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19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197A
KR20080092197A KR1020070035780A KR20070035780A KR20080092197A KR 20080092197 A KR20080092197 A KR 20080092197A KR 1020070035780 A KR1020070035780 A KR 1020070035780A KR 20070035780 A KR20070035780 A KR 20070035780A KR 20080092197 A KR20080092197 A KR 2008009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shing machine
tub
tub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필
김현숙
표상연
박재룡
옥성민
이보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197A/ko
Publication of KR2008009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와, 피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고 세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세제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세제를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세제용기는 세탁기 본체의 내부나 세탁기 본체의 하부에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되고, 터브와 세제용기의 사이에는 세제용기의 액체세제를 터브의 내부로 안내하는 세제투입튜브가 설치되며, 세제투입튜브의 일부는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고 세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제용기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투입튜브의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기 때문에, 세제투입튜브를 통한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제용기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충분한지 부족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세탁기, 세제공급장치, 액체세제, 잔량, 투명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세제투입튜브를 세제용기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51...세탁기 본체 12,52...터브
13,53...세탁조 15,54...디스플레이장치
16...튜브보관함 18,55...확인창
21,61...받침대 22...프레임
23...수납함 25...수납실
31,71...세제공급장치 32,72...세제투입튜브
33,73...터 브연결튜브 34,74...확인튜브
35,75...세제용기연결튜브 36...밀폐부재
41...세제용기 57...제어장치
81...광센서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잔량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터브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pulsator)로 세탁수와 피세탁물을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와, 터브 내부의 중앙에 돌출 구비되는 아지테이터(agitator)로 세탁수와 피세탁물을 교반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아지테이터 세탁기와,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회전시켜 피세탁물을 상승시켰다가 낙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세탁을 실행하는 드럼세탁기가 있다.
이들 각종 세탁기는 피세탁물의 양에 따라 적정량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고, 터브에 세탁수 공급시 세제공급장치가 작동하여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터브 내부로 투입되도록 되어있다. 세탁에 이용되는 세제로는 고상의 분말세제와, 액상의 액체세제가 있으며, 사용되는 세제의 종류에 따라 세제 투입을 위한 세탁기의 구조가 다소 달라진다.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분말세 제를 사용하는 세탁기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일예로,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분말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에 비해 세제공급장치의 설치 위치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즉, 분말세제는 상부로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아 분말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의 설치 위치가 터브의 상부로 제한되지만, 액체세제는 펌프와 같이 유체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상부로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가 터브에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분말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에 비해 부품의 배치가 자유롭다.
그리고, 분말세제는 투입량 조절이 쉽지 않기 때문에 분말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세탁시마다 사용자가 피세탁물의 양에 따라 적정량의 세제량을 직접 투입해야 한다. 이에 반해, 액체세제는 유량조절기를 이용하면 투입량의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세제를 저장하고 세탁시마다 일정량의 액체세제를 터브 내부로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분말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가 남아있는 세제의 잔량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도 가지고 있다. 즉,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충분하지 못하면 피세탁물의 세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탁 전에 세탁에 필요한 세제가 충분한지 점검하여 세제가 투입되지 못한 상태로 또는, 세탁에 필요한 세제량이 부족한 상태로 세탁 행정이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세탁기는 세제통을 세탁기의 외부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투명 세제통을 사용하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세제용기를 사용해야 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세탁기는 세제통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미관을 헤칠 수 있고, 세제통 배치를 위한 공간확보가 필요하므로 세탁기의 설치 공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세탁기는 세제통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제한이 있고, 세제통을 세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세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내부에 두면 잔량 확인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제용기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하여 설치공간을 줄이면서도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잔량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와, 피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세제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세제를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기는 상기 세탁기 본체의 내부나 상기 세탁기 본체의 하부에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터브와 상기 세제용기의 사이에는 상기 세제용기의 액체세제를 상기 터브의 내부로 안내하는 세제투입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세제투입튜브의 일부는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확인창이 구비되고, 상기 세제투입튜브의 일부 또는 전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상기 세제투입튜브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일부는 상기 확인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투입튜브는 상기 터브 및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터브연결튜브와, 일단부가 상기 세제용기에 구비되는 개구부에 삽입되는 세제용기연결튜브와, 상기 터브연결튜브 및 상기 세제용기연결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확인창을 통해 상기 세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확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는 상기 세제용기연결튜브의 일단부가 상기 세제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는 상기 세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수납실을 갖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제용기는 상기 수납실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는 상기 세제투입튜브를 통한 액체세제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세제유동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유동감지장치는 상기 세제투입튜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 광센서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피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13)가 구동모터(19)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세탁물이 세탁되는 드럼세탁기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세탁기 본체(11)와, 세탁기 본체(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터브(12)와, 터브(12)의 내부에 구동모터(1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13)와, 세탁기 본체(11)를 지지하는 받침대(21)와, 터브(12)의 내부로 액체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31)를 포함한다. 터브(12)와 세탁조(13)의 전방은 피세탁물의 투입 및 투출을 위해 개방되고, 세탁기 본체(11)의 전방에는 터브(12) 및 세탁조(13)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14)가 설치된다.
