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123B1 -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123B1
KR100213123B1 KR1019950025701A KR19950025701A KR100213123B1 KR 100213123 B1 KR100213123 B1 KR 100213123B1 KR 1019950025701 A KR1019950025701 A KR 1019950025701A KR 19950025701 A KR19950025701 A KR 19950025701A KR 100213123 B1 KR100213123 B1 KR 10021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otor
load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750A (ko
Inventor
이건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2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123B1/ko
Publication of KR97001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전압부(11)와, 도아(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음료통(30)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스위치(12)와, 음료의 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할 수 있도록 부저(14) 및 램프(15)를 구동시키는 급수경보구동부(13)와, 음료통(30)의 음료를 펌핑하기 위해 모터(75)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6)와, 상기 여 음료통(30)에 남아 있는 음료량에 따라 달라지는 모터(75)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17)와, 상기 부하감지부(17)의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음료의 공급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급수경보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8)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통의 음료를 음료취음공간으로 배출하는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고 음료통에 음료가 부족하여 감지된 모터의 부하가 기준값 보다 크지 않으면 부저와 램프를 통해 음료통의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하므로 적기에 음료를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통의 음료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음료통의 내부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도어 내부에 마련된 음료통의 음료를 배출하는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여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표시하므로 음료통의 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내부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는 종래 냉장고에서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도아를 열고 닫아야 하며 음료가 담긴 음료통이나 용기를 고내외로 수납 인출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냉기의 누설방지를 목적으로 근래들어 개발되었으며, 냉장고 자체에 음료공급장치를 설치하여 도아를 개폐하지 않고도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 음료공급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로 된 캐비닛에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11)이 형성되고, 이 저장실(11)은 캐비닛에 힌지결합된 도아(20)에 의해 개폐된다. 도아(20)의 내면에는 음료통(30)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아(20)의 외면에는 컵이 놓여질 수 있는 음료취음공간(41)이 형성되며, 물의 급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스위치(도면스위치)가 설치된다. 음료통(30)에는 내부에 물이 음료취음공간(41)의 컵(40)으로 펌핑되어 공급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급수호스(50)가 설치된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통(30)의 상단에는 음료통(3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1)에는 마개(60)가 설치된다. 마개(60)의 하단은 대략 음료통(30)의 저부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마게(60)에는 펌핑수단(70)이 일체로 설치된다. 이 펌핑수단(70)은 음료통(30)의 내부와 연통된 유입구(71)와 음료통(30)의 외부와 연통된 유출구(72)를 가진 안내유로(73)와, 안내유로(73)의 유입구(71) 내측에 설치된 임펠러(74)를 포함하여 음료통(30)의 물을 안내유로(73)의 내부로 유입하여 유출구(72)를 통해 유출시킨다. 이 임펠러(74)는 음료통(30) 내부의 물을 펌핑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76)에 의해 모터(75)에 연결되며, 모터(75)는 마개(60)에 내장된다.
또한, 모터(7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콘넥터(77)가 설치된다. 이 전원콘넥터(77)는 도아(20)에 설치된 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콘센트는 냉장고의 전원과 연결되고 도아(20)의 외면에 마련된 조작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음료공급장치는 물이 담긴 음료통(30)이 도아(20)의 내면에 설치되고, 모타(75)의 전원콘넥터(77)가 도아(20)의 콘센트에 전기접속되며, 도아(20)가 닫힌 상태에서 음료배출이 이루어지게 도니다. 즉, 사용자가 음료를 공급받고자 도아(20)의 외면에 설치된 조작스위치를 누르면 모타(75)에 전원이 공급되어 임페러(74)가 회전하게 되므로 펌핑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음료통930)의 물이 안내유로(73)의 유입구(71)로 유입되어 유출구(72)로 유츌된 후 급수호스(50)를 따라 상승하여 음료취음공간(41)의 컵(40)으로 배출되게 된다. 적당량의 물이 컵에 채워지면 사용자는 조작스위치를 오프시켜 임펠러(74)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는 음료통(30)의 급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조작스위치(미도시)를 눌렀을 대 음료가 공급되지 않아야만 음료통(30)이 음료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도아(20)를 열고 음료통(30)의 물의 잔량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여 급수시기를 판단하는 번거러움으로 인하여 사용편리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수시기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확인하므로 적절한 시기에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통의 음료를 음료취음공간으로 배출하는 모터의 부하에 따라 음료통의 음료공급시기를 판단하여 외부에 경보하므로 음료통의 음료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아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음료통의 내부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의 설치를 보인 개략구성도.
