019-04-12 2023-04-2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43B1 (ko) * 2007-04-11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EP3722484A1 (en) 2019-04-12 2020-10-14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20200120200A (ko) 2019-04-12 202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EP3725930A1 (en) 2019-04-12 2020-10-21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20200120205A (ko) 2019-04-12 202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408108B2 (en) 2019-04-12 2022-08-0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492743B2 (en) 2019-04-12 2022-11-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05889B2 (en) 2019-04-1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same
US11542650B2 (en) 2019-04-12 2023-01-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560659B2 (en) 2019-04-1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same
US11566365B2 (en) 2019-04-12 2023-01-3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572651B2 (en) 2019-04-12 2023-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US11624142B2 (en) 2019-04-12 2023-04-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11634851B2 (en) 2019-04-12 2023-04-2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7940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1828B1 (en) Washing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026794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333191A (ja) 液状洗剤を自動に供給できる洗濯機
KR2015005269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92197A (ko) 세탁기
KR101287533B1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US2968172A (en) Detecting system
CN111743411B (zh) 出水控制方法、取水装置和取水系统
JP3609796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1394313B1 (en) Wat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KR100267935B1 (ko) 세탁기용 세제계량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101146276B1 (ko)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19990074114A (ko) 세탁기 및 그의 세제계량공급방법
CN112011953A (zh) 洗衣机
JPH11128590A (ja) 洗濯機
KR100484842B1 (ko) 세탁수의 경도측정이 가능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CN111485383A (zh) 一种洗衣机
KR2019002803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H0966194A (ja) 洗濯機及び洗剤投入装置
KR20000045176A (ko)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JP2004097836A (ja) 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機
KR102446190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213123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JP3075918B2 (ja)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JPH0686894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