이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세탁기와 같이, 세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터브(12)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공급장치와, 터브(12)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세탁수배출장치와,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의 구성부품이 설치된다.
또한, 세탁기 본체(11)의 외부 일측에는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5)가 설치되고, 세탁기 본체(11) 내부 일측에는 후술하게 될 세제용기연결튜브(35)를 보관할 수 있는 튜브보관함(16)이 구비된다. 이 튜브보관함(16)은 세탁기 본체(1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커버(17)에 의해 개폐된다.
받침대(21)는 세탁기 본체(11)를 지지하는 프레임(22)과, 프레임(22)의 전방 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함(23)을 포함한다. 수납함(23)의 전방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24)가 구비되고, 수납함(23)의 내부에는 세제용기(41)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실(25)이 구비된다.
세제공급장치(31)는 세제용기(41)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터브(12)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기 본체(1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31)는 일단부가 터브(1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세제용기(41)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제투입튜브(32)의 중간에 연결되고, 세제투입튜브(32)를 통해 세제용기(41)의 액체세제를 터브(12)의 내부로 유동시킨다. 세제공급장치(31)로는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세제투입튜브(32)는 터브(12)와 연결되는 터브연결튜브(33)와, 일단부가 상기 세제용기(41)에 구비되는 개구부(42)에 삽입되는 세제용기연결튜브(35)와, 터브연결튜브(33) 및 세제용기연결튜브(35)와 연결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인튜브(34)를 포함한다. 세제공급장치(31)는 터브연결튜브(33)에 결합된다. 세제용기연결튜브(35)가 세제용기(4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세제공급장치(31)가 작동하면 세제용기(41)에 저장된 액체세제는 세제용기연결튜브(35), 확인튜브(34) 및 터브연결튜브(33)를 차례로 통과하여 터브(12)의 내부로 공급된다.