제2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급수펌프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의 제어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조작스위치 13 : 급수경보구동부
14 : 부저 15 : 램프
17 : 부하감지부 75 : 모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마련된 음료통과, 상기 도어의 외부에 컵이 놓여질 수 있도록 인입형성된 음료취음공간과, 상기 음료통의 음료를 펌핑하여 상기 음료취음공간으로 배출하는 모터와, 상기 음료통의 음료보충시기를 외부에 표시하는 부저 및 램프를 구비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통에 남아 있는 음료량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모터의 부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에 직렬연결된 저항과 상기 저항에 병렬연결되고 상호 직렬연결된 제1및 제2분압저항과 상기 제1분압저항 상기 제2분압전압의 중간탭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및 제2분압저항에 의해 분압된 분압전압을 출력하는 저항으로 이루어진 부하감지부; 및 상기 부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무터 부하에 따라 상기 음료통의 음료공급시기를 경보할 수 있도록, 상기 부하감지부으로부터 입력받은 분압전압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부저 및 램프를 구동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마련된 음료통과, 상기 도어의 외부에 컵이 놓여질 수 있도록 인입형성된 음료취음공간과, 상기 음료통의 음료를 펌핑하여 상기 음료취음공간으로 배출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와, 상기 음료통의 음료보충시기를 외부에 표시하는 부저 및 램프를 구비한 냉장고의 음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조작스위치를 온시키면 제어부는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음료통의 음료를 상기 음료취음공간으로 배출하는 음료배출단계; 상기 음료배출단계에서 음료를 배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부하감지부가 상기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여 분압전압을 출력하는 모터부하감지단계; 상기 모터부하감지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부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의 부하크기에 상응하는 분압전압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는 모터부하비교단계; 상기 모터부하비교단계의 비교결과 분압전압이 기준전압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저 및 램프를 구동하여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하는 음료공급시기경보단계; 및 상기 모터부하비교단계의 비교결과 분압전압이 기준전압값 보다 크면 음료배출동작이 완료되어 조작스위치가 오프될때까지 상기 제어부가 모터를 구동시키는 음료배출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는 음료통의 음료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여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하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제1도와 제2도의 구성과 동일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의 제어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전압부(11)와, 도아(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음료통(30)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스위치(12)와, 음료의 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할 수 있도록 부저(14) 및 램프(15)를 구동시키는 급수경보구동부(13)와, 음료통(30)의 음료를 펌핑하기 위해 모터(75)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6)와, 상기 여 음료통(30)에 남아 있는 음료량에 따라 달라지는 모터(75)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170와, 상기 부하감지부(17)의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음료의 공급시기를 판단하여 상기 급수경보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8)를 구비한다.