세제용기연결튜브(35)는 확인튜브(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세탁기 본체(11)의 튜브보관함(16)에는 길이가 다른 복수의 세제용기연결튜브(35)가 수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세제공급장치(31)와 세제용기(41) 사이의 거리에 맞춰 적절한 길이의 세제용기연결튜브(35)를 확인튜브(34)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세제용기연결튜브(35)에는 세제용기(41)의 개구부(42)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부재(36)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폐부재(36)는 세제용기연결튜브(35)의 끝단이 세제용기(4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세제용기(41)의 개구부(42)를 막아 세제용기(41) 내의 액체세제가 마르는 것을 방지한다. 밀폐부재(36)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세제투입튜브(32)의 일부, 더욱 자세하게는 확인튜브(34)의 일부는 세탁기 본체(11)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는 확인창(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확인창(18)은 세탁기 본체(11)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으로 확인튜브(34)의 일부가 이 확인창(18)을 통해 외부로 다소 돌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확인창(18)에는 투명한 재질의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인창(18)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인튜브(34)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세제투입튜브(32)를 통해 세제용기(41)에서 터브(12)로 유동하는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는 세제용기(41)를 교체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대(21)의 수납함(23)을 인출하여 세제용기(41)를 수납함(23)의 수납실(25) 일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세제용기(41)의 개구부(42)를 개방시킨 후 세제용기연결튜브(35)의 끝단을 개구부(42)를 통해 세제용기(41) 내부로 삽입하고 밀폐부재(36)를 이용하여 세제용기(41)의 개구부(42)를 밀폐시킨다. 세제용기(41)에 세제용기연결튜브(35)를 삽입한 후에는, 수납함(23)을 원위치시켜 세제용기(41)가 받침대(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세탁이 시작되면 세탁수공급장치가 작동하여 터브(12)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고, 세제공급장치(31)가 작동하여 세제투입튜브(32)를 통해 액체세제가 터브(12)의 내부로 유입된다. 세제공급장치(31)가 작동하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제용기(41)의 액체세제가 세제용기연결튜브(35), 확인튜브(34) 및 터브연결튜브(33)를 통해 터브(12)로 유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튜브(34)를 통해 세제용기(41)의 액체세제가 터브(12)로 유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세제용기(41)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부족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제공급장치(31)가 작동하더라도 세제투입튜브(32)를 통해 액체세제의 유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튜브(34)에서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세제용기(41)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다만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 비해 세제유동감지장치를 더 구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세탁기 본체(51)와, 세탁기 본체(51)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52)와, 터브(5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53)와, 세탁기 본체(51)를 지지하는 받침대(61)와, 터브(52)의 내부로 액체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71)와, 세제용기(41)의 세제를 터브(52)로 안내하는 세제투입튜브(72)와, 세제투입튜브(72)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세제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81)를 포함한다.
세제투입튜브(72)는 터브(52)와 연결되는 터브연결튜브(73)와, 끝단이 세제용기(41)의 내부로 삽입되는 세제용기연결튜브(75)와, 터브연결튜브(73) 및 세제용기연결튜브(75) 사이에 구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인튜브(74)를 포함한다. 터브연결튜브(73)에는 세제공급장치(71)가 결합되고, 확인튜브(74)는 그 일부가 세탁기 본체(51)의 확인창(55)을 통해 세탁기 본체(51)의 외부로 노출된다. 세제용기연결튜브(75)의 끝단이 세제용기(41)에 저장된 액체세제에 잠긴 상태에서 세제공급장치(71)가 작동되면, 세제용기(41)의 액체세제는 세제용기연결튜브(75), 확인튜브(74) 및 터브연결튜브(73)를 통해 터브(52)로 공급된다.
광센서(8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인튜브(7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발광부(82) 및 수광부(83)를 포함한다. 액체세제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확인튜브(74)를 통해 액체세제가 유동하는 경우 발광부(82)에서 발생되는 빛은 액체세제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83)에 원활하게 도달되지 못한다. 광센서(81)는 수광부(83)에 도달되는 빛의 세기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장치(57)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세탁이 이루어져 터브(52)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 세제공급장치(71)가 작동된다. 세제공급장치(71)가 작동되면 일정 시간 후 광센서(81)가 작동하여 발광부(82)에서 빛이 발생된다. 만약, 세제용기(41)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충분하다면 확인튜브(74)를 통해 액체세제가 유동하고 발광부(82)에서 발생된 빛은 유동하는 액 체세제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83)에는 빛이 거의 도달하지 못한다. 광센서(81)는 이에 의한 감지신호를 제어장치(57)로 전송하고, 제어장치(57)는 광센서(81)에서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세제용기(41)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반면, 세제공급장치(71)가 작동되고 일정 시간 후에 발광부(82)에서 발생되는 빛이 원활하게 수광부(83)에 도달하면 광센서(81)는 이에 의한 감지신호를 제어장치(57)로 전송하고, 제어장치(57)는 세제용기(41)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부족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장치(57)는 액체세제가 부족하다는 것을 디스플레이장치(54)에 표시하고, 구동모터(56) 및 세제공급장치(71)를 정지시켜 세탁 행정이 진행되지 못하게 한다. 여기에서, 액체세제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제어장치(57)는 부저(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제투입튜브(72)를 통해 액체세제의 유동을 광센서(81)가 감지하기 때문에 확인튜브(74)는 세탁기 본체(51)의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광센서(81)는 확인튜브(74) 이외에 세제투입튜브(72)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제투입튜브(72)를 통한 액체세제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세제유동감지장치는 빛을 이용하는 광센서(81)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감지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확인튜브(34)(74)의 설치는 세탁기 본체(11)(51)의 하부 일측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세제용기(41)가 세탁기 본 체(11)(51)의 내부의 상대적인 상부에 위치하면 확인튜브(34)(74)의 설치 위치는 세탁기 본체(51)의 상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를 드럼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 이외에 펄세이터 세탁기 또는 아지테이터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제용기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투입튜브의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기 때문에, 세제투입튜브를 통한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제용기에 남아있는 액체세제의 잔량이 충분한지 부족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용기가 세탁기 본체의 내부나 세탁기 본체의 하부 등 세탁기 본체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세탁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7)

  1. 세탁기 본체와, 피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세제용기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는 상기 세탁기 본체의 내부나 상기 세탁기 본체의 하부에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터브와 상기 세제용기의 사이에는 상기 세제용기의 액체세제를 상기 터브의 내부로 안내하는 세제투입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세제투입튜브의 일부는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확인창이 구비되고, 상기 세제투입튜브의 일부 또는 전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상기 세제투입튜브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일부는 상기 확인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튜브는 상기 터브 및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터브연결튜브와, 일단부가 상기 세제용기에 구비되는 개구부에 삽입되는 세제용기연결튜브 와, 상기 터브연결튜브 및 상기 세제용기연결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확인창을 통해 상기 세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확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기연결튜브의 일단부가 상기 세제용기의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수납실을 갖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기는 상기 수납실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튜브를 통한 액체세제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세제유동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유동감지장치는 상기 세제투입튜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70035780A 2007-04-11 2007-04-11 세탁기 KR20080092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780A KR20080092197A (ko) 2007-04-11 2007-04-11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780A KR20080092197A (ko) 2007-04-11 2007-04-11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97A true KR20080092197A (ko) 2008-10-15

Family

ID=4015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780A KR20080092197A (ko) 2007-04-11 2007-04-11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19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2962B2 (en) 2016-07-05 2018-09-11 Ecolab Usa Inc. Liquid out-of-product alarm system and method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JP2021053125A (ja) * 2019-09-30 2021-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2962B2 (en) 2016-07-05 2018-09-11 Ecolab Usa Inc. Liquid out-of-product alarm system and method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D900418S1 (en) 2017-12-21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D958479S1 (en) 2017-12-21 2022-07-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JP2021053125A (ja) * 2019-09-30 2021-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197A (ko) 세탁기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KR101481520B1 (ko) 의류처리장치
US921721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a detergent supply module
US9689104B2 (en) Washing machine system and washing method
KR101444356B1 (ko) 세탁기
KR101467882B1 (ko) 세탁기
CN106460294B (zh) 洗衣机及控制洗衣机的方法
KR20100066172A (ko) 세탁기 및 세탁 방법
JP2000300891A (ja) 洗濯機
KR20170096318A (ko) 세탁기의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KR20080092198A (ko) 세탁기 및 액체세제 공급방법
KR101287533B1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KR100741708B1 (ko) 드럼세탁기
JP2021023506A (ja) 洗濯機
JP4133780B2 (ja) 食器洗浄機
KR20080092200A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JP2011224074A (ja) 洗濯機
KR101114338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안내 장치
KR20240002137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40002122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22186220A (ja) 洗濯機
KR20240002119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6136155A1 (ja) 洗濯機
JPH051569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