상기 부하감지부(17)는 모터(75)에 직렬 연결된 저항(R1)과, 상기 저항(R2)에 각각 병렬연결되고 상호 직렬연결되어 상기 저항(R1)에 걸리는 전압을 분압시키는 분압저항(R2)(R3)과, 상기 분압저항(R2),(R3)의 중간탭에 일단이 접속되고 일단은 제어부(18)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저항(R4)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압저항(R2)(R3)의 중간탭에 인가되는 분압전압(Vs)은 음료통(30) 내부에 음료가 없을 경우에는 모터(75)의 회전이 무부하상태이므로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 적게 소모되어 분압전압(Vs)는 로우신호로 제어부(18)에 입력되고, 음료통(30)내부에 음료가 많을 경우에는 모터(75)의 회전시 음료가 부하의 역할을 하여 모터(75)에 인가되는 전류가 무부하시 보다 훨씬 많아져 분압전압(Vs)는 하이신호로 제어부(18)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부하감지부(17)로부터 입력된 분압전압(Vs)를 A/D변환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값과 비교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8)는 A/D변환된 디지탈데이타 즉, 상기 부하감지부(17)로부터 입력받은 분압전압(Vs)와 기준전압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음료통(30)의 음료공급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부하감지부(17)에 의해 감지된 분압전압(Vs)이 기준전압값 보다 작으면 음료를 공급할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급수경보구동부(13)를 구동시켜 상기 부저(14)를 통해 부저음을 발생함과 아울러 램프(15)를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8)에 설정된 기준전압값은 음료통(30)에 남아있는 음료의 양이 예를 들면 두 컵정도의 양일때 모터(75)에 걸리는 부하값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는 입력되는 분압전압(Vs)이 기준전압 보다 작음녀 즉, 음료통(30)의 음료가 모두 소모되기 직전에 음료통(30)의 음료공급시기를 경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방법을 제4도의 순서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단계(90)에서 상기 제어부(18)는 사용자가 음료를 공급받고자 조작스위치(12)를 온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단계(90)의 판단결과 조작스위치(12)가 온되었으면 단계(91)에서 상기 제어부(18)는 모터구동부(16)를 제어하여 모터(75)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전원콘넥터(77)를 통해 전원이 모터(75)에 공급됨에 따라 모터(75)의 회전축(76)에 결합된 임펠러(74)가 연동회전하면서 음료를 음료취음공간(41)에 마련된 컵(40)까지 펌핑하게 된다.
이어, 단계(92)에서 상기 부하감지부(17)는 모터(75)의 구동에 따른 부하를 감지하고 그 모터(75)의 부하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분압전압(Vs)을 제어부(18)에 입력시킨다.
이어, 단계(93)에서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부하감지부(17)로부터 입력되는 분압전압(Vs)과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값을 비교하여 음료의 공급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즉, 음료통(30)에 남아 있는 물의 양에 비례하여 모터(75)에 걸리는 부하가 변하게 되므로 제어부(18)에 입력되는 분압전압(Vs)의 값도 음료통(30)에 남아 있는 물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음료통(30)의 물이 예를 들면 약 10%정도 남아 있을때 모터(75)의 구동으로 인해 제어부(18)로 입력되는 분압전압값(Vs) 보다 작은 값으로 기준전압값을 설정하면 음료통(30)의 물이 완전히 소모되기 전에 음료의 공급을 경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계 (93)의 판단결과 입력된 분압전압(Vs)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값 보다 크면 음료통(30)의 음료를 음료취음공간(41)으로 배출할 수 있을 만큼 음료가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단계(94)에서 상기 제어부(18)는 조작스위치(1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94)의 판단결과 조작스위치(12)가 오프되지 않았으면 모터(75)르 ㄹ구동시켜 음료취음공간(41)으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단계(91)로 회귀한다.
반면에, 단계(94)의 판단결과 조작스위치(12)가 오프되었으면 단계(95)에서 상기 제어부(178)는 모터구동부(16)를 제어하여 모터(75)를 구동정지시켜 음료통(30)의 음료가 음료취음공간(41)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단계(93)의 판단결과 입력된 분압전압값(Vs)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값보다 크지 않으면 음료통(30)의 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태(조작스위치(12)가 온되어 있는 현시점에서는 음료의 배출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단계(96)에서 상기 제어부(18)는 급수경보구동부(13)를 제어하여 부저(14)를 통해 부저음을 발생함과 아울러 램프(15)를 점등하여 음료통(30)의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한 다음 단계(94)로 진행하여 조작스위치(12)가 오프될 때까지 모터(75)를 구동하여 음료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음료통의 음료를 음료취음공간으로 배출하는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고 음료통에 음료가 부족하여 감지된 모터의 부하가 기준값 보다 크지 않으면 부저와 램프를 통해 음료통의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하므로 적기에 음료를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통의 음료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음료통의 내부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장고 도어(20)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마련된 음료통(30)과, 상기 도어(20)의 외부에 컵이 놓여질 수 있도록 인입형성된 음료취음공간(41)과, 상기 음료통(30)의 음료를 펌핑하여 상기 음료취음공간(41)으로 배출하는 모터(75)와, 상기 음료통(30)의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표시하는 부저(14) 및 램프(15)를 구비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통(30)에 남아 있는 음료량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모터(75)의 부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75)에 직렬연결된 저항(R1)과 상기 저항(R1)에 병렬연결되고 상호 직렬연결된 제1및 제2분압저항(R2)(R3)과 상기 제1분압저항(R1)과 상기 제2분압전압(R2)의 중간탭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및 제2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분압전압(Vs)을 출력하는 저항(R4)으로 이루어진 부하감지부(17); 및 상기 부하감지부(17)에 의해 감지된 상기 모터(75)의 부하에 따라 상기 음료통(30)의 음료공급시기를 경보할 수 있도록, 상기 부하감지부(17)으로부터 입력방은 분압전압(Vs)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부저(14) 및 램프(15)를 구동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2. 냉장고 도어(20)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마련된 음료통(30)과, 상기 도어(20)의 외부에 컵이 놓여질 수 있도록 인입형성된 음료취음공간(41)과, 상기 음료통(30)의 음료를 펌핑하여 상기 음료취음공간(41)으로 배출하는 모터(75)와, 상기 모터(75)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17)와, 상기 음료통(30)의 음료보충시기를 외부에 표시하는 부저(14) 및 램프(15)를 구비한 냉장고의 음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조작스위치(12)를 온시키면 제어부(18)는 모터구동부(16)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75)를 구동시켜 상기 음료통(30)의 음료를 상기 음료취음공간(41)으로 배출하는 음료배출단계(90, 91); 상기 음료배출단계(90, 91)에서 음료를 배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부하감지부(17)가 상기 모터(75)의 부하를 감지하여 분압전압(Vs)을 출력하는 모터부하감지단계(92); 상기 모터부하감지단계(92)에서 상기 모터(75)의 부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8)가 상기 모터(75)의 부하크기에 상응하는 분압전압(Vs)과 기준전압값을 비교하는 모터부하비교단계(93); 상기 모터부하비교단계(93)의 비교결과 분압전압(Vs)이 기준전압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부저(14) 및 램프(15)를 구동하여 음료공급시기를 외부에 경보하는 음료공급시기경보단계(96); 및 상기 모터부하비교단계(93)의 비교결과 분압전압(Vs)이 기준전압값 보다 크면 음료배출동작이 완료되어 조작스위치(12)가 오프될때까지 상기 제어부(18)가 모터(75)를 구동시키는 음료배출단계(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방법.
KR1019950025701A 1995-08-21 1995-08-21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KR10021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701A KR100213123B1 (ko) 1995-08-21 1995-08-21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701A KR100213123B1 (ko) 1995-08-21 1995-08-21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750A KR970011750A (ko) 1997-03-27
KR100213123B1 true KR100213123B1 (ko) 1999-08-02

Family

ID=1942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701A KR100213123B1 (ko) 1995-08-21 1995-08-21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194A (ko) * 1998-07-22 2000-02-15 한규생 유아용 우유병의 자동급유장치용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750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320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96321B2 (en) Auto water dispenser cutoff
US5829263A (en)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of automatic ice maker in refrigerator and water supply device employing the same
EP2187153B1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KR970047678A (ko) 냉장고의 자동음료보충장치
EP3064876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213123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및 방법
KR0140002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0153159B1 (ko) 워터 디스펜서 장치
WO2022177712A1 (en) Auto-water shut-off for an external door water dispenser
KR19980030889A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급수기 제어장치
JP3110595B2 (ja) 冷凍炭酸飲料デイスペンサのシロップ切れ検出方法
KR100301636B1 (ko) 냉장고자동제빙기의급수제어방법
EP2187152A2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JPH0611221A (ja) 自動製氷機
KR100202625B1 (ko) 물통내장 냉장고 디스펜서 및 제어방법
JP3470642B2 (ja) 貯液容器の液量表示装置
KR19980056367A (ko) 제빙기의 급수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3137098B2 (ja) 電気貯湯容器
KR20010061667A (ko) 냉장고 운전제어방법
KR200232953Y1 (ko) 워터 디스펜서를 갖춘 냉장고
KR100438973B1 (ko) 자동판매기의 급수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01446Y1 (ko) 냉장고의 김치통 감지장치
KR0118821Y1 (ko) 냉장고의 음료 공급 장치
KR19980043438U (ko) 제빙기의 